[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7887Y1 -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 Google Patents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887Y1
KR200407887Y1 KR2020050032997U KR20050032997U KR200407887Y1 KR 200407887 Y1 KR200407887 Y1 KR 200407887Y1 KR 2020050032997 U KR2020050032997 U KR 2020050032997U KR 20050032997 U KR20050032997 U KR 20050032997U KR 200407887 Y1 KR200407887 Y1 KR 200407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base
temple
s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재학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왕재학
이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재학, 이성희 filed Critical 왕재학
Priority to KR2020050032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8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법당에 안치되는 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체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SMPS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며, 극성이 서로 반대로 연결된 베이스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두 타입의 발광체를 구비한 인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MPS; 상기 SMPS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소켓; 상기 소켓의 두 접점과 각각 접속되는 두 개의 대응접점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두 접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리드선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는 베이스의 어느 한 접점과 발광다이오드의 (+)극의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타입과, 상기 베이스의 어느 한 접점과 발광다이오드의 (-)극의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타입의 두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두 리드선 중 어느 하나에는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찰, 인등, SMPS, 발광다이오드, 소켓, 베이스

Description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A LAMP USED FOR PRAYING AT A BUDDHIST TEMPL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찰용 인등의 설치 상태도.
도 2 는 소켓과 발광체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
도 3 은 발광체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SMPS 200 : 소켓
300 : 발광체 310 : 베이스
320 : 발광다이오드 330 : 저항
400 : 케이블 420 : 분기케이블
본 고안은 법당에 안치되는 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체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SMPS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며, 극성이 서로 반대로 연결된 베이스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두 타입의 발광체를 구비한 인등에 관한 것이다.
사찰용 인등은 사찰의 법당 내에 각 개인 명패나 위패 등을 모셔두고 개인의 행복이나 고인의 명복을 기원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사용되는 사찰용 인등에 관한 것이다.
불교에서는 인등은 다생겁에 익혀온 무명을 밝히어 업장을 소멸하고 복덕과 지혜를 증장시키는 기도와 서원이며, 자기 자신의 등불을 밝히고 동시에 진리인 법의 등불을 밝히는 불사라 하고, 등공양(燈供養)이 모든 공양을 인도하는 공양으로서 육공양(六供養) 중 으뜸가는 법공양에 해당된다고 하여, 불가에서 행해지는 거의 대부분의 행사에는 인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찰용 인등은 불가의 축원상징물인 불상 등에 개인을 축원하는 상징적 의미의 불을 밝혀 좌우상하 소정간격으로 줄을 맞추어 사찰의 법당 내에 배열 안치되는데, 최근에는 과거의 촛불이나 전구를 이용한 인등의 화재의 위험성, 열에 의한 주변 조형물의 변색, 설치와 유지에 드는 노력과 비용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LED(발광다이오드)램프를 내설한 인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발광다이오드로 점등되는 종래의 인등은 교류전원을 이용하고 있다. 교류전원은 열발생이 많아 화재의 위험이 높으며, 전자기파가 발생되며, 전력소모 량이 많아 전기요금이 많이 나온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전원으로 직류전원을 이용한 사찰용 인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존의 교류전원을 이용하던 인등을 거의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는 사찰용 이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MPS;
상기 SMPS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소켓;
상기 소켓의 두 접점과 각각 접속되는 두 개의 대응접점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두 접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리드선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는 베이스의 어느 한 접점과 발광다이오드의 (+)극의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타입과, 상기 베이스의 어느 한 접점과 발광다이오드의 (-)극의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타입의 두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두 리드선 중 어느 하나에는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이 법당에 설치된 상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대(10)에 다수의 소형불상(20)이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소형불상(20) 앞에는 LED(320)가 장착되어 있는 연꽃모형(30)이 배치되어 상기 소형불상(20)을 비추고 있다. 그리고 플러그(410)가 있는 케이블(400)에는 SMPS(100)(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SMPS(100)는 안정적인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이며,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스위칭소자와 컨트롤러에 의해 구형파로 변환하고, 상기 구형파는 변압기에 의해 강압되며 강압된 전원은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통해 정류, 평활되어 소정의 전압/전류를 갖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SMPS(100)에서 출력되는 정격 전압/전류 3.5~5V/10~20A 인 직류이다.
상기 SMPS(10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은 분기케이블(420)에 의해 각각의 연꽃모형(30)에 장착되어 있는 소켓(200)을 통해 발광다이오드(320)에 공급되어 빛을 발하게 한다.
도2는 소켓과 발광체의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발광체의 분해사시 도이다.
상기 소켓(200)은 연꽃모형(30)에 장착되어 있으며 분기케이블(420)의 두 동선과 각각 연결되는 접점을 갖고 있다.
상기 발광체(300)는 상기 소켓(200)의 두 접점과 각각 연결되는 대응접점을 갖는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의 대응접점(311,312)에 각각 연결되는 리드선(321,322)을 갖는 발광다이오드(3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320)의 두 리드선(321,322) 중 어느 하나에는 저항(33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330)은 발광다이오드(320)에 정격전압 이상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서지전압 등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3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체(300)는 두 제1타입과 제2타입의 두 가지 종류로 이루어진다. 제1타입은 베이스(310)의 어느 한 접점(311)과 발광다이오드(320)의 (+)극 리드선(321)이 연결되고, 제2타입은 동일한 베이스(310)의 접점(311)에 발광다이오드(320)의 (-)극 리드선(322)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두 가지 타입의 발광체(300)를 갖는 이유는 종전의 교류를 이용했던 인등을 그대로 활용하고자 함에 있다.
종래의 교류를 이용하던 인등에서는 (+),(-) 극성의 구별이 필요 없어 주케이블(400)의 동선과 소켓(200)이 연결되어 있는 분기케이블(420)의 동선의 연결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즉, 일부의 소켓(200)은 (+)전류가 입력되어야할 (+)접점에 (-)전류가 입력되어 다이오드가 점등되지 아니한다.
이렇게 두 가지 타입의 발광체(300)를 구비함으로서, 소켓(200)에 어느 한 타입의 발광체(300)를 결합시켜 점등이 되지 아니하면 즉시 다른 타입의 발광체(300)로 교체하면 되므로, 일일이 주케이블(400)과 분기케이블(420)의 동선의 연결을 바꾸어 줄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교류를 사용하던 인등에 있어서, 주케이블(400)에 SMPS(100)를 연결하여 직류를 출력하고 극성이 반대인 두 종류의 발광체(300)를 가지고 소켓(200)에 연결하면 되므로, 기존의 교류를 사용하던 인등을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광체(LED)를 점등하기 위하여 직류전원을 이용하므로 열발생량이 적어 화재의 위험이 적고, 전자파 발생이 없으며, 전력소모가 적어 전기세가 절약된다.
또한, 케이블에 SPMS를 연결하고 극성이 반대인 두 종류의 발광체를 구비함으로서, 기존의 교류를 이용하던 인등을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3)

  1.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MPS;
    상기 SMPS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소켓;
    상기 소켓의 두 접점과 각각 접속되는 두 개의 대응접점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두 접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리드선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베이스의 어느 한 접점과 발광다이오드의 (+)극의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타입과, 상기 베이스의 어느 한 접점과 발광다이오드의 (-)극의 리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타입의 두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로 점등되는 인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두 리드선 중 어느 하나에는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로 점등되는 인등.
KR2020050032997U 2005-11-22 2005-11-22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KR200407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97U KR200407887Y1 (ko) 2005-11-22 2005-11-22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97U KR200407887Y1 (ko) 2005-11-22 2005-11-22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887Y1 true KR200407887Y1 (ko) 2006-02-06

Family

ID=4448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997U KR200407887Y1 (ko) 2005-11-22 2005-11-22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8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60B1 (ko) 2006-05-18 2007-12-13 이성희 축원연등
KR101263470B1 (ko) 2011-03-18 2013-05-13 왕재학 연등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60B1 (ko) 2006-05-18 2007-12-13 이성희 축원연등
KR101263470B1 (ko) 2011-03-18 2013-05-13 왕재학 연등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803B2 (en) Linkable LED strip lighting fixture
KR101348739B1 (ko)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를 가지는 엘이디조명시스템
US7649322B2 (en) Limited flicker light emitting diode string
CN102472476B (zh) 发光二极管照明灯
JP2001052504A (ja) 照明装置
KR200407887Y1 (ko) 직류로 점등되는 사찰용 인등
CN201048172Y (zh) 具有led指示灯的电源延长线
CN201116702Y (zh) Led照明单元及其光源模块
KR200448281Y1 (ko) 인등 진열대
US7267460B2 (en) Adjustable beams night light
JP3098840U (ja) 発光ダイオードの照明装置
CN2608825Y (zh) 一种led通用照明灯泡
TW201400746A (zh) Led燈管
TWI521168B (zh) Series LED tube and its adapter
CN203927542U (zh) 一种符合安规连接插头且发光效果理想的柔性led贴片灯带
KR200416010Y1 (ko) 연등용 전구
KR200355506Y1 (ko) 엘이디 발광소자를 이용한 사인물 발광모듈
JP3145362U (ja) 高効率led照明具の構造
CN201174801Y (zh) 建筑模型实时灯控系统
KR20120000632A (ko) Led 점멸 피난 유도선
CN201795435U (zh) Led安全灯管结构
KR20100052981A (ko)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94147Y1 (ko) 사찰용 인등
US20110050119A1 (en) Light-Emitting Diode Light Rod With Screw Head
JP3083343U (ja) 蛍光灯器具対応型発光ダイオード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1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1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