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21Y1 - Electric bucket crane with traveling system - Google Patents
Electric bucket crane with travel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6621Y1 KR200406621Y1 KR2020050031420U KR20050031420U KR200406621Y1 KR 200406621 Y1 KR200406621 Y1 KR 200406621Y1 KR 2020050031420 U KR2020050031420 U KR 2020050031420U KR 20050031420 U KR20050031420 U KR 20050031420U KR 200406621 Y1 KR200406621 Y1 KR 2004066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 crane
- bucket crane
- bucket
- lower pos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283 diesel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E02F9/02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for moving on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a1)과, 붐(a2)과, 유압실린더(a3)로 구성된 가동부(A)와; 상부프레임(C)을 지지하는 하부포스트(B)와; 콘트롤케빈(D), 오일탱크(E), 전기모터(F) 등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C)과; 전체 버켓크레인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콘트롤 케빈(D)과;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탱크(E)와;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상부프레임(C)을 360° 회전시키는 슬루윙 윈치(f1)의 동력원이 되는 전기모터(F)로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하부포스트(B)를 대신하여, 설치된 레일(50)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하는 주행용하부포스트(100)를 설치함으로서, 종래의 경유를 연료로 하는 엔진과, 이동을 위한 궤도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식 버켓크레인의 이동성을 가지는 동시에, 엔진이나 궤도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엔진이나 궤도의 먼지, 분진에 의한 고장위험이 없으며, 작동연료를 경유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작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a trav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movable portion (A) consisting of a bucket (a1), a boom (a2), and a hydraulic cylinder (a3); A lower post B for supporting the upper frame C; An upper frame (C) for supporting a control cabin (D), an oil tank (E), an electric motor (F), and the like; A control cabin (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bucket crane; An oil tank E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Rails 50 installed in place of the lower post B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F which is operated by electricity and is the power source of the slewing winch f1 which rotates the upper frame C 360 °. By installing the driving lower post 100 to enable the vehicle to run along the track, the engine and track are constructed while having the mobility of a conventional diesel fueled fuel and a movable bucket crane provided with a track for movement. There is no risk of failure due to dust or dust in the engine or track, and by using electricity instead of diesel fuel, it relates to an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a traveling device that can reduce operating costs.
버켓 크레인, 전동식, 레일, 주행 Bucket Crane, Electric, Rail, Drive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고안자에의하여 선출원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pre- fil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정면도 2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a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주행용하부포스트의 확대도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driving lower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주행부의 상세도 4 is a detailed view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가동부 B : 하부포스트 C : 상부프레임 A: Moving part B: Lower post C: Upper frame
D : 콘트롤 케빈 E : 오일탱크 F : 전기모터 D: Control Kevin E: Oil Tank F: Electric Motor
a1 : 버켓 a2 : 붐 a3 : 유압실린더 a1: bucket a2: boom a3: hydraulic cylinder
f1 : 슬루윙 윈치 f1: slewing winch
100 : 주행용하부포스트 10 : 하부프레임 20 : 케이블 릴 100: driving lower post 10: lower frame 20: cable reel
30 : 주행부 40 : 주행안전장치 50 : 레일 30: driving part 40: driving safety device 50: rail
31 : 지지부 32 : 바퀴 33 : 가이드롤러 31 support
41 : 감속기 42 : 피니언 43 : 기어부 41 gear reducer 42
51 : 레일프레임 52 : 사각레일 53 : 볼트 51: rail frame 52: square rail 53: bolt
본 고안은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a1)과, 붐(a2)과, 유압실린더(a3)로 구성된 가동부(A)와; 상부프레임(C)을 지지하는 하부포스트(B)와; 콘트롤케빈(D), 오일탱크(E), 전기모터(F) 등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C)과; 전체 버켓크레인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콘트롤 케빈(D)과;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탱크(E)와;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상부프레임(C)을 360° 회전시키는 슬루윙 윈치(f1)의 동력원이 되는 전기모터(F)로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하부포스트(B)를 대신하여, 설치된 레일(50)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하는 주행용하부포스트(100)를 설치함으로서, 종래의 경유를 연료로 하는 엔진과, 이동을 위한 궤도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식 버켓크레인의 이동성을 가지는 동시에, 엔진이나 궤도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엔진이나 궤도의 먼지, 분진에 의한 고장위험이 없으며, 작동연료를 경유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작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a trav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movable portion (A) consisting of a bucket (a1), a boom (a2), and a hydraulic cylinder (a3); A lower post B for supporting the upper frame C; An upper frame (C) for supporting a control cabin (D), an oil tank (E), an electric motor (F), and the like; A control cabin (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bucket crane; An oil tank E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Rails 50 installed in place of the lower post B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F which is operated by electricity and is the power source of the slewing winch f1 which rotates the upper frame C 360 °. By installing the driving
일반적으로, 이동식 버켓크레인은 경유를 연료로 하는 엔진과, 이동을 위한 궤도가 설치되어 있어 이동성이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는 한곳에 고정되어 반복작업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하게 되어지며, 궤도의 장착은 크레인의 제작비용을 급격히 상승시킬 뿐만아니라, 작동연료로 경유를 사용하 게 됨으로서 작동비용 또한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과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에 의하여 고가의 엔진이나 무한궤도가 수시로 고장이 나게되며, 이를 정비할 경우, 그 정비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상당한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the mobile bucket crane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bile because the diesel fuel and the track for the movement is installed, but this is fixed in one place will be rather disadvantageous in need of repetitive work, The installation of the track not only raises the crane manufacturing cost drastically, but also uses diesel oil as the operating fuel, and thus, the operation cost is also considerably high, and expensive engines or caterpillars frequently fail due to dust or dust generated in the workplace. This is, when the maintena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feels a significant burden because the maintenance cost is expensive.
이에 본 고안의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경유를 연료로 하는 엔진과, 이동을 위한 궤도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식 버켓크레인에 비하여, 크레인의 제작비용을 50%이상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엔진이나 궤도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엔진이나 궤도의 먼지, 분진에 의한 고장위험이 없으며, 작동연료를 경유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작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동식 버켓크레인에 대하여 2005년 10월 19일자로 특허출원을 하였으며, 이를바탕으로 실용신안으로 이중출원(특허출원10-2005-0098398, 실용신안등록이중출원 20-2005-0029628)하였으며,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주요 특징은 한곳에 고정되어 반복작업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rane by 50% or m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esel fueled engine and a mobile bucket crane equipped with a track for moving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the engine or track be configured, there is no risk of failure due to dust or dust on the engine or track, and the electric bucket can reduce operating costs by using electricity instead of diesel fuel. The patent application was filed on October 19, 2005. Based on this, the dual application was filed as a utility model (patent application 10-2005-0098398, dual application 20-2005-0029628). The feature is fixed at one place and can be used quite usefully where it is necessary to repeat work.
상기의 전동식 버켓크레인을 고정된 장소에서 뿐만아니라, 약간의 이동성을 부여한다면, 더욱더 넓은 범위에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게 되었으며, 종래의 궤도의 설치에 의한 이동성을 가진 크레인이 아닌, 또 다른형태의 주행장치의 개발을 필요로 하였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lectric bucket crane in a fixed place, if given a little mobility, it was conceived that the usability can be increased in a wider range, and not a crane with the mobility by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ntional track, The development of another type of traveling device was requir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켓(a1)과, 붐(a2)과, 유압실린더(a3)로 구성된 가동부(A)와; 상부프레임(C)을 지지하는 하부포스트(B)와; 콘트롤케빈(D), 오일탱크(E), 전기모터(F) 등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C)과; 전체 버켓크레인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콘트롤 케빈(D)과;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탱크(E)와;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상부프레임(C)을 360° 회전시키는 슬루윙 윈치(f1)의 동력원이 되는 전기모터(F)로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하부포스트(B)를 대신하여, 설치된 레일(50)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하는 주행용하부포스트(100)를 설치함으로서, 종래의 경유를 연료로 하는 엔진과, 이동을 위한 궤도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식 버켓크레인의 이동성을 가지는 동시에, 엔진이나 궤도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엔진이나 궤도의 먼지, 분진에 의한 고장위험이 없으며, 작동연료를 경유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작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to improve th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movable portion (A) consisting of a bucket (a1), a boom (a2), and a hydraulic cylinder (a3); A lower post B for supporting the upper frame C; An upper frame (C) for supporting a control cabin (D), an oil tank (E), an electric motor (F), and the like; A control cabin (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bucket crane; An oil tank E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Rails 50 installed in place of the lower post B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F which is operated by electricity and is the power source of the slewing winch f1 which rotates the upper frame C 360 °. By installing the driving
본 고안은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a1)과, 붐(a2)과, 유압실린더(a3)로 구성된 가동부(A)와; 상부프레임(C)을 지지하는 하부포스트(B)와; 콘트롤케빈(D), 오일탱크(E), 전기모터(F) 등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C)과; 전체 버켓크레인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콘트롤 케빈(D)과;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탱크(E)와;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상부프레임(C)을 360° 회전시키는 슬루윙 윈치(f1)의 동력원이 되는 전기모터(F)로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하부포스트(B)를 대신하여, 설치된 레일(50)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하는 주행용하부포스트(100)를 설치함으로서, 종래의 경유를 연료로 하는 엔진과, 이동을 위한 궤도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식 버켓크레인의 이동성을 가지는 동시에, 엔진이나 궤도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엔진이나 궤도의 먼지, 분진에 의한 고장위험이 없으며, 작동연료를 경유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작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a trav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movable portion (A) consisting of a bucket (a1), a boom (a2), and a hydraulic cylinder (a3); A lower post B for supporting the upper frame C; An upper frame (C) for supporting a control cabin (D), an oil tank (E), an electric motor (F), and the like; A control cabin (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bucket crane; An oil tank E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Rails 50 installed in place of the lower post B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F which is operated by electricity and is the power source of the slewing winch f1 which rotates the upper frame C 360 °. By installing the driving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하여 선출원 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정면도로서, 1 is a front view of an electric bucket crane that has been fil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하여 선출원 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은 가동부(A), 하부포스트(B), 상부프레임(C), 케빈(D), 오일탱크(E), 전기모터(F)로 구성되어지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식크레인의 무한궤도를 하부포스트(B)로 대체하고, 엔진 대신에 전기모터(F)를 설치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ic bucket crane pre- fil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ovable part (A), a lower post (B), an upper frame (C), a Kevin (D), an oil tank (E), an electric motor (F), It is characterized by replacing the caterpillar of the conventionally used mobile crane to the lower post (B), and install the electric motor (F) instead of the engine to operate.
가동부(A)는, 흙, 산업폐기물 등의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을 퍼담을 수 있게 하는 버켓(a1)과, 버켓(a1)의 원거리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붐(a2)과, 붐(a2)을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a3)로 구성되며, 버켓(a1), 붐(a2), 유압실린더(a3)의 크기 및 용량은 작업하고자 하는 곳의 작업량과 작업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 게 되어진다. The movable portion A includes a bucket a1 that enables to embed objects to be transported, such as soil and industrial waste, a boom a2 that enables remote operation of the bucket a1, and a boom a2. It consists of hydraulic cylinder (a3) to operate,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bucket (a1), boom (a2), hydraulic cylinder (a3)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amount of work and the object of work. Lose.
하부포스트(B)는 버켓크레인을 작업하고자 하는 곳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부에 상부프레임(C)을 지지하게 되어지며, 종래의 무한궤도의 설치시 보다 버켓크레인의 제작비용을 50%이상 감소시키게 된다. The lower post (B) serves to fix the bucket crane at the place where you want to work, an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 upper frame (C) on the upper,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ucket crane by more than 50% than when installing the conventional track Let's go.
상부프레임(C)은 하부포스트(B)의 상부에 설치되어, 콘트롤케빈(D), 오일탱크(E), 전기모터(F) 등을 지지하게 되며, 슬루윙 윈치(f1)에 의하여 360° 회전하게 되어진다. The upper frame (C)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st (B) to support the control cabin (D), oil tank (E), electric motor (F), etc., 360 ° by the slewing winch (f1) Will rotate.
콘트롤 케빈(D)은 전체 버켓크레인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곳으로서, 상부프레임(C)의 상단에 설치되며, The control cabin (D) is a pla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bucket cran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upper frame (C),
오일탱크(E)는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을 보관하는 동시에 버켓크레인의 후미에 설치되어짐으로서, 가동부(A)의 무게에 의한 크레인의 치우침을 방지하게 된다. The oil tank 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ucket crane while storing oil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thereby preventing the crane from being biased due to the weight of the movable portion A.
전기모터(F)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상부프레임(C)을 360° 회전시키는 슬루윙 윈치(f1)의 동력원이 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대신에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The electric motor F is operated by electricity and is a power source of the slewing winch f1 which rotates the upper frame C 360 ° so that the electricity can be us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diesel fuel. Allows you to reduce costs
도 2는 본 고안의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정면도로서, 2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a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은 본 고안의 고안자에 의하여 선출원 된, 가동부(A), 하부포스트(B), 상부프레임(C), 케빈(D), 오일탱크(E), 전기모터(F)로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하부포스트(B)를 대신하여, 설치된 레일(50)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하는 주행용하부포스트(1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the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 fil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art (A), the lower post (B), the upper frame (C), the Kevin (D), the oil tank (E), the electric motor. Instead of the lower post (B) of the electric bucket crane composed of (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installing the driving
도 3은 본 고안의 주행용하부포스트의 확대도로서, 3 is an enlarged view of a driving lower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행용하부포스트(100)는, 하부프레임(10)과, 케이블 릴(20)과, 주행부(30)와, 주행안전장치(40)로 구성되어, 레일(50)위에서 주행하게 되어진다. The traveling
하부10)은, 전동식크레인과 주행부(30)의 중간연결부로서, 상부에 전동식크레인을 지지하며, 하부에 주행부(30)를 구성하여, 레일(50)위에서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며, The
케이블 릴(20)은, 전동식크레인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이 감겨져 있는 곳으로서,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이 이동을 할 경우, 케이블의 길이에의해 이동거리을 제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분의 케이블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한다. The
주행부(30)는, 설치된 레일(50)위를 이동하기위해 구성되어진 것으로, 하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레일(50)의 상부의 놓여 이동하게 되며, 이는 지지부(31)와, 바퀴(32)와, 가이드롤러(33)로 구성된다. The driving
지지부(31)는, 주행부(30)의 바퀴(32)의 지지 및 이탈을 방지하게 하며, The
바퀴(32)는, 레일(50)의 사각레일(52)에 결착되어, 설치된 레일(50)을 따라 전동식 크레인을 주행시키게 되어진다. The
가이드롤러(33)는,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의 이동시, 전, 후, 좌, 우의 방향에서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레일프레임(51)에 결착되어, 크레인의 안정된 주행안내하게 되어진다(도 4는 참조). The
상기와 같은 주행부(30)중 한 곳에는, 주행안전장치가(40)가 설치되어진다. In one of the
주행안전장치(40)는, 주행의 감속, 출입, 정지, 미끄럼방지 등을 콘트롤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주행을 감속을 콘트롤 하는 감속기(41)와, 피니언(42)이 구성되어 있으며, 주행의 출입, 정지, 미끄럼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어부(43)로 구성되어진다(도 4는 참조). The
레일(50)은, 본 고안의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이 주행할 수 있는 이동거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사각레일(52)이 용접되어 구성된 “工(공)”자 형태의 레일프레임(51)이 볼트(53)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어 형성되어진다 (도 4는 참조). The rail 50 is to provide a moving distance that the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the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vel, and the rail frame of a “work” shape formed by welding a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한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n detail as follows.
본 고안의 주행장치가 구성된 전동식 버켓크레인은 종래의 경유를 연료로 하는 엔진과, 이동을 위한 궤도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식 버켓크레인의 이동성을 가지는 동시에, 엔진이나 궤도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엔진이나 궤도의 먼지, 분진에 의한 고장위험이 없으며, 작동연료를 경유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작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The electric bucket crane configured with the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obility of a conventional diesel fueled fuel and a mobile bucket crane provided with a track for movement, and has no engine or track. There is no risk of breakdown due to dust and dust, and the use of electricity, not via diesel fuel, reduces the operating cost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420U KR200406621Y1 (en) | 2005-11-07 | 2005-11-07 | Electric bucket crane with travel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420U KR200406621Y1 (en) | 2005-11-07 | 2005-11-07 | Electric bucket crane with travel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6621Y1 true KR200406621Y1 (en) | 2006-01-23 |
Family
ID=4175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1420U KR200406621Y1 (en) | 2005-11-07 | 2005-11-07 | Electric bucket crane with travel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6621Y1 (en) |
-
2005
- 2005-11-07 KR KR2020050031420U patent/KR200406621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TE292086T1 (en) | VEHICLE CRANE | |
AU2016330141B2 (en) | Mobile shaft winch | |
KR100727305B1 (en) | Power supply of fork-lane powered by electricity | |
EP3074301A1 (en) |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 |
KR200406621Y1 (en) | Electric bucket crane with traveling system | |
JP2017105556A (en) | Vehicle for high lift work | |
KR200387785Y1 (en) | Power supply device for working vehicles | |
JP5893898B2 (en) | Power unit and work vehicle | |
JP2012149398A (en) | Concrete spray machine and hydraulic drilling machine | |
KR102191086B1 (en) | Power supply for heavy equipment | |
KR101276803B1 (en) | A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heavy | |
JP6085486B2 (en) | Hydraulic work machine | |
KR101448863B1 (en) | Excavator having power supply device | |
JP5458383B2 (en) | Jib crane | |
JP3136769U (en) | Self-propelled watering device | |
CN218025291U (en) | A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vehicle | |
JP5926031B2 (en) | Power unit and work vehicle | |
KR100596154B1 (en) | Workbench structure of catenary work vehicle | |
CN222596077U (en) | Tunnel construction trolley | |
JP7547219B2 (en) | Lifting Magnet Work Machine | |
JP5439437B2 (en) | Electric working machine, power supply unit and moving method thereof | |
KR101568676B1 (en) | Power supply device of excavator for indoor work | |
CN114572903B (en) | Pneumatic crawler forklift and method | |
RU2820969C1 (en) | Self-propelled drive accumulation system | |
JP2002067776A (en) | Trolley type cargo handling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107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1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1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1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