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6291Y1 -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 Google Patents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291Y1
KR200406291Y1 KR2020050030892U KR20050030892U KR200406291Y1 KR 200406291 Y1 KR200406291 Y1 KR 200406291Y1 KR 2020050030892 U KR2020050030892 U KR 2020050030892U KR 20050030892 U KR20050030892 U KR 20050030892U KR 200406291 Y1 KR200406291 Y1 KR 200406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using
picture display
image
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riority to KR2020050030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2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를 구비하고,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하며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상부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테두리 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앙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빛이 통과가능하게 형성되되 표면에 형성된 그림이 내부에서 비춰지는 빛에 의해, 빛이 도달하는 부분에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림표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그림표시구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그림표시구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상기 그림표시구를 통과한 빛이 도달하는 천장, 벽 같은 곳에 영상이 구현되도록 빛을 제공하는 조명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아, 돌보기, 완구

Description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ASSISTANT PLAYTHING FOR CAREING FOR KIDS}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의 외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하부 하우징
12: 상부 커버 20: 그림표시구
23: 회전 노브 24: 축
25: 태엽형 스프링 26: 구동기어
27: 종동기어 28: 구동롤러
30: 빛차단구 31: 빛통과부
35: 조명등 40: 멜로디부
50: 동화 이야기 구현부
본 고안은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취침 시나 돌볼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나이 어린 어린이들은 잠자리에 들 때 주변이 어둡거나 적막할 때 두려움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 취침등이 사용되고 있는 바, 방 등의 실내를 엷게 밝혀 아이들이 주변에 확인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두려움을 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취침등은 단순히 실내를 밝혀 주는 기능만을 가짐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 등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유아 또는 어린이이 가질 수 있는 두려움을 들어주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부모들이 동화나 이야기 등을 들려주는 것을 좋아하며, 이러한 부모들의 양육방식이 유아 또는 어린이가 책에 흥미를 갖고 호기심과 창의성을 갖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현실적으로 부모들이 이를 실행하기가 쉽지 않다. 이를 위해 종래에 동화가 녹음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아이들에게 이를 들려주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으나, 단순히 녹음된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만으로는 유아 또는 어린이 들이 흥미를 갖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 들이 흥미를 유발하여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두려운 마음이 들지 않도록 하고, 잠자리에 들거나, 칭얼거리거나, 보채는 유아 또는 어린이들을 돌볼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하며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상부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테두리 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앙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빛이 통과가능하게 형성되되 표면에 형성된 그림이 내부에서 비춰지는 빛에 의해, 빛이 도달하는 부분에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림표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그림표시구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그림표시구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상기 그림표시구를 통과한 빛이 도달하는 천장, 벽 같은 곳에 영상이 구현되도록 빛을 제공하는 조명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설치되는 회전노브; 상기 회전노브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외주면에 고무가 부착된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그림표시구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롤러에 접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견인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노브에 연결되어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된 축을 가지며, 상기 축의 말단에는 축의 회전력을 저장하여 상기 회전 노브가 자유로워지는 경우 상기 축 및 회전노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형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축에 구동기어가 축설되어,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멜로디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멜로디 온오프 스위치 조작에 의해 조작되어 멜로디 음을 발생시키는 멜로디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에 동화 이야기를 저장하여 이를 음성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동화 이야기 구현부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표시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설치되며, 빛이 투과가능한 빛통과부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부를 구비하되, 상기 빛통과부가 일측의 일정 구역으로 형성되는 빛차단구을 구비하여, 상기 조명등에 의한 빛이 상기 빛차단구의 빛통과부 및 그림표시구를 통과하여 천장, 벽 같은 곳에 영상을 구현하되, 상기 그림표시구의 회전에 의해 그림표시구의 장면이 순차적으로 영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화 이야기 구현부의 구현 속도가 상기 그림 표시구의 회전속도에 대응되어 상기 동화 이야기 구현부에 의해 구현되는 이야기에 해당하는 장면이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는 하우징(10), 그림표시구(20), 조명등(35), 멜로디부(40), 동화이야기 구현부(50)를 포함한다.
본 고안 의한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의 하우징(10)은 하부 하우징(11)과, 상부 커버(12)로 이루어진다.
하부 하우징(11)에는 건전지가 수납되는 전원부(13)가 구비되어, 하면으로부터 건전지를 수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12)는 환형의 링 형상으로 중심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중심부(14)를 통해 그림표시구(20)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12)는 그림표시구(20)의 테두리(21)를 덮어 그림표시구(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버 커버(12)는 나사체결방식으로 하부 하우징(11)에 고정되거나, 걸림돌기를 이용한 회전고정방식 등으로 하부 하우징(11)에 고정되어, 탈착 용이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표시구(20)는 반구형상으로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얇은 투명막으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 다양한 모양이 표현된 그림을 형성하되, 각 모양들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부분과, 빛이 많이 투과되는 부분 또는 적게 투과되는 부분을 구분을 가지고 여러 가지 색으로 채색되어 이루어진다. 그림표시구(20)가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 그림표시구(20) 내부에서 빛을 비추면 빛 투과율에 따른 명함의 차이 및 각 부분간의 색의 차이로 인해, 빛이 도달하는 천장, 벽 등과 같은 부분에는 영상이 구현된다. 즉, 빛의 투과율의 차이, 색채의 차이를 이용하여 천장, 벽 등과 같은 부분에 그림표시구(20)에 표현된 그림이 영상으로 구현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 서 그림표시구(20)에 그려지는 모양에 따라 천장, 벽 등에 다양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데, 그 모양에 따라 하늘을 표현하거나 여러 동물, 동화 이야기 등이 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조명등(35)이 켜지는 경우 빛은 그림표시구(20) 내부를 비추고, 그림표시구(20)에 표현된 그림에 의해 빛이 도달되는 천장, 벽 등에는 영상이 구현된다. 실내의 천장이나 벽이 영상막이 되어 그림표시구(20)에 표현된 그림들이 영상으로 구현되게 되는 것이다.
그림표시구(20)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은 그림표시구(20)를 교환함으로써 다양하게 구현가능한 데, 예컨대 밤하늘의 영상을 구현되도록 모양을 형성하거나,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친숙한 동물 또는 캐릭터, 동화 속 이야기 등이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그림표시구(20)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반구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목적에 따라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빛의 직진성과 그림표시구(20) 구성으로부터 천장이나 벽 등에 구현되는 영상은 하기의 장치들과 함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그림표시구(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조작부를 포함한다. 회전 조작부는 하우징의 측면으로 돌출된 회전 노브(23), 상기 회전 노브(23)에 연결되고 하우징(10) 내부로 연장된 축(24)과 상기 축(24)의 끝단에 고정되어 회전 노브(23)의 조작력을 저장하였다가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태엽형 스프링(25)을 포함한다. 축(24)의 끝단에 위치하는 태엽형 스프링(25)은 통상의 태엽형 스프링으로서 직사각형의 긴 줄 형상의 판 스프링이 나선형으로 여러 번 감겨지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구조에 중심에 위치하는 끝단은 축(24)의 끝단에 고정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끝단은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노브(23)를 돌리면 태엽형 스프링(25)이 감기면서 가해진 힘이 탄성 에너지로 저장되고, 사용자가 회전 노브(23)를 자유상태로 놓으며 태엽형 스프링(25)이 복원되면서 축(24) 및 회전 노브(23)를 원 상태로 돌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축(24)에는 구동기어(26)가 축설되어 있다. 구동기어(26)의 일측으로 구동기어(26)와 치합하는 종동기어(27)와 상기 종동기어(27)와 동축으로 외주면에 고무가 부착된 구동롤러(28)가 구비된다. 이 구동롤러(28)의 외주면이 그림표시부(20) 테두리(21)와 접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그림표시부(20)를 돌리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회전 조작부를 기계식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전원부(13)의 전원을 이용하여 그림표시구(20)를 돌리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하고, 회전 노브(23)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모터가 구동하면서 종동기어(27)를 돌려 그림표시구(20)를 돌리도록 구성된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은 빛에 의해 영상이 표현가능하게 형성된 반구형상의 그림표시구(20)와 더불어 상기 그림표시구(2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되며 일측 부분으로만 빛이 통과가능하게 빛통과부(31)를 구비한 반구형상의 빛차단구(30)을 포함한다. 반구형상의 빛차단구(30)에 의하면 빛통과부(31)를 통해서만이 빛이 통과하며, 빛통과부 외의 부분(32)은 빛이 통과되지 않도록 불투명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구형상의 그림표시구(20)와 T차단구(30)가 동시에 설치된 상태에 서 하우징(10) 내부의 조명등(35)이 켜지는 경우 빛차단구(30)의 빛통과부(31)를 통해서만이 빛이 통과하므로 그림표시구(20)에서 빛통과부(31)와 연이어 위치한 부분의 그림만이 천장, 벽 등에 영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동화 속 이야기가 그림으로 표시된 그림표시구(20)와 빛차단구(30)를 동시에 설치한 상태에서 조명등(35)이 켜지고 회전 노브(22) 조작을 통해 그림표시구(20)가 회전되도록 설정되면, 동화 속 이야기의 각 장면이 마치 그림 동화책을 보고 있는 것처럼 천장 등에 영상으로 지나가게 되어 이를 보고 있는 유아 또는 어린이는 그림동화를 보는 느낌을 받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10)에는 전구와 같은 조명등(35)이 설치되어 그림표시구(20)를 향해 빛을 비추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의 측면으로 조명등 온,오프 스위치(36)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조명등(35)을 켜거나 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명등(35)이 온 되면 조명등의 빛이 그림표시구(20) 내부를 비추게 되고, 그림표시구(20)에 표현된 모양에 따라 빛이 도달하는 천장, 벽 등에는 영상이 비춰지게 된다. 이러한 조명등(35)은 천장, 벽 등에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취침등으로서 어두운 곳에 자는 것을 싫어하거나 두려워하는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편안함과 안도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10)에 멜로디 음을 낼 수 있는 멜로디부(40)가 설치되며, 하우징(10)의 측면으로 멜로디를 온,오프 조작할 수 있는 멜로디 온오프 스위치(42)가 설치된다. 멜로디부는 여러 멜로디 및 노래가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멜로디 온오프 스위치(42)의 조작에 따라 재생 여부 및 멜로디 또는 노 래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멜로디 또는 노래가 저장된 칩(미도시) 등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동화 이야기 등을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동화이야기 구현부(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동화이야기 구현부(50)는 통상의 MP3 플레이어 같이 구현되어 컴퓨터 등에 연결되어 다양한 이야기를 자유롭게 다운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화 이야기가 저장된 칩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화 이야기 구현부(50)는 카세트 테입 등과 같은 기록장치가 삽입되어 재생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동화 이야기 등을, 유아 또는 어린이들에게 들려줄 수 있게 된다. 이때 동화 이야기 구현부(40)에 의해 음성으로 구현되는 동화 이야기는 그림표시구(20) 및 빛차단구(30)와 작동적으로 결합된다. 예컨대 "은혜 갚은 까치" 라는 구전 동화가 동화 이야기 구현부(50)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그림표시구(20)로서는 '은혜 갚은 까치" 이야기가 그림동화 표현된 것이 설치된다. 부모가 방 등에서 조명등(35)을 켜고, 회전 노브(22) 조작을 통해 그림표시구(20)를 회전시키면서, 동화 이야기 구현부(40)를 통해 동화이야기가 구현되도록 하는 경우, 그림표시구(20) 및 빛차단구(30)의 빛통과부(31)에 의해 천장 벽 등에는 표시되는 영상은 동화 이야기 구현부(50)에 의해 구현되는 이야기에 해당하는 장면이 비춰질 수 있도록 맞춰진다. 이에 의해 유아 또는 어린이는 천장 등에 표시되는 장면 그림을 보면서 그 장면에 해당하는 동화 이야기를 듣게 되므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아이들의 관심을 유도,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변형예에 의하면, 멜로디부와 동화 이야기 구현부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부모들이 유아 또는 어린이를 돌보거나 밤에 재울 때 보조 기구로서 사용가능하며, 완구를 조작할 능력이 있는 어린이 들이 흥미를 가지고 혼자서 사용할 수 있다.
어두운 곳을 싫어하고 밤에 혼자 잠자기를 두려워하는 아이를 둔 부모의 경우, 본 고안에 의한 유안 돌보기 보조 완구의 조명등(35)을 켜서 취침등으로 사용가능한 데, 이 경우 단순히 엷은 불빛으로 어린이 등의 두려움을 해소시켜 주는 것뿐만 아니라 그림표시구(20)에 표현된 여러 그림, 예컨대 별이 가득찬 밤 하늘,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친숙한 캐릭터, 동물 등에 의해 흥미를 유발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가 가진 두려움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종래에 천장 등에 별 모양, 동물 모양 등의 야광 스티커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천장 등에 부착된 스티커가 실내 벽지 등의 미관을 해치고 시간이 지나면서 때가 묻어 벽 천장 등이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이러한 별 모양, 동물 모양 등이 조명에 의해 구현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에 해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침등 기능을 함께하므로 별도의 취침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본 고안에 의하면 그림표시부(20)가 회전을 하여 예컨대 별 모양이 그림이 구현된 그림표시부의 경우 천천히 하늘의 별이 회전하는 것을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줄 수 있으므로 관심을 영상으로 돌려 유아 또는 어린이가 두려움이 없이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유아 또는 어린이들은 부모와의 접촉과 사랑을 중요시하고, 잠자리에서도 부모가 동화나 이야기 등을 들려주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부모들의 이러한 양육방식은 유아 또는 어린이가 책에 흥미를 갖고 호기심과 창의성을 키우는 데 도움이 주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부모가 항상 유아 또는 어린이 잠자리에 들 때 책을 읽어주거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부모들이 동화 이야기 구현부(40)에 맞는 그림표시구(20)를 완구에 설치하고 완구를 동작시킴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은혜 갚은 까치" 동화를 들려줄 경우 이것이 구현된 그림표시구(20)를 설치하고 조명등(35)과 함께 동작시키면 천장에 은혜 갚은 까치 이야기의 각 장면이 영상으로 표시되면서 이야기를 듣게 되는바, 흥미의 유발과 호기심 자극 및 창의성 발달에 많은 도움이 줄 수 있다. 더욱이 빛차단구(30)에 의해 이야기에 맞추어 각 장면이 천장에 표시됨으로 보다 큰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본 고안의 완구를 부모들이 동작시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어린이 스스로 위와 같은 목적으로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며, 어린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완구를 가지고 놀면서 교육적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흥미를 유발하여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취침시에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두렵거나 무서운 마음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잠자리에 들거나, 칭얼거리거나, 보채는 유아 또는 어린이들을 돌볼 때 보조 기구를 사용가능함으로 부모 등의 다른 일을 함께하면서 유아 또는 어린이를 돌보는 것이 가능하며, 완구를 조작할 능력을 가진 어린이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놀면서 교육적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전원부를 구비하고,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하며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상부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테두리 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중앙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빛이 통과가능하게 형성되되 표면에 형성된 그림이 내부에서 비춰지는 빛에 의해, 빛이 도달하는 부분에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림표시구;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그림표시구의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그림표시구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상기 그림표시구를 통과한 빛이 도달하는 천장, 벽 같은 곳에 영상이 구현되도록 빛을 제공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설치되는 회전노브;
    상기 회전노브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외주면에 고무가 부착된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그림표시구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롤러에 접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견인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브에 연결되어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된 축을 가지며,
    상기 축의 말단에는 축의 회전력을 저장하여 상기 회전 노브가 자유로워지는 경우 상기 축 및 회전노브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형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축에 구동기어가 축설되어,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멜로디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멜로디 온오프 스위치 조작에 의해 조작되어 멜로디 음을 발생시키는 멜로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동화 이야기를 저장하여 이를 음성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동화 이야기 구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표시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설치되며, 빛이 투과가능한 빛통과부 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부를 구비하되, 상기 빛통과부가 일측의 일정 구역으로 형성되는 빛차단구을 구비하여,
    상기 조명등에 의한 빛이 상기 빛차단구의 빛통과부 및 그림표시구를 통과하여 천장, 벽 같은 곳에 영상을 구현하되,
    상기 그림표시구의 회전에 의해 그림표시구의 장면이 순차적으로 영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화 이야기 구현부의 구현 속도가 상기 그림 표시구의 회전속도에 대응되어 상기 동화 이야기 구현부에 의해 구현되는 이야기에 해당하는 장면이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KR2020050030892U 2005-10-31 2005-10-31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KR200406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892U KR200406291Y1 (ko) 2005-10-31 2005-10-31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892U KR200406291Y1 (ko) 2005-10-31 2005-10-31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291Y1 true KR200406291Y1 (ko) 2006-01-20

Family

ID=4175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92U KR200406291Y1 (ko) 2005-10-31 2005-10-31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2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426A (ko) 2017-11-23 2019-05-31 나승협 야외에서 캠핑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수면등
KR20210029043A (ko) * 2019-09-05 2021-03-15 한인호 크리스탈 장식물 거치대
KR102697445B1 (ko) * 2024-04-04 2024-08-21 (주)에스이십칠 공연장용 디지털 응원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426A (ko) 2017-11-23 2019-05-31 나승협 야외에서 캠핑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수면등
KR20210029043A (ko) * 2019-09-05 2021-03-15 한인호 크리스탈 장식물 거치대
KR102241979B1 (ko) 2019-09-05 2021-04-16 한인호 크리스탈 장식물 거치대
KR102697445B1 (ko) * 2024-04-04 2024-08-21 (주)에스이십칠 공연장용 디지털 응원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0167B2 (en) Combination monitoring and entertainment system for children
US20120188451A1 (en) Child's Sleep Assistant Toy
US9946141B2 (en) Projection device for projecting images on a surface of the device
US6438879B1 (en) Illuminated stand for artificial tree
US20090150612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in conjunction with a removable memory cartridge
GB2135536A (en) Sound responsive lighting system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MX2008013964A (es) Juguete electronico con caracteristicas que pueden modificarse.
US20180214784A1 (en) Bedtime toy
US20160067622A1 (en) Infant mobile with illuminated and rotating elements
US6413137B1 (en) Entertaining attachment for an infant's nursing bottle
KR200406291Y1 (ko) 유아 돌보기 보조 완구
JP3376524B2 (ja) 万華鏡
US20080084790A1 (en) Children's illustrative night and day clock
AU2005262552B2 (en) Educational toy
US6893317B1 (en) Storybook lantern
US8297800B1 (en) Christmas holiday access, indicator, and mementos key method and apparatus
US9403101B2 (en) Multiple activity toy
US6775517B2 (en) Synchronized teaching mobile
US7255563B2 (en) Educational toy
US10307563B1 (en) Sleep enhancement device
RU2784678C1 (ru) Де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звучивания текста
US20080217904A1 (en) Children's book mobile
KR200324162Y1 (ko) 롤브로마이드를 이용한 학습용 책
CN202911447U (zh) 一种电动画板
GB2472439A (en) Musical infant crib toy for playing Quranic ver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0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1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101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