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6177Y1 - 교정용 필기구 홀더 - Google Patents

교정용 필기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177Y1
KR200406177Y1 KR2020050029197U KR20050029197U KR200406177Y1 KR 200406177 Y1 KR200406177 Y1 KR 200406177Y1 KR 2020050029197 U KR2020050029197 U KR 2020050029197U KR 20050029197 U KR20050029197 U KR 20050029197U KR 200406177 Y1 KR200406177 Y1 KR 200406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holder
writing
hole
instrument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규
임병로
Original Assignee
최호규
임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규, 임병로 filed Critical 최호규
Priority to KR2020050029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17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필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 상단부에 구비되는 캐릭터 모형과; 상기 캐릭터 모형의 대향측 몸체 외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중심부로부터 상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아귀에 삽입되어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시켜 형성되는 각도교정턱과; 상기 몸체의 외부 하단부에 구비되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파지홈들과; 상기 관통공 내부 벽면에 필기구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 하단부 관통공 가장자리의 고정돌기가 끝나는 부분에 구비되어 필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몸체 내부의 관통공에 몸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필기구가 홀더 내부에서 이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몸체 외부에 사용자의 손아귀로 삽입되도록 돌출시켜 각도교정턱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기구의 파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피로감을 저감시켜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교정하는 동시에 학습 능률 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교정, 필기구, 홀더, 캐릭터 모형, 파지홈, 각도교정턱

Description

교정용 필기구 홀더{A grip-corrective pen hold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교정용 필기구 홀더의 선A-A' 및 선B-B'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필기구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a, 110b, 110c : 파지홈
120 : 각도교정턱 130 : 캐릭터 모형
140 : 관통공 150 : 고정돌기
160 : 고정밴드
본 고안은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어린이나 잘못된 습관으로 필기구를 자연스럽게 사용하지 못하 는 청소년 및 성인들이 필기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를 처음 사용하게 되는 유아기(幼兒期) 시절인 5 ~ 6세 때 필기구를 잡는 자세가 습관화되고, 필기구의 사용이 본격화되는 초등학교 과정에서 그 자세가 몸에 익숙하게 된다. 이 시절에 필기구를 바르게 잡는 방법에 대한 부모들의 무관심으로 인하여 잘못된 자세가 초기에 습관화되면 나중에는 쉽게 고쳐지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본인의 노력이 필요하고 필기구의 정확한 파지 자세를 반복적으로 교정해 주어야 한다.
올바른 필기구의 파지 자세는 엄지와 중지 사이에 필기구의 하단부를 위치시킨 후 검지로 필기구를 잡아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약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필기구를 처음 접하게 되는 유아들은 손에 힘이 없어서 필기구를 자연스럽게 잡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글씨를 쓰는데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지 자세를 교정해 주기 위한 교정용 필기구 홀더가 이미 제시되어 있으나, 보통 손가락의 위치만을 교정해주는데 그치고, 오랜 시간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필기구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웠다. 필기 중 필기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키지 못하면 사용자가 글씨를 쓰는 위치가 바른지, 글씨를 바르게 쓰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앉은 자세까지도 흐트러져 장시간 집중하기 힘들고 그로 인하여 학습 능률까지도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교정해야 하지만, 교정용 필기구 홀더의 형태가 대체로 단순한 형태를 띠고 있어 주 사용대상인 어린이들이 필기구 홀더를 사용하는데 있어 흥미를 잃어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필기구 파지 자세를 교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필기구 홀더와 필기구 간의 접촉력이 약해서 사용 중 필기구 홀더 내에서 필기구가 이동하거나 이탈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기구 홀더의 중단부에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손아귀에 삽입되어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정확한 파지 위치를 설정하게 해주는 각도교정턱을 형성하여 필기구 파지 자세를 안정감있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기구 홀더의 내부 관통공 벽면에 다수 개의 고정 돌기를 형성하여 필기구가 필기구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기구 홀더의 외부 상측에 캐릭터 모형을 장착하여 사용대상인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필기구 홀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필기구 파지 자세를 빠른 시간 내에 교정할 수 있게 하는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있어서,
필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 상단부에 구비되는 캐릭터 모형과;
상기 캐릭터 모형의 대향측 몸체 외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중심부로부터 상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아귀에 삽입되어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시켜 형성되는 각도교정턱과;
상기 몸체의 외부 하단부에 구비되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파지홈들과;
상기 관통공 내부 벽면에 필기구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 하단부 관통공 가장자리의 고정돌기가 끝나는 부분에 구비되어 필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선A-A' 및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필기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중공 원통형의 관통공(140)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100) 외부의 중심부로부터 상단부(X) 일측에 캐릭터 모형(13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사용자의 손아귀에 삽입되어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교정턱(1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도교정턱(120)은 사용자의 손아귀에 꼭 들어맞도록 몸체(100)의 상측으로부터 중심부까지 만곡되어 점차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오리 부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도교정턱(120)이 필기구 홀더의 몸체(100)의 중심부와 이루는 각도(θ)는 40 ~ 60°이며, 이 각도가 필기구 사용 중 올바른 각도를 유지하는데에 유리한 각도이다. 또한, 상기 각도교정턱(120)은 필기구 사용 중 사용자의 손아귀로 삽입되기 때문에 필기구의 파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해줄 수 있다. 상기 캐릭터 모형(130)은 동물, 만화 주인공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외양을 수려하게 하고 교정용 필기구 홀더를 주로 사용하는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으로 필기구 홀더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필기구 파지 자세의 교정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필기구 홀더 몸체(100) 외부의 중심부로부터 하단부(Y)에는 필기구를 올바른 자세로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들(110a, 110b, 11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홈들(110a, 110b, 110c)은 손가락이 접촉되는 크기로 만곡되어 형성되므로 파지 시 일체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파지홈들 중 엄지와 검지가 접촉되는 부분(110a, 110b)은 손가락이 안쪽이 맞닿고, 중지가 접촉되는 부분(110c)은 손가락 마지막 관절 부분이 맞닿게 되므로 전자가 후자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엄지와 검지가 접촉되는 부분(110a, 110b)은 서로 110 ~ 13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 되고, 중지가 접촉되는 부분(110c)은 엄지와 검지가 접촉되는 부분(110a, 110b)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고 엄지와 검지가 접촉되는 부분(110a, 110b)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반대쪽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교정용 필기구 홀더의 그 몸체(100) 내부에는 필기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관통공(140)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40)의 벽면에는 필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돌기(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40)은 필기구의 삽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140)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150)는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두 줄씩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150)는 필기구를 필기구 홀더 내에 삽입했을 때 필기구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필기구가 관통공(140) 내에서 이동하거나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돌기(150)가 끝나는 몸체(100) 하단부의 관통공(140) 가장자리에는 필기구의 이탈을 한번 더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돌기(150)와 수직방향으로 고정밴드(160)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연성(軟性) 재질, 예를 들면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함으로써 필기구와 필기구 홀더 간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고, 사용 시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필기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에 땀이 나서 필기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가락에 굳은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 홀더는 프레스 성형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공정 등이 배제되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필기구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의 도면부호를 참조하여 교정용 필기구 홀더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구를 교정용 필기구 홀더의 관통공(140)에 필기구를 삽입한다. 이때, 필기구가 관통공(140) 내의 고정돌기(150) 및 고정밴드(160)에 의해 고정될 때까지 밀어 넣는다.
그리고 필기구 홀더의 하단부(Y)의 파지홈들(110a, 110b, 110c)에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위치시키고, 상단부(X)의 각도교정턱(120)을 손아귀로 감싼다. 각도교정턱(120)에 의해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약 60°의 각도를 이루게 되고,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이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교정턱(120)이 손아귀로 삽입되므로 손가락을 파지홈들(110a, 110b, 110c)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필기구를 지면으로부터 약 60°의 각도로 유지하며 필기를 시작한다.
그 후, 필기구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필기구 홀더의 몸체(100)를 잡고 필기구를 잡아당겨 필기구와 필기구 홀더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몸체 내부에 몸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필기구가 홀더 내부에서 이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몸체 외부에 사용자의 손아귀로 삽입되도록 돌출시켜 각도교정턱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필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파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피로감을 저감시켜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교정하는 동시에 학습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기구 홀더의 외부에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 모형을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필기구 홀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필기구 파지 자세를 빠른 시일 내에 교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필기구의 파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용 필기구 홀더에 있어서,
    필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 상단부에 구비되는 캐릭터 모형과;
    상기 캐릭터 모형의 대향측 몸체 외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중심부로부터 상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아귀에 삽입되어 필기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시켜 형성되는 각도교정턱과;
    상기 몸체의 외부 하단부에 구비되어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파지홈들과;
    상기 관통공 내부 벽면에 필기구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 하단부 관통공 가장자리의 고정돌기가 끝나는 부분에 구비되어 필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필기구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필기구 홀더는 연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필기구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두 줄씩 쌍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필기구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교정턱은 몸체로부터 40 ~ 60°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20050029197U 2005-10-13 2005-10-13 교정용 필기구 홀더 Expired - Fee Related KR200406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97U KR200406177Y1 (ko) 2005-10-13 2005-10-13 교정용 필기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97U KR200406177Y1 (ko) 2005-10-13 2005-10-13 교정용 필기구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177Y1 true KR200406177Y1 (ko) 2006-01-20

Family

ID=4175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19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6177Y1 (ko) 2005-10-13 2005-10-13 교정용 필기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1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6440A (zh) * 2017-12-11 2018-03-30 汤致齐 一种可纠正握笔姿势的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6440A (zh) * 2017-12-11 2018-03-30 汤致齐 一种可纠正握笔姿势的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5259B2 (en) Grip for hand-held too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789580B2 (en) Ergonomic pen with convex device for index finger exerting force thereon
JP4851205B2 (ja) 指動作補助具
KR200406177Y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3628684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JP3144710U (ja) 箸補助具
KR200379249Y1 (ko)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JP2012095941A (ja) 飲食用具
JP3034180U (ja) 箸の正しい持ち方習得用器具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3706623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KR200345870Y1 (ko) 유아용 필기 보조 기구
KR200422116Y1 (ko) 바른 글쓰기를 위한 연필손잡이
JP2502327Y2 (ja) 筆記具並びに箸の持ち方練習具
KR200345890Y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KR200353901Y1 (ko) 연필 파지교정기
JP4693523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CN218127997U (zh) 一种训练筷
KR200368914Y1 (ko) 필기보조기구
JPH0839986A (ja) 書き方矯正具
US20240108485A1 (en) Hol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tools and utensils
JP2662185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練習具
KR101977870B1 (ko) 필기구 바로잡기 교정 보조기구
JP2025002587A (ja) 筆記具用グリップ
JP3126015U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0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0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32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3100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00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