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4937Y1 - 이동식 탁주 제성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탁주 제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937Y1
KR200404937Y1 KR2020050025444U KR20050025444U KR200404937Y1 KR 200404937 Y1 KR200404937 Y1 KR 200404937Y1 KR 2020050025444 U KR2020050025444 U KR 2020050025444U KR 20050025444 U KR20050025444 U KR 20050025444U KR 200404937 Y1 KR200404937 Y1 KR 200404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ju
discharge pipe
tank
storage tank
m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2020050025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9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8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ethods for altering the composition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G3/02 - C12G3/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1Fixing of the stirrer to the shaf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탁주 제성기에 관한 것으로, 냉방장치가 설치된 소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희석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발효원주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와;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의 배출관에 설치되며, 상기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소정 비율로 혼합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상기 조절장치를 통과한 희석수와 발효원주를 혼합시키는 혼합조;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최종 소비장소에서 물과 발효원주를 혼합하여 즉석에서 제공될 수 있어 신선한 탁주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식음자가 기호에 맞춰 발효원주와 물을 적정하게 혼합시킬 수 있어 다양한 알콜함량을 갖는 탁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탁주, 저장, 혼합, 조절, 물

Description

이동식 탁주 제성기{movable supply apparatus of coarse liqu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탁주 제성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도 1에서 제성조가 추가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력유지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력유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케이스 3 : 제1저장탱크
4 : 제2저장탱크 6 : 조절장치
8 : 혼합조 51~54 : 제1 내지 제4배출관
본 고안은 이동식 탁주 제성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기호에 맞도록 알콜도수를 조절하여 즉석에서 신선한 탁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탁주 제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탁주(막걸리)는 백미(白米)를 세미(洗米)한 후 물빼기를 하고 증자(蒸煮), 냉각시킨 다음 여기에 누룩을 넣고(누룩을 넣을 때 엿기름, 밀가루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혼합(이를 1단 사입 또는 1단 담금이라 한다) 숙성시켜 밑술을 만들고, 여기에 누룩과 고두밥을 다시 혼합(이를 2단 사입 또는 2단 담금이라 한다), 약 3~5일간 숙성시키고 주박(酒粕:지게미)을 채로 걸러 제거한 후 액상물만 취하여 알콜함량이 높은 발효원주를 제조한 다음 적정한 양의 물을 혼합하여 희석시켜서 탁주를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희석시킨 탁주의 알콜함량은 6~7% 정도가 되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탁주의 알콜함량은 대부분 6~7% 정도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탁주는 대량생산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알콜함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다양한 개인의 기호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개인의 기호에 따라 알콜함량이 높은 탁주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알콜함량이 아주 낮은 탁주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살균을 하지 않은 탁주는 효모의 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효가 진행된다. 특히 이러한 발효는 알콜농도가 10% 이하의 낮은 상태에서는 알콜발효와 무관한 잡균의 활동으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
따라서, 효모의 활동에 의해 가스가 생성되므로, 병포장을 할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아예 효모의 활동을 막기위해 살균처리를 한 후 병포장을 하게 되나 이럴 경우 탁주의 맛이 저하되고, 탁주의 특성상 마시기 전에 흔들어 혼합시킨 후 개봉할때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탁주의 빠른 변질을 막기 위해 발효원주와 물을 따로 저장하여 최종 소비장소에서 혼합하여 즉석에서 제공될 수 있어 신선한 탁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식음자가 직접 자신의 기호에 맞춰 발효원주와 물을 적정하게 혼합시킬 수 있어 다양한 알콜함량을 갖는 탁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탁주 제성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통기간이 경과되기 전에 발효원주를 약주나 증류 소주, 식초 등으로 2차 가공이 가능하므로 폐탁주의 양을 획기적으로 절감하여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개별 테이블에 직접 설치되어 식음자에게 신선한 탁주를 즉석에서 따라 마실수 있도록 한 이동식 탁주 제성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보냉이 가능한 이동식 탁주 제성기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탁주 제성기는,
냉방장치가 설치된 소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희석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발효원주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와;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의 배출관에 설치되며, 상기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소정 비율로 혼합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상기 조절장치를 통과한 희석수와 발효원주를 혼합시키는 혼합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저장탱크에는 교반장치와 압력유지밸브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제1저장탱크 및 제2저장탱크와 혼합조를 연결하는 배출관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조절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의 배출관은, 관경이 동일한 제1 및 제2배출관과, 관경이 상이한 제3 및 제4배출관으로 구성되며, 특히 제2저장탱크에 연결된 제4배출관은 제3배출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경이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조의 하부측에는 혼합에 의해 제조된 탁주를 균일하게 교반시키며, 숙성시키는 제성조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탁주 제성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상기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1에서 제성조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탁주 제성기(A1)는,
일측에 냉방장치(20)가 설치된 소정의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 내에 설치되며, 희석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3)와; 상기 케이스(2) 내에 설치되며, 발효원주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4)와;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3,4)에 연결되며, 희석수와 발효원주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조절장치(6)와; 상기 조절장치(6)를 통과한 희석수와 발효원주를 혼합시키는 혼합조(8);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2)는 내측에 제1 및 제2저장탱크(3,4)가 설치되는 것으로, 시원한 청량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3,4)를 저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냉방장치(20)가 일측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냉방장치(20)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저장탱크(3)는, 탄산수 또는 일반 음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통체로써,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술될 제2저장탱크(4)의 밀폐뚜껑(41)과 동일한 구성인 내압구조로 된 밀폐뚜껑(미도시)이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제1 및 제3배출관(51,53)이 설치되며, 외측에 높이측정기(4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저장탱크(4)는, 발효원주를 저장하기 위한 통체로써.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압구조로 된 밀폐뚜껑(41)이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발효원주의 비중 차이로 인한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장치(44)가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내측의 가스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압력유지밸브(43)가 설치되며, 외측에 높이측정기(4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밀폐뚜껑(41)은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교반장치(44)의 축(442)이 끼움결합되며, 그 상부에 모터(4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뚜껑(41)의 외주연에 환턱이 형성됨으로써 압력유지밸브(43,43')를 통해 분출된 발효원주 찌꺼기가 외주연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제2저장탱크(4)와 꼭맞게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높이측정기(45)는 제1 및 제2저장탱크(3,4)의 내부와 통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내부의 유면과 동일한 높이가 표현되므로, 외부에서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력유지밸브(43,43')의 일예를 도 3a 내지 도 4b에 나타내었다.
첨부된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력유지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유지밸브(43)는 하부에 나사부(432)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430)가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의 기둥(436)으로 지지되는 상면부(434)로 구성되어, 기둥(436)들 사이에 개구부(433)가 형성된 몸체(431)와, 상기 통로(430)를 개폐시키는 디스크(438)와, 상기 디스크(438)를 탄성적으로 지지해주는 스프링(437)과, 상기 상면부(434)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437)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43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탱크(4)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통로(430)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디스크(438)를 들어올려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분출될 수 있고, 제2저장탱크(4)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스프링(437)의 탄성에 의해 디스크(438)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력유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유지밸브(43')는 하부에 나사부(432')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430')가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433')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덮개(433') 내측에 상기 통로(430')에 대응하는 자석판(434')이 설치되며, 상기 덮개(433')의 힌지부 일측에 스토퍼(43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탱크(4)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통로(430')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자석판(434') 및 덮개(433')를 들어올려 개방(이때, 상기 덮개(433')의 개방각도는 상기 스토퍼(435')에 의해 제한된다.)함으로써 외부로 분출될 수 있고, 제2저장탱크(4)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자석판(434')이 자착됨으로써 통로(430')가 폐쇄되는 것이다.
전술한 압력유지장치(43,43')는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교반장치(44)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된 모터(42)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축(442)과, 상기 축(442)에 형성된 임펠러(443)로 구성되며,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회전속도는 빠르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상기 축(442)은 전술한 밀폐뚜껑(41)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42)와 축(442)은 착탈가능한 결합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밀폐뚜껑(41)을 열때 먼저 모터(42)를 분리해내고 열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밀폐뚜껑(41)과 모터(42) 및 축(442)의 구조는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후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443)는 축(442)의 외측면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됨으로써 제2저장탱크(4)의 내측 바닥에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교반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임펠러(443)의 구조는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후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조절장치(6)는, 제1 및 제2저장탱크(3,4)와 후술될 혼합조(8)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내지 제4배출관(51~54)과, 상기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소정 비율로 혼합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배출관(51~54)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1 및 제2조절밸브(61,62)로 구성된다.
즉, 제1저장탱크(3)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1배출관(51)과, 상기 제1배출관(51)과 관경이 동일하며 제2저장탱크(4)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2배출관(52)과, 제1저장탱크(3)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3배출관(53)과, 상기 제3배출관(53)과 관경이 상이하며 제2저장탱크(4)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4배출관(54)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2저장탱크(4)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4배출관(54)은 제1저장탱크(3)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3배출관(53)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경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배출관(51,52)이 합쳐지는 부위에 제1조절밸브(61)가 설치되므로, 상기 제1조절밸브(61)의 개방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배출관(51,52)이 동시에 개방됨으로써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동일한 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및 제4배출관(53,54)이 합쳐지는 부위에 제2조절밸브(62)가 설치되며, 제2조절밸브(62)의 개방동작에 의해 제3 및 제4배출관(53,54)이 동시에 개방됨으로써, 희석수의 함량이 높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및 제2조절밸브(61,62)는 사용이 간편한 레버작동식의 밸브를 적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으면 어떤 종류의 밸브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관경이 동일한 제1 및 제2배출관(51,52)에 구비된 제1조절밸브(61)를 개방하면 동일한 양의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혼합조(8)로 배출되므로,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50 : 50 의 부피비로 혼합된 탁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관경이 상이한 제3 및 제4배출관(53,54)에 구비된 제2조절밸브(62)를 개방하면, 발효원주를 배출하는 제4배출관(54)이 희석수를 배출하는 제3배출관(53)보다 관경이 작으므로, 발효원주가 희석수보다 적은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어 알콜함량이 낮은 탁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배출관(51~54)은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3,4)의 청소와 교체가 용이하도록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취함이 바람직하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어댑터(46)에 의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제1 내지 제4배출관(51~54)에서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3,4)와 가까운 쪽에 밸브(47)를 각각 설치하였다.
따라서, 제1 및 제2저장탱크(3,4)와 상기 제1 내지 제4배출관(51~54)을 분리하기 전에 상기 밸브(47)을 먼저 잠그고 분리함으로써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조(8)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내지 제4배출관(51~54)과 연결되며, 상기 조절장치(6)의 제1 및 제2조절밸브(61,62)로부터 유입된 탁주를 잔유물이 남지않도록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통체 내에 임펠러(86)가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86)의 축은 외부의 모터(82)와 연결되어 구동되며, 상기 통체의 하부에는 소정의 배출구(8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84)에는 개폐밸브(8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혼합조(8)의 하부에는 제성조(9)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성조(9)는 소정의 통체 내에 임펠러(96)가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96)의 축은 외부의 모터(92)와 연결되어 구동되며, 통체의 하부에는 전술한 배출구(84) 및 개폐밸브(85)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성조(9)의 임펠러(96)는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되므로 탁주의 숙성과, 균일한 혼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성조(9)는 혼합조(8)보다 2~3배 큰 용량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제2저장탱크(4) 및 혼합조(8) 및 제성조(9)의 임펠러(443,86,96)가 회전하여 교반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식음자가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50 : 50(부피비)으로 혼합된 탁주를 원할 경우, 상기 제1조절밸브(61)를 개방하면, 제1 및 제2배출관(51,52)을 통해 동일한 양의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배출되어 혼합조(8)로 저장 교반된 후 그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84)를 통해 용기에 따르면 된다.
이때, 상기 혼합조(8) 내에 설치된 임펠러(86)의 회전에 의해 희석수와 발효원주는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어 양질의 탁주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알콜함량이 낮은 탁주를 원할 경우, 상기 제2조절밸브(62)를 개방하면, 제3 및 제4배출관(53,54)을 통해 희석수와, 이보다 적은 양의 발효원주가 배출되어 혼합조(8)로 저장된 후 배출구(84)를 통해 용기에 따르면 된다.
한편, 상기 혼합조(8)의 하부에 제성조(9)가 더 설치되면, 혼합조(8)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된 탁주가 상기 제성조(9)에서 다시 숙성과 저속의 교반을 통해 더욱 풍미가 향상된 탁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식 탁주 제성기에 따르면,
살균하지 않은 상태로 병포장이 어려워 생탁주의 맛을 제공하지 못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여, 최종 소비장소에서 희석수와 발효원주를 혼합하여 즉석에서 제공될 수 있어 신선한 생탁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높은 알콜 도수의 발효원주를 사용하므로 변질의 위험이 없고, 발효원주와 희석수를 별도로 유통하므로 위생상 안전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통기간이 연장될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통기간이 지나기 전에 발효원주를 약주나 증류 소주, 식초 등으로 2차 가공이 가능하므로 폐탁주의 양을 획기적으로 절감하여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산업상 효율 증대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냉방장치(20)가 설치된 소정의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 내에 설치되며, 희석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3)와;
    상기 케이스(2) 내에 설치되며, 외부에 설치된 모터(42)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축(442)과, 상기 축(442)에 형성된 임펠러(443)로 구성된 교반장치(44)와, 압력유지밸브(43,43')가 설치되며, 발효원주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4)와;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3,4)의 배출관(51~54)에 설치되며, 상기 희석수와 발효원주가 소정 비율로 혼합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장치(6)와;
    상기 조절장치(6)를 통과한 희석수와 발효원주를 혼합시키는 혼합조(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6)는, 제1저장탱크(3)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1배출관(51)과, 상기 제1배출관(51)과 관경이 동일하며 제2저장탱크(4)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2배출관(52)과, 상기 제1저장탱크(3)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3배출관(53)과, 상기 제3배출관(53)과 관경이 상이하며 제2저장탱크(4)와 혼합조(8)를 연결하는 제4배출관(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배출관(54)은 제3배출관(53)보다 상대적으로 관경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조(8)는, 제1 내지 제4배출관(51~54)과 연결되며, 통체 내에 설치된 임펠러(86)와, 상기 임펠러(86)를 구동하는 모터(82)와, 상기 통체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84)와, 상기 배출구(84)에 설치된 개폐밸브(8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조(8)의 배출구(84)에 제성조(9)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성조(9)는 소정의 통체 내에 임펠러(96)가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96)는 외부의 모터(92)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하부에 배출구(8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44)는, 외부에 설치된 모터(42)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축(442)과, 상기 축(442)의 외측면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된 임펠러(443)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42)와 축(442)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밸브(43)는 하부에 나사부(432)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430)가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의 기둥(436)으로 지지되는 상면부(434)로 구성되어, 기둥(436)들 사이에 개구부(433)가 형성된 몸체(431)와, 상기 통로(430)를 개폐시키는 디스크(438)와, 상기 디스크(438)와 상면부의 저부에 개재되는 스프링(437)과, 상기 상면부(434)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437)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4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밸브(43')는 하부에 나사부(432')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430')가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433')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덮개(433') 내측에는 상기 통로(430')에 대응하는 자석판(434')이 설치되며, 상기 덮개(433')의 힌지부 일측에 스토퍼(43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제성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050025444U 2005-09-02 2005-09-02 이동식 탁주 제성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404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444U KR200404937Y1 (ko) 2005-09-02 2005-09-02 이동식 탁주 제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444U KR200404937Y1 (ko) 2005-09-02 2005-09-02 이동식 탁주 제성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913 Division 2005-09-02 2005-09-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905U Division KR200411194Y1 (ko) 2005-12-21 2005-12-21 이동식 탁주 제성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937Y1 true KR200404937Y1 (ko) 2006-01-10

Family

ID=4175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4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04937Y1 (ko) 2005-09-02 2005-09-02 이동식 탁주 제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9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213B1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ES2661176T3 (es) Sistema de elaboración combinada
US2018007297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ermenting beverages
US10252901B2 (en) Imbrue keg infusion apparatus and system
US20210230521A1 (en) Method for producing wine with a low alcohol content, and fermenting-desugaring unit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100755781B1 (ko)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935462B1 (ko) 급속냉각장치를 구비한 탁주 제성장치
KR200404937Y1 (ko) 이동식 탁주 제성기
CN110387301A (zh) 一种伏特加酒的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UA77050C2 (en) Method and device of industrial production of bubbly alcohol-containing beverages (variants)
KR20170003031U (ko) 다기능성 숨쉬는 발효용기
KR20150124596A (ko) 다목적 발효기
KR100794803B1 (ko)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200411194Y1 (ko) 이동식 탁주 제성기
CN204385168U (zh) 家庭用葡萄酒酿造器
CN207826824U (zh) 周转箱
CN207498343U (zh) 一种家用葡萄酒发酵罐
KR200365407Y1 (ko) 보냉기능을 갖는 맥주용기
CN218931708U (zh) 一种饮品常温保存装置
CN220867356U (zh) 一种精酿啤酒冷泡咖啡世涛装置
CN220284023U (zh) 一种食醋加工用醋醅拌料装置
JP7458934B2 (ja) 飲料注出装置
CN208036991U (zh) 周转箱
CN115806127A (zh) 一种啤酒保鲜设备及其方法
KR101193247B1 (ko) 보냉 및 보온기능을 가지는 양조용 항아리를 구비하는 간편 양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7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6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UA0106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UA01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81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2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