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4527Y1 -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527Y1
KR200404527Y1 KR20-2005-0029414U KR20050029414U KR200404527Y1 KR 200404527 Y1 KR200404527 Y1 KR 200404527Y1 KR 20050029414 U KR20050029414 U KR 20050029414U KR 200404527 Y1 KR200404527 Y1 KR 200404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insertion hole
coupling member
bolt
atta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현
한상민
배준홍
김성수
나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9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5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홈과 제 1 삽입공을 구비한 바가 부착되어 있는 지주대와, 바에 결합되도록 홈에 대응하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있으며, 바와 체결 시 제 1 삽입공에 대응되는 제 2 삽입공 및 끼워맞춤 홀을 구비한 결합부재가 부착된 거더(Girder)에서, 제 1 삽입공과 제 2 삽입공 및 끼워맞춤 홀에 볼트를 삽입시켜 고정한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족장구조물의 결합 장치는 측면에 바(Bar)가 부착되어 있는 지주대와, 양 단에 상기 바와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거더(Girder)를 포함하되, 상기 바에는 홈과 제 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홈과 결합하는 고정핀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 1 삽입공에 대응하는 제 2 삽입공과 끼워맞춤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 홀과 제 1 및 제 2 삽입공에는 볼트가 삽입된다.

Description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Connecting device of the Scaffolding System}
본 고안은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 화물창용 특수 족장의 결합에 이용할 수 있는 결합장치로, 조립식 비계와 같은 가구조물뿐만 아니라, 트러스(Truss) 형태의 지주물처럼 비교적 영구적인 구조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이 필요한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족장을 설치한다.
특히, 조선소에서는 선체내부의 취부작업, 용접작업 및 도장작업을 위해 족장을 가설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 중에서도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공사는 공사량이 방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한 번 설치 후 일정 기간 해체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특수 족장이 요구된다.
한국특허공고 제1993-1033호에 이러한 족장구조물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요구되는 체결 강도를 얻기 위해 구현 가능한 족장 구성 및 형태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족장 구성은 유지 보수, 해체 및 재조립 등에 있어 고비용의 구조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래에서 상기 종래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족장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주부재(1)와, 횡부재 또는 대각선 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부재(2)와, 상기 지주부재(1)와 상기 연결부재(2)를 결합시키는 쐐기(3)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부재(1)는 지주 주관체(10)와, 상기 지주 주관체(10)의 외주면에 장착된 환상의 플랜지(1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 주관체(10)의 길이와 직경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정해지고, 사전에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환상의 플랜지(11)는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지주 주관체(10)의 외주면에 고착되며,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다. 이때, 상기 플랜지(11)는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좌대와 같은 지지편(11a)를 가지며, 이 지지편(11a)의 내측 수평면에는 배출공(11d)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1a)은 플랜지(11)의 계지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는 연결 주관체(20)와, 상기 연결 주관체(20)의 양 끝단부에 장착된 연결체(21)와, 상기 연결체(21)에 삽입된 후크로 구성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족장구조물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주관체(20)의 양 끝단부에는 상, 하부에 삽입공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연결체(21)와, 상기 연결체(21)에 삽입되는 후크(22)와, 상기 연결체(21)와 상기 후크(22) 사이에 삽입되는 판스프링(23) 및 상기 연결체(21)와 상기 후크(22)를 결합시키는 쐐기(3)를 포함하는 결합부위가 있다.
상기 연결체(21)는 상호 대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벽면(a, b)를 가진 하우징(c)과, 상기 하우징(c)의 공간부(d)에서 헐겁게 삽입된 후크(22)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21)는 상기 하우징(c)의 선단부의 상, 하부에 보강을 위하여 돌출부(e)를 형성하고, 또한 하우징(c)의 후측 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 주관체(20)의 결합이 편리하도록 구멍(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21)의 하우징(c)에는 쐐기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공(21a, 21b)이 상, 하부 벽면에 관통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크(22)의 선단 부위는 전술한 플랜지에 결합 또는 분리가 되도록 계지부(g)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22)의 후단 부위는 상기 쐐기(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공(22a)의 일 측에는 수직벽(h)을 가지고, 타 측에는 경사벽(i)을 가지는데, 이는 상기 연결체(21)의 상, 하부 삽입공(21a, 21b)과 일치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22)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후크(22)와 상기 연결체(21)의 사이에는 판스프링(23)을 삽입시킨다. 한편, 상기 쐐기(3)는 상기 삽입공(21a, 21b, 22a)에 삽입되는데, 일 측단은 수직단이며, 타 측단은 경사단인 "V"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쐐기(3)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직단에 직각으로 돌출된 돌기가 있으며, 상기 쐐기(3)의 상단부에는 평판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평판을 햄머 등과 같은 도구로 타격하여 상기 쐐기(3)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족장구조물의 경우, 기둥의 직경이 적당해야하므로 스팬(Span)이 길고, 하중이 큰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족장구조물을 박스 트러스(Box Truss) 형태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로 인하여, 구조물의 중량이 커지고, 부재의 수량이 많아져 결국 설치와 해체에 많은 공수가 소요되어 생산비가 증가하여 원가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족장구조물의 경우, 연결부재의 후크를 지주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된 플랜지에 물리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수직방향으로는 결합이 가능하지만, 수평방향의 연결에 있어서는 상기 후크가 상기 플랜지를 따라 미끄러짐으로 인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방향의 결합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결합도 가능하며,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한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에 바(Bar)가 부착되어 있는 지주대와, 양 단에 상기 바와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거더(Girder)를 포함하되, 상기 바에는 홈과 제 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홈과 결합하는 고정핀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 1 삽입공에 대응하는 제 2 삽입공과 끼워맞춤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 홀과 제 1 및 제 2 삽입공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대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의 바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박스 트러스(Box Truss)와 같은 복잡한 족장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지주대의 원주상의 임의의 방향에서 복수개의 거더를 연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일 단은 상기 바의 하면에, 타 단은 상기 지주대의 측면에 부착된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주대의 바에 상기 거더의 결합부재 만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족장구조물에서, 상기 바와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된 부분에는 모멘트가 발생하므로 상기 거더가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대에서 상기 바는 용접을 통해 부착되므로, 다른 부분에 비해 취약하여 전단력에 의해 파단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바에 걸리는 종방향 하중을 분산시켜주기 위해, 일 단은 상기 바의 하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주대의 측면에 부착되는 경사진 지지바를 추가 장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홈의 입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면이 상기 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고정핀을 상기 홈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의 볼트헤드와 상기 볼트가 삽입될 상기 끼워맞춤 홀은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깨워맞춤 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헤드가 상기 바를 밀어, 상기 바가 상기 결합부재의 일 측에 접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볼트를 상기 결합부재의 끼워맞춤 홀과 상기 바의 제 1 삽입공 및 상기 결합부재의 제 2 삽입공으로 순서대로 관통시켜 장착하는 경우, 상기 볼트헤드와 상기 끼워맞춤 홀은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볼트헤드는 상기 끼워맞춤 홀을 관통하게 되고, 이후, 관통된 상기 볼트헤드는 상기 바를 밀어서, 상기 바가 상기 결합부재의 일 측에서 접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바와 상기 결합부재 간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지고, 조립 후에도 족장구조물의 삐걱거림을 막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는 종방향의 주관형상을 가진 지주대(100)와, 홈(116)과 제 1 삽입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대(100)의 측면에 부착된 바(110)와, 횡방향의 주관형상을 가진 거더(130), 상기 거더(130)의 양 단에 위치하며, 상기 홈(116)과 결합하는 고정핀(134)을 부착하고 있으며, 끼워맞춤 홀(136)과 제 2 삽입공(138)을 형성하고 있는 결합부재 (132)와, 상기 끼워맞춤 홀(136)에 대응하는 형상의 볼트헤드(142)를 갖는 볼트(140) 및 일 단은 상기 바의 하면에 부착되고 타 단은 상기 지주대의 측면에 부착된 지지바(122)를 포함한다.
상기 바(110)는 상기 지주대(1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바(110)는 상기 지주대(100)의 측면에 용접되어 부착되는데, 상기 지주대(100)의 원주를 따라 전, 후, 좌, 우의 4방향 중 임의의 지점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부착된다. 상기 바(110)의 상단부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단 경사면(112)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입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두께방향 경사면(114)과 그 아래에 형성된 반구모양의 홈(116)이 있다. 이 홈(116)에는 이후 설명되어질 상기 결합부재(132)의 고정핀(134)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상단 경사면(112)은 상기 결합부재(132)의 내부로 상기 바(110)가 쉽게 삽입되도록 해주며, 상기 두께방향 경사면(114)은 상기 결합부재(132)의 고정핀(134)이 상기 홈(116)에 쉽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께방향 경사면(114)과 상기 홈(116)의 사이에는 상기 홈(116)의 직경을 약간 연장시킨 턱(118)이 있는데, 이는 상기 바(110)와 상기 연결부재(130)가 체결된 후, 상기 고정핀(134)에 용이하게 하중이 전달되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바(110)에는 제 1 삽입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이후 설명되어질 상기 결합부재(132)의 끼워맞춤 홀(136) 및 제 2 삽입공(138)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지는데, 이후에 설명되어질 상기 볼트(140)가 상기 끼워맞춤 홀(136)을 통해 삽입된 후, 다시 상기 볼트(140)가 상기 제 1 삽입공(120)으로 삽입되고, 다시 상기 볼트(140)가 상기 제 2 삽입공(138)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바(110)와 상기 결합부재(132)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거더(130)에는 상기 결합부재(132)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용접의 방법으로 부착되는데,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방법은 조금씩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결합부재(132)는 "U"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U" 의 내부의 빈 공간에 상기 바(110)가 삽입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32)의 측면 상단의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에 상기 고정핀(134)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재(132)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핀(134)의 남은 양단을 용접하여 부착시킨다. 이후, 상기 고정핀(134)은 상기 바(110)의 홈(116)에 삽입되어, 상기 바(110)와 상기 결합부재(132)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32)의 끼워맞춤 홀(136)을 통과하고, 다시 상기 바(110)의 제 1 삽입공(120)과 상기 결합부재(132)의 제 2 삽입공(138)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140)가 있다.
이때, 상기 볼트(140)는 상기 결합부재(132)의 끼워맞춤 홀(136)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볼트헤드(142)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워맞춤 홀(136)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였기 때문에, 상기 볼트헤드(142)도 이와 동일한 형상인 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끼워맞춤 홀(136)의 형상을 사각형이 아닌 다른 다각형 모양으로 변경한 경우에, 상기 볼트헤드(142)의 형상도 상기 끼워맞춤 홀(13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다각형 모양으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끼워맞춤 홀(136)에는 상기 볼트헤드(142)와 계합되는 스텝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볼트헤드(142)가 상기 끼워맞춤 홀(136)을 관통하지 않으며, 상기 볼트헤드(142)가 상기 끼워맞춤 홀(136)에 구비된 스텝부에 계합되어, 상기 결합부재(132)와 상기 바(110)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볼트(140)는 상기 볼트헤드(142)의 반대편 끝단에 나사산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상기 볼트(140)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너트(미도시)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 단은 상기 바의 하면에 부착되고, 타 단은 상기 지주대의 측면에 부착되는 지지바(122)가 있다. 이는 상기 지주대(100)의 바(110)에 상기 거더(130)의 결합부재(132) 만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족장구조물에서, 상기 바(110)와 상기 결합부재(132)가 결합된 부분에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한 지주대(100)에 연결된 바(110)의 용접부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3은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의 일 실시 예 중 볼트결합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00)에는 바(110)가 부착되어 있고, 거더(130, Girder)에는 상기 바(110)와 결합될 결합부재(13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32)의 "U" 형상의 양 단에는 끼워맞춤 홀(136)과 제 2 삽입구(13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결합부재(132)가 상기 바(110)와 결합될 때, 상기 바(110)의 제 1 삽입구(12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볼트(140)가 상기 끼워맞춤 홀(136)과 상기 제 1 삽입구(120)와 제 2삽입구에 순서대로 삽입되는데, 상기 볼트(140)의 볼트헤드(142)는 상기 끼워맞춤 홀(136)과 대응되는 형상이므로, 상기 볼트헤드(142)는 상기 끼워맞춤 홀(136)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상기 볼트(140)에서 상기 볼트헤드(14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1 삽입구(120)와 상기 제 2 삽입구(138)를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워맞춤 홀(136)의 형상을 사각형 모양으로 하였으므로, 상기 볼트헤드(142)의 형상 역시 사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트헤드(142)의 치수는 상기 끼워맞춤 홀(136)에 비해 조금 작게 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상기 볼트헤드(142)가 상기 끼워맞춤 홀(136)로 삽입되는 경우, 약간의 여유치수에 의해 상기 볼트헤드(142)가 상기 끼워맞춤 홀(136)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상기 바(110)를 밀어주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바(110)는 상기 결합부재(132)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140)의 끝단에는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응하는 너트(146)를 체결시켜, 상기 바(110)와 상기 결합부재(132)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볼트(140)와 상기 너트(146)의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148, Spring Washer)를 삽입한다. 이는 상기 볼트(140)에 체결시킨 상기 너트(146)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와셔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발톱붙이 와셔나 혀붙이 와셔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너트와 와셔가 결합된 형태인 와셔붙이 너트(Washer based Nut)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는, 지주대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바와 거더(Girder)의 양 단에 부착된 결합부재를 결합시키고, 바와 결합부재의 측면에서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키는 장치로서, 족장구조물의 수직방향의 결합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결합이 가능해지고, 또한, 족장구조물의 조립 및 해체에 소요되는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족장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족장구조물 중 결합부위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 중 볼트결합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주대 110 : 바(Bar)
112 : 상단 경사면 114 : 두께방향 경사면
116 : 반원형 홈 118 : 턱
120 : 제 1 삽입공 122 : 지지바
130 : 거더(Girder) 132 : 결합부재
134 : 고정핀 136 : 끼워맞춤 홀
138 : 제 2 삽입공 140 : 볼트
142 : 볼트헤드 146 : 너트
148 :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

Claims (5)

  1. 측면에 바(Bar)가 부착되어 있는 지주대와, 양 단에 상기 바와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거더(Girder)를 포함하되, 상기 바에는 홈과 제 1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홈과 결합하는 고정핀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 1 삽입공에 대응하는 제 2 삽입공과 끼워맞춤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워맞춤 홀과 제 1 및 제 2 삽입공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의 바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일 단은 상기 바의 하면에, 타 단은 상기 지주대의 측면에 부착된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입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면이 상기 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볼트헤드와 상기 볼트가 삽입될 상기 끼워맞춤 홀은 서로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끼워맞춤 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헤드가 상기 바를 밀어, 상기 바가 상기 결합부재의 일 측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KR20-2005-0029414U 2005-10-17 2005-10-17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04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14U KR200404527Y1 (ko) 2005-10-17 2005-10-17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14U KR200404527Y1 (ko) 2005-10-17 2005-10-17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527Y1 true KR200404527Y1 (ko) 2005-12-23

Family

ID=3900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414U Expired - Lifetime KR200404527Y1 (ko) 2005-10-17 2005-10-17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5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60B1 (ko) * 2011-04-21 2011-09-15 김종헌 선박 건조를 위한 족장용 안전난간
KR101302977B1 (ko) * 2011-09-28 2013-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고정장치
KR200469390Y1 (ko) * 2011-12-02 2013-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비계
KR101420378B1 (ko) * 2012-12-18 2014-07-16 최완석 지지 비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60B1 (ko) * 2011-04-21 2011-09-15 김종헌 선박 건조를 위한 족장용 안전난간
KR101302977B1 (ko) * 2011-09-28 2013-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고정장치
KR200469390Y1 (ko) * 2011-12-02 2013-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비계
KR101420378B1 (ko) * 2012-12-18 2014-07-16 최완석 지지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831B2 (en) Shelf structure
CZ333795A3 (en)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al elements
KR101581540B1 (ko) 강관 비계용 연결구
US7017710B2 (en) Scaffolding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KR20190005815A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용 연결프레임 및 이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100337694B1 (ko) 지주 연결장치
KR102074231B1 (ko) 시스템 비계
CN118679296A (zh) 包括形成有锥形延伸部的装配孔的桁架结构构件及使用该构件的构造物
KR200234977Y1 (ko) 트러스 구조물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US5572838A (en) Strongback attachment system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0428425B1 (ko) 트러스 구조물
JP2008014123A (ja) 縦木部材立設金具
JPH0726731A (ja) 鉄骨の柱の接合部の調整用治具
KR200342272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WO2009123567A2 (en) A connector claw
JPH02243873A (ja) 支柱とステーの連結装置
JP2009074305A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JPH11324312A (ja) 吊足場
KR20090102509A (ko)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JP3054035U (ja) 吊足場
KR200175311Y1 (ko) 고하중용 비계
JP2006177108A (ja) 部材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0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0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62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