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3917Y1 - 휴대용 간이 가방 - Google Patents

휴대용 간이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917Y1
KR200403917Y1 KR20-2005-0027471U KR20050027471U KR200403917Y1 KR 200403917 Y1 KR200403917 Y1 KR 200403917Y1 KR 20050027471 U KR20050027471 U KR 20050027471U KR 200403917 Y1 KR200403917 Y1 KR 200403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cover
right cover
bag
simpl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섭
Original Assignee
서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섭 filed Critical 서정섭
Priority to KR20-2005-0027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2Briefcase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책이나 서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넓혀 많은 량의 책이나 서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가방을 펼쳐도 접히는 부위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책을 많이 적층 보관하여도 지퍼가 뜯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간이 가방을 제공하는데 것으로, 전후, 좌우를 절곡시켜 내측으로 공간부를 갖는 좌측커버와 우측커버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좌측커버와 우측커버의 지지벽에 직물지를 맞대어 봉제하며, 상기 좌측커버 및 우측커버의 내측으로는 지퍼가 봉제 되어 이루어지되, 지퍼의 각 끝단은 직물지의 각 끝단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하여 좌측, 우측커버의 공간부 및 지퍼의 폭 만큼의 공간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간이 가방{SIMPLICITY BAG FOR PORTABLE}
본 고안은 간이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부를 갖는 좌측커버 및 우측커버를 각각 분활 구성하여 맞대고, 맞대어지는 좌측커버 및 우측커버 벽면 내측으로 직물지를 봉제하여 서로 연결하고 좌측커버와 우측커버의 내측으로 지퍼를 봉제하여 책이나 서류를 수납할 수 이는 공간부를 최대화하여 많은 량의 책이나 서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간이 가방를 펼쳐도 접히는 부위가 약해져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간이 가방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간이 가방라 함은 책이나 서류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휴대가 편리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간이 가방(1)의 구조를 살피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시트를 일정크기로 오려서 절곡하여 단면상으로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갖게 일체로 구성한 커버(2)의 일측 개구부(3)에 지퍼(4)를 봉제하여 책이나 서류등을 수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이 가방는 지퍼손잡이(5)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버(2)를 펼쳐서 책이나 서류 등을 수납 보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간이 가방은 책이나 서류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은 지퍼(4)의 상하 폭만큼 밖에 공간부(3)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량의 책이나 서류등을 수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좁은 공간에 책이나 서류를 과다하게 적층하고 지퍼(4)을 닫게되면 지퍼(4)를 고정하는 봉제선이 늘어지거나 또는 커버(2)에서 뜯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커버(2)는 절곡한 것으로 반복적으로 펼쳐지는 작용에 의해 접힘라인(6)이 약해지면서 찢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간이 가방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책이나 서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혀 많은 량의 책, 서류 등을 보관 하도록 함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가방를 펼쳐도 접히는 부위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책이나 서류를 많이 적층 보관하여도 지퍼가 뜯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용 간이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 시트를 일정크기로 오려서 절곡하여 단면상으로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갖게 일체로 구성한 커버의 일측 개구부에 지퍼를 봉제하여 책, 이나 서류를 수납하도록 이루어진 간이 가방에 있어서,
전후, 좌우를 절곡시켜 내측으로 공간부를 갖는 좌측커버와 우측커버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좌측커버와 우측커버의 지지벽에 직물지를 맞대어 봉제하며, 상기 좌측커버 및 우측커버의 내측으로는 지퍼가 봉제 되어 이루어지되, 지퍼의 각 끝단은 직물지의 각 끝단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하여 좌측, 우측커버의 공간부 및 지퍼의 폭 만큼의 공간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간이 가방 구조를 더욱 상세히 살피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간이 가방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간이 가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의 펼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따른 간이 가방의 사용상태도로서, 즉, 본 고안은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는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합성수지 시트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상하, 좌우의 끝단을 접어 고주파열처리나 또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단면상으로 "┗┛" 형상을 갖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지지벽(11a)(12b) 내측으로 직물지(20)를 맞대어 봉제하여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가 연결된다.
그리고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지지벽(11a)(12a) 내측 둘레로는 지퍼(13)가 봉제 되며, 지퍼(13)의 각 끝단은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를 연결하는 직물지(20) 각 끝단에 고정구(17)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내측으로는 봉제되는 지퍼(13)는 양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지퍼손잡이(14)가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간이가방에 책이나 서류 등을 적층 보관할 수 있는 최대한의 높이는 좌측커버(11)의 지지벽(11a) 높이(d1)와, 우측커버(12)의 지지벽(12a) 높이(d2)와, 지퍼(13)의 높이(d3)를 합한 높이(d4)이 만큼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의 일 실시예시도로서, 지퍼(13)의 끝단(13a)을 접어서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내측 벽면(11a)(12a)의 둘레로 봉제하여진 것으로 간이 가방(10)를 펼쳤을때 내측에서 봉제선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지퍼(13)를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에 봉제한 후 그 외측으로 웨빙천(21)을 봉제하여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간이 가방의 미려함을 극대화 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책이나 서류 불량이 많으면 봉제선이 약해서 뜯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의 간이가방은 외곽으로 웨빙천(21)을 맞대어 지퍼(13)와 웨빙천(21)이 봉제됨으로 더욱더 강하게 지퍼(13)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웨빙천(21)의 색에 따라 봉제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어 미려함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간이 가방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간이 가방는 지퍼손잡이(14)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상기와 같이 지퍼손잡이(1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간이 가방(10)을 펼치고 책이나 서류를 수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펼칠때 또는 닫힐때 힌지 역할은 봉제된 직물지(20)가 하며, 이러한 직물지(20)는 반복적인 유동에도 접힙부가 약해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 파손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수납되는 책이나 서류의 량은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지지벽(11a)(12a)의 높이(d1)(d2)와 지퍼(13)의 높이(d3)를 합한 높이(d4)만큼 수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책이나 서류를 수납한 상태에서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를 서로 덮은 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지퍼손잡이(14)를 안쪽으로 이동시켜 지퍼(13)을 밀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간이 가방은 많은 량의 책이나 서류를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접히는 부위가 직물지로 되어있기에 반복적으로 여닫아도 접히는 부위가 약해져 파손되는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은 좌측커버 및 우측커버의 벽면 높이와 지퍼의 높이 만큼 책이나 서류를 적층보관할 수 있어 많은 량의 책이나 서류를 편리하게 수납보관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접히는 부위가 직물지로 되어있기에 반복적으로 간이 가방를 펼쳐도 접히는 부위가 약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간이 가방의 제조를 완료 후 내,외부에서 봉제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적인 측면에서도 향상된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간이 가방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간이 가방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간이 가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의 펼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따른 간이 가방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의 일 실시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가방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간이 가방 11:좌측분커버
12:우축분커버 13:지퍼
13a:끝단 14:지퍼손잡이
20:직물지 21:웨빙천

Claims (3)

  1. 합성수지 시트를 일정크기로 오려서 절곡하여 단면상으로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갖게 일체로 구성한 커버의 일측 개구부에 지퍼를 봉제하여 책이나 서류 등을 수납하도록 이루어진 간이 가방에 있어서,
    전후, 좌우를 절곡시켜 지지벽(11a)(12a)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공간부(11b)(12b)를 갖는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지지벽(11c)(12c)에 직물지(20)를 맞대어 봉제하며, 상기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내측으로는 지퍼(13)가 봉제 되어 이루어지되, 지퍼(13)의 각 끝단은 직물지(20)의 각 끝단에 고정구(1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간이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13)의 끝단(13a)을 접어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내측으로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간이 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13)가 봉제되는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외측 둘레로 웨빙천(21)이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간이 가방.
KR20-2005-0027471U 2005-09-23 2005-09-23 휴대용 간이 가방 KR200403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71U KR200403917Y1 (ko) 2005-09-23 2005-09-23 휴대용 간이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71U KR200403917Y1 (ko) 2005-09-23 2005-09-23 휴대용 간이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917Y1 true KR200403917Y1 (ko) 2005-12-14

Family

ID=4370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471U KR200403917Y1 (ko) 2005-09-23 2005-09-23 휴대용 간이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9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917Y1 (ko) 휴대용 간이 가방
JP6271389B2 (ja) 折り畳み容器
JP7491500B2 (ja) 紙袋
JP3227256U (ja) 折りたたみかばん
JP2007145420A (ja) 衣類収納補助具
KR200475063Y1 (ko) 포장상자
US20030173397A1 (en) Self-open envelope
JP4062818B2 (ja) 収納式ベルト付き手帳・本類カバー
KR100989060B1 (ko) 서류케이스
JP5219159B2 (ja) ランドセル
JP2005162255A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KR200302376Y1 (ko) 다용도 가방
JP4832174B2 (ja) 収納箱
JP3197230U (ja) 収納ケース
KR20250000447U (ko) 서류 보관용 파일
KR20240000320U (ko) 접이식 수납 상자
JPH08192881A (ja) ワイシャツ保形包装具
JP2601795Y2 (ja) 小物ケースとシート
JP2022076832A (ja) バッグ
JP3054935B2 (ja) 布団カバー
JP3067013U (ja) ホルダ
KR100424372B1 (ko) 쇼핑백
JP3054309U (ja) 書類入れ鞄
JP4673096B2 (ja) 携帯バッグ
JPH0867086A (ja) 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9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9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