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3842Y1 - Electronics music album - Google Patents

Electronics music alb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842Y1
KR200403842Y1 KR20-2005-0017902U KR20050017902U KR200403842Y1 KR 200403842 Y1 KR200403842 Y1 KR 200403842Y1 KR 20050017902 U KR20050017902 U KR 20050017902U KR 200403842 Y1 KR200403842 Y1 KR 200403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electronic
electronic record
unit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9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이지맥스 주식회사
(주)스타포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맥스 주식회사, (주)스타포럼 filed Critical 이지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84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842Y1/en
Priority to PCT/KR2006/000203 priority patent/WO2006137639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산업발전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 났지만, 가수들의 노래를 담는 음반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예를 들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레코드 음반으로 LP판이라고도 불리 우는데, 이 LP음반이 전축이라는 오디오 기기에서 재생이 되면서 전 세계 어디서 던지 판매 되어졌었고 특히 소장의 가치로도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음반의 크기, 이동성, 무게 등의 이유로 자기테이프를 이용한 오디오 테이프가 등장 했고, 이 테입음반은 워크맨, mymy 라고 하는 휴대용 재생기와 카 스테레오의 보급으로 완전히 LP음반을 대체 했다.Although various changes occurred according to industrial development, many changes occurred in the recordings of singers' songs. For example, the record we know is sometimes called the LP version, which has been sold everywhere in the world as it was played on an audio system called a record player, and was especially popular as a collectible value. However, due to the size, mobility and weight of the record, audio tapes using magnetic tape appeared, and the tape recorder completely replaced the LP record with the proliferation of portable players and car stereos called Walkman, mymy.

그러나 점점 전자기술의 발달로 디지탈 이라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면서 CD라는 음반이 등장 하면서 깨끗한 원음을 출력 한다는 광고와 함께 새 시대를 풍미 했다. 허지만 최근에는 mp3라는 새로운 오디오 포맷이 등장 하면서 CD를 구매 하여 음악은 듣는 것 보다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다음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서 원하는 노래를 자기의 컴퓨터로 다운 받아 가지고 있는 mp3로 이동하여 저장하여 사용하는 새로운 기기의 탄생이 나오게 되었던 것이다.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a new era of digital was opened, and the CD appeared, and the new era was accompanied with the advertisement that it outputs clean original sound. Recently, however, a new audio format called mp3 has emerged. Instead of purchasing CDs and listening to music, you can access the Internet using a computer, and then download and save the desired song from a specific Internet site to your computer. The birth of a new device to use has emerged.

이런 새로운 재생기나 미디어의 보급으로 음반시장이 떨어지고 있는데, 특히 저작권의 입장을 볼 때 불법 다운로드 등의 이유로 매출이 급격히 절감되고 잘 팔리지 않은 원인이 되고 있다.The music market is falling due to the spread of these new players and media. Especially, from the standpoint of copyright, the sales are sharply cut down due to illegal downloads and are not selling well.

따라서 본 고안 에서는 이러한 음반시장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 함으로 인해 음반에 종사 하는 여러 분야에 다시 한 번 매출 및 판매가 늘어 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ew opportunity to the record market, the opportunity to increase sales and sales once again in various fields engaged in the record.

이를 위해 기존의 음반시장차원에서도 이 mp3를 적대시 하기 보다는 오히려 mp3와 대적 할 만한 전자음반을 만들어 새로운 음반시장에 유통한다면 오히려 mp3에 익숙한 현 시대에 맞아 떨어지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For this purpose, rather than antagonizing this mp3 in the existing record market level, if an electronic record that is comparable to mp3 is made and distributed to a new record market, it may be incompatible with the current era that is familiar with mp3.

본 고안 에서는 이러한 전자음반을 실현 시키기 위해서 음반 안에 전자 메모리를 삽입하고 이를 콘트롤 하는 마이콤을 내장하여 음악을 재생 하고, 이어폰을 통해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설명 해 보면 상기의 전자음반의 경우 전자음반을 재생하는 별도의 음반재생기가 필요 한 것이 아니라 전자음반 자체적으로 내부에 있는 디코더와 밧데리와 표시장치 등을 통해 재생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alize such an electronic recording, an electronic memory is inserted into the recording and a microcomputer is built in to control the music, which can be played through the earphone. Therefore, in conclusion,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record, a separate record player which reproduces the electronic record is not required, but the electronic record itself is reproduced through a decoder, a battery, and a display device.

이로서 사용자는 구매한 전자음반을 별도의 재생장치가 없어도 전자음반 자체 만으로도 음악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user can listen to music only on the electronic record itself without a separate playback device.

Description

전자음반{Electronics music album}Electronic music album

본 고안은 기존의 음반을 대체하는 새로운 것으로서 지금까지의 음반은 단순히 음원만을 내장하고 있어 전용의 재생장치에서만 재생이 가능 했지만 본 고안의 전자음반은 전용장치가 없어도 자체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음반임. 즉 이전의 음반은 자체적으로는 음악이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alternative to the existing record. Until now, the record has only a built-in sound source, so it can be played only in a dedicated playback device. However, the electronic recor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yed by itself without a dedicated device. being. That is, the previous recording had a problem that music did not come out on its ow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음반 자체적으로 재생 하기 위해서 음원재생장치를 구비하여 상기의 음원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음반자체에 기록 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to reproduce the recording itsel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recorded on the record itself using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음반 자체적으로 재생 하기 위해 음원재생장치를 구비하여, 자체에 기록 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는 전자음반이다. 먼저 본 고안의 목적인 전자음반의 블록도를 도 1 에 보였다. 도 1을 보면 우선 [100]은 음원데이터가 들어 있는 메모리로서 이 메모리는 마스킹 롬이나 플레쉬메모리, 에스램 등의 메모리로도 가능 하며 [101]은 압축되어 기록 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신장 하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 시켜 출력 하는 mp3디코다 이다. 여기서는 mp3를 예를 들었지만 실제적으로는 mp3나 wma, OGG 등의 음원 압축 포맷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recording itself, and is an electronic recording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recorded in itself. First,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recording, which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first, [100] is a memory containing sound source data, and this memory may be a masking ROM, a flash memory, or a memory such as SRAM, and the like. It is mp3 decoder which outputs by changing. Here, mp3 is taken as an example, but in practic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udio compression formats such as mp3, wma, and OGG.

[102]는 [101]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최종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엠프 이고 [103]은 현재 전자음반이 어떤 노래를 출력 하는지 볼 수 있는 LCD 출력장치 이고, [104]는 본 전자음반을 총 콘트롤 하는 통상의 마이컴이며 [105]는 전자음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예로서 밧데리나 충전지를 예로 들 수 있다. [106]은 전자음반을 동작 시키기 위한 동작키 이다.[102] is an audio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101] and finally outputs it. [103] is an LCD output device which can see what songs are currently output by the electronic record, and [104] [105] is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recording, for example,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106] is an operation key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record.

도2는 실제의 전자음반을 예로서 보인 것으로 [200]은 재생키, [201]은 앞으로 감기 키, [202]는 뒤로 감기키, [203]은 앞으로 감기 키, [204]는 전자음반의 주인공인 가수의 사진, [205]는 재생되는 노래의 제목과 가수의 이름 등을 보여 주는 LCD 표시장치, [207]은 오디오 출력단자 이다.2 shows an actual electronic record as an example, where [200] is a playback key, [201] is a forward key, [202] is a forward key, [203] is a forward key, and [204] is an electronic record. The picture of the singer, the main character, [205] is an LCD display showing the title of the song being played and the name of the singer, and [207] is an audio output terminal.

이렇게 구성된 전자음반을 구체적으로 설명 해 보면 [100]에는 압축된 음반의 음원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전자음반 제작 시 미리 기록 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101]의 디코더가 필요로 하게 되는데 본 고안 에서는 예로서 mp3로 하였으나 이와 상관 없이 wma 나 OGG 등의 효율 좋은 음원이면 채택이 가능 하다. 이 [101]의 디코더 에서는 [104]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100]의 메모리에서 입력되는 음원데이터를 원음으로 복원 하고 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102]의 오디오 엠프로 출력한다. [102]의 오디오엠프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외부로 내보내고 사용자는 스피커나 이어폰등을 통해 들을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electronic reco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100],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compressed record is recorded. In order to reproduce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a decoder of [101]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mp3 is used. However, any sound source having good efficiency such as wma or OGG can be adop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01], the decoder of [101] recovers the source data input from the memory of [100] to the original sou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of [102]. The audio amplifier of [102] amplifies the analog audio signal and exports it to the outside, and the user can hear it through a speaker or earphone.

또한 [103]은 현재 출력되고 있는 노래의 제목이나 가수의 이름을 표시 할 수 있으며 [106]은 전자음반을 동작시키는 동작키 이다. 도3은 예로서 현재 전자음반에 기록 되어 있는 노래의 제목을 보였다. 이렇게 전자음반에는 약 10곡 이상의 노래가 메모리에 저장 되어있어 재생 되는 것이다.In addition, [103] may display the title or singer's name of the song currently being output, and [106] is an operation key for operating an electronic recording. 3 shows, by way of example, the title of a song currently recorded on an electronic record. In the electronic record, more than 10 songs are stored in memory and played.

도4는 도1과 같으나 도1의 [103]의 LCD 표시장치가 아닌 단순한 LED 로 깜박이는 상태만으로 현재 전자음반의 진행 상태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어 꺼진 상태이면 정지상태이고 깜빡이면 재생상태임을 알려 주는 것이다. 이렇게 LCD 와 LED로 각각 설정한 이유는 전자음반의 원가를 절감 하고 또 디자인적으로 차별화를 하기 위함이다. 이 LED를 채택한 전자음반의 예를 도5에 보였다.4 is the same as FIG. 1, but the present state of the electronic record can be seen only by the state of blinking with a simple LED, not the LCD display of [103] of FIG. For example, if it is off, it is stopped and if it is blinking, it indicates that it is playing. The reason why they are set as LCD and LED, respectively, is to reduce the cost of electronic records and differentiate them by design. An example of an electronic recording employing this LED is shown in FIG.

도5는 LED 전자음반을 예로서 보인 것으로 [500]은 재생키, [501]은 앞으로 감기 키, [502]는 뒤로 감기키, [503]은 앞으로 감기 키, [504]는 전자음반의 주인공인 가수의 사진, [505]는 재생되는 상태를 알려주는 LED 표시장치, [507]은 오디오 출력단자 이다.5 shows an LED electronic record as an example, where 500 is a playback key, 501 is a forward key, 502 is a forward key, 503 is a forward key, and 504 is a main character of the electronic record. The photo of the singer, [505], is an LED display indicating the state of reproduction, and [507] is an audio output terminal.

또한 도6은 도1에 있는 [100]의 메모리가 꼭 전자음반에 내장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100]의 메모리를 외부의 메모리로 사용한다면 단순히 메모리만 바꿈으로 인해 호환성있는 전자음반을 사용 할 수 있다. [608]은 [606]의 본체와 연결된 외부메모리이고 이고 [609]는 연결되는 투입구 이다. 도7은 실제로 외부 메모리를 보였고 [701]은 전자음반과 연결되는 커넥터 이다. 이렇게 하여 본체와 외부 메모리가 체결되면 도면 1의 시스템과 같아지게 되고 [104]의 마이콤은 [106]의 키 입력부의 요구에 의해 동작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음원 데이터가 들어있는 메모리를 외부로 하여 연결하여 동작 시킬 경우 일반 사용자는 가수의 노래가 들어 있는 메모리만 바꾸어도 동작이 가능 하므로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전자음반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다음은 이 외장메모리와 연결되어 외부메모리에 있는 음원을 재생하는 전자음반의 내부 블록도를 도8에 보였다.도 8을 보면 [810]은 외부메모리 전체를 보여주는 블록이고 [808]은 음원데이터가 들어 있는 메모리로서 이 메모리는 마스킹 롬이나 플레쉬메모리, 에스램 등의 메모리로도 가능하다 . [807]은 외부메모리와 전자음반이 연결되는 연결코넥터부, [801]은 [808]의 외부메모리에 압축되어 기록 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신장 하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 시켜 출력 하는 mp3디코다 이다. 여기서는 mp3를 예를 들었지만 실제적으로는 mp3나 wma, OGG 등의 음원 압축 포맷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802]는 [801]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최종으로 출력하는 오디오엠프 이고 [803]은 현재 전자음반이 어떤 노래를 출력 하는지 볼 수 있는 LCD 출력장치 이고, [804]는 본 전자음반을 총 콘트롤 하는 통상의 마이컴이며 [805]는 전자음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예로서 밧데리나 충전지를 예로 들 수 있다. [806]은 전자음반을 동작 시키기 위한 동작키 이다.따라서 [810]의 외부메모리 연결부와 연결되는 전자음반의 장점은 외부메모리 만 바꿈으로 해서 다른 가수의 음악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FIG. 6 shows that the memory of [100] of FIG. 1 is not necessarily embedded in an electronic record, but can be connected and used from the outside. That is, if the memory of [100] is used as an external memory, a compatible electronic record can be used simply by changing the memory. [608] is an external memory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606] and [609] is an inlet to be connected. 7 actually shows an external memory and [701] is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lectronic recording. In this way, when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memory are fastened, it becomes like the system of FIG. 1, and the microcomputer of [104] is operated at the request of the key input unit of [106]. Therefore, when the memory containing the sound source data is connected and operated outside, the general user can operate the electronic music record at a lower price because the user can change the memory containing the singer's song.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record connected to an external memory to play a sound source in an external memory is shown in FIG. 8. Referring to FIG. 8, [810] is a block showing the entire external memory and [808] is a memory containing sound source data. This memory can also be used as a masking ROM, flash memory, or SRAM. [807] is a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xternal memory and an electronic record, and [801] is an mp3 decoder that converts and outputs sound source data compressed and recorded in an external memory of [808] a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Here, mp3 is taken as an example, but in practic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udio compression formats such as mp3, wma, and OGG. [802] is an audio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801] and finally outputs it. [803] is an LCD output device which can see what song is currently output by the electronic record, and [804] is the electronic record. [805] is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record, for example,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806] is an operation key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record. Therefore, the advantage of the electronic record connected to the external memory connection of [810] is that it is possible to enjoy music of another singer by changing only the external memory.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효과를 살펴보면, 시중에 판매되는 음반의 경우 전용의 재생기가 있어야 재생이 가능 했으나, 본 고안 에서는 자체의 음원 재생기능을 갖추고 있어 언제 어디서나 별도의 재생기 없이 음원을 재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electronic re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commercially available recordings can be played only with a dedicated player,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its own sound source playback function can be played anytime, anywhere without a separate player It can bring an effec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내부 블록도 1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외관도 12 is an external view of an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에 기록 되어 있는 노래의 순서를 보여주는 예Figure 3 is an example showing the order of the songs recorded on the electronic rec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내부 블록도 2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의 외관도 25 is an external view of an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음반에 외부 메모리를 이용할 경우의 외관도6 is an external view of the case of using an external memory for the electronic recor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외부 메모리의 실제 모습의 예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는 전자음반의 내부블록도Figure 7 is an example of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record connected to the external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00: 메모리부 101: mp3디코다100: memory 101: mp3 decoder

102: 오디오 앰프 103: LCD 표시장치102: audio amplifier 103: LCD display

104: 마이콤 105: 전원장치104: micom 105: power supply

106: 키입력부106: key input unit

200: 재생키 201: 앞으로 가기 키200: Play key 201: Forward key

202: 뒤로 가기 키 203: 정지 키202: Back key 203: Stop key

204: 가수의 사진 205: 제목, 가사표시판204: Photo of singer 205: Title, Lyrics

206: 외관 케이스 207: 오디오 출력단자206: appearance case 207: audio output terminal

400: 메모리부 401: mp3디코다400: memory 401: mp3 decoder

402: 오디오 앰프 403: LED 표시장치402: audio amplifier 403: LED display

404: 마이콤 405: 전원장치404: micom 405: power supply

406: 키입력부406: key input unit

500: 재생키 501: 앞으로 가기 키500: Play key 501: Forward key

502: 뒤로 가기 키 503: 정지 키502: Back key 503: Stop key

504: 가수의 사진 505: 동작표시 LED504: Photo of singer 505: Operation display LED

506: 외관 케이스 507: 오디오 출력단자506: appearance case 507: audio output terminal

600: 재생키 601: 앞으로 가기 키600: play key 601: forward key

602: 뒤로 가기 키 603: 정지 키602: Back key 603: Stop key

604: 가수의 사진 605: 동작표시 LED604: Photo of the singer 605: Operation display LED

606: 외관 케이스 607: 오디오 출력단자606: exterior case 607: audio output terminal

608: 외부 메모리 609: 외부 메모리 투입구608: external memory 609: external memory inlet

701: 컨넥터부800 : 메모리부 801 : mp3디코다802 : 오디오 앰프 803 : LCD 표시장치804 : 마이콤 805 : 전원장치806 : 키입력부 807 : 외부메모리 연결부808 : 외부메모리701: connector 800: memory 801: mp3 decoder 802: audio amplifier 803: LCD display device 804: micom 805: power supply unit 806: key input unit 807: external memory connection 808: external memory

Claims (3)

자체적으로 음원을 재생 할 수 있는 전자음반에 관한 것으로,It is about electronic record which can reproduce sound source by itself, 음원이 기록되어 있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in which a sound source is recorded; 상기 메모리부 내의 음원 데이터를 읽어내어 전용의 디코더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디코더부;A decoder unit for reading sound source data in the memory unit and converting the sound source data into an analog signal using a dedicated decoder; 상기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증폭기;An audio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가수의 이름이나 노래의 제목, 가사등의 정보가 표시 가능한 LCD 표시장치나 LED등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간단히 알려주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that simply informs the user by using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display device or an LED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singer's name, a song title, or lyrics; 상기의 전자음반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 제어부;A microcomputer control unit for comprehensively controlling the electronic recording; 상기의 전자음반의 동작을 지시하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record; 상기의 전자음반에 전원을 공급 하는 전원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반Electronic record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reco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디코더부와 마이컴제어부가 합쳐져 하나의 칩에서 디코더, CPU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반Electronic recor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der unit and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combine to enable the functions of the decoder and the CPU on one chip 외부메모리의 음원을 재생 할 수 있는 전자음반에 관한 것으로,Electronic record which can play sound source of external memory, 음원이 기록되어 있는 외부 메모리와 연결이 가능한 메모리 연결부;A memory connection unit connectable to an external memory in which a sound source is recorded; 상기 외부메모리부 내의 음원 데이터를 읽어내어 전용의 디코더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디코더부;A decoder unit for reading sound source data in the external memory unit and converting the source data into an analog signal using a dedicated decoder; 상기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증폭기;An audio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가수의 이름이나 노래의 제목, 가사등의 정보가 표시 가능한 LCD 표시장치나 LED등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간단히 알려주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that simply informs the user by using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display device or an LED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singer's name, a song title, or lyrics; 상기의 전자음반을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 제어부;A microcomputer control unit for comprehensively controlling the electronic recording; 상기의 전자음반의 동작을 지시하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record; 상기의 전자음반에 전원을 공급 하는 전원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음반Electronic record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record
KR20-2005-0017902U 2005-06-21 2005-06-21 Electronics music album KR200403842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02U KR200403842Y1 (en) 2005-06-21 2005-06-21 Electronics music album
PCT/KR2006/000203 WO2006137639A1 (en) 2005-06-21 2006-01-18 Electronic music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02U KR200403842Y1 (en) 2005-06-21 2005-06-21 Electronics music albu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831A Division KR20060133883A (en) 2005-06-21 2006-01-10 Electronic reco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842Y1 true KR200403842Y1 (en) 2005-12-14

Family

ID=4370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902U KR200403842Y1 (en) 2005-06-21 2005-06-21 Electronics music alb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84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57B1 (en)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Electronic recor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57B1 (en)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Electronic recor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90871A3 (en)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JP2000339917A (en) Musical sound reproducing system
JP6821212B1 (en) Optical identification recording system
US6338405B1 (en) Device for encasing storage media containing separately addressable data
US20030014333A1 (en) Portable audio device and network including an audio device
KR200403842Y1 (en) Electronics music album
US20110226115A1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KR20060133883A (en) Electronic record
JP3102773U (en) MP3 player adapter
JP2007226867A (en) Multimedia device
TW200519881A (en) A/V multimedia multi-function optical drive device
KR200422313Y1 (en) Downloadable Electronic Records
KR100356742B1 (en) Car audio system
KR200422312Y1 (en) Electronic record with FM converter
US20060225554A1 (en) Portable music editing system
KR200426262Y1 (en) Non-replicable Electronic Records
KR20080003250U (en) Memory card that records digital audio video signals
JP2001088885A (en) Recording medium storage case
JP2003007041A (en) Audio equipment and attachable and detachable panel
WO2006137639A1 (en) Electronic music medium
KR200355102Y1 (en) CD-ROM device
KR20030071743A (en) Audio player with USB port using USB disks as a playing media
JP3139130U (en) Modeling recording medium
CN201134267Y (en) Modeled audio-video storage and playing device
KR200170743Y1 (en) Radio cassette recorder for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