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3701Y1 - 와이어로프 방진구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방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701Y1
KR200403701Y1 KR20-2005-0027812U KR20050027812U KR200403701Y1 KR 200403701 Y1 KR200403701 Y1 KR 200403701Y1 KR 20050027812 U KR20050027812 U KR 20050027812U KR 200403701 Y1 KR200403701 Y1 KR 200403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base portion
support
vibration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에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에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에스알
Priority to KR20-2005-0027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베이스부에 탄성중합체를 도포하여 방진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파생되는 소음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진구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지지물이 안착지지되는 지지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와 지지베이스부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로프 형상으로 삽설된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베이스부의 상판이면과 하판표면 및 지지베이스부의 상판이면과 하판표면에는 각각 탄성중합체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방진구{WIRE ROPE DAMPING MEMBER}
본 고안은 와이어로프 방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에 탄성중합체를 도포하여 방진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파생되는 소음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구에 관한 것이다.
방진구는 일반적으로 강력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을 광범위하고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는 공진제어 특성이 있어야 하며, 작용하중의 방향에 관계없이 작용되는 변위에 종속되어야 하는 감쇄능력이 요구되며, 공간점유율이 작은 형상으로 되어야 하며 교체가 용이하는 등 여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상기한 조건을 감안할 때 효과적인 방진구로는 탄성중합체 방진구와 와이어로프 방진구를 들 수 있는 데, 탄성중합체 방진구는 실리콘 고무등과 같이 천연 혹은 합성고무를 탄성매체로 사용하며, 기본적으로 전달 혹은 압축력 중의 어느 하나만을 적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탄성능력은 적합하나 기계적 강도가 한계가 있어서 계속적으로 진폭이 큰 변위가 반복될 때에는 어느 시기에 가서 응력변위특성에 변화가 생기어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와이어로프 방진재는 스틸 와이어로프를 탄성매체로 사용하므로, 동적변화량을 크게 하면 강력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을 광범위하게 완충시킬 수 있으며 변위곡선이 비선형이므로 크고 작은 진동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러한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특장점에 따라 선박, 차량, 항공기등 대형 산업환경에서는 와이어로프 방진구가 충격 방진재로서 주로 사용되는 데, 도1을 참고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어로프 방진구는 선박이나 차량, 항공기와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상판(11)과 하판(12)으로 구성된 고정베이스부(10), 변압기와 같은 지지물이 안착 지지되도록 상판(21)과 하판(22)으로 구성된 지지베이스부(20)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10)와 지지베이스부(20)의 상판(11, 21)과 하판(12, 22) 사이에 루프 형상으로 삽설된 와이어 로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충격이 지지물에 의해 상하 압축하중으로 작용할 때 각 와이어로프(30)는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게 되며 흡수된 에너지는 와어어 로프를 통해 발산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탄성매체인 와이어로프(30)와 베이스부(10, 20)는 스틸로 제조되기 때문에, 각각의 스틸부재인 지지베이부, 와이어로프 및 고정베이스를 통해 구조물로 전도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너지 까지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었고 나아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파생되는 소음 역시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틸부재인 지지베이부, 와이어로프 및 고정베이스를 통해 구조물로 전도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너지까지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방진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러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파생되는 소음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 방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지지물이 안착지지되는 지지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와 지지베이스부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로프 형상으로 삽설된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베이스부의 상판이면과 하판표면 및 지지베이스부의 상판이면과 하판표면에는 각각 탄성중합체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방진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외주면에는 탄성중합체가 피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는 고정베이스부(110), 지지베이스부(120) 및 와이어로프(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베이스부(110)는 선박이나 차량, 항공기와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베이스로 상판(111)과 하판(112)으로 구성된다. 고정베이스부(110)의 양단과 중앙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나사가 관통되기 위한 나사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111)이면과 하판(112)표면에는 와이어로프(130)가 루프형으로 삽설되도록 일정간격 요홈(111-1, 1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111)이면과 하판(112)표면에는 각각 탄성중합체(E)가 도포되어 있는 데, 이는 후술할 지지베이스부의 탄성중합체(E)와 협동하여 스틸부재를 통해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이에 따라 소음을 억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베이스부(120)는 변압기와 같은 지지물이 안착지지되는 베이스로 상판(121)과 하판(122)으로 구성된다. 고정베이스부(120)의 양단과 중앙에는 지지물에 결합되는 나사가 관통되기 위한 나사공(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121)이면과 하판(122)표면에는 와이어로프(130)가 루프형으로 삽설되도록 일정간격 요홈(121-1, 12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베이스부(120)의 상판(121)이면과 하판(122)이면에는 전술한 고정베이스부(110)의 탄성중합체(E)와 협동하여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탄성중합체(E)가 각각 도포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베이스부와 지지베이스에 도포되는 탄성중합체(E)는 천연 또는 합성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포두께는 엄격히 제한되지 않으나 1 내지 3 mm 정도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로프(130)는 스틸재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110)와 지지베이스(120)의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된 요홈에 루프형으로 삽섭되어, 소정의 변형으로 기본 진동이나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작용을 알아본다. 본 고안에 따른 방진구는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기본 특성에 따라 강력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을 광범위하게 완충시킬 수 있으며 변위곡선이 비선형이므로 크고 작은 진동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베이스의 상판(111)과 하판(112), 지지베이스의 상판(121)과 하판(122)에 각각 도포된 탄성중합체(E)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로부터 파생되어 스틸부재인 지지베이스부(120), 와이어로프(130) 및 고정베이스(110)를 통해 구조물로 전도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키기 때문에 방진성능을 향상되며, 이에 따라 지지베이스부(120), 와이어로프(130) 및 고정베이스(110)로 전도되는 소음을 흡수하므로 소음저감 내지 소음억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4는 본 고안인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루프형으로 고정베이스부(110)와 지지베이스(120)에 삽설된 와이어로프(130)의 외주면에도 탄성중합체(E')가 피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베이스부(110)와 지지베이스(120)의 상판과 하판 뿐만 아니라 고정베이스부(110)와 지지베이스(120)에 삽설된 와이어로프(130)의 외주면에도 탄성중합체(E')가 피복되어 있어, 스틸부재인 지지베이tm부(120), 와이어로프(130) 및 고정베이스(110)를 통해 구조물로 전도되는 충격이나 진동과 및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는 스틸부재인 지지베이스부, 와이어로프 및 고정베이스를 통해 구조물로 전도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너지까지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방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파생되는 소음전달을 차단하여 소음억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인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에 따른 와이어로프 방진구의 단면도이며,
도6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고정베이스부 120: 지지베이스부
130: 와이어로프 E, E': 탄성중합체

Claims (2)

  1.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지지물이 안착지지되는 지지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와 지지베이스부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로프 형상으로 삽설된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베이스부의 상판이면과 하판표면 및 지지베이스부의 상판이면과 하판표면에는 각각 탄성중합체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방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외주면에는 탄성중합체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방진구.
KR20-2005-0027812U 2005-09-28 2005-09-28 와이어로프 방진구 KR200403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12U KR200403701Y1 (ko) 2005-09-28 2005-09-28 와이어로프 방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12U KR200403701Y1 (ko) 2005-09-28 2005-09-28 와이어로프 방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701Y1 true KR200403701Y1 (ko) 2005-12-12

Family

ID=4370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812U KR200403701Y1 (ko) 2005-09-28 2005-09-28 와이어로프 방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70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72B1 (ko) * 2010-09-13 2011-06-02 (주)서전기전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KR101100147B1 (ko) 2011-07-19 2011-12-28 주식회사 광무기전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1223531B1 (ko) 2012-06-21 2013-01-17 김재운 복합형 와이어로프 방진장치
KR101307685B1 (ko) * 2011-12-22 2013-09-12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진동 완충이 가능한 연료전지 모듈
KR101866396B1 (ko) * 2017-11-09 2018-06-11 이정희 내진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180119035A (ko) 2017-04-24 2018-11-01 박경환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KR20240024516A (ko) *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용 완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72B1 (ko) * 2010-09-13 2011-06-02 (주)서전기전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KR101100147B1 (ko) 2011-07-19 2011-12-28 주식회사 광무기전 수배전반용 방진구
KR101307685B1 (ko) * 2011-12-22 2013-09-12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진동 완충이 가능한 연료전지 모듈
KR101223531B1 (ko) 2012-06-21 2013-01-17 김재운 복합형 와이어로프 방진장치
KR20180119035A (ko) 2017-04-24 2018-11-01 박경환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KR101963022B1 (ko) * 2017-04-24 2019-08-19 박경환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KR101866396B1 (ko) * 2017-11-09 2018-06-11 이정희 내진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240024516A (ko) * 2022-08-17 2024-02-26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용 완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KR102686840B1 (ko) 2022-08-17 2024-07-19 (주)레드이엔지 이동식 전기차 충전장치의 지지프레임용 완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6777A (en) Mount to absorb shocks
US4418898A (en) Cushioned mounting device with a mass member forming a sub-oscillation system and means for restricting cushioning movement
KR102177483B1 (ko) 면진용 댐퍼
US4706946A (en) Motion control strut
KR200403701Y1 (ko) 와이어로프 방진구
KR101810816B1 (ko) 슬라이딩 가능한 방진 및 소음발생 방지용 지지구조물
JP2002180418A (ja) 橋梁における免震構造系
WO2010137585A1 (ja) 防振装置
KR101223531B1 (ko) 복합형 와이어로프 방진장치
KR102444015B1 (ko) 방진 전기 안전제어반
WO2005036015A1 (en) Vibration mounting
KR20040068456A (ko) 엘리베이터 소음 및 진동 차단 시스템
KR101467012B1 (ko) 탄성마운트를 이용한 펌프용 동흡진기
KR100764752B1 (ko) 변속기 마운트
CN216618180U (zh) 一种销式限位器
CN214945970U (zh) 一种分体式双向低频被动减振器
JPH0439440A (ja) 防振装置
CA3073282A1 (en) Anti-vibration mount
KR101672128B1 (ko) 구조물의 슬래브 진동저감장치
KR0179479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방진장치
JPS639745A (ja) 横振動減衰マツト装置
KR101142307B1 (ko) 방진 댐퍼
KR200419743Y1 (ko) 방진용 스프링 패드 마운트
JPH07127687A (ja) 防振装置
KR900002796Y1 (ko) 충격 방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9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9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