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110668A -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668A
KR20040110668A KR1020030040089A KR20030040089A KR20040110668A KR 20040110668 A KR20040110668 A KR 20040110668A KR 1020030040089 A KR1020030040089 A KR 1020030040089A KR 20030040089 A KR20030040089 A KR 20030040089A KR 20040110668 A KR20040110668 A KR 20040110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webbing
fiber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상
백광현
Original Assignee
김진상
백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상, 백광현 filed Critical 김진상
Priority to KR102003004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668A/ko
Publication of KR2004011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66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30 내지 40중량%로 되도록 폐섬유와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혼합하여 웨빙(webbing)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면을 웨빙하여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적층시키고 니들 펀칭하여 두 층을 결속시키는 단계 및 180∼200℃에서 100∼300톤(ton)의 압력으로 열압착시켜 최종적으로 시트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저렴하고도 보온성, 차음성, 흡음성이 뛰어나며 차량, 즉 리어 쉘프, 도어 트림, 헤드 라이너, 트렁크 매트, 바닥재, 천장재, 본넷 라이너 등의 내장재로 활용 가능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manufacturing method of seat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nd seat thereby}
본 발명은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저렴하고도 보온성, 차음성, 흡음성이 뛰어나며 차량, 즉 리어 쉘프, 도어 트림, 헤드 라이너, 트렁크 매트, 바닥재, 천장재, 본넷 라이너 등의 내장재로 활용 가능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생활 필수품으로 바뀜에 따라 차내의 인테리어나 안전성, 쾌적한 승차감 등이 중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차내에는 여러 종류의 내장재, 즉 시트(seat)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사용 대상으로는 헤드 라이너(Head liner), 도어 트림(Door trim), 리어 쉘프(Rear shelf), 트렁크 매트(Trunk mat), 카 매트(Car mat), 바닥재, 본네트(Bonnet), 천장재, 건축용 내장재 및 차음재 등을 들 수 있다.
종래에는 내장재로서 지류, 비닐, 섬유편물, 부직포 및 펠트(felt)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내장재들의 기능으로는 주로 차내를 보다 안락하게 보이도록 장식하는 내장기능, 차내의 열을 보존하거나 외기의 열을 차단하는 보온기능, 외부의 소음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음 및 흡음기능 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쿠션기능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내장재들이 갖추어야 할 성능으로서는 미려한 외관, 보온성, 차음성, 흡음성 및 완충성 등이 우수하여야 하며, 또한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량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복잡한 내부구조 및 차종의 변화에 따른 구조 변화에 잘 적응하여 성형될 수 있어야 하므로 성형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러한 차량 내장재의 일 예로는 두 개의 층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는데, 펠트의 양면에 비닐지와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하나의 층과 후판지의 한쪽 면에 스펀지와 섬유편물이 부착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펠트는 흡음 및 차음기능을, 이형지는 천장에 맞닿는 펠트면을 보호하는 역할, 비닐지는 펠트 밑면의 표면 흐트러짐이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후판지는 굽힘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표면 쿠션을 위한 스펀지에 부착된 섬유편물은 미려함을 제공하기 위한 마감 처리용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형지와 펠트, 비닐지, 후판지, 스펀지 및 섬유편물 등의 여러 가지 소재를 하나의 판재로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길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소재들 중에는 재생 불가능한 소재가 많아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또한, 방음 및 차음효과를 높이기 위해 경질 부직포에 효과사를 짜 넣고, 그 위에 연질 부직포를 적층한 시트(카펫)가 등장하였으나, 이는 차내에 적용키 위한 성형이 용이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시트의 한쪽 면에 폴리에틸렌수지를 코팅한 시트도 개발되었으나, 이를 성형하는 과정에서의 가열 및 압착으로 인해 폴리에틸렌수지가 용출되어 시트의 표면이 오염되거나 효과사가 뭉치는 등의 결점이 있다.
차량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성형성과 차음성, 방음성, 보온성, 쿠션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볍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제조원가가 저렴한 차량용 내장재가 연구 개발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연구 개발의 추세에 맞춰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저렴하고도 보온성, 차음성, 흡음성이 뛰어나며 차량, 즉 리어 쉘프, 도어 트림, 헤드 라이너, 트렁크 매트, 바닥재, 천장재, 본넷 라이너 등의 내장재로 활용 가능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내장재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층 2 : 제2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30 내지 40중량%로 되도록 폐섬유와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혼합하여 웨빙(webbing)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단계와,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면을 웨빙하여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적층시키고 니들 펀칭하여 두 층을 결속시키는 단계 및 180∼200℃에서 100∼300톤(ton)의 압력으로 열압착시켜 최종적으로 시트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섬유에는 천연섬유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시트는, 폐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혼합되거나 혹은 마 또는 야자나무 껍질 등과 같은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폐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혼합된 제1층(1)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면을 웨빙한 제2층(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폐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물인 제1층(1)은 전체 혼합물 중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30∼40중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폐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혼합하여 웨빙(webbing)하여 만들 수 있다. 이때 폐섬유에는 마 또는 야자나무 껍질 등과 같은 각종 천연섬유를 포함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제1층(1)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면을 웨빙한 제2층(2)을 적층시켜 니들 펀칭작업으로 일체형으로 만들고 나서, 180∼200℃로 가열된 상태에서 100∼300톤(ton)의 압력으로 열압착시켜 자동차 내장재 시트, 즉 리어 쉘프, 도어 트림, 헤드 라이너, 트렁크 매트, 바닥재, 천장재, 본넷 라이너 등에 활용 가능한 내장재 시트로 만들 수 있다.
[실시예1]
먼저, 35중량%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65중량%의 폐섬유를 혼합하고 웨빙하여 제1층을 만들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면을 웨빙하여 제2층을 만든다.
이렇게, 제조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폐섬유로 이루어진 제1층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면을 웨빙한 제2층을 적층시켜 니들 펀칭작업으로 일체형으로 결속시킨다.
그리고, 결속된 제1층과 제2층을 통상의 열압착 장치를 이용하여 190℃의 열로 가열하는 상태에서 200톤(ton)의 압력을 가해 열압착함으로써 폐섬유를 재활용한 저렴한 자동차 내장재 시트, 즉 리어 쉘프, 도어 트림, 헤드 라이너, 트렁크 매트, 바닥재, 천장재, 본넷 라이너 등에 활용 가능한 내장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2]
또한, 제1실시예에서 제1층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혼합되는 폐섬유에 마나 야자나무 껍질 등이 혼합된 천연섬유를 섞어서 이용하여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자동차 내장재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저렴하고도 보온성, 차음성, 흡음성이 뛰어나며 차량, 즉 리어 쉘프, 도어 트림, 헤드 라이너, 트렁크 매트, 바닥재, 천장재, 본넷 라이너 등의 내장재로 활용 가능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30 내지 40중량%로 되도록 폐섬유와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혼합하여 웨빙(webbing)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단계;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면을 웨빙하여 제2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적층시키고 니들 펀칭하여 두 층을 결속시키는 단계; 및
    180∼200℃에서 100∼300톤(ton)의 압력으로 열압착시켜 최종적으로 시트를 완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섬유에는 천연섬유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2층 구조의 자동차 내장재 시트.
KR1020030040089A 2003-06-20 2003-06-20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 KR20040110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089A KR20040110668A (ko) 2003-06-20 2003-06-20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089A KR20040110668A (ko) 2003-06-20 2003-06-20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668A true KR20040110668A (ko) 2004-12-31

Family

ID=3738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089A KR20040110668A (ko) 2003-06-20 2003-06-20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06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3360A (zh) * 2014-08-22 2014-12-17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汽车织物挡泥板及其制备方法
KR20190105390A (ko) * 2018-03-05 2019-09-17 (주)세진플러스 폐섬유 중 폴리에스터 섬유를 활용한 기능성 공원용 데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공원용 데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3360A (zh) * 2014-08-22 2014-12-17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汽车织物挡泥板及其制备方法
KR20190105390A (ko) * 2018-03-05 2019-09-17 (주)세진플러스 폐섬유 중 폴리에스터 섬유를 활용한 기능성 공원용 데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공원용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6235A (en) All synthetic fiber interior trim substrate
US5549776A (en) Self-supporting impact resistant laminate
US8021503B2 (en) Method for making flexibl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nd sheet for the construction and its product made therefrom
KR100295573B1 (ko) 흡, 차음용 적층체
CA2444639C (en) Multidensity liner/insulator
US20100065368A1 (en) Lightweight, flexible, moldable acoustic barrier and composites including the same
CN105383135A (zh) 具有透气性的多层吸音隔音材料
EP1878568B1 (en) Roof liner and procedure for obtaining a roof liner for vehicles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50191921A1 (en) Multidensity liner/insulator having reinforcing ribs
KR100437869B1 (ko) 성형이 용이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 시트의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 및 건축용시트, 및 차량 및 건축용 판재
KR0131260B1 (ko) 쿠션 내장재용 부직포 중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110668A (ko) 차량 내장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시트
JP4167505B2 (ja) 多密度構成のフェルト吸音材
JPH07219556A (ja) 自動車用遮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209723B2 (ja) 成形敷設材
KR102214761B1 (ko) 자동차 플로어 카펫용 멀티 레이어 부직포
KR100356197B1 (ko) 성형이 가능한 카펫트 및 그 제조방법
JPH0776052A (ja) 積層構造体および内装材
JP2007038854A (ja) 自動車用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40171298A (ko) 흡음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3340136B2 (ja) 車体屋根内部ライニング用の自己支持型ライナー
KR20030045983A (ko) 벽체 및 자동차 내장재용 허니컴 패널
JPH06238791A (ja) 自動車用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