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823A - 기록 매체,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108823A KR20040108823A KR10-2004-7018430A KR20047018430A KR20040108823A KR 20040108823 A KR20040108823 A KR 20040108823A KR 20047018430 A KR20047018430 A KR 20047018430A KR 20040108823 A KR20040108823 A KR 200401088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error correction
- correction code
- area
- record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57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579—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data encoding, e.g., modulation schemes violating run-length constraints, causing excessive DC content, or involving uncommon codewords or sync patter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06—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block codes
- H03M13/2921—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block codes wherein error correction coding involves a diagonal direction
- H03M13/2924—Cross interleaved Reed-Solomon codes [CIRC]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57—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wherein DC control is performed by calculating a digital sum value [DSV]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61—8 to 14 modulation, e.g. the EFM code used on CDs or mini-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3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 G11B2020/18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using a cross-interleaved Reed Solomon [CIRC]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5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product code which has inner and outer parity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Description
CD(Compact Disc)는 제조가 용이하며, 염가인 동시에, 취급도 용이하므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 또는 컴퓨터의 프로그램 등을 보존ㆍ수납하기 위한 매체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퍼스널 컴퓨터의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추기록(追記錄)을 할 수 있는 CD-R(CD-Recordable) 디스크나 재기록을 할 수 있는 CD-RW(CD-Rewritable) 디스크가 등장함으로써, 예를 들면 CD-DA(CD-Digital Audio)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를 간단하게 카피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카피 행위는 일반적으로 저작권을 무시한 부정한 카피 행위이다. 따라서, CD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그 점, 신규 미디어인 DVD-Audio(Digital Versatile Disc-Audio) 디스크, SACD(Super Audio CD) 디스크 등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카피 허가 또는 금지를설정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부정한 카피 행위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DVD-Audio 디스크나 SACD 디스크는 CD와는 포맷의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신규 디스크 재생 장치로서의 드라이브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DVD-Audio 디스크나 SACD 디스크 보급의 장해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현행 드라이브 장치와 호환성을 가진 형태로 시큐리티, 즉 저작권 보호 기능을 가지는 포맷에 따른 기록 매체나 기록 또는 재생 방법,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등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드라이브 장치와 호환성을 갖게 하면, 저작권 보호 기능을 갖게할 수 없게 되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CD-R 디스크나 CD-RW 디스크에 그대로 카피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DDCD(Double Density CD) 등과 같이 CD와는 상이한 ECC(Error Checking and correcting Code)로 기록된 디스크의 일부 데이터만이라도, 현행 CD 드라이브 장치로 판독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도 있지만,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 그것도 고려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현행 CD와의 호환성이 높고, 또한, 부정한 카피를 할 수 없는 CD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CD에는 CD-DA나 CD-ROM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의 기록 매체,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배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배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배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배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배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의 배열도이다.
도 11 (A)∼도 11 (E)는 본 발명에 관한 DSV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A)∼도 12 (D)는 본 발명에 관한 에러 정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A)∼도 13 (D)는 본 발명에 관한 광 디스크의 구성과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장치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재생 장치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기록 매체이다.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기록 매체의 제1 영역에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매체의 제2 영역에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혼재하여 기록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이다.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기재된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에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를 포함하는 인코드 처리를 실행하는 제1 인코드 처리부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를 포함하는 인코드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인코드 처리부와, 제1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와 제2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공급되고, 제1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와 제2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에 변조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제2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에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변조 처리를 실행하는 변조 처리부와, 변조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공급되고,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혼재하도록 기록 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기록 장치이다.
청구의 범위 제20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는 디코드 처리부와, 디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에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는 에러 정정 처리부와, 에러 정정 처리부에 의한 처리 결과에 따라 암호 해독을 위한 키 데이터를 복호하는 생성부와, 생성부에 의해 복호된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1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 암호를 복호하는 복호부를 구비하고 있는 재생 장치이다.
청구의 범위 제23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고, 디코드 처리된 데이터에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고, 에러 정정 처리 결과에 따라 암호 해독을 위한 키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된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1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암호를 복호하는 재생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제2 영역에는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코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 및 기록 장치,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구성을 설명의 전제가 되는 구성의 설명을 행한다.
① CD의 에러 정정 부호에 대하여
현행 CD 규격에 채용되고 있는 에러 정정 부호는 CIRC(Cross Interleaved Read-Solomon Code)로 불려지고 있지만, 이 CIRC 방식의 에러 정정 부호에서는 최소 거리 5의 리드ㆍ솔로몬부호가 C1ㆍC2라고 하는 2 계열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CD의 기록 장치에서 사용되는 CIRC 인코더 회로(10)를 나타낸다. 즉, CD에서는, 왼쪽 채널의 연속되는 6 샘플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L0∼L5, 및 오른쪽 채널의 대응하는 6 샘플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R0∼R5로 하나의 프레임이 구성된다. 데이터 L0∼L5, R0∼R5는 각각 16비트이지만, 상위의 8비트 D0A∼D11A와, 하위의 8비트 D0B∼D11B로 분할되고, 그 각 8비트 D0A∼D11B는 심벌이라고 불려진다.
이들 심벌 D0A∼D11B가 지연ㆍ스크램블 회로(11)에 공급되어, 짝수 번째 샘플의 심벌이 2 심벌만큼 지연되는 동시에, 전(全) 심벌이 스크램블되고, 그 출력이 C2 인코더 회로(12)에 공급되고 GF(28) 상의 (28, 24, 5)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부호화가 되어 4 심벌의 Q 패리티 Q0∼Q3이 생성된다. 이 C2 인코더 회로(12)의 출력이 인터리브 회로(13)에 공급되고, 단위 지연량을 D로 하면, 각 심벌에 등차적으로 상이한 지연량 0, D, 2D, …, 27D의 지연이 주어진다. 현행 CD 규격에서는, D=4 프레임이 되어, 인접하는 심벌은 4 프레임씩 떨어진다. 그리고, 이하, D=4인 때의 CIRC 방식을 이하, 「CIRC 4 방식」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인터리브 회로(13)의 출력이 C1 인코더 회로(14)에 공급되고 GF(28) 상의 (32, 28, 5) 리드ㆍ솔로몬 부호의 부호화가 되어, 4 심벌의 P 패리티 PO∼P3이 생성된다. 이 C1 인코더 회로(14)의 출력이 지연 회로(15)에 공급되어 하나 걸러의 심벌이 1 심벌만큼 지연되는 동시에, Q 패리티 Q0∼Q3 및 P 패리티 P0∼P3이 인버터 회로(16)에 의해 반전되어, 인코더 회로(10)의 인코드 신호로서 출력된다. 그리고, 이 인코드 신호는 EFM 변조 회로에 공급되고, 그 EFM 변조 신호가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CD를 제조하기 위해 원반에 기록된다.
도 2는 재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CIRC 디코더 회로(20)를 나타내며, 이 디코더 회로(20)는 인코더 회로(10)와는 상보적(相補的)인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광 디스크, 이 경우에는 CD로부터 재생된 EFM 변조 신호는 EFM 복조 회로에 의해 원래의 데이터 열(인코드 신호)이 복조된다. 이 EFM 복조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로서의 인코드 신호가 지연 회로(21)에 공급되고, 인코더 회로(10)의 지연 회로(15)에 의해 지연되지 않았던 심벌이 1 심벌 지연되어 지연 회로(15)에 의한 지연이 상대적으로 캔슬되고, 또한, 인버터 회로(22)에서, 인코더 회로(10)의 인버터 회로(16)에 의한 반전이 복귀되어 C1 인코더 회로(14)의 인코드 출력이 꺼내진다.
이 인코드 출력이 C1 디코더 회로(23)에 의해 원래의 심벌로 디코드된 다음 디인터리브 회로(24)에 공급된다. 이 디인터리브 회로(24)에서, 각 심벌에는 등차적으로 상이한 지연량 27D, 26D, …, D, 0의 지연이 주어져 인코더 회로(10)의 인터리브 회로(13)에 의한 심벌의 지연이 상대적으로 캔슬된다. 그리고, 이 때, 지연량 D=4 프레임이다.
계속해서, 디인터리브 회로(24)의 출력이 C2 디코더 회로(25)에 의해 원래의 심벌로 디코드되고, 그 후, 지연ㆍ스크램블 회로(26)에 공급되어 전 심벌이 디스크램블되는 동시에, 홀수 번째 샘플의 심벌이 2 심벌만큼 지연되어 원래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L0∼R5(D0A∼D11B)가 꺼내진다. 이상에 설명한 처리가 프레임마다 실행되어, 원래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연속하여 꺼내지고, 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D/A 변환되어 원래의 왼쪽 및 오른쪽 채널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된다.
그리고, 이 때, C1 디코더 회로(23) 및 C2 디코더 회로(25)로부터 에러 플래그가 꺼내지고, 이 에러 플래그가 보간 플래그 생성 회로(27)에 공급되어 에러 보간 플래그가 생성된다. 이 보간 플래그에 의해, 데이터 L0∼R5 중 에러를 일으키고 있는 데이터가 전치(前置) 홀드 또는 평균값 보간 등의 보간 처리에 의해 보간된다.
이상이 현행 CD 규격에 채용되고 있는 CIRC4 방식의 에러 정정을 위한 처리이다. DDCD 규격 등에서는, 에러 정정을 위한 처리의 에러 정정 부호로서 CIRC7 방식으로 불리는 부호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CIRC7 방식의 인코더 회로 및 디코더 회로에 있어서는, 인코더 회로(12, 14) 및 디코더 회로(23, 25)는 CIRC4 방식 디코더 회로의 그것과 동일하게 되며, 인터리브 회로(13) 및 디인터리브 회로(24)에서의 지연량 D가 7 프레임이 된다(CIRC4 방식은 4 프레임이다).
따라서, CIRC7 방식에 의하면, CIRC4 방식에 비해 인터리브 길이가 길게 되어 있으므로, 버스트 에러(광 디스크로서의 CD에 부착된 지문이나 CD의 판독면에 난 흠 등에 의해 CD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연속해서 생기는 에러)에 대한 정정 능력이 높아진다. CIRC4 방식과 CIRC7 방식에서는, 원 데이터 L0∼R5가 어떠한 값이라도, C1은 동일한 계열이 되고, C2가 상이한 계열이 된다.
CIRC4 방식과 CIRC7 방식에서는, 인터리브 길이가 상이하므로, CIRC4 방식으로 기록된 광 디스크로서의 CD는 CIRC7 방식의 재생 장치에서는 디코드를 할 수 없는, 즉 재생할 수 없다. 역으로, CIRC7 방식으로 기록된 광 디스크는 CIRC4 방식의 재생 장치에서는 디코드를 할 수 없는, 즉 재생할 수 없다.
그런데, 원 데이터 L0∼R5가 어느 특정의 데이터 배열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CIRC4 방식의 에러 정정 방식이라도 CIRC7 방식의 에러 정정 방식이라도, 정상적으로 디코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그와 같이 CIRC4 방식으로도 CIRC7 방식으로도 디코드를 할 수 있는 데이터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데이터를 CIRC7 방식으로 인코드하여 광 디스크에 기록하고, 그 광 디스크를 CIRC4 방식으로 디코드하는 경우이다.
도 3에, CIRC7 방식의 인코더 회로(10S)를 나타낸다. 이 인코더 회로(10S)는 도 1에 의해 설명한 인코더 회로(1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인터리브 회로(13)는 지연량 D=7로 되어 있다. 도 4는 CIRC4 방식의 디코더 회로(20F)를 나타내며, 이 디코더 회로(20F)는 도 2에 의해 설명한 디코더 회로(2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디인터리브 회로(24)는 지연량 D=4로 되어 있다. 이들 CIRC7 인코더 회로(10S)와, CIRC4 디코더 회로(20F) 사이에, 광 디스크로서의 CD가 개재(介在)된다(도 3와 도 4에서 CD는 중복하여 도시하고 있다. EFM 변조 회로 및 EFM 복조 회로는 생략하고 있다).
이 도 3 및 도 4에서, 숫자는 프레임 단위의 오프셋양(量)을 나타내며, 디코더 회로(20)의 C2 디코더 회로(25)로부터 출력 D0A∼D11B로서 데이터 S1∼S24가 출력되었을 때, 그 데이터 S1∼S24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오프셋양(프레임 번호)을 기준값 0으로 한다. 그러면, 이 데이터 S1∼S24가 C1 디코더 회로(23)로부터 출력될 때의 오프셋양은 디인터리브 회로(24)의 지연 시간에 의해, -1O8, -104, -100, …,0이 된다.
지연 회로(13, 2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터리브 회로(13)로부터 상기 데이터 S1∼S24가 출력될 때의 오프셋양은 -109, -105, -101, …, -가 되고, 또한, 지연ㆍ스크램블 회로(11)로부터 데이터 S1∼S24가 출력될 때의 오프셋양은 인터리브 회로(13)의 지연 시간에 의해, -109, -112, -115, …, -190이 된다. 따라서, CIRC7 인코더 회로(10S)에 데이터 S1∼S24가 입력되었을 때의 오프셋양은 지연ㆍ스크램블 회로(11)에 의해, -111, -114, -129, …, -190이 된다.
이상으로부터, 데이터 S1∼S24를 제-190 번째∼제-111 번째의 프레임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면(도 5는 도 6에 계속된다), C2 디코더 회로(25)로부터는 현재(제0 번째)의 프레임으로서 데이터 S1∼S24가 동시에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공백의 데이터는 현재의 프레임에는 포함되지 않으므로, 임의의 데이터로 상관없다.
다만, 실제로는 데이터 S1∼S24에는 Q 패리티 Q0∼Q3 및 P 패리티 P0∼P3이 부가되어 기록 재생되는 동시에, 이들 패리티는 디코드된 데이터 S1∼S24로 분산되므로, 이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S1∼S24를, 제-156 번째∼제-145 번째의 프레임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면(도 8은 도 7에 계속되는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C2 디코더 회로(25)로부터는 현재의 프레임으로서, 데이터 S1∼S24가 동시에 얻어진다.
따라서, 데이터 S1∼S24를, 제-190 번째∼제-111번째의 프레임에 대하여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여 CIRC7 방식으로 인코드하고, 이것을 CIRC4방식으로 디코드하면, C2 디코더 회로(25)로부터는 현재의 프레임으로서 데이터 S1∼S24가 동시에 얻어지게 되며, 이 때, 에러 플래그가 서는 일이 없다.
이 때, 데이터 S1∼S24는 CIRC7 방식으로도 정상적으로 디코드 및 재생할 수 있다. 그 데이터 S1∼S24는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CIRC7 방식으로 인코드 한 데이터의 어느 구간에라도 배치할 수 있다. 이하, 이 데이터 S1∼S24와 같이, CIRC4 방식으로도 CIRC7 방식으로도 정상적으로 디코드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배치를 「특수 데이터」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C2 디코더 회로(25)로부터 동시에 출력되는 데이터 S1∼S24는 지연ㆍ스크램블 회로(26)에 의해 지연되어 CIRC4 디코더 회로(20F)의 출력 데이터가 되므로, 데이터 S1∼S24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10은 도 9에 계속되는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의 프레임(제0 번째의 프레임) 및 제2 번째의 프레임에 포함되어 CIRC4 디코더 회로(20F)로부터 출력된다.
② CD의 DSV에 대하여
도 11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심벌(원 데이터)의 값이, 예를 들면 92h(h는 16진값인 것을 나타낸다)인 때, 이 심벌을 CIRC7 방식으로 인코드하여 EFM 변조 신호로 변환하면, 그 채널 비트(EFM 변조 신호)는 CD 규격이 채용하고 있는 변환, 변조의 규격에 의해 도 11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트 배열이 된다. 이 때, 채널 비트에는 심벌의 이음매마다, 접속 비트 또는 마진 비트로 불려지는 3비트가 삽입된다.
이 접속 비트는 심벌의 이음매에서도, 채널 비트의 최소 시간폭 Tmin이 길어지고, 또한, 최대 시간 폭 Tmax가 짧아지게 하기 위해 삽입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0" 또는 "1"이 2개 이상 연속되고, 12개 이상은 연속되지 않게 하기 위해 삽입된다. 따라서, 접속 비트는 도 11 (C)에 나타내는 4 종류의 비트 패턴 중 어느 하나가 되지만, 이 경우에는 전술한 조건으로부터 "000"이 선택된다.
따라서, 이 경우, 채널 비트는 도 11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트 패턴이 되지만, 이 때, 그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 이른바 DSV(Digital Sum Variation)를 구하면, 도 11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며, 1 심벌의 종료 시에는 DSV는 「3」만큼 증가한다. 심벌이 일반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등인 때는 1 심벌당 DSV의 극성 및 크기는 불균일하게 되는 동시에, 접속 비트는 DSV가 「0」에 수속(收束)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따라서, DSV는 항상 「0」에 가까운 소정의 범위에 수납되어 있다.
그러나, 어떠한 방법으로, 심벌로서 예를 들면 92h를 반복했을 때에는, DSV는 1 심벌마다 3씩 증가하여 가게 된다. 이와 같이 DSV가 증가하여(또는 감소하여) 어느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광 디스크로서의 CD의 재생 회로에 있어서의 비대칭 보정 등에 영향을 주어 버려, 마침내는 CD를 정상 재생할 수 없게 된다.
③ 본 발명에 관한 구성
도 12 (A)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로서의 광 디스크의 트랙 일부를 전개하여 나타낸다. 이 트랙(일부)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복수로 분할된 영역 중 하나 걸러의 분할 영역 P7에는 임의의 데이터가 CIRC7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되고, 남는 하나 걸러의 분할 영역 P47에는 전술한 CIRC4 방식으로도 CIRC7방식으로도 정상적으로 디코드할 수 있는 특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특수 데이터 중 적어도 마지막 데이터(심벌)는, 예를 들면 전술한 값 92h가 되며, 즉, 그 데이터 단체(單體)의 DSV가 「0」으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는 값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하지 않지만, 트랙의 개시측에는 다른 일반의 데이터, 예를 들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CIRC4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되어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트랙을 가지는 광 디스크를, 후술하는 전용 재생 장치로 재생하는 경우에는, 영역 P7, P47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디코드하여 재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CIRC4 방식으로 인코드하여 기록한 다른 영역의 데이터도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일반 재생 장치 및 기록 장치, 즉 CIRC4 방식에만 대응하고 있는 재생 장치 또는 기록 장치를 준비하고 도 12 (A)의 트랙을 가지는 광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카피한 경우를 생각해 본다. 일반 재생 장치 및 기록 장치는 CIRC4 방식에만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재생 장치에서는 광 디스크의 도 12 (A)의 트랙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코드한 경우, 영역 P7에서는 데이터가 CIRC7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되어 있으므로, 디코드 시에 에러를 일으켜 도 12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플래그가 "1"이 된다. 그러나, 영역 P47에서는 특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CIRC4 방식으로도 정상적으로 디코드되어 에러 플래그가 서는 일이 없다. 즉, 영역 P7, P47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CIRC 방식에 대응하여 에러 플래그가 도 12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한다.
따라서, 일반 재생 장치의 출력 데이터는 도 12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된다. 즉, 영역 P47로부터 신호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에는, 그 영역 P47의 특수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디코드되어 출력되며, 영역 P7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에는, CIRC7 방식으로 인코드된 데이터를 디코드할 수 없으므로, 에러 때문에 보간값이 출력 된다. 그 보간값은, 예를 들면 보간 방법이 전치 홀드라고 하면, 그 직전의 정상값, 즉, 영역 P47의 특수 데이터로부터 마지막에 정상적으로 디코드된 값, 이 경우, 값 92h가 된다. 따라서, 영역 P7로부터 신호를 판독하고 있는 기간에는, 보간값 또는 보간 데이터로서 값 92h가 연속하여 출력된다. EFM 변조 방식에서는, 데이터 심벌과 데이터 심벌 사이에 3bit의 접속 비트를 배치하고, 이 접속 비트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DSV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도 12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생 출력 데이터가 CD-R 디스크 등의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 카피된다. 그 결과, 카피된 광 디스크의 재생 시, 영역 P7, P47에서의 DSV가 도 12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한다. 즉, 영역 P47에서는, 데이터는 광 디스크에 정상적으로 카피되어 있으므로, DSV는 그다지 증감하지 않는다. 그러나, 영역 P7에 대응하는 부분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값 92h가 연속하고 있으므로, 접속 비트는 어느 특정의 접속 비트밖에 선택할 수 없게 되어 DSV를 0에 접근시키는 제어를 할 수 없게 되어, DSV는 1 데이터 심벌마다 단조롭게 증가하여 간다.
이와 같이 영역 P7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의 복조 처리 중에 DSV가 증가한다고 하는 상태가 계속되면, DSV가 소정의 범위에 수납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도 12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가 카피된 광 디스크의 재생을 할 수 없게 된다. 환언하면, 실질적으로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의 데이터의 카피를 할 수 없게 된다.
오리지널 광 디스크와 데이터가 카피된 광 디스크란, 외관이 양호하게 닮아 있는 것으로 외관에서의 구별은 어렵지만, 영역 P47의 데이터를 CIRC4 방식 및 CIRC7 방식으로 디코드하면, 그 디코드 결과로부터 오리지널 광 디스크인가, 데이터가 카피된 광 디스크인가를 판별할 수도 있다.
④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
도 13 (A)는 본 발명에 관한 광 디스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 (A)에서, 본 발명에 관한 광 디스크의 트랙을 전개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 디스크(이하, 단지 광 디스크)에서는, 디스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향해, 제1 리드인 영역 LI1, 제1 주데이터 영역 PA1 및 제1 리드아웃 영역 LO1이 차례로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리드아웃 영역 LO1의 외측에는, 제2 리드인 영역 LI2, 제2 주데이터 영역 PA2 및 제2 리드아웃 영역 LO2가 외측으로 향해 차례로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랙은 제1 리드인 영역 LI1로부터 제2 리드아웃 영역 LO2까지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리드인 영역 LI1, 제1 주데이터 영역 PA1 및 제1 리드아웃 영역 LO1은, 예를 들면 CD-DA 규격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제1 주데이터 영역 PA1에는 주데이터로서 CD-DA 규격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현행 CD와 동일하게 CIRC4 방식으로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 즉 인코드되어 기록되어 있다.
제2 리드인 영역 LI2, 제2 주데이터 영역 PA2 및 제2 리드아웃 영역 LO2는, 예를 들면, 암호화 및 데이터 압축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여,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제2 주데이터 영역 PA2는 도 13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영역 PA21∼PA24로 분할되어 있다.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3 번째 분할 영역 PA23에, 예를 들면 MP-3(MPEG-1 Audio Layer3) 방식이나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등록 상표) 방식에 의해 데이터 압축되고, 또한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CIRC4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되어 있다.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1 번째 분할 영역 PA21에는, 제3 번째 분할 영역 PA23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한 신장 해도 어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복호 처리하기 위한 복호 프로그램, 이른바 재생 소프트웨어에 관한 데이터가 CIRC4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2 번째 분할 영역 PA22에는, 제3 번째 분할 영역 PA23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키 데이터 K22가, 후술하는 키 데이터 K24에 의해 암호화되고 CIRC4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되어 있다.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에는, 제2 번째 분할 영역 PA22의 키 데이터 K22를 복호하기 위한 키 데이터 K24가 기록되어 있다.
이 경우,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는, 예를 들면 도 13 (B)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그 중 영역 P47에 키 데이터 K24 또는더미 데이터가 ①항에서 설명한 특수 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되고, 영역 P7에는 CIRC4 방식으로 디코드했을 때 에러를 일으키게 하기 위한 데이터가 CIRC7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되어 있다. 즉, 영역 P47에 기록되는 키 데이터 K24 또는 더미 데이터의 마지막 심벌은 「92h」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의 데이터를 CIRC4 방식으로 디코드한 경우, 영역 P47에서는 키 데이터 K24 또는 더미 데이터가 특수 데이터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영역 P47에 기록되어 있는 키 데이터 K24 또는 더미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디코드되므로, 도 1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플래그가 서는 일은 없다. 그러나, 영역 P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CIRC7 방식으로 인코드 되어 있으므로, 이 데이터의 CIRC4 방식에 의한 디코드를 실행했을 때에는 에러를 일으켜 도 1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러 플래그가 선다.
즉, 제4 번째의 영역 PA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CIRC 방식, 즉 에러 정정 부호 방식에 대응하여 에러 플래그가 도 1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한다. 이 에러 플래그의 "0" 및 "1"은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이 CIRC4 방식 및 CIRC7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도 디코드할 수 있는 특수 데이터 형식으로 기록하는가 CIRC7 방식으로 인코드하여 기록하는가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에러 플래그를 "0"으로 하고 싶을 때에는, 키 데이터 K24 및 더미 데이터를 특수 데이터 형식으로 기록하고, "1"로 하고 싶을 때에는, 임의의 데이터를 CIRC7 방식으로 인코드하여 기록하면 된다.
본 발명은 이 에러 플래그의 "0" 및"1"의 배열 패턴도 키 데이터 K24의 일부로 되어 있어, 이 에러 플래그의 "0" 및 "1"의 배열 패턴과, 영역 P47에 기록되어 있는 키 데이터를 맞추면, 본래의 키 데이터 K24가 되도록 영역 P7, P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 디스크의 직경이나 두께 등의 물리적인 치수나 특성 등의 규격은 현행 CD 규격에 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광 디스크에 있어서는, 제1 주데이터 영역 PA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현행 CIRC4 방식의 재생 장치, 즉 CD 플레이어, CD-ROM 드라이브 장치 등에 의해 재생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제2 주데이터 영역 PA2는 후술하는 전용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할 수 있다. 그 경우, 제4 번째의 영역 PA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미리 CIRC4 방식으로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에러 플래그, 예를 들면 도 1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에러 플래그에 따른 데이터와, 영역 P47로부터 판독된 키 데이터로부터 키 데이터 K24를 생성 또는 복원하고, 이 복호된 키 데이터 K24에 의해 제2 번째 분할 영역 PA22에 기록되어 있는 키 데이터 K22를 복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복호한 키 데이터 K22 및 제1 번째 분할 영역 PA21로부터 판독된 재생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에 의해, 제3 번째 분할 영역 PA23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신장할 수 있다. 그 결과, 광 디스크의 제2 주데이터 영역 PA2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도 어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즉 평문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3 (A)에 나타난 광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그대로 카피하려고 해도, ③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카피할 수 없다.
만일, 도 13 (A)에 나타난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예를 들면 CD-R 디스크에 카피할 수 있었다고 해도, 도 13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피처가 되는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는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영역 P47의 특수 데이터의 마지막 심벌이 「92h」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영역 P7에서 생겨야 할 에러가 보간되어 「92h」의 데이터가 영역 P7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디코드 결과로서 기록되어 버린다. 즉, 도 13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IRC4 방식으로 디코드 가능한 데이터가 카피처로 되는 광 디스크에 기록되어 버린다.
따라서, 카피 결과물로서의 광 디스크를 CIRC4 방식으로 디코드해도, 도 1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하는 에러 플래그에 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으므로, 키 데이터 K24의 일부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키 데이터 K24를 얻을 수 없으므로 키 데이터 K22를 복호할 수 없어, 제3 번째 분할 영역 PA23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를 풀 수 없는, 즉 복호할 수 없게 되어,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카피를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를 디코드 또는 재생하고 있을 때 DSV가 증가하여 카피처로서의 광 디스크의 재생을 할 수 없게 된다. 만일, 재생할 수 있었다고 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키 데이터 K24를 얻을 수 없다.
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
도 14는 ④항의 본 발명에 관한 광 디스크를 얻기 위한 기록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제1 주데이터 영역 PA1에의 기록 시에는 시스템 제어 회로(45)에의해 스위치 회로(32, 35)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32a), 단자(35a)에 접속된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가 입력 단자(31) 및 스위치 회로(32)를 통해 CIRC4 인코더 회로(34)에 공급되어 CIRC4 방식으로 인코드 처리되고, 그 인코드 출력으로서의 출력 데이터가 스위치 회로(35)를 통해 서브코드 인코더 회로(37)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45)로부터 서브코드 인코더 회로(37)에 서브코드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 경우, 서브코드 데이터에는 도 13 (A)에 있어서의 제1 번째 분할 영역 PA21∼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면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서브코드 인코더 회로(37)로부터는 서브코드가 부가된 인코드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인코드 데이터가 EFM 변조 회로(38)에 공급되어 EFM 변조 신호(채널 비트)가 되고, 이 신호가 기록 앰프(39)를 통해 기록용 광학 헤드(41)에 공급되어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원반(이하, 단지 광 디스크)(50)의 제1 주데이터 영역 PA1에 나선형의 트랙으로서 기록된다. 그리고, 이 때, 광 디스크(50)는 스핀들 모터(42)에 의해 소정의 선속도로 회전되는 동시에, 서보 회로(43)에 의해, 기록용의 각종 서보 제어, 즉, 포커스 서보나 트래킹 서보나 광학 헤드(41)에 공급되는 기록 전류의 서보 등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광 디스크(50)의 제1 주데이터 영역 PA1에는 ④항 및 도 13 (A)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주데이터가 CIRC4 방식으로 인코드되어 기록된다.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에의 기록 시에는, 먼저 재생 소프트웨어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 단자(31) 및 스위치 회로(32)를 통해 CIRC4 인코더 회로(34)에 공급되어 CIRC4 방식으로 인코드 처리된다. 이 인코드 출력으로서의 출력 데이터가 스위치 회로(35) 및 서브코드 인코더 회로(37)를 통해 EFM 변조 회로(38)에 공급된다. EFM 변조 회로(38)로부터의 EFM 변조 신호가 기록 앰프(39)를 통해 광학 헤드(41)에 공급되고,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1 번째 분할 영역 PA21에 기록된다.
계속해서, 제어 회로(45)로부터 키 데이터 K24에 의해 암호화된 키 데이터 K22가 출력되고, 이 키 데이터 K22가 CIRC4 인코더 회로(34)에 공급되어 CIRC4 방식으로 인코드 처리된다. CIRC4 인코더 회로(34)로부터의 인코드 출력으로서의 출력 데이터가 스위치 회로(35) 및 서브코드 인코더 회로(37)를 통해 EFM 변조 회로(38)에 공급된다. EFM 변조 회로(38)로부터의 EFM 변조 신호가 광학 헤드(41)에 의해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2 번째 분할 영역 PA22에 기록된다.
또한, 제어 회로(45)에 의해 스위치 회로(32)가 단자(32b)에 접속하는 상태로 절환되는 동시에, 제어 회로(45)로부터 암호화 회로(33)에 키 데이터 K22가 공급된다. 전술한 방식에 의해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등의 주데이터가 입력 단자(31)를 통해 암호화 회로(33)에 공급되어 키 데이터 K22에 의해 암호화되고, 암호화 회로(3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스위치 회로(32)를 통해 CIRC4 인코더 회로(34)에 공급되어 CIRC4 방식으로 인코드 처리된다. CIRC4 인코더 회로(34)로부터의 인코드 출력으로서의 출력 데이터가 스위치 회로(35) 및 서브코드 인코더 회로(37)를 통해 EFM 변조 회로(38)에 공급된다. EFM 변조 회로(38)로부터의 EFM 변조 신호가 광학 헤드(41)에 의해 제2 주영역 데이터 영역 PA2의 제3 번째 분할 영역 P23에 기록된다.
제어 회로(45)로부터 키 데이터 K24, 더미 데이터 및 영역 P7이 되는 데이터가 소정의 길이 및 순서로 인코더 회로(36)에 공급되어 특수 데이터 형식 또는 CIRC7 방식으로 인코드 처리된다. 인코더 회로(36)로부터의 인코드 출력으로서의 출력 데이터가 스위치 회로(35) 및 서브코드 인코더 회로(37)를 통해 EFM 변조 회로(38)에 공급된다. 이 때, 변조 회로(38)에서는, 도 13의 영역 P47에 기록되는 키 데이터 또는 더미 데이터의 마지막 데이터 심벌이 「92h」가 되도록 변조하는 변조 회로(38)로부터의 EFM 변조 신호가 광학 헤드(41)에 의해 제2 주영역 데이터 영역 PA2의 제4 번째 분할 영역 P24에, 도 13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된다. 그리고,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에 기록되는 서브코드 데이터에는, 제4 번째 분할 영역 P2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면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회로(35)는 제어 회로(45)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단자(35b)에 접속하도록 절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광 디스크(50)에의 데이터 기록이 실행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50)에는, ④항 및 예를 들면 도 13 (A)∼도 13 (B)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주데이터, 키 데이터 및 특수 데이터 등이 각각의 영역에 기록된다. 그리고, 광 디스크(50)가 원반인 때에는, 기록된, 즉 노광된 원반으로부터 스탬퍼를 형성하고, 이 스탬퍼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디스크 기판이 형성된다. 디스크 기판에 Al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막을 피착함으로써 광 디스크, 이 경우에는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가 제작된다.
⑥ 본 발명에 관한 재생 장치
도 15는 ⑤항의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광 디스크(50)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즉, 재생용 광학 헤드(71)에 의해 광 디스크(50)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리고, 이 때, 광 디스크(50)는 스핀들 모터(62)에 의해 소정의 선속도로 회전되는 동시에, 서보 회로(63)에 의해, 포커스 서보나 트래킹 서보 등의 각종 재생을 위한 서보 제어가 실행되고 있다.
광 디스크(50)의 제1 주데이터 영역 PA1의 재생 시에는, 광학 헤드(61)로부터 출력 신호가 재생 앰프(71)를 통해 EFM 복조 회로(72)에 공급되어 복조 처리가 실행된다. 복조 회로(7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CIRC4 디코더 회로(73)에 공급되어 CIRC4 방식의 디코드 처리, 즉 에러 검출 및 에러 정정 처리가 실행되고, 디코더 회로(73)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때, 제어 회로(65)에 의해 스위치 회로(74)가 제어되어 단자(74a)와 접속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CIRC4 디코더 회로(73)에 의해 디코드 처리된 결과, 얻어지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스위치 회로(74)를 통해 출력 단자(75)로부터 장치 외부에 출력된다.
그리고, 이 때, EFM 복조 회로(72)의 복조 출력 데이터 일부가 서브코드 디코더 회로(78)에 공급되어 서브코드 데이터가 추출된다. 이 서브코드 데이터가 시스템 제어 회로(65)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65)는 공급된 서브코드 데이터로부터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제1 번째 분할 영역 PA21∼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즉 어드레스 정보[도 13 (A)]를 얻는다.
광 디스크(50)의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재생 시에는, 먼저, 서브코드 데이터에 따라 제어 회로(65)는 광학 헤드(61)를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에 액세스시키고,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어 EFM 복조 회로(72)에 공급된다. EFM 복조 회로(72)로부터는 도 1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복조되어 출력되고, CIRC4 디코더 회로(73)에 공급된다.
따라서, CIRC4 디코더 회로(73)로부터는 도 1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하는 에러 플래그에 따른 데이터가 출력되지만, 이 에러 플래그에 따른 데이터가 키 데이터 K24의 일부로서 제어 회로(65)에 공급된다. 이 때, CIRC4 디코더 회로(73)에서, 영역 P47의 데이터가 CIRC4 방식에 의해 디코드 처리되고, 그 디코드된 출력 데이터가 추출 회로(77)에 공급되어 키 데이터 K24로 되는 데이터가 추출된다. 추출 회로(77)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가 제어 회로(65)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65)에서, CIRC4 디코더 회로(73)로부터 공급된 에러 플래그에 따른 데이터와, 추출 회로(77)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로부터 키 데이터 K24가 복원된다.
계속해서, 광학 헤드(61)에 의해 광 디스크(50)의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1 번째 분할 영역 PA21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 소프트웨어에 관한 데이터가 판독되고, 판독된 데이터가 EFM 복조 회로(72), CIRC4 디코더 회로(73)에 차례로 공급된다. 이 결과, CIRC4 디코더 회로(73)로부터 재생 소프트웨어에 관한 데이터가 디코드되어 출력 된다. 이 재생 소프트웨어에 관한 데이터가 제어 회로(65)를 통해 복호 회로(76)에 공급된다.
또한, 광학 헤드(61)에 의해 광 디스크(50)의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2번째 분할 영역 PA22로부터 암호화되어 있는 키 데이터 K22가 판독되고, 이 암호화된 키 데이터 K22가 EFM 복조 회로(72), CIRC7디코더 회로(77)에 차례로 공급되어 암호화되어 있는 키 데이터 K22가 디코드되어 출력된다. 디코드된 암호화된 키 데이터 K22는 제어 회로(65)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65)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키 데이터 K22가 키 데이터 K24에 의해 암호가 풀리고, 즉 복호되고, 이 복호된 키 데이터 K22가 복호 회로(76)에 공급된다.
광학 헤드(61)에 의해 광 디스크(50)의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의 제3 번째 분할 영역 PA23으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되고, 판독된 데이터가 EFM 복조 회로(72), CIRC4 디코더 회로(73)에 차례로 공급되어 압축 및 암호화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가 디코드되고, 이 디코드된 데이터가 복호 회로(76)에 공급된다.
복호 회로(76)에서, 이것에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가 제어 회로(65)로부터 공급된 키 데이터 K24 및 재생 소프트웨어에 관한 데이터에 의해, 암호가 해독되고, 즉 복호되고 신장되어, 원래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 데이터가, 제어 회로(65)에 의해 단자(74b)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 회로(74)를 통해 출력 단자(75)로부터 장치 밖으로 출력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 단자(75)로부터는 광 디스크(50)의 제1 주데이터 영역 PA1 및 제2 주데이터 영역 PA2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출력으로서 출력된다.
⑦ 기타
전술에 있어서는, 광 디스크(50)의 제4 번째 분할 영역 P24가 CIRC7 방식에의해 인코드된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P7와, 특수 데이터 형식에 따른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P47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이지만, 트랙 전체를 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와 같이 구성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등을 기록할 수도 있다. 전술에 있어서, 도 13 (A)∼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 CIRC4 방식과 CIRC7 방식의 처리를 역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CIRC4 방식과 CIRC7 방식에 한정하지 않고 인터리브 길이가 상이한 2개의 CIRC 방식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3 (A)∼도 13 (B)에 나타낸 제1 번째 분할 영역 P21∼제4 번째 분할 영역 P24의 위치 및 그 재생 순서는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가 CD 규격에 따른 광 디스크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Mini Disc나 DVD 등으로 할 수도 있고,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번째 분할 영역 PA21∼제4 번째 분할 영역 PA24의 선두에 동기 패턴을 넣어 둠으로써, 판독한 데이터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25)
-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直流)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기록 매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기록 매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되는 데이터는 적어도 암호 키 데이터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암호 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인기록 매체.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는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했을 때 상기 암호 키 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에러 패턴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 중에 배치되어 있는기록 매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더미 데이터인기록 매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매체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기록 매체.
- 기록 매체의 제1 영역에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혼재하여 기록하고,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기록 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는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기록하는기록 방법.
- 제8항에 있어서,적어도 암호 키 데이터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하여 상기 제1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암호 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인기록 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했을 때 상기 암호 키 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에러 패턴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 중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영역에 기록하는기록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더미 데이터인기록 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제2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추가로 기록되어 있는기록 방법.
- 입력된 데이터에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를 포함하는 인코드 처리를 실행하는 제1 인코드 처리부와,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를 포함하는 인코드 처리를 실행하는 제2 인코드 처리부와,상기 제1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공급되고, 상기 제1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에 변조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인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에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변조 처리를 실행하는 변조 처리부와,상기 변조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가 공급되고,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혼재하도록 기록 매체에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부를 구비하고 있는기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2 인코드 처리부는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한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의 어느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에 인코드 처리를 실행하는기록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변조 처리부는 상기 제2 인코드 처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어느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에 상기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변조 처리를 실행하는기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가 혼재하도록 기록을 행하는 기록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암호 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도록 기록하는기록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기록 제어부는 상기 어느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를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했을 때 상기 암호 키 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에러 패턴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 중에 배치되도록 기록하는기록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어느 부호에 의해서도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더미 데이터인기록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가 혼재하도록 기록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기록하는기록 장치.
-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헤드부와,상기 헤드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는 디코드 처리부와,상기 디코드 처리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에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는 에러 정정 처리부와,상기 에러 정정 처리부에 의한 처리 결과에 따라 암호 해독을 위한 키 데이터를 복호하는 생성부와,상기 생성부에 의해 복호된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상기 디코드 처리부의 출력 데이터 암호를 복호하는 복호부를 구비하고 있는재생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키 데이터에 따라 암호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동시에 상기 기록 매체에는 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로 복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에러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키 데이터에 실행되고 있는 암호를 풀기 위한 또다른 키 데이터를 추가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또다른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키 데이터를 복호하는재생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매체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 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헤드부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터를 판독하는재생 장치.
-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와는 상이한 제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복호 가능한 데이터가 혼재하여 기록되어 있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제2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시에 단위 시간당 직류 성분의 누적값이 바이어스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상기 판독된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고,상기 디코드 처리된 데이터에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처리를 실행하고,상기 에러 정정 처리 결과에 따라 암호 해독을 위한 키 데이터를 복호하고,상기 복호된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암호를 복호하는재생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화된 데이터는 상기 키 데이터에 따라 암호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동시에 상기 기록 매체에는 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에러 정정 부호로 복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에러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키 데이터에 실행되고 있는 암호를 풀기 위해 또다른 키 데이터를 추가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또다른 키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키 데이터를 복호하는재생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매체에는 상기 제2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터를 판독하는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146327 | 2002-05-21 | ||
JP2002146327A JP2003338139A (ja) | 2002-05-21 | 2002-05-21 | デジタルデータの記録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送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 |
PCT/JP2003/006258 WO2003098625A1 (fr) | 2002-05-21 | 2003-05-20 | Support d'enregistrement, procede d'enregistrement,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procede de reproduction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8823A true KR20040108823A (ko) | 2004-12-24 |
Family
ID=2954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8430A KR20040108823A (ko) | 2002-05-21 | 2003-05-20 | 기록 매체,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203141B2 (ko) |
JP (1) | JP2003338139A (ko) |
KR (1) | KR20040108823A (ko) |
CN (1) | CN1656557A (ko) |
WO (1) | WO20030986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60898B2 (en) * | 2009-05-14 | 2013-10-15 | Mediatek Inc. | Error correction method and error correction apparatus utilizing the method |
US9559845B2 (en) | 2012-03-01 | 2017-01-31 | Ologn Technologies Ag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secure transmission of media content |
EP2820851A1 (en) | 2012-03-01 | 2015-01-07 | Ologn Technologies AG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secure transmission and restricted use of media content |
US11356122B2 (en) * | 2020-03-13 | 2022-06-07 | Marvell Asia Pte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leaved hamming encoding and decoding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9434A (en) | 1995-12-12 | 1997-12-16 | Hewlett-Packard Company | Method of inhibiting copying of digital data |
JP2000106668A (ja) | 1998-07-31 | 2000-04-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
JP3516142B2 (ja) | 2001-06-12 | 2004-04-05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媒体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記録媒体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データ出力方法並びにデータ復号方法、 |
JP4141175B2 (ja) | 2002-05-14 | 2008-08-27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 |
US7055082B2 (en) * | 2002-10-29 | 2006-05-30 | Victor Company Of Japan, Ltd. |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
-
2002
- 2002-05-21 JP JP2002146327A patent/JP2003338139A/ja active Pending
-
2003
- 2003-05-20 CN CNA038115204A patent/CN1656557A/zh active Pending
- 2003-05-20 KR KR10-2004-7018430A patent/KR200401088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5-20 US US10/511,271 patent/US720314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5-20 WO PCT/JP2003/006258 patent/WO200309862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3338139A (ja) | 2003-11-28 |
US7203141B2 (en) | 2007-04-10 |
CN1656557A (zh) | 2005-08-17 |
WO2003098625A1 (fr) | 2003-11-27 |
US20050226132A1 (en) | 2005-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51317B2 (ja) | データ記録/再生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
WO2001093265A3 (en) | Secure digital video disk and player | |
WO2002089136A1 (fr) | Procede d'enregistrement sur un support d'enregistrement, dispositif d'enregistrement, procede de lecture d'un support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 lecture | |
US7233267B2 (en) | Digital data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cording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production device | |
US7039848B2 (en) |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data determination method | |
US7091887B2 (en) | Modulator, modulation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recordable medium with enhanced security for confidential information | |
US20040170099A1 (en) | Digital data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cording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production device | |
KR20040108823A (ko) | 기록 매체,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장치 | |
US674807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data on and reading data from an optical medium | |
JP3960061B2 (ja) |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 |
JP2004265469A (ja) |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装置 | |
JP3575461B2 (ja) | 記録媒体、記録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再生装置および方法 | |
JP2007527589A (ja) | コピー防止光ディスクのコピー | |
US20060285465A1 (en) | Information recording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reproduc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5021197B2 (ja) |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装置 | |
EP095477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nd for decrypting data arranged in a data sector | |
US20060291357A1 (en) | Information recording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reproduc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JP2003338126A (ja) | デジタルデータの記録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送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 | |
JP2005085400A (ja) |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 |
JP2004127446A (ja) | 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記録再生装置 | |
JP2003281823A (ja) | 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 |
JP2004127447A (ja) | 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記録再生装置 | |
JP2004127448A (ja) | 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記録再生装置 | |
JP2006197606A (ja) | 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信号再生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11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