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614A -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 terminal with individual cyberspa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 terminal with individual cybersp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102614A KR20040102614A KR20030034135A KR20030034135A KR20040102614A KR 20040102614 A KR20040102614 A KR 20040102614A KR 20030034135 A KR20030034135 A KR 20030034135A KR 20030034135 A KR20030034135 A KR 20030034135A KR 20040102614 A KR20040102614 A KR 200401026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server
- web
- user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015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06 function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55 memory stor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Text,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블로그(Blog) 등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와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동기화 시스템은, 유저 단말로부터 생성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왑(WAP) 게이트웨이(Gateway),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로부터 전달 받아 체계적으로 분배하고 관리하는 미디어 서버; 유저 단말의 개별 호(呼: Call)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유저의 입력과 무선이동통신사업자에 대한 정보요청으로 유지 및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어 가입자에 대한 각종 정보가 체계적으로 저장 기록되어 있는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 웹 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을 유저에게 할당하고 웹 상의 유저 할당공간을 갱신 및 관리하는 웹 서버; 및 미디어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 및 웹 서버와 연동되며, 유저단말로부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입자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웹 서버로 데이터 포스팅을 수행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미디어 서버는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고유 어드레스 번호를 할당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arious multimedia data such as text, voice, image, and video generated in a user terminal with a personalized web page such as a blog. The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Media server that receives and distributes multimedia data generated from wireless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exchange, 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or WAP gateway (Gateway), MMSC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 A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that maintains and manages subscriber information on individual calls of user terminals as user requests and information requests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s; A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ubscriber is systematically stored and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 web server which allocates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the web to a user and updates and manages a user allocated space on the web; And a synchronization server interworking with the media server,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the web server, systematically managing multimedia data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based on user information managed by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ing a data posting to the web server. The media server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a unique address number from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저의 단말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Web) 상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와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웹 상의 유저 할당 공간 상으로 실시간 전송 및 관리하며, 이를 무선 인터넷 및 웹을 통하여 활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arious multimedia data such as texts, voices, images, and video generated in a user's terminal with personalized web pages on a web, and in particular, SMS (Short Message Service) and M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in real time on a user allocated space on a web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d using the same through a wireless internet and the web.
또한 본 발명은 유저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보다 지능화된 시스템상에서 체계적이며 계층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유저가 상기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화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data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the user to utilize the data more conveniently by systematically and hierarchically managing various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on a more intelligent system.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 중 대표적인, SMS(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통신 세계화 시스템(GSM)의 규격을 따른 양방향 데이터 무선 호출 서비스로, 단말과 단말간에 최대 160바이트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SMS는 E-mail과 달리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내용전달이 가능하고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신용카드 회사 등의 기업들이 사고를 막기 위해 거래 승인내용을 문자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전자결제 및 전자상거래에까지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In general, a short message service (SMS), which is representative of mobile communication data services, is a bidirectional data radio calling service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globalization system (GSM), and a service for transmitting data at a speed of up to 160 bytes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Say. Unlike e-mail, SM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liver contents at the same time as the time of sending and without the limitation of space and time. In recent years, companies such as credit card companies have been expanding their applications to electronic payment and electronic commerce,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 service that transmits a text of transaction approval to prevent accidents.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는 휴대폰을 통해서 문자를 포함하여 그래픽이나 사진, 음악,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까지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서, 문자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최대 600~700Kbps로 전송할 수 있다. MMS는 향후 3세대 방식의 모바일 메세지 서비스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며 사진 메시지, 동영상카드, 모바일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is a service that allows you to send and receive multimedia data such as graphics, pictures, music, and video, including text through a mobile phone, and can transmit text and multimedia data at a maximum of 600 ~ 700Kbps. MMS is expected to become the core of 3G mobile message service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in various fields such as photo message, video card, and mobile advertising.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SMS나 MMS와 같은 방식을 기존의 단말기간의 통신, 혹은, 서버에서 가입자 단말기 측으로의 단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네트워크와 개인간의 양방향 서비스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아직까지 가입자의 데이터 전송을 지능적으로 시스템 상에서 관리하고 웹 공간에서 활용하는 기술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Many companies use the same method of SMS or MMS to provide one-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existing terminals or the server to the subscriber terminal.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the two-way service business between the network and the individual. There is no technology for intelligently managing data transmission on the system and utilizing it in the web space.
최근에는 개인휴대단말의 광범위한 보급과 더불어 개인휴대단말의 첨단화 및 컨버젼스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개인휴대단말은 소형 PC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텍스트, 음성, 각종 영상 등을 입력하고 생성하며 소정의 처리를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휴대폰만으로도 구현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 휴대단말의 복합 기능화 및 첨단화는 사용자들이 실 생활에서 다양한 욕구를 시간과 공간에 제약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widespread use of personal mobile terminals, the modernization and convergence of personal mobile terminals have been made. The so-called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a small PC,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inputting, generating, and processing predetermined texts, voices, and various images are implemented only by a mobile phone. The complex functionalization and advanced technology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prevents users from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in the real life.
그러나 실제로는 개인휴대단말의 비약적인 기술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개인휴대단말로 생성한 각종 데이터를 개인이 보다 편리하게 관리 및 활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 및 불편함이 있다. 개인휴대단말의 특성상 시·공간적 제약 없이 데이터를 수집, 획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개인휴대단말 자체의 자원을 이용한 관리 및 활용 보다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 상에서 활용하거나 또는 대형 저장공간을 구비한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옮겨와서 활용하는 방안이 현재로서는 보편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유선 통신망 또는 제약적인 무선 통신망으로 옮겨와서 사용하여야 하는 제약이 따르며, 데이터를 다시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즉시성 및 별도의 관리라는 면에서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개인휴대단말을 이용한 데이터의 다각적인 활용 측면에서도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However, in reality, despite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personal portable terminals, there are many problems and inconveniences in managing and utilizing various data generated by personal portable terminals more conveniently. In order to collect, acquire, and systematically manage and utilize data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mobile terminals, it is possible to utilize on a web or through a large storage space through a network rather than managing and using resources of a limited personal mobile terminal itself. At present, the method of moving data to the system is universal. However, the existing method has a limitation to use it after generating data and transferring it to a wired network or a limited wireless network, and in case of storing and using the data again systematically, in terms of immediateness and separate management. Discomfort occurs.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various uses of data using personal mobile terminals.
최근 웹 상에서는 웹로그(Weblog) 또는 블로그(Blog)라고 하여 기존 인터넷 사이트의 복잡한 회원가입이나 인터넷 Database 관리, 홈페이지 작성 등의 어려운 운영기술 절차를 요구하지 않으며, 누구나 쉽게 개인화된 웹 페이지를 갖고 자신의 각종 정보를 Text, 또는 그래픽 방식으로 개진할 수 있는 환경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Blog란 Weblog의 줄임말로서, 보통 사람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칼럼과 일기, 취재기사 등을 올리는 개인화된 웹 사이트를 일컫는다.Recently, the Weblog or Blog is not required for complicated membership of existing Internet sites, Internet database management, and difficult operating technology procedures such as homepage creation. An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a text or graphic manner is widely used. Blog is an abbreviation of Weblog. It is a personalized web site where ordinary people can freely post columns, diaries, and articles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상기 Weblog 또는 Blog는 인터넷 상의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라고 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개인 홈페이지에서 더 나아가 개인 미디어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마치 노트를 차곡차곡 정리하는 듯한 방식으로 보다 쉽게 개인화된 웹 페이지에 접근하여 자신의 기억 저장고에 각종 실시간 정보들을 그때마다 체계적이고 빠르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eblog or Blog may be referred to as a new type of media on the Internet, and is used as a space for personal media further from the existing personal homepage.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access various personalized web pages more easily in a way that is like organizing notes on a regular basis and to store various real-time information in their own memory storage at any time.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의 첨단화 및 다기능화와 함께, 이를 통하여 생성된각종 개인정보를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지능화된 시스템에 전달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Web상의 Blog 등의 개인화된 가상공간과 동기화하여 보다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각종 생성 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dvanced and multi-functional personalized mobile terminal, delivers th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is to the intelligent system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synchronize with the personalized virtual space, such as Blog on the Web It is to more conveniently utilize various generated information in real time.
본 발명은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 상의 가상공간, 특히 개인화된 웹 페이지와 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arious multimedia data generated in a user terminal with a virtual space on the web, particularly a personalized web page.
특히 무선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유저 단말과 동기화 시스템간의 SMS, MMS 등의 데이터 전송방식을 활용하여 상기 동기화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동기화 시스템상에서 체계적, 계층적으로 저장, 관리하여 웹 서버상의 Blog 등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 공간상에서 데이터를 관리, 조회 및 갱신하도록 하여 유저 또는 제 3자가 유·무선 인터넷으로 상기 개인화된 가상 공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articularly, various multimedia data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re transmitted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by us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such as SMS and MMS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ynchronization system, and stored systematically and hierarchically on the synchronization system. To manage, inquire, and update data in a personalized web page space, such as a blog on a web server, so that a user or a third party can access the personalized virtual space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to utilize the data. do.
또한 본 발명은 유저 단말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보다 지능화된 시스템상에서 체계적이며 계층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유저가 상기 데이터를 시·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화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ystematically and hierarchically manage a variety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 more intelligent system, an intelligent data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the user to utilize the data more conveniently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ynchron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미디어 서버에서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조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database in which data is recorded in the media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5: 동기화 시스템105: synchronization system
401: 미디어 서버401: media server
403: 가입자 관리 서버403: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5: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05: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407: 동기화 서버407: synchronization server
409: 웹 서버409: web ser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단말로부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 서버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과 동기화하는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한 유저단말, 무선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시스템 및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동되며, 유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웹 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과 동기화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로부터 생성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왑(WAP) 게이트웨이(Gateway),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로부터 전달 받아 체계적으로 분배하고 관리하는 미디어 서버; 유저 단말의 개별 호(呼: Call)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유저의 입력과 무선이동통신사업자에 대한 정보요청으로 유지 및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어 가입자에 대한 각종 정보가 체계적으로 저장 기록되어 있는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 웹 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을 유저에게 할당하고 갱신 및 관리하는 웹 서버; 및 미디어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 및 웹 서버와 연동되며, 유저단말로부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입자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웹 서버로 데이터 포스팅을 수행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synchronizing multimedia data generated from a user terminal with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a web server includes a user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multimedia data and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system and a system for interworking with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ible by an external user and synchronizing data transmitted from a user with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the web, wherein various multimedia data generated from a user terminal are exchanged by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 media server receiving from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or WAP (Gateway) gateway,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MMSC), and systematically distributing and managing it; A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that maintains and manages subscriber information on individual calls of user terminals as user requests and information requests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s; A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ubscriber is systematically stored and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 web server for allocating, updating, and managing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a web to a user; And a synchronization server interworking with the media server,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the web server, systematically managing multimedia data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based on user information managed by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ing a data posting to the web server. It is configur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단말로부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 서버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과 동기화하는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가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고유 어드레스 번호를 할당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ystem for synchronizing multimedia data generated from a user terminal with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a web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a server is assigned a unique address number from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정보를 개인화된 웹 페이지와 동기화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한 유저단말, 무선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서비스 시스템 및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동되며, 유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웹 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과 동기화시키는 시스템상에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정보를 웹 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과 동기화 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정보를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동기화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에서 전송받는 데이터 전송 단계; 동기화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에서 데이터 전송 단계를 통하여 전송 받은 데이터는, 가입자 관리 서버의 가입자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관리되는 데이터 관리 단계; 동기화 서버의 데이터 관리 단계를 통해서 미디어 서버에서 저장 및 관리 되는 데이터를 동기화 서버와 연동된 웹 서버로 포스팅을 요청하는 데이터 포스팅 요청 단계; 및 포스팅을 요청 받은 웹 서버는 가입자 관리 서버의 가입자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유저의 할당된 가상공간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synchronizing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with a personalized web page, a user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multimedia data, a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user A method of synchronizing information generated in a user terminal with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the web throug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system that synchronizes data transmitted from a user with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the web, interworking with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essible from the outside. A data transmission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 user terminal from a media server of a synchronization system throug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step in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the data management step of systematically database-managed in the media server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 data posting request step of requesting a posting of data stored and managed by the media server to a web server linked to the synchronization server through a data management step of the synchronization server; And a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and updating data in the user's allocated virtual space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ystem and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용어의 정의1. Definition of terms
본 명세서 상에서 동기화란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개인화된 웹 페이지 등의 가상 공간상에서 서로 다른 통신 루트를 통하여 누구든지 동시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보 활용을 위한 데이터 저장 및 관리측면에서 동기화를 의미한다.Synchroniz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synchronization in terms of data storage and management for information utilization that anyone can access and use various multimedia data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different communication routes in a virtual space such as a personalized web page. do.
또한, 본 명세서 상의 동기화 시스템이란 상기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화된 물리적 구성요소의 집합을 말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system herein refers to a set of organized physical components for achieving the synchronization.
또한, 본 명세서 상의 동기화 방법이란 상기 데이터의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한 유저 및 통신서비스 업체와 상기 동기화 시스템의 일련의 체계적인 알고리즘을 말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method herein refers to a series of systematic algorithms of a user and a communication service company and the synchronization system for achieving synchronization of the data.
2. 전체 시스템2. Complet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의 전체 구조는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입자(101) 측과 무선이동통신망을 운영하는 이동통신사업자(103) 측 및 본 발명에 따른 유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개인화된 웹 페이지간에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기화 시스템 사업자(105) 측으로 나뉘어진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bscriber 101 side generating various multimedia data, the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103 side operating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s multimedia data and persona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vided into a synchronization system provider 105 that provides a synchronization service between the web pages.
본 서비스의 유저(101)인 상기 무선이동통신망 가입자는, 무선이동통신망과 접속이 가능하며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 유저 단말로 구성된다.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r, which is the user 101 of the service, is composed of a user terminal that can connect to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cludes means for generating various multimedia data.
유저(101)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각종 데이터를 동기화 시스템상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가 가입한 해당 이동통신사업자(103)의 시스템 교환기 및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등을 통해서 생성 데이터를 동기화 시스템(105)으로 전송한다. 동기화 시스템(105)에서는 미디어 서버 및 동기화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 웹 서버 등이 구비되어 유저(101)로부터 전송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저장 및 관리하고, 또한 웹 서버에서는 개인화된 웹 페이지 등의 개인 가상공간상으로 데이터의 저장 및 갱신 등을 수행한다. 또한, 가입자(101) 또는 제 3자가 상기 개인화된 웹 페이지상으로 저장 및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는 이동통신사업자(103)가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WAP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하여 왑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를 조회, 갱신, 관리 및 각종 활용을 하며, 유선 인터넷 망을 활용하여 웹 서버로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user 101 wants to transmit various data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103 to which the user subscribes and The genera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through the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MMSC), the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and the like. 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is provided with a media server, a synchronization server, a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 web server, and the like to receive, store and manage various multimedia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101. Also, the web server provides a personalized web page or the like. Store and update data in a personal virtual space. In addition, when the subscriber 101 or a third party wants to utilize the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on the personalized web page, the subscriber 101 or the third party accesses the swap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WAP gateway provided by the mobile service provider 103. It is possible to query, update, manage and utilize the data, and to access a web server using a wired Internet network.
이하 상기 전체 시스템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entir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3. 유저 단말(개인휴대단말)(101)3. User termin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1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단말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수단을 구비하며, 각종 멀티미디어의 생성이 가능한 기기를 지칭한다.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various multimedia.
상기 유저 단말로는 무선이동통신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이동통신망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는 셀룰러 폰, PCS, CDMA폰, GSM폰, IMT2000 등의 휴대단말, PDA 등이 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means for generat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data and for interfacing wit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cellular phones, PCS, CDMA phones, GSM phones, portable terminals such as IMT2000, PDAs, and the lik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유저 단말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 단말은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의 데이터 생성이 가능한 데이터 생성수단(201),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하며 각종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generating means 201 capable of generating data such as text, voice, image, video, etc., a network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input data on a network and receiving various data.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part 203.
상기 데이터 생성수단(201)은, 문자 등의 Text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등의 Text입력수단, 음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 등의 음성입력수단, 화상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CCD 카메라, 웹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또는 캠코더 등의 화상 이미지입력수단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종래 개인휴대단말이 구비하고 있는 수단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ata generating means 201 may include text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for inputting text information such as text, voice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for inputting voice information, a CCD camera capable of inputting an image image, Image image input means such as a web camera, a digital camera or a camcorder. Since this is a means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상기 데이터 생성수단(201)을 통하여 유저의 개인휴대단말로 입력된 Text,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데이터통신수단에 해당된다.The network interface 203 transmits various multimedia data such as text, voice, image, video, etc. input to the user's personal mobile terminal through the data generating means 201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ystem throug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 mean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 단말에는 모바일 플랫폼(20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 플랫폼(207)이란 모바일 상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로서, 웹 브라우저, VOD 플레이어, BREW 등의 플랫폼과 GVM 등의 VM(Virtual Machine)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Also,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obile platform 207. The mobile platform 207 is a module for implementing various applications on a mobile. The mobile platform 207 includes a web browser, a VOD player, a platform such as a BREW, and a virtual machine (VM) such as a GVM.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서 월드 와이드 웹 정보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 기능을 말하며, 브라우저 자체에는 인터넷 접속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윈도즈 등의 인터넷 접속용 소프트웨어가 설정되어 있기만 하면 브라우저의 기동만으로 전세계 웹 서버에 있는 홈 페이지 등에 접속이 가능하다.A web browser is an application function used to retrieve information about the World Wide Web from the Internet. The browser itself does not include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You can access the home page on the server.
모바일 플랫폼 상에 구성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는 기존 유선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와 달리 메모리의 용량과 무선 데이터 통신의 특징을 고려하여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UP, ME 등이 사용된다.Unlike the web browser used for the wired Internet connection, the web browser configured on the mobile platform uses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UP, ME, etc. in consideration of memory capacity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은 유선 인터넷 브라우저인 Explorer와 비슷한 기능을 LCD와 메모리 용량의 한계가 있는 이동 단말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처리 데이터량을 간략화한 프로토콜이다. 사용언어로는 무선 단말의 제한성과 낮은 대역폭을 갖는 이동통신에 적합한 WML(Wireless Markup Language)를 사용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기반을 두고 있다.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은 무선 데이터통신, 문자메시지(SMS) 등에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안전한 응용과 통신, 계층적이고 확장 가능한 구조, 단말기 지원의 효율적인 사용인 최적화 등의 범용성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표준이 되고 있다.The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is a protocol that simplifies the amount of data to be processed in order to implement a function similar to the wired Internet browser Explorer in a mobile terminal with limited LCD and memory capacity. The language used is based o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using WML (Wireless Markup Language) suitable for mobile communication with limited bandwidth and low bandwidth.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can also be implemented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text messaging (SMS), etc., and because it is aimed at versatility such as secure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hierarchical and extensible structure, and efficient use of terminal support, It is becoming the standard for Internet services.
상기 유저 단말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는 음성, 문자,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유저단말의 인터페이스부(203)를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반적인 구조는 헤더와 데이터부로 구성된다. 헤더는 각 데이터 필드의 크기, 전체 데이터 패킷의 크기, 해당 데이터 필드의 압축방식 및 데이터 구성에 관한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데이터부는 Text정보, 음성정보,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데이터 전송자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데이터가 구성된다The data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may be data such as voice, text, image, video, etc.,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3 of the user terminal. The general structure of multimedia data consists of a header and a data portion. The header represen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each data field, the size of the entire data packet, the compression scheme of the corresponding data field, and the data configuration. The data portion is composed of any one of text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the data is configured by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a data sender.
4. 이동통신서비스제공자 시스템(103)4.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ystem (103)
이동통신서비스제공자는 서비스 가입자에게 무선이동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가입자가 목적하는 상대방과의 통화연결 서비스 또는 무선데이터통신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유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동기화 요구에 대한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역할 측면을 중심으로 그 구조 및 기능을 살펴본다.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e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to a service subscriber, manages subscriber information, and provides a call connection service or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with a target party.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role aspec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for the multimedia data synchronization request of the us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망 교환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SMS센터(SMSC),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위한 MMS센터(MMS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witch, a 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 (DB), an SMS center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C), and an MMS center for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상기 이동통신망 교환기는 가입자의 음성 데이터를 가입자로부터 전달 받아 동기화 시스템(105)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 가입자가 전송한 데이터가 Text 정보인 경우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WAP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서 동기화 시스템(105)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된다. 또한, 가입자가 전송한 데이터가 이미지, 동영상 등인 경우는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를 통해서 동기화 시스템(105)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witch receives the subscriber's voice data from the subscriber and transmits it to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When the data transmitted by the subscriber is text informatio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through the 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or the WAP gateway (Gateway). In addition, when the data transmitted by the subscriber is an image, a video, or the like,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through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MMSC).
이와 같이,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 시스템은 유저가 전송한 데이터를 해당 채널을 통하여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As suc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ystem plays a role of relaying data transmitted by a user through a corresponding channel.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는 상기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 받는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 및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로는 이동전화가입자 전화번호, 가입자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신용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동기화 시스템(105) 상의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어, 동기화 시스템의 요청에 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가입자의 Validation을 check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 (DB)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service use and management of subscribers provid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ields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 may include a mobile subscriber's telephone number, a subscriber's name, a social security number, an address, and a credit rat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 may be used to check the validation of the subscriber, such as interworking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on 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and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5. 동기화 시스템(105)5. Synchronization System (105)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105)은 유저 단말(101)에서 생성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웹 상에서 개인화된 웹 페이지 등의 개인 가상공간(cyberspace)과 동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synchronizing various multimedia data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101 with a personal cyberspace such as a personalized web page on the web.
동기화 시스템(105)의 개략적인 구성은, 이동통신사업자 시스템의 교환기 및 MMSC, SMSC 또는 WAP 게이트웨이로부터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 받는 미디어 서버(301), 유저 단말의 개별 호(呼: Call)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유저의 입력과 이동통신사업자에 대한 정보요청으로 유지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303),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303)와 연동되어 가입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305), 전송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웹 서버(315)로 데이터 포스팅을 하는 동기화 서버(307), 및 유저의 개인화된 가상공간을 유저 개인에게 할당하고 상기 웹 상의 유저 할당공간을 갱신 및 관리하는 웹 서버(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105 includes a subscriber of individual call of a user terminal and a media server 301 which receives various multimedia data from an exchange of a mobile service provider system and an MMSC, SMSC or WAP gateway. A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303 that maintains information as a user's input and a request for information to a mobile service provider, a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305 that interworks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303 to store and manage various information about subscribers, Synchronization server 307 that systematically manages the transmitted multimedia data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posts data to web server 315, and allocates the user's personalized virtual space to the user and the user's allocated space on the web.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b server 315 for updating and manag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ynchron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미디어 서버(301)(1) Media server (301)
미디어 서버(301)는 유저 단말로부터 생성된 Text,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교환기 및 SMSC, MMSC로부터 전달 받아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배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dia server 301 receives various multimedia data such as text, voice, image and video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exchan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SMSC, MMSC and systematically distributes and manages the data according to the data type. Do this.
Text 데이터의 경우는 SMSC 또는 WAP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미디어 서버(301)로 전송되며, 이를 전송받은 미디어 서버(301)는 이에 대한 프로토콜에 해당하는처리를 수행하는 모듈을 통해서 이를 처리하고 관리한다.In the case of text data, the media server 301 is transmitted to the media server 301 through the SMSC or the WAP gateway, and the media server 301 that receives the text data is processed and managed through a module that performs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protocol.
음성 데이터의 경우는 별도의 교환 센터를 통하지 않고 유저 단말로부터 미디어 서버(301)간의 채널이 설정되어 해당 음성 처리 모듈을 통해서 이를 처리하고 관리하며 해당 음성 통화 기록이 음성 처리 모듈에 기록된다.In the case of voice data, a channel between the media server 301 is set up from the user terminal without processing through a separate exchange center, and the voice data is processed and managed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module, and the voice call record is recorded in the voice processing module.
이미지 또는 영상 데이터의 경우는 MMSC를 통해서 미디어 서버(301)로 전송되며, 이를 전송 받은 미디어 서버(301)는 이에 대한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모듈을 통해서 해당 이미지 또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한다.In the case of image or video data, it is transmitted to the media server 301 through MMSC, and the received media server 301 processes and manages the corresponding image or video data through a module performing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protocol. do.
상기 미디어 서버(301)는 따라서 WAP, SMS, MMS 등의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데이터에 대한 통신 및 처리가 모두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은 통합 서버 형태로 구축되어 데이터의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통신 및 처리 모듈을 따로 구비하며, 이를 통합 관리하는 모듈을 별도로 구성하여 서버가 구성될 수도 있다.The media server 301 is thus capable of both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for data having different protocols such as WAP, SMS, and MMS, and such a function is constructed in an integrated server form to process data or each A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module corresponding to the protocol is separately provided, and a server may be configured by separately configuring a module for manag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상기 미디어 서버(301)에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처리되고 관리되는 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서버에서 관리된다.Data processed and manag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the media server 301 is database-managed and managed in the server as shown in FIG. 3.
도 4는 유저 단말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가 구조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database in which various data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re structurally databased and managed.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로는 미디어 서버(301)에서 자체적으로 관리 및 후속 처리를 위하여 붙이는 Serial No 필드(401),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유저 단말의 이동전화 등의 가입자 번호에 해당하는 필드(403), 데이터를 전송받아 서버에 기록된 시간 필드(405), 전송된 데이터의 타입 필드(407) 및 데이터 청크(Chunk)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구조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동기화 서버(307)에서 웹 서버(315)로 포스팅되고, 웹 서버(315)상에서 직접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고 관련 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데이터가 웹 서버상에서 조회 및 활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 데이터가 전송되어 웹 서버로 저장될 수도 있지만, 데이터의 손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정보만 웹 서버에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elds of the database include a Serial No field 401 attached to the media server 301 for management and subsequent processing by itself, a field 403 corresponding to a subscriber number such as a mobile phone of a user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data, It is composed of a time field 405 received from the data and recorded in the server, a type field 407 of the transmitted data, and a data chunk. The database structurally stored in the media server is posted from the synchronization server 307 to the web server 315, and the data is not stored directly on the web server 315, but the data is exchanged on the web server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ress information about related data. Inquiry and utilization. In some cases, data may be directly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web server. However, in order to prevent data loss, it is preferable to have only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web server.
Serial No 필드(401)는 본 동기화 시스템 상의 데이터 고유 번호가 되며, 전송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구분하고 식별하기 위한 일련번호이다.The Serial No field 401 becomes a data unique number on the present synchronization system, and is a serial number for identifying and identifying the transmitted data on its own.
가입자 식별 필드에 해당하는 가입자 이동전화번호(403)는 데이터를 전송한 유저 단말의 무선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 번호에 해당한다.The subscriber mobile phone number 403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field corresponds to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number of the user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data.
시간 필드(405)는 데이터가 전송되어 동기화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301)상에 기록되는 시간에 해당하는 필드로서, 년, 월, 일, 시, 분, 초의 단위까지 기록된다.The time field 405 corresponds to a time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orded on the media server 301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The time field 405 is recorded in units of years, months, days, hours, minutes, and seconds.
데이터 타입 필드(407)는 유저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Text, 음성,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중 어떤 타입의 데이터인지 규정하는 필드에 해당한다.The data type field 407 corresponds to a field that defines which type of data is text, voice, audio, image, or video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데이터 포맷 필드(409)는 유저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파일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에서는 WAV 파일 타입의 오디오 데이터를 그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만일 이미지일 경우는 GIF, JPEG 등의 포맷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이 필드에 기록된다. Text일 경우에는 Text 포맷을 기록할 수 있으며, 그 Text 내용 자체가 기록될 수 도 있다. 이는 SMS로 전송하는 Text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일정공간을 할당해 둔다면 무리 없이 Text데이터를 기록해두는 것이 가능하다.The data format field 409 indicates a file format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 FIG. 4, audio data of the WAV file type is shown as an example. If it is an image, it can be in the format of GIF, JPEG, etc. and the content is recorded in the field. In the case of text, the text format can be recorded, and the text content itself can be recorded. Since the text to be sent by SMS is limited,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text data without difficulty if a certain space is allocated.
데이터 청크(Chunk) 필드(417)는 데이터의 흐름을 유도하고, 실제 데이터를 구성하는 필드에 해당한다. 청크(Chunk)에는 자신을 식별하는 ID와 다음 블록의 위치를 서술하고 있으며, 청크 포인터는 바이트 단위로 현재 자신의 청크의 위치에 상대적인 위치로 기록되어 저장되어 있다.The data chunk field 417 induces the flow of data and corresponds to a field constituting actual data. The chunk describes the ID that identifies itself and the location of the next block, and the chunk pointer is recorded and stored relative to the location of the current chunk in bytes.
상기에서는 음성 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Text, 이미지,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기록 저장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voice dat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databas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ultimedia data such as text, images, and moving images are recorded and stored.
(2)가입자 관리 서버(403)(2)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가입자 관리 서버(403)는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가입자의 Validation request를 상기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요청하여, 그에 따른 서비스 요청자의 진위 정보를 전달 받는 등의 가입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의 가입자 정보 입력과 상기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각종 정보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제공받아 각종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403)는 동기화 서버(407) 및 웹 서버(415)와 연동이 되며, 동기화 서버(407)가 가입자 관리 서버(403)내의 가입자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로부터 전송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고, 웹 서버(415)가 가입자 관리 서버(403)내의 가입자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가입자의 웹 서버(415) 상의 해당 가상 할당 공간 내에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갱신 및 해당 유저(가입자) 및 제 3자가 활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interoperates with a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requests a validation request of a subscriber requesting a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thus authenticity information of the service requester. Subscriber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receiving a. In addition, the user input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user who uses the service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ubscrib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variou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maintains and manages the various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atabase .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is interlocked with the synchronization server 407 and the web server 415, and the multimedia server 407 transmits various multimedia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 The web server 415 stores and manages the multimedia data in the corresponding virtual allocation space on the web server 415 of the subscriber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and updates the web server 415. And a function for use by a corresponding user (subscriber) and a third party.
(3)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05)(3)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405)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405)는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403)와 연동이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최초 가입자 정보 입력과 상기 유저의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각종 정보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기록 저장된다.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405 is interlocked with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the first subscriber information input of the user us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quests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s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response thereto The information of the service subscriber corresponding to the database is recorded and stor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의 CRM 모듈을 통하여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각종 서비스 이용에 관한 CRM 모듈를 필드로 구성하여 기록 저장한다.Preferably, through the CRM module of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 CRM module relating to the use of various services for the synchronization service is stored in a field.
(4)동기화 서버(407)(4) Synchronization Server (407)
동기화 서버(407)는 상기 미디어 서버(401), 가입자 관리 서버(403) 및 웹 서버(415)와 연동이 되며, 상기 미디어 서버(401)에서 통합 관리되는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403)를 통하여, 동기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유저의 가입자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하고, 유저 개인의 개별 가상 공간이 존재하는 웹 서버(415)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스팅을 요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ynchronization server 407 is linked with the media server 401,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and the web server 415, and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stores various multimedia data integrated in the media server 401. By managing the multimedia data more systematically,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requesting the synchronization service, and requesting the posting of the multimedia data to the web server 415 where the individual virtual space of the user exists Perform the function.
(5)웹 서버(315)(5) web server (315)
웹 서버(315)는 유무선 인터넷 망으로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며, 동기화 시스템 상의 상기 동기화 서버(307) 및 가입자 관리 서버(303)와 연동이 되어, 상기 동기화 서버(307)로부터 유저 단말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스팅 요구에 응하여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303)의 가입자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 개인의 개별 가상 공간이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갱신한다. 이 때, 상기 저장되는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미디어 서버(301) 상의 데이터가 구조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주소 정보가 기록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가 링크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데이터가 웹 서버(315)상으로 직접 저장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링크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웹서버(315)상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b server 315 may be externally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interlocked with the synchronization server 307 and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303 on the synchronization system, and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synchronization server 307.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posting the transmitted multimedia data, the multimedia data is stored and updated in a location where an individual virtual space of a user exists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303. At this time, the stored data is recorded with the corresponding address information of the database in which the data on the media server 301 described above is structurally stored, through which the data is linked. In some cases, actual data may be directly stored on the web server 315.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data loss, location information of data corresponding to link information is preferably recorded on the web server 315.
또한, 유저는 웹(WEB) 또는 왑(WAP)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웹 서버로 접근하여 유저 또는 타인의 개별 가상 공간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access the web serv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eb (WEB) or WAP (WAP) to utilize the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virtual space of the user or others.
상기 웹 서버(315)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은 개인 홈페이지, 블로그(Blog) 등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 등이 해당될 수 있다.The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the web server 315 may correspond to a personalized web page such as a personal homepage or a blog.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유저 단말에서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315)상의 개인 가상공간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storing multimedia data generated in a user terminal as a personal virtual space on the web server 31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6. 동기화 방법6. Synchronization metho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엇보다 본 동기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유저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전에 동기화 시스템에 소정의 가입절차를 받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유선 인터넷을 이용한 웹 서버로 가입 절차를 받는 것과 동일하며, 이와 같은 소정의 가입절차를 통해서 사전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며, 가입자에게 웹상의 개인 가상공간을 할당한다.Above all, a user who wants to receive a synchroniz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synchronization system receives a predetermined subscription procedure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in advance using the Internet. This is generally the same as receiving a subscription procedure with a web server using the wired Internet. Through this predetermined subscription procedure, a database of information about a pre-subscriber is databased, and a personal virtual space on the web is allocated to the subscriber.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사전 가입단계에서, 가입자의 가입정보 입력시 유저 단말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와 같은 인증 번호를 가입자의 유저 단말로 전송받아 이를 웹에서 제 입력하는 입력절차를 수행하도록 하여, 가입자의 유저 단말과 본 동기화 시스템 간의 사전 동기화 작업 및 가입자의 허위정보 입력을 방지하는 진위 체크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in the pre-subscription step, when generating the subscriber's subscription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such an authentication number is received by the subscriber's user terminal to perform an input procedure of re-entering it on the web. In addition, a pre-synchronization operation between the subscriber's user terminal and the present synchronization system and authenticity check may be performed to prevent the subscriber from inputting false information.
또한, 동기화 시스템의 가입자 관리 서버(403)에서는 휴대단말 각 호(呼: Call)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입력 및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 받아 자체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유저 정보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403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receives subscriber information for each call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ubscriber's input and the database of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establishes its own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and establishes user information. Keep it.
본 발명의 동기화 시스템은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특정번호를 할당 받는다. 이를 통해 유저가 동기화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개인 대 개인간의 무선이동통신서비스를 통한 SMS, MMS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과 유사하게 유저가 동기화 시스템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개인과 개인 간의 SMS 개념과 달리 개인과 서버 간의 SMS 개념에 해당한다. 즉, 동기화 시스템의 서버는 개인 유저와 마찬가지로 특정 이동통신 호출번호를 할당함으로써 마치 개인 유저에게 SMS, MMS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저가 서버로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할 수 있다. 상기에서, 특정 이동통신 호출번호는 다수의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에 따라 각각 별개의 어드레스 번호가 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고유한 번호가 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SMS, MMS 시스템에 따라서도 서버 고유번호가 달라지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의 고유번호가 할당될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서비스를 제공받는 유저가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서버는 하나의 고유한 어드레스 번호가 할당된다.The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igned a specific number from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rough this, when the user wants to transmit data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the user can transmit the data by calling the synchronization system similarly to the data transmission using SMS and MMS through th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is is equivalent to the SMS concept between a person and a server, unlike the SMS concept between a person and a person. That is, the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may assign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call number like the individual user, so that the user may request the data transmission to the server as if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user using the SMS and MMS system.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call number may be a separate address number according to a plurality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or may be a unique number. In some cases, depending on the SMS and MMS system, the server unique number may be different or one unique number may be assigned. However, preferably, the server is assigned a unique address number so that the user who is provided with the service can use the service more conveniently.
동기화 시스템의 서버가 고유번호가 할당되고, 가입자가 사전에 웹상에서 소정의 가입절차를 거쳐 가입자 기초 정보가 생성되면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한다.When a server of a synchronization system is assigned a unique number, and a subscriber is previously created through a predetermined subscription procedure on the web, subscriber basic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유저는 단말상에 구비된 각종 데이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Text, 음성,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단말로 입력한다(S501).The user generates text, voice, image, or video data through various data input means provided on the terminal and inputs it to the terminal (S501).
Text 생성은 휴대 단말에 마련된 키 패드, 광학 문자 읽개(OCR) 등의 문자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생성한다. 이는 개인적인 일상사, 메모, E-mail, 일정 관리, 기사, 저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저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인터넷 상에 글을 게시하듯이 자유로운 Text 문장 편집을 행하고 이를 후술하는 동기화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과 동일하게 언제 어느 곳에서든지 개인 웹 페이지 상으로 전송하여 저장 및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ext generation is generated through character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ersonal daily history, memo, e-mail, schedule management, articles, journals, etc., and edit free text sentences as users post on the Internet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By sending to a synchroniz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store, save and utilize on a personal web page anytime, anywhere, just like posting on an Internet bulletin board.
음성 데이터 생성은 유저 단말에 마련된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생성되며, 이는 일반 통화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마치 음성 사서함을 이용하듯이 동기화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저장 관리된다.Voice data generation is generated through a voice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which is transmitted to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and stored and managed as if using a voice mailbox as in a general call service.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은 유저 단말에 마련된 CCD 카메라, 광 센서, 웹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이미지 데이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생성한다.The image data is generated through image data input means such as a CCD camera, an optical sensor, a web camera,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동영상 데이터의 생성은 유저 단말에 마련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동영상 데이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생성한다.The video data is generated through video data input means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camcorde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상기 Text, 음성, 이미지, 동영상 데이터는 개별적인 데이터 형태로 생성되거나 또는 각각의 조합에 의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가 합쳐진 음성 이미지 데이터, 음성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가 합쳐진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사항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된 기존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과 관련된 내용은 생략한다.The text, voice, image, and video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individual data or multimedia data by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voice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voice image data in which image data is combined, multimedia data in which voice data, text data, and video data are combined, and the like. . Since this matter corresponds to the existing technology related to multimedia data,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the multimedia data will be omitted below.
유저는 상기 데이터 생성 단계를 통하여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화 시스템의 서버 상에서 할당된 특정 호출 번호로 데이터를 전송을 요청한다.The user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to the specific call number assigned on the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for the multimedia data generated through the data generation step.
무선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는 해당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대하여,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유저의 단말에서 생성된 해당 데이터를 동기화 시스템으로 연결한다.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onnects the corresponding data generated at the user's terminal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Text 데이터의 경우는 SMS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또는 WAP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text data,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using an SMS system or through a WAP.
음성 데이터의 경우는 유저와 동기화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간에 설정된 음성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는 일반 통화 채널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voice data,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voice channel set between the user and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This corresponds to a normal call channel.
이미지 및 동영상 데이터의 경우는 MMS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송이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image and video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using an MMS system.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생성된 Text,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기화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에서 수신(S505)되고, 동기화 시스템의 동기화 서버는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유저의 가입자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S507). 유저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미디어 서버상에서 저장 관리된다. 이 때, 상기 동기화 서버는 웹 서버, 가입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어 미디어 서버상에서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ultimedia data such as text, voice, image, and video generated from the user terminal are received by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S505), and the synchronization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receives the received data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data transmission. Systemically manage the multimedia data (S507). 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s built into the database shown in FIG. 4 and stored and managed on the media server. At this time, the synchronization server interworks with a web server and a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to perform a function of systematically storing and managing data on the media server.
또한, 상기 동기화 시스템의 상기 동기화 서버는 가입자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유저 각각에게 할당된 개별 가상 공간이 존재하는 웹 서버상의 해당 위치에 상기 전송 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의 포스팅을 요청한다(S509).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queries the subscriber management database managed by 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requests posting of the transmitted multimedia data file to a corresponding location on a web server where an individual virtual space allocated to each user exists. (S509).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동기화 서버로부터의 해당 파일의 포스팅 요청에 대하여 해당 유저의 할당 공간상에 요구 받은 파일을 저장하여 웹상의 개인 가상 공간을 갱신한다(S511).The web server updates the personal virtual space on the web by storing the requested file in the user's allocation space in response to a posting request of the file from the synchronization server (S511).
상기에서 웹상의 개인 가상 공간이란, 웹 서버에서 유저 별로 할당된 네트워크 상의 개인 할당 공간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개인 웹 사이트, FTP 사이트, 개인화된 웹 페이지 등이 될 수 있다. 개인화된 웹 페이지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로그(Blog) 등을 의미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ersonal virtual space on the web means a personal allocation space on the network allocated to each user in the web server, and specifically, may be a personal web site, an FTP site, or a personalized web page. The personalized web page means a blog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유저는 상기 웹 서버로 접근하여 웹 서버에 포스팅 된 각종 데이터를 조회, 관리, 갱신한다.The user accesses the web server and inquires, manages and updates various data posted to the web server.
유저가 웹 서버로 접근하는 루트는 WAP 방식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루트와, 유선망을 통하여 접근하는 유선 접근 루트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유저는 웹 서버상의 가상공간을 할당 받은 자신 뿐만 아니라 제 3자도 접근하여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가상공간을 관리하는 관리 모드는 가입자 자신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ute that the user accesses to the web server can be both a route accessed using the WAP type wireless Internet and a wired access route accessed through a wired network. The user may access a third party as well as himself / herself who has been allocated a virtual space on a web server to share and utilize data.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subscriber himself / herself can perform the management mode for managing the virtual space.
7. 응용예7.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웹 상의 개인화된 가상공간과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synchronizing data generated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ersonalized virtual space on the web through a more specific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 음성 및 각종 오디오 데이터(One). Voice and various audio data
유저가 대화 녹취 또는 보이스 레코딩을 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If a user wishes to record a conversation or voice record, the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유저는 자신의 단말로 동기화 시스템을 호출한다. 접속에 성공하면, 유저는 단말의 마이크 등의 음성정보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동기화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상으로 자신의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의 가입자 관리 정보를 기초로 해서 웹 상의 자신의 할당공간에 기록 저장된다. 이는 저장공간이 확장된 보이스 레코더 기능을 실현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The user calls the synchronization system to his terminal. If the connection is successful, the user transmits his or her voice data onto the media server of the synchronization system by using voice information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t is recorded and stored in its own allocation space on the web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 voice recorder function with an expanded storage space.
더 나아가서 상기 음성 정보가 미디어 서버상에서 Text 정보로 변환되어 기록 저장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converted into text information on a media server and recorded and stored.
유저의 상기 실시간 정보 입력 및 저장과, 동기화 시스템에서 체계적인 관리 수행을 통하여 유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과 본 음성 정보를 공유하며, 실시간으로활용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이를 다시 조회할 수 있으며, 갱신 및 더욱 다양한 정보로써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rough the real-time information input and storage of the user, and systematic management in the synchronization system, the present voice information can be shared not only with the user but also with others, and can be utilized in real time. It can also be retrieved later and can be used as an update and more diverse information.
(2). Text 데이터(2). Text data
기사 또는 저널을 작성하고자 하는 유저는 개인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동기화 시스템상으로 SMS를 이용하여 소정의 Tex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전송받은 동기화 시스템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를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하여 웹상의 유저 자신만의 개인 웹페이지 등에 상기 Text 정보를 포스팅한다. 이는 마치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글을 올리는 것처럼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실시예에 해당된다.A user who wants to create an article or journal sends a predetermined text message using SMS on the synchron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sending a text message to an individual.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system systematically stores and manages this and posts the text information to a user's own personal web page on the web.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that can be freely perform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rough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if posting on a web page using the Internet.
(3). 이미지 데이터(3). Image data
관광지 또는 기타 장면등을 유저 단말에 마련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캡쳐한다. 이는 바로 무선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를 전송 받은 동기화 시스템은 가입자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이는 웹 상의 개인 가상공간으로 포스팅되며, 유저 자신 또는 제 3자는 실시간으로 이를 조회 및 활용 하는 것이 가능하다.Tourist attractions or other scenes are captured using a digital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This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system records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subscriber management information. It is posted to a personal virtual space on the web, and the user or a third party can inquire and utilize it in real time.
(4). 동영상 데이터(4). Video data
앞서 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의 동기화와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에 마련된 캠코더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무선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와 동일하다.Similar to the synchronization of the image data in the above embodiment, the video data is generated using a camcorder or the lik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in real time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ubsequent procedure is the same as above.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정신과 개념은 상기 내용에 국한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irit an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cont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can make various changes.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각종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웹 상으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면, 동기화 시스템에서는 지능화된 파일관리를 통하여 별도의 데이터 분류 및 저장, 관리를 유저가 명령하지 않더라도 시간별, 데이터 종류별로 지능화된 데이터의 관리 및 저장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generat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and store, manage, and utilize information generated on the web throug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In addition, when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to the synchron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ization system manages and stores intelligent data by time and data type even if a user does not command separate data classification, storage, and management through intelligent file management. This possible effect occurs.
따라서, 유저 자신뿐만 아니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제 3자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각종 실시간 정보를 공유 및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Therefore, not only the user but also a third party who wants to share information can share and utilize various real-time inform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34135A KR20040102614A (en) | 2003-05-28 | 2003-05-28 |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 terminal with individual cybersp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34135A KR20040102614A (en) | 2003-05-28 | 2003-05-28 |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 terminal with individual cyberspa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2614A true KR20040102614A (en) | 2004-12-08 |
Family
ID=3737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30034135A KR20040102614A (en) | 2003-05-28 | 2003-05-28 |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 terminal with individual cybersp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102614A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814B1 (en) * | 2004-11-01 | 2006-09-20 | (주)헤리트 | How to offer a service that lets you record voice messages on your mobile phone and store them in your blog along with digital photos |
KR100945163B1 (en) * | 2008-01-15 | 2010-03-08 | 백기영 | Personalized web spa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KR100967857B1 (en) * | 2005-04-29 | 2010-07-0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Choose the right messaging service based on message content and incoming information |
KR100967913B1 (en) * | 2007-08-03 | 2010-07-06 | (주)폴리다임 | Automatically expandable mobile content sales system using the Internet |
KR100971474B1 (en) * | 2008-03-26 | 2010-07-22 | 엔에이치엔(주) | Mobile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 one post function |
KR101028671B1 (en) * | 2008-07-15 | 2011-04-12 | 엔에이치엔(주)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ized Internet pages between heterogeneous terminals |
US8539037B2 (en) | 2007-03-12 | 2013-09-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feed information |
KR101433146B1 (en) * | 2007-06-18 | 2014-08-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User content upload method and system |
-
2003
- 2003-05-28 KR KR20030034135A patent/KR2004010261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814B1 (en) * | 2004-11-01 | 2006-09-20 | (주)헤리트 | How to offer a service that lets you record voice messages on your mobile phone and store them in your blog along with digital photos |
KR100967857B1 (en) * | 2005-04-29 | 2010-07-0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Choose the right messaging service based on message content and incoming information |
US8539037B2 (en) | 2007-03-12 | 2013-09-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feed information |
KR101433146B1 (en) * | 2007-06-18 | 2014-08-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User content upload method and system |
KR100967913B1 (en) * | 2007-08-03 | 2010-07-06 | (주)폴리다임 | Automatically expandable mobile content sales system using the Internet |
KR100945163B1 (en) * | 2008-01-15 | 2010-03-08 | 백기영 | Personalized web spa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KR100971474B1 (en) * | 2008-03-26 | 2010-07-22 | 엔에이치엔(주) | Mobile diary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tent one post function |
KR101028671B1 (en) * | 2008-07-15 | 2011-04-12 | 엔에이치엔(주)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ized Internet pages between heterogeneous termin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0680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utilizing a mobile device to share data objects | |
US687666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 |
US2002018430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remote images using a mobile device and printer | |
KR20000054371A (en) | IMS using PDAs mobile telephone pagers wire and wireless internet and DBMS | |
KR100314175B1 (en) | Mobile telephone unit having an sms phoneboo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AU201033743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 global directory service | |
KR20040049805A (en) | Web access providing system | |
KR20070049426A (en) | Person-centered service delivery method and system | |
KR20040102614A (en) |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 terminal with individual cyberspace | |
KR20000037021A (en) | Name card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and mobile phone | |
KR100436424B1 (en) |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to Wireless Terminals,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ssaging Agent System Suitable for the Same | |
KR20060001902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oto sharing and wireless homepage service using long message | |
KR100365884B1 (en) | Transmission Method of Business Card using Wireless Short Message | |
US20060080392A1 (en) | Server system,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
KR20020008606A (en) | Electronic name card exchanging service method | |
JP2006018390A (en) | News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to cellphone or portable terminal | |
GB2373679A (en) | Accessing bookmarks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 |
CN102045657A (en) | Multimedia service bearing method, terminal and system | |
KR100731883B1 (en) | Electronic business card provid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924119B1 (en) | SCCS multimedia address book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 |
KR20030000108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nified address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on network | |
KR20020019316A (en) | Total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 |
KR100894705B1 (en)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 |
KR20030034281A (en) | Mobile Data Bank System | |
KR20050043318A (en) | System for servicing wireless cont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