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94742A - 베이스에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 Google Patents

베이스에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742A
KR20040094742A KR10-2004-7013366A KR20047013366A KR20040094742A KR 20040094742 A KR20040094742 A KR 20040094742A KR 20047013366 A KR20047013366 A KR 20047013366A KR 20040094742 A KR20040094742 A KR 2004009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l
wave washer
radial wave
radially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르트무트 파우스트
오스발트 프리이드만
안드레 린넨브뤼게르
로날트 글라스
크리스티안 바우어
한스-발터 보드트케
Original Assignee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filed Critical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ublication of KR2004009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74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27/066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5/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4Ball or roller bearings, e.g. with resilient roll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3Gears with belts and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5Gear shifting, change speed gear, gea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 F16C35/07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between housing and outer race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p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Golf Club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샤프트, 특히 엔벨로핑 수단(enveloping means)으로서의 체인과 함께 작동하는 원추형 풀리 엔벨로핑 기어의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커플링 장치는 내부에 샤프트가 장착되어 있고 원통형 외부면(14)을 가진 베어링 외부 링 및 베이스에 단단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부면을 둘러싸는 내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16)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radial wave washer)가 배치되어,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이 탄성 변형을 나타내면서 서로 반경방향으로 제한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베이스에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DECOUPLING DEVICE FOR MOUNTING A SHAFT ON A BASE AND RADIAL ONDULAR WASHER}
최근 자동차 분야에서는 무단 변속 원추형 풀리 엔벨로핑 기어의 사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러한 원추형 풀리 엔벨로핑 기어는 상호 간격을 두고 놓인 샤프트들 상에 장착된 2개의 원추형 풀리 쌍을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 풀리 쌍은 그들의 원추형 면들과 마찰 결합 상태에 있는 엔벨로핑 수단에 의해 둘러싸인다. 원추형 풀리 쌍들간의 간격이 반대방향으로 변동함으로써 기어의 변속비가 연속으로 변동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더 높은 토크, 예컨대 300 Nm 이상의 토크가 전달될 수 있는 기어에서는 엔벨로핑 수단으로서 금속 체인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샤프트, 특히 엔벨로핑 수단(enveloping means)으로서의 체인과 함께 작동하는 CVT 기어의 샤프트를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 그러한 디커플링 장치를 위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radial wave washer)에 관한 것이다.
도 1, 3, 5, 7, 13, 18, 20, 22, 26, 28, 30, 34, 36, 38, 40, 42, 44 및 45는 베어링 축에 대해 평행하게 잘라낸 베어링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2, 4, 6, 8, 14, 15, 16, 27, 29, 37, 39 및 43은 베어링 축에 대해 수직으로 잘라낸 베어링의 여러 실시예들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9 및 도 11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2개의 상이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2는 도 9 및 도 11의 단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특수한 형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가진 베어링 일부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19 및 도 21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한 섹션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4는 1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5는 나란히 배열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한 섹션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2는 1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3은 나란히 배열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한 섹션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1은 도 40의 한 섹션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6 및 도 47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또 다른 2개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및 부분 측면도이다.
도 48 및 도 49는 포지셔닝 부품들을 포함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들의 상이한 2가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8 및 도 49에 사용된 것과 같은 1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 원추형 풀리들의 소음 전달, 특히 구조진동소음의전달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샤프트, 특히 엔벨로핑 수단으로서의 체인과 함께 작동하는 원추형 풀리 엔벨로핑 기어의 샤프트를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디커플링 장치는 원통형 외부면을 가지면서 내부에 샤프트가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외부 링 및 베이스에 단단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부면을 둘러싸는 내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radial wave washer)가 배치되어,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이 탄성 변형을 나타내면서 서로 반경방향으로 제한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개선예들이 기술되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2개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서로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 사이에는, 외부면과 내부면간의 예정된 반경방향 상대 운동 이후에 상기 내부면과 외부면에 접촉되어 추가적인 반경방향 상대 운동을 방해하도록 형성된 스톱 링(stop ring)이 배치된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내부 및 외부에 지지 돌기들을 갖도록 설계되고, 상기 지지 돌기들은 지속적으로 외부면 및 내부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내부면이 외부면에 동심으로 배열되는 경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제공된 지지 돌기들과 외부면 사이 또는 상기 지지 돌기들과 내부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지지 돌기들의 높이는 외부면이 내부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때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돌기들이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접하는 방식으로 서로 차이가 난다.
적어도 하나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원주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포지셔닝 장치가 제공된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는 홈이 나 있고, 포지셔닝 장치는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 및 내부면에 형성된 그루우브 안에 맞물리는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 역시 홈이 나 있고, 포지셔닝 장치는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에 맞물리는 쇼울더를 포함하고 있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형성된 돌기들에 대해, 상호 180°회전된 상태로 배치된 인접하는 2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돌기들이 서로 원주방향으로 어긋나게 놓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상기 홈은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된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 홈이 나 있고, 포지셔닝 장치는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 쪽 단부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에서 끝나도록 형성되며, 이 때 축방향으로 가장 바깥쪽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핀이 베이스에 형성된 그루우브에 맞물리고, 내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핀들은 각각 인접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에 맞물린다.
외부면 및/또는 내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삽입되는홈이 제공된다.
외부면 및 내부면의 하나 이상의 축방향 에지에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들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품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물결모양을 이루며 외부면과 내부면 간의 축방향 이동 가능성을 제한한다.
외부면 위에, 그리고 상기 외부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들 위에 전체적으로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슬리브가 놓이고, 상기 슬리브와 외부면 사이에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배치된다.
외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은, 전체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휘어진 슬리브의 측벽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내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에 지지된다.
상기 슬리브의 측벽들은 축방향으로 휘어지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상기 외부면과 함께 형성된 부품에 지지된다.
상기 외부면 위에, 그리고 상기 외부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들 위에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구성하는, 전체적으로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스프링 슬리브가 놓이고, 전체적으로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바닥이 반경방향으로 볼록해진다.
상기 바닥은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2개 이상의 순환형 반경방향 웨이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브들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갖는다.
상기 반경방향 웨이브들 사이의 링 영역이 상기 외부면의 순환형 그루우브 내로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바닥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가진 반경방향 웨이브를 포함한다.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가진 바닥부의 반경방향 웨이브들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다.
외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은 전체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휘어진 스프링 슬리브의 측벽들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상기 내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에 지지된다.
스프링 슬리브의 반경방향 측면들은 상기 외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의 링 단(ring stage)에 지지되고, 상기 내부면에 접하는 스프링 슬리브 바닥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스프링 슬리브는 바닥을 가로지르는 반경방향 홈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닥의 순환형 돌출부가 상기 내부면의 링 그루우브에 맞물린다.
상기 내부면을 축방향으로 제한하며 반경방향 내부로 연장되는 측면들 중 하나 이상에 링 면이 형성되고, 상기 링 면에 스프링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스프링 슬리브의 측벽들은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설계된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내부면 또는 외부면의 원주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는스프링 세그먼트들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베어링의, 반경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원주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원주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포지셔닝 장치가 제공된다.
원통형 외부면의 원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반경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들은 상기 외부면 및 상기 외부면에 동심으로 놓여 상기 외부면을 둘러싸는 내부면에 영구적으로 접촉된다.
원통형 외부면의 원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반경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들은 상기 내부면에 대한 외부면의 예정된 반경방향 이동 이후에 상기 외부면 및 상기 외부면에 보통 동심으로 놓여 상기 외부면을 둘러싸는 내부면에 영구적으로 접촉된다.
돌기들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웨이브들로만 형성될 수 있다.
돌기들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서로 180°회전된 상태에 있으며 홈들에 의해 서로 정렬된 2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관련 돌기들이 서로 어긋나게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돌기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반경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연장된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 볼록부를 포함한다.
원통형 외부면 및 그에 인접하는 반경방향 측면을 갖도록 형성된 베어링 링의 원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상기 베어링 링의 하나 이상의 원주 세그먼트를 둘러싸며 전체적으로 U자형 횡단면을 가진 스프링 슬리브로서 설계되고,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적어도 바닥부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볼록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바닥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커플링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는 어떠한 종류의 베어링에도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커플링 장치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가 롤링 베어링에 장착되며, 이 때 그러한 롤링 베어링과 함께 예컨대 원추형 풀리 엔벨로핑 기어의 샤프트가 장착된다.
하기에는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고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에 따르면, 원추형 풀리 엔벨로핑 기어의 원추형 풀리 쌍의 샤프트(도시되지 않음)가 베어링 내부 링(2)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베어링 내부 링(2)과 그에 동심으로 배치된 베어링 외부 링(4) 사이에 롤링 엘리먼트(6)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부품들(2, 4 및 6)이 함께 롤링 베어링을 형성한다. 물론 롤링 엘리먼트(6)가 구르는 베어링 내부 링(2)의 외부면은 상응하게 가공된, 도시되지 않은 샤프트의 외부면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외부 링(4)은 베이스(8), 예컨대 기어 하우징의 링 그루우브 내에 수용되며, 도 1에 따르면 상기 링 그루우브의 우측이 분리 가능한 링 커버(10)에 의해 폐쇄된다.
베어링 외부 링(4)의 외부면은 링 그루우브의 바닥에 직접 지지되지 않고, 링 그루우브 내에 선택적으로(optional) 맞추어 넣어진 셸(12)과 여러 링 부품들 사이에 놓여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외부 링(4)의 외부면(14)과 셸(12)의 내부면(16) 사이에 4개의 링형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a)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와셔들 사이에는 축방향 간격 확보를 위해 스톱 링들(20a)이 설치되어 있다. 축의 양측면 바깥쪽에는 스페이서 링들(22a)이 제공되어 있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4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또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링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샤프트의 반경방향 이동에 대해 베어링의 바람직한 강성이 달성될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 도 1의 A-A 방향 세부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2에서처럼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a)가 외부면(14) 및 내부면(16)에 항상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반면, 스톱 링(20)은 내부면과 하우징 링(12) 사이에 반경방향 갭(d)이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a)가 탄성 변형될 때 내부면(16)에 스톱 링(20)이 접촉될 때까지 도 2에 따른 베어링 외부 링(4)이 구간 "d"만큼 위로 움직일 수 있다.
경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베이스(8)의 그루우브 또는 보어의 마모를 예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예컨대 강(steel)으로 제조된 하우징 링(12)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유사한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되는 하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에 반드시 필요한 부품들에만 각각 도면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a)이 원주를 따라 거의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고 원주방향으로만 물결형을 이루는 반면,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b)이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b)과 축방향 외부 사이에는 포지셔닝 링들(22)만 제공되어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a)의 안쪽 및 바깥쪽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지 돌기들(24)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 돌기들(24)은 외부면(14) 및 내부면(16)과 항상 접촉되어 있다. 지지 돌기들(24) 사이에는 스톱 돌기들(26)이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이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톱 돌기들(26)과 각각의 면들 사이에 바깥쪽으로 갭 "e"가, 그리고 안쪽으로 갭 "f"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 돌기들(26)은 바람직하게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측면에 지지 돌기들(24)의 맞은편에 놓인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b)의 예정된 변형시 스톱 돌기들(26)이 스토퍼로서 작용함에 따라, 높은 부하 하에서 지지 돌기들뿐만 아니라 스톱 돌기들도 베이스(8)에 베어링 외부 링(4)이 지지되도록하기 위한 지지점들을 형성하며, 그 결과 롤링 베어링의 균일한 지지가 구현된다.
도 5와 도 6은 도 3 및 도 4와 거의 유사한 베어링 형태 및 베이스로부터의 베어링 외부 링(4)의 디커플링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디커플링에 의해 베이스 내에서의 롤링 베어링의 소음 전달이 방지된다. 도 5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스톱 돌기들(26)이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이 위를 향해 수직으로, 즉 화살표(S) 방향으로 하중을 받거나 반경방향으로 변위된다고 가정한다.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갭들(e 및 f)이 존재하는 경우, 정점(S)에서는 완전한 갭(f)이 제공되는 반면, 인접한 스톱 돌기들과 관련 면들 사이에는 불완전한 갭이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지점에의 근접도가 원주각()에 상응하게 더 작기 때문이다.
스토퍼들이 동시에 작용함에 따라 반경방향 갭들이 각각의 각위치에 상응하게 각각의 돌기들에 매칭된다. 그 결과, 베어링의 더 균일한 하중 분포가 달성된다. 각각의 갭에 대해서는 식이 적용되고, 여기서 xmax는 정점에서의 갭이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내지는 스프링 와셔는 원주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원주방향으로 포지셔닝하는 것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따르면 하우징(12)의 그루우브(30)에 맞물린 핀(28)이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의 홈(32)에 추가로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핀(28)은 베어링 외부 링(4)과 하우징 링(12) 사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됨에 따라,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가 원주방향으로 고정된다.
베어링의 최대한 균일한 하중을 달성하기 위해, 인접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의 파형부(wave)와 돌기들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offset)이 바람직하다. 원주방향으로 고정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의 상호 오프셋을 구현하기 위해, 홈, 돌기 및 웨이브의 상대적 배치가 다양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을 제조해야 했다. 변형의 다양성을 줄이기 위해,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교대로 거꾸로, 즉 180°회전시켜 조립할 때 바람직한 포지셔닝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돌기들 사이에 홈(32)이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도 10은 도 9의 한 섹션을 확대한 것이다)에 도시된 것처럼, 반경방향 외측 지지 돌기(24)와 반경방향 내측 지지 돌기(24) 사이의 중간에 홈(32)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으로부터, 연속 도시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b)에서 핀(28)의 좌측으로는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지지 돌기가 존재하고, 핀(28)의 우측으로는 반경방향 안쪽을 향하는 지지 돌기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핀의 좌측으로는 지지 돌기(24)의 맞은 편에 놓인, 반경방향 안쪽을 향하는 스톱 돌기가 있고, 핀(28)의 우측으로는 지지 돌기(24)의 맞은편에 놓인,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스톱 돌기(26)가 있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b)를 180°회전시켜 장착하면, 파선으로 표시된 배열이 제공된다. 즉, 1개의 스톱 돌기에 각각 1개의 지지 돌기가 축방향으로 인접한다.
물론 돌기 또는 웨이브 및 홈들의 다른 수많은 배열 방법이 존재하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관점에서 부품의 다양성이 적을 때 최대한 균일한 힘 분배가 제공된다.
돌기 높이의 차가 작아서 도 9 및 도 10에 따른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장착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올바르게, 즉 180°회전되어 장착되었는지 인지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도 11 및 도 12에 따라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측벽(34)을 가진 홈(32)을 설계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축방향으로 인접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이 180°회전되어 설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다.
베이스(8)에 대해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를 원주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다. 도 13과 도 14에는 베이스(8) 내 홈에 삽입되어 하우징 링(12) 및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의 홈을 관통하는 평행키(parallel key; 36)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하우징 링(12)에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의 홈(32)에 맞물리는 반경방향 리브(rib)가 제공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리브(40)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리브(40)는 하우징 링(12)의 그루우브에 맞물려 있다. 하우징 링(12)은 원주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베이스(8)에 고정되어 있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축방향 고정을 위한 또 다른 구조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c)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내지는 핀(42) 내에 있는 홈(32)의 한 측면에서 끝난다. 축방향으로 가장 바깥쪽에 있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핀(42)은 베이스(8)의 반경방향 면 내에 형성된 홈(44)에 맞물린다.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핀(42)은 도 17에 따라 각각 우측으로 인접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32)에 맞물린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링은 펀칭-벤딩(punching-bending) 부품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기에는 도 18 내지 도 25를 참고로 베어링을 베이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장치들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18에 따르면, 베어링 외부 링(4)의 외부면에 1개의 넓은 원주 홈(peripheral groove; 46)이 제공되며, 상기 홈 안에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b)이 배치되어 있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b)은 예컨대 키 홈(key seat) 내에 스냅 링들이 장착되는 것과 유사하게 예비 조립될 수 있다. 원주 홈(4)의 축방향 외부에 남겨진 베어링 외부 링(4)의 쇼울더(확대도에 "X"로 표시되어 있음)가 곧 반경방향 스토퍼를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8) 또는 링 커버(10)의 측벽들과 베어링 링 사이에 축방향 가이드를 위한 O-링들(48)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따른 실시예는, 베어링 외부 링(4)의 외부면 내에 다수의 홈들(46)이 형성되고, 상기 홈들 내에 각각 하나씩의 개별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b)가 배치된다는 점에서만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22 내지 도 2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외부 링(4)에 2개의 원주 홈(46)이 제공되며, 도 22에 따라 좌측의 원주 홈 내에 3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c)가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개방된 우측의 원주 홈(46) 내에는 4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c)가 배치된다. 베이스(8)에 형성된 대응면 내지는 내부면(16)은 우측 축방향 웨이브 와셔를 지지하는 단(50)을 갖고 있다. 우측 원주 홈(46) 내에서 축방향으로 가장 바깥쪽에 있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c)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커버(10)의 측면(52)에 지지된다. 도 23은 도 22의 섹션 "X"를 확대한 도면이다. 각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c)가 돌기들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연장부에 있어서 예컨대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24 참조). 추가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c)이,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축방향으로 물결형을 이루고 있으며, 도 25는 축방향으로 인접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c)의 일부를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22 내지 도 25에 따른 구조에 의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베이스로부터의 베어링의 분리 내지는 음향 디커플링이 달성된다. 원주 홈들(46) 사이에 형성된 베어링 외부 링(4)의 노우즈(54)가 스토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물론 도 22 내지 도 25에 따른 구조는 여러 측면에서 다른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다. 홈의 개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웨이브 또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돌기 형성부, 축방향 및 반경방향 가이드 및 스토퍼들은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홈, 추가의 축방향 웨이브, O-링이 사용된 부분 등의 개수를 변동시킴으로써 각각 목적에 맞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는 베어링 외부 링(4)과 상기 베어링 외부 링(4) 상에 놓인, 전체적으로 U자형 횡단면을 가진 링 슬리브(54) 사이에 레이디얼 웨이브와셔(18a)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a)은 베어링 외부 링(4) 위에 느슨하게 놓이고, 외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과 상기 슬리브(54)의 반경방향 측벽(56) 사이에 배치된 포지셔닝 링들(22)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슬리브는 예컨대 박판 변형 부품으로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목적에 맞게 구부러진 형상의 측벽들(56)에 의해 와셔 스프링과 유사하게 축방향 스프링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26 및 도 27에 따른 베어링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베이스(8)로부터 분리된다.
도 28 및 도 29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a) 대신 돌기들이 제공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b)가 사용되고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b) 사이에 포지셔닝 링(22)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26 및 도 27과 구별된다.
도 30 내지 도 3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외부 링(4)에 축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개방된 2개의 원주 홈(46)이 제공되고, 상기 홈들 내에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물결형을 이루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c)이 배치되며,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c)은 슬리브 링(54)에 의해 둘러싸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54)가 그의 바닥부로부터 측벽(56)으로 넘어가는 부분에서 이중으로 휘어져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c)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프리스트레스드(pre-stressed) 고정에 이용된다. 슬리브 자체는 축방향 스프링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축방향 스프링 내지는 축방향 디커플링의 기능은 축방향으로도 물결형을 이루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c)에 의해 수행된다. 슬리브(54)는 오직 스토퍼로만 사용된다. 도 31은 도 30의 섹션 "X"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에는 1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c)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3에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축방향으로도 물결형을 이루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18c)의 한 섹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는 도 34 내지도 35를 참고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이 링형 스프링 슬리브로 형성되는 디커플링 장치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34에 따르면,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U자형인 링형 스프링 슬리브(18d)가 베어링 외부 링(4)을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둘러싸고 있다. 상기 스프링 슬리브(18d)의 바닥부는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순환형 홈(58)이 형성되도록 축방향 웨이브를 가진 반경방향 파형부를 갖는다. 도 35는 도 34의 섹션 "X"를 확대한 도면이다. 평평한 그루우브를 가진 외부면(14)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결과 그루우브 또는 홈(58)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스프링 슬리브(18d)와 외부링(4)의 외부면(14) 사이의 갭(d)이 상기 스프링 슬리브(18d)의 반경방향 웨이브보다 작다는 것이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갭(d)은 베어링의 반경방향 이동에 사용되며, 그루우브의 합목적적인 깊이 및 웨이브의 높이 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과 달리, 도 34 및 도 35에 따른 실시예는 소량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매우 간단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물론 순환형 그루우브 또는 홈을 가진 외부 링(4)의 외부면(14)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베어링 외부 링(4)의 외부면(14)에 있는 평평한 홈에 의해, 스프링 슬리브(18d)의 볼록부 높이가 반경방향 갭(d)과 무관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34를 통해, 스프링 슬리브(18d)의 측벽(62)이 예컨대 바닥부(60)로 넘어가는 영역에서 추가로 바깥쪽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스프링 슬리브가 축방향 스프링과 반경방향 스프링의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4에 따른 스프링 슬리브(18d)는 축방향 웨이브를 가진 반경방향 볼록부 내지는 파형부를 갖고 있다. 그에 비해, 도 36 및 도 37에 따른 실시예의 스프링 슬리브(18e)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를 가진 반경방향 파형부를 갖고 있다. 도 37에는 도 36의 화살표(II-II)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6 및 도 37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더 긴 웨이브 길이가 가능함에 따라 더 큰 탄성력이 달성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에는 도 34 내지 도 37에 따른 스프링 슬리브의 실시예들이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 38 및 도 39의 스프링 슬리브(18d)는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가진 반경방향 파형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 슬리브의 더 큰 재료 범위에서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더 높은 에너지 흡수 능력이 달성된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스프링 슬리브(18g)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도 34와 유사하지만, 상기 스프링 슬리브(18g)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가진 다수의 반경방향 볼록부들을 갖고 있으며, 그들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점진적인 특성곡선이 얻어진다. 베어링의 축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스프링 슬리브(18g)는 스프링 작용은 하지 않고 스톱 작용만 한다.
도 42 및 도 43에 따른 실시예는 외부 링(4)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보여주며,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반경방향 파형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갖고 있다. 이 때 웨이브들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더 탄력적이고 점진적인 특성값들이 얻어진다.
물론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h)는 측벽을 통해 스프링 슬리브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파형부의 웨이브 높이뿐만 아니라 웨이브 길이도 상이할 수 있다.
도 44 및 도 45에 따른 실시예는 도 34의 실시예와 일치하며, 이 때 베어링 외부 링(4)의 외부면이 그루우브 또는 홈이 없게 형성됨에 따라 스프링 링(18i)의 웨이브 높이가 베어링의 가능 반경방향 이동 거리와 같아진다. 스프링 링(18i)의 측벽이 베어링 외부 링(4)의 측벽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됨에 따라 스프링 슬리브(18i)가 축방향 스프링의 기능을 하지 않는다. 도 45의 스프링 슬리브(18d)는 도 34의 스프링 슬리브와 동일하다. 즉, 상기 스프링 슬리브(18d)는 축방향 스프링의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
도 46의 좌측 절반부에는 스프링 슬리브로서 형성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또 다른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6의 우측 절반부에는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 외부 링(4)이 박벽의 스프링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슬리브(18j)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스프링 슬리브(18j)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 슬리브(18j)의 반경방향 측벽들(66)은 상기 외부 링(4)의 측면에 형성된 링 단(ring stage; 68)에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 슬리브(18j) 바닥(70의 볼록성 또는 반경방향 만곡에 의해 반경방향 탄성이 생긴다. 기본 강성은 박판 두께를 통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스프링 특성곡선은 바닥의 만곡 추이의 선택에 의해 경우에 따라 여러 번 물결형을 이룰 수 있고, 및/또는 측벽(66)의 윤곽이 목적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바닥(70)이 정확히 반경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외부 링(4)의 외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프링 특성곡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슬리브(18k)의 축방향 탄성은 측벽(66) 및 베어링 외부 링(4)의 인접하는 측면들의 적절한 형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 측벽(66)의 평면 내에서 비대칭성 휨이 발생함으로써 스프링 슬리브(18j)의 반경방향 탄성에 추가로 기여를 하게 된다.
원주방향의 탄성 증가는 스프링 슬리브(18k)의 측벽(66)의 일부와 바닥(70)을 관통하는 반경방향 홈(72)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스프링 슬리브(18k)의 커버면 내지는 바닥 내에서 막응력(membrane stress)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 슬리브(18k)의 반경방향 탄성도 증가된다.
반경방향 측벽(66)이 외부 링(4)에 넓게 겹쳐지거나 상기 외부 링(4)을 둘러쌈으로써, 한 편으로 반경방향 필요 공간이 최소화되고 다른 한 편으로 비교적 큰 축방향 탄성을 얻을 수 있다. 링 단(68)으로부터의 측벽(66)의 슬립은 필요한 경우 상기 단(68)이 적절한 언더컷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스프링 슬리브(18j)는 외부 링(4)의 전체 원주 둘레에 일체형으로 연장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스프링 슬리브(18j)는 2개의 원주 세그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결합은 조립 단계에서 베이스(8)의 수용 보어 또는 수용 그루우브를 통해 보증되며, 이 때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볼록성으로 인해 조립이 간편하다.
베어링의 축방향 고정을 위해 스프링 슬리브(18j)의 순환성 반경방향돌출부(74)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74)는 베이스(8)의 링 그루우브(76)에 맞물린다. 링 그루우브(76)는 베이스(8) 내부면(16)에 형성된 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8)에 고정된 링 커버(10)에 의해 측면이 폐쇄된다. 물론 수용(흡수)될 힘이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 슬리브(18k)가 베어링 내부 링(2)과 베어링 외부 링(4) 그리고 상기 두 링 사이에 배치된 롤링 엘리먼트(6)와 함께 베이스 내에 측면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슬리브(18k)가 반경방향으로 휘어지게 설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링 그루우브(76)가 내부면(16)을 관통할 수 있다.
도 47의 실시예는 우선, 스프링 슬리브(18k)의 축방향 고정이 삽입 링들(78)의 링 면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링 면 위로 스프링 슬리브(18k)가 베이스(8) 내지는 상응하게 형성된 링 커버(10)의 반경방향 측면들에 지지된다는 점에서 도 46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삽입 링들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경방향 이동으로 인해 스프링 슬리브(18k)가 강제적으로 축방향으로 눌리는 현상은 필요한 경우 축방향 갭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갭은 아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8 내지 50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들과 함께 작용하는 디커플링 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며,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들은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외부 링(4; 도 1)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고 원주 영역을 따라서만 약 180°로 상기 베어링 외부 링의 하중을 받는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48은 1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18l)의 측면도이다.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18l)는 원주의 2/1 이상에 걸쳐서 연장되며, 그의 웨이브는 예컨대 도 4에 따른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18b)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외부 링 주위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다수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18l)가 배치된다(도 49).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들(18l)을 원주방향으로 포지셔닝하기 위해 포지셔닝 부품(82)이 사용되며, 상기 포지셔닝 부품(82)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들(18l)과 함께 베어링 외부 링(4)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슬리브 세그먼트로 설계된다. 상기 포지셔닝 부품(82)은 원주방향으로의 고정을 위해 축방향 쇼울더(84)를 포함하고, 상기 쇼울더(84)는 베이스(8; 도 1)에 형성된 그루우브들에 맞물린다. 도 47에 따른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부품(62)은 모든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18l)가 오프셋되지 않고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도 5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포지셔닝 부품(82)의 측면 가장자리에 그루우브들 및 돌출부들이 제공됨에 따라 인접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세그먼트들(18l)이 각각 원주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도 48에서 볼 수 있는 지지 돌기들(24) 및 스톱 돌기들(26)(도 4에 더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음)이 예컨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도 48 내지 50에 따른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예컨대 전체 원주(경우에 따라 홈을 포함하는 원주)에 걸쳐서 연장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형성하는 것에 비해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용의 고가의 펀칭 박판의 활용이 현저히 개선된다는 것이다.
본 출원서와 함께 제출된 특허 청구항은 포괄적인 특허권 보호의 획득을 위한 선례가 없는 작성 제안이다. 출원인 측은 지금까지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만 공개된 추가의 특징 조합을 청구하는 것을 보류하고 있다.
종속항에서 사용된 재인용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들을 통해 추가로 설명함을 가리키는 것이며, 재인용된 종속항의 특징 조합의 독립적이고 구체적인 특허권의 획득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종속항의 대상은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우선권일에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출원인은 독립 청구항의 대상을 위한 발명 및 분할 선언을 보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속항의 대상은 선행 종속항의 대상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를 가진 독립적인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명세서의 범주 내에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특히 예컨대 일반적인 명세서와 실시예 및 청구항에 기술되고 도면에 제시되는 특징들이나 요소들 또는 공정 단계들과 함께(결합되어) 조합 또는 변형됨으로써 전문가에 의해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추론될 수 있고 조합 가능한 특징들을 통해 새로운 대상 또는 새로운 공정단계 내지는 공정 단계 시퀀스를 도출하는 변형물, 구성 요소 및 조합물 및/또는 재료들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아울러 이들은 제조 방법, 검사 방법 및 작업 방법과도 관련된다.

Claims (37)

  1. 베이스 상에 샤프트, 특히 엔벨로핑 수단(enveloping means)으로서의 체인과 함께 작동하는 원추형 풀리 엔벨로핑 기어의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로서,
    - 내부에 샤프트가 장착되어 있고 원통형 외부면을 가진 베어링 외부 링, 및
    - 상기 베이스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상기 외부면을 둘러싸는 내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radial wave washer)가 배치되어,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이 탄성 변형을 나타내면서 서로 반경방향으로 제한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디커플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서로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들 사이에는,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간의 예정된 반경방향 상대 운동 이후에 상기 내부면과 외부면에 접촉되어 추가적인 반경방향 상대 운동을 방해하도록 형성된 스톱 링(stop ring)이 배치되는, 디커플링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내부 및 외부에 지지 돌기들을 갖도록 설계되고, 상기 지지 돌기들은 지속적으로 외부면 및 내부면에 접촉되는, 디커플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이 외부면에 동심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제공된 지지 돌기들과 외부면 사이 또는 상기 지지 돌기들과 내부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디커플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들의 높이는 상기 외부면이 내부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때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돌기들이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접하는 방식으로 서로 차이가 나는, 디커플링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원주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포지셔닝 장치가 제공되는, 디커플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 홈이 나 있고,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 및 내부면에 형성된 그루우브 안에 맞물리는 부품을 포함하는, 디커플링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 홈이 나 있고,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에 맞물리는 쇼울더를 포함하는, 디커플링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은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형성된 돌기들에 대해, 상호 180°회전된 상태로 배치된 인접하는 2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돌기들이 서로 원주방향으로 어긋나게 놓이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디커플링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반경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연장되는, 디커플링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 홈이 나 있고,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홈 쪽 단부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에서 끝나도록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가장 바깥쪽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핀이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그루우브에 맞물리고, 내부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의 핀들은 각각 인접한 레이디얼웨이브 와셔의 홈에 맞물리는, 디커플링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 및/또는 내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삽입되는 홈이 제공되는, 디커플링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 및 내부면에 각각 하나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들을 양쪽에서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품이 제공되는, 디커플링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물결모양을 이루며 상기 외부면과 내부면간의 축방향 이동 가능성을 제한하는, 디커플링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 위에, 그리고 상기 외부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들 위에 전체적으로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슬리브가 놓이고, 상기 슬리브와 상기 외부면 사이에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배치되는, 디커플링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은, 전체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휘어진 슬리브 측벽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상기 내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에 지지되는, 디커플링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측벽들이 축방향으로 휘어지는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상기 외부면과 함께 형성된 부품에 지지되는, 디커플링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 위에, 그리고 상기 외부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들 위에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구성하는, 전체적으로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진 스프링 슬리브가 놓이고, 전체적으로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바닥이 반경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디커플링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이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2개 이상의 순환형 반경방향 웨이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브들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갖는, 디커플링 장치.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웨이브들 사이의 링 영역이 상기 외부면의 순환형 그루우브 내로 돌출되는, 디커플링 장치.
  21. 제 18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바닥부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가진 반경방향 웨이브를 포함하는, 디커플링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웨이브 길이 방향을 가진 상기 바닥부의 반경방향 웨이브들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디커플링 장치.
  23. 제 18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이 전체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휘어진 스프링 슬리브의 측벽들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상기 내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에 지지되는, 디커플링 장치.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반경방향 측면들이 상기 외부면의 반경방향 측면들의 링 단(ring stage)에 지지되고, 상기 내부면에 접하는 스프링 슬리브 바닥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디커플링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리브는 상기 바닥을 가로지르는 반경방향 홈들을 갖도록 형성되는, 디커플링 장치.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의 순환형 돌출부가 상기 내부면의 링 그루우브에 맞물리는, 디커플링 장치.
  27.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을 축방향으로 제한하며 반경방향 내부로 연장되는 측면들 중 하나 이상에 링 면이 형성되고, 상기 링 면에 상기 스프링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디커플링 장치.
  28. 제 24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측벽들은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설계되는, 디커플링 장치.
  29. 제 1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는 상기 내부면 또는 상기 외부면의 원주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스프링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디커플링 장치.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상기 베어링의, 반경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원주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를 원주방향으로 고정시키는 포지셔닝 장치가 제공되는, 디커플링 장치.
  31. 원통형 외부면의 원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로서, 반경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들은 상기 외부면 및 상기 외부면에 동심으로 놓여 상기 외부면을 둘러싸는 내부면에 영구적으로 접촉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32. 원통형 외부면의 원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로서, 반경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들은 상기 내부면에 대한 외부면의 예정된반경방향 이동 이후에 상기 외부면 및 상기 외부면에 보통 동심으로 놓여 상기 외부면을 둘러싸는 내부면에 영구적으로 접촉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33. 제 31항 또는 제 32항에 있어서,
    서로 180°회전된 상태에 있으며 홈들에 의해 서로 정렬된 2개의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관련 돌기들이 서로 어긋나게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돌기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홈을 가진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반경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연장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35. 제 31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및 축방향 볼록부를 포함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36. 원통형 외부면 및 그에 인접하는 반경방향 측면을 갖도록 형성된 베어링 링의 원주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로서, 상기 베어링 링의 하나 이상의 원주 세그먼트를 둘러싸며 전체적으로 U자형 횡단면을 가진 스프링 슬리브로서 설계되고, 상기 스프링 슬리브의 적어도 바닥부가 탄성 변형이가능한 볼록부를 포함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KR10-2004-7013366A 2002-02-28 2003-02-25 베이스에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Ceased KR200400947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8995.7 2002-02-28
DE10208995 2002-02-28
PCT/DE2003/000576 WO2003072969A2 (de) 2002-02-28 2003-02-25 Entkopplungsvorrichtung für eine lagerung einer welle an einem grundkörper sowie radialwellf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742A true KR20040094742A (ko) 2004-11-10

Family

ID=2774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366A Ceased KR20040094742A (ko) 2002-02-28 2003-02-25 베이스에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478952B2 (ko)
EP (2) EP1908972B1 (ko)
JP (1) JP4431395B2 (ko)
KR (1) KR20040094742A (ko)
CN (1) CN1327144C (ko)
AT (2) ATE410610T1 (ko)
AU (1) AU2003229478A1 (ko)
DE (3) DE10307842A1 (ko)
NL (1) NL1022788C2 (ko)
WO (1) WO20030729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6827B2 (ja) * 2003-04-07 2011-11-02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円錐形ディスク式巻掛け伝動装置および突起付きリング
DE102004006888A1 (de) * 2004-02-12 2005-09-01 Hilti Ag Absaugvorrichtung
FR2880661B1 (fr) * 2005-01-10 2008-08-08 Timken France Soc Par Actions Module de roulement
DE102006012598B4 (de) * 2006-03-18 2010-10-07 Zf Lenksysteme Gmbh Wälzlager
EP1898108B1 (en) * 2006-09-07 2012-03-2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Combination mounting ring
US7589447B2 (en) * 2006-12-05 2009-09-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speed aerospace generator resilient mount
EP2087984B1 (de) * 2008-02-05 2010-05-12 Texmag GmbH Vertriebsgesellschaft Walze zum Ausüben von Anpressdruck auf Materialbahnen
DE102008013131B4 (de) * 2008-03-07 2015-12-31 Ab Skf Lageranordnung für eine Tragrolle
JP5167514B2 (ja) * 2008-05-29 2013-03-21 Ntn株式会社 転がり軸受アセンブリ
WO2010062519A1 (en) * 2008-10-27 2010-06-03 The Timken Company Noise isolating rolling element bearing for a crankshaft
EP2409043A4 (en) * 2009-01-23 2013-05-22 Skf Usa Inc BEARING ASSEMBLY FOR AN ASSISTED STEERING MECHANISM
US8337090B2 (en) * 2009-09-10 2012-12-25 Pratt & Whitney Canada Corp. Bearing support flexible ring
DE102009056352B4 (de) * 2009-11-30 2015-06-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älzlager mit am Lageraußenring angebrachten höckerartigen Vorsprüngen
US8540258B2 (en) * 2009-11-30 2013-09-24 Mando Corporation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DE102011012913A1 (de) 2010-03-22 2011-09-2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gerelement
DE102010015709A1 (de) 2010-04-21 2011-10-2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Akustische Entkopplungsvorrichtung für ein Lager und Lager mit einer solchen Entkopplungsvorrichtung
SI2412528T1 (sl) * 2010-07-28 2015-06-30 Felix Boettcher Gmbh & Co. Kg Metoda za popravilo valjarja
DE102010054937A1 (de) * 2010-12-17 2012-06-2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geranordnung für einen Turbolader
DE102011005761A1 (de) * 2011-03-18 2012-09-2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geranordnung mit einem Fanglager
AU2012281160B2 (en) 2011-07-11 2017-09-21 Paper Software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
EP2841715B1 (en) * 2012-04-25 2019-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damper bearing assembly
DE102012209459A1 (de) 2012-06-05 2013-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eclipster Stahlreifen eines CVT-Lagers
DE102013211461A1 (de) 2012-06-22 2013-12-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ustische Isolierung an einem Lager und akustisches Lagerabkoppelungselement
GB2518102A (en) * 2012-06-28 2015-03-11 Skf Ab Machine arrangement
DE102012216447A1 (de) 2012-09-14 2014-05-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Beschichtungssystem für ein akustisch gedämpftes Lager und Wälzlager mit schwingungsdämpfendem Abkoppelungselement
DE102012221066A1 (de) * 2012-11-19 2014-05-2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geranordnung zur Lagerung eines Wellenabschnitts, insbesondere bei einem Innenläufermotor
DE102012222802A1 (de) 2012-12-11 2014-06-1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Wälzlageranordnung mit einer Vielzahl von metallischen Federbügeln
WO2014150356A1 (en) 2013-03-15 2014-09-25 King Cycle Group, Inc. Cylinder assembly using a shim
DE102013213172A1 (de) 2013-07-04 2015-01-08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Abgasturbolader
DE102013215837A1 (de) * 2013-08-12 2015-02-1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Wälzlager
JP2015068307A (ja) * 2013-09-30 2015-04-13 三浦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DE102013226527A1 (de) * 2013-12-18 2015-06-18 Zf Friedrichshafen Ag Kombinierte Wälz- und Gleitlagerung einer Getriebewelle
US20150252841A1 (en) * 2014-03-05 2015-09-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aring assembly with integrated spring
JP6481260B2 (ja) * 2014-04-14 2019-03-13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
DE102014213880B4 (de) * 2014-07-16 2016-04-07 Aktiebolaget Skf Lagerring eines Lagers, insbesondere eines Wälzlagers
DE102014220068A1 (de) 2014-10-02 2016-04-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gerung zur akustischen Entkopplung
CN107110223B (zh) * 2015-01-14 2019-04-09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cvt变速器的具有卵形槽的噪声隔离轴承
DE102015207156A1 (de) 2015-04-20 2016-10-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sgetriebe
JP6513501B2 (ja) * 2015-06-15 2019-05-15 大豊工業株式会社 ワッシャの製造方法及びワッシャ
EP3255289B1 (en) * 2016-06-09 2020-12-09 Claverham Limited Relief slot for a load bearing assembly
DE102016211714B3 (de) * 2016-06-29 2017-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triebe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11741A1 (de) 2016-06-29 2018-01-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älzlager und Gehäuse für ein Getriebe
KR101854984B1 (ko) * 2016-07-05 2018-05-04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10228051B2 (en) * 2016-07-22 2019-03-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wo-piece molded pulley having radial bearing distortion-reducing characteristics
DE102016214505A1 (de) 2016-08-05 2018-02-08 Robert Bosch Gmbh Ausgleichshülse für eine Lagereinrichtung, Lagereinrichtung mit einer Ausgleichshülse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Ausgleichshülse
US10247237B2 (en) * 2016-09-09 2019-04-02 Lg Electronics Inc. Rolling bearing and motor having the same
CN106402270A (zh) * 2016-11-16 2017-02-15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外圈带凹槽及轴颈带凸台的增阻式挤压油膜阻尼器
CN106352016A (zh) * 2016-11-16 2017-01-25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外圈或轴颈带凸台的增阻式挤压油膜阻尼器
US10400817B2 (en) 2016-11-22 2019-09-03 Woodward, Inc. Radial bearing device
FR3063310B1 (fr) * 2017-02-28 2019-04-26 Safran Aircraft Engines Moteur d'aeronef comprenant un palier entre deux arbres concentriques
WO2018212775A1 (en) 2017-05-18 2018-11-22 Gkn Driveline North America, Inc. Contoured differential gear washer with defined fluid flow path
DE102018102270B4 (de) * 2018-02-01 2021-06-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gerscheibe für ein Fahrzeuglager eines Fahrzeugs
JP6961507B2 (ja) * 2018-02-01 2021-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軸受装置
US10495144B1 (en) * 2018-05-25 2019-12-03 Borgwarner Inc. Single-row ball bearing with integrated squeeze-film damper
JP7281422B2 (ja) * 2020-01-15 2023-05-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US11137032B1 (en) * 2020-05-29 2021-10-05 Bell Textron Inc. Ceramic bearing system
FR3135655A1 (fr) * 2022-05-20 2023-11-24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 type circlip pour le montage de roulements sur des VÉHICULES AUTOMOBILES
US11971079B2 (en) * 2022-07-11 2024-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deflection ring vibration redu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6255A (en) * 1919-04-29 1921-08-02 John George William Gruban Roller, ball, and other bearing
US1423950A (en) * 1919-11-03 1922-07-25 Nordiska Kullager Ab Antifriction ball or roller bearing
CH361692A (de) 1957-06-24 1962-04-30 Gen Motors Corp Gasturbinentriebwerk
US3372963A (en) * 1965-12-02 1968-03-12 Rotron Mfg Co Corrugated bearing ring
GB1246263A (en) 1967-11-29 1971-09-15 Anthony Raphael Gast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lerance rings
GB1247494A (en) 1967-11-29 1971-09-22 Molins Machine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lerance rings
FR2271443B2 (ko) * 1974-01-23 1977-06-10 Pitner Alfred
DD218655A1 (de) * 1983-05-02 1985-02-13 Elektrogeraete Ingbuero Veb Elastisches element zum toleranzausgleichenden einbau von lagern
US4981390A (en) * 1987-03-06 1991-01-01 The Ray Engineering Co., Ltd. Tolerance ring with retaining means
DE3738039A1 (de) 1987-11-09 1989-05-18 Thieme Werner Gmbh & Co Siebdruckmaschine
US5062721A (en) * 1989-04-28 1991-11-05 Nippon Seiko Kabushiki Kaisha Rolling bearing with sleeve
US5044789A (en) * 1990-04-16 1991-09-03 Eaton Corporation Roller and ball bearing bearing isolator
US5584582A (en) * 1994-12-15 1996-12-1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ump foil design for improved damping and load capacity from compliant foil gas bearings
DE29500585U1 (de) 1995-01-16 1995-03-02 INA Wälzlager Schaeffler KG, 91074 Herzogenaurach Distanzring
GB9518018D0 (en) 1995-09-05 1995-11-08 Lilleshall Plastics Eng Tolerence rings
US5902049A (en) * 1997-03-28 1999-05-11 Mohawk Innovative Technology, Inc. High load capacity compliant foil hydrodynamic journal bearing
US6123462A (en) * 1998-09-28 2000-09-26 General Electric Company Bearing system having reduced noise and axial preload
DE19958073B4 (de) * 1998-12-16 2012-04-2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JP3536022B2 (ja) * 2000-10-04 2004-06-07 ミネベア株式会社 ピボット軸受装置
JP4839473B2 (ja) 2001-02-01 2011-12-2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軸受装置
US6939052B1 (en) * 2003-01-27 2005-09-06 Precision Components, Inc. Bearing with integrated mounting features
US7052183B2 (en) * 2004-06-15 2006-05-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e resilient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8972B1 (de) 2011-11-02
DE50310608D1 (de) 2008-11-20
CN1639478A (zh) 2005-07-13
NL1022788C2 (nl) 2003-11-04
ATE531961T1 (de) 2011-11-15
AU2003229478A1 (en) 2003-09-09
CN1327144C (zh) 2007-07-18
WO2003072969A2 (de) 2003-09-04
ATE410610T1 (de) 2008-10-15
WO2003072969A3 (de) 2003-11-06
EP1908972A2 (de) 2008-04-09
EP1481174B1 (de) 2008-10-08
DE10307842A1 (de) 2003-09-11
US20090103846A1 (en) 2009-04-23
JP2005519238A (ja) 2005-06-30
EP1481174A2 (de) 2004-12-01
JP4431395B2 (ja) 2010-03-10
DE10390781D2 (de) 2005-01-13
EP1908972A3 (de) 2010-08-18
NL1022788A1 (nl) 2003-08-29
US7478952B2 (en) 2009-01-20
US7927020B2 (en) 2011-04-19
AU2003229478A8 (en) 2003-09-09
US20050232525A1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4742A (ko) 베이스에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KR101920619B1 (ko) 분할 토크 슬립을 가지는 공차링
RU26628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рутильных колебаний
JP6840483B2 (ja) 自動車のトルク伝達装置
US20090159390A1 (en) Friction one-way clutch
US7802668B2 (en) Stator side plate for a torque converter
JP2015040631A (ja) 振り子式ダンパ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2017075694A5 (ko)
US11306772B2 (en) Radial foil bearing
KR100349770B1 (ko) 토션프리댐퍼
KR20040077442A (ko) 일방향 클러치
WO2020171021A1 (ja) スラストフォイル軸受、スラストフォイル軸受のベース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4200751B2 (ja) ラジアルフォイル軸受
JP2003222192A (ja) 捩り振動減衰装置
US8382598B2 (en) Modularity spacer for a damper
JP4659086B2 (ja) 一方向クラッチ
US5186293A (en) Damper disk
JP2009014193A (ja) 摩擦ダンパー装置
KR100425225B1 (ko) 로크업클러치및이를구비한유체동역학적커플링장치
EP3763954B1 (en) Radial foil bearing
JP4629193B2 (ja) ロックアップダンパー装置
JP4622254B2 (ja) 軸受装置
KR102704179B1 (ko) 자체 유지 압축성 다이어프램 스프링
JP7499206B2 (ja) モータの固定構造
JP2002195379A (ja) ロックアップダン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7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