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94147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147A
KR20040094147A KR1020030028132A KR20030028132A KR20040094147A KR 20040094147 A KR20040094147 A KR 20040094147A KR 1020030028132 A KR1020030028132 A KR 1020030028132A KR 20030028132 A KR20030028132 A KR 20030028132A KR 20040094147 A KR20040094147 A KR 20040094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driving
display panel
voltage
ambie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4147A/ko
Publication of KR20040094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1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0Applying solid insulation to windings, stators or rotors, e.g. applying insulating ta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의 구동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에 따라 셋업 전압을 온도 환경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상온에서의 소비전력 절감 및 콘트라스트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셋업 전압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생성된 셋업 전압을 주위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f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에 따라 구동전압을 온도 환경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콘트라스트(contrast)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형 패널의 제작이 용이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이 주목받고 있다. PDP는 화소를 구성하는 셀의 어드레스전극과 주사(스캔)/서스테인전극 및 공통 서스테인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조절을 통하여 방전을 얻으며, 방전된 빛의 양은 셀 내에서의 방전기간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PDP에서 전체 화면은 각각의 셀의 어드레스전극과 주사/서스테인전극 및 공통 서스테인전극에 디지털 영상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라이트 펄스, 주사를 위한 스캔 펄스, 방전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서스테인 펄스 및 방전된 셀의 방전을 중지시키기 위한 소거 펄스를 인가하여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구동시킴으로서 얻는다.
그리고 영상 표시를 위해 필요한 단계적인 계조(Grey Level)는 전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주어진 시간(NTSC TV 신호의 경우 1/30초) 내에서 각각의 셀이 방전되는 시간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현 시킨다. 이때, 화면의 휘도는 각각의 셀을 최대로 구동시켰을 때의 밝기에 의해 결정이 되고,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주어진 시간 내에 셀의 방전 시간을 최대한 길게 유지시킬 수 있는 구동 회로가 설계 되어야 한다.
한편, 명암의 차이인 콘트라스트는 배경의 밝기와 휘도에 의해 결정이 되며, 콘트라스트 증가를 위해서는 배경을 어둡게 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휘도 또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HDTV를 위한 평면 표시 장치의 경우 256 계조가 필요하고 해상도는 1280 ×1024 이상이 되어야 하며 200[lux] 조명하에서의 콘트라스트는 100:1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256 계조의 영상 표시를 위해서 필요한 영상 디지털 신호는 RGB 각각 8비트 신호가 필요하고, 요구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얻기 위해서는 셀의 방전 시간을 최대한 길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계조구현을 위한 방법으로는 선주사(Line scanning)방식과 서브필드(subfield)방식 등이 있다. 이중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방식은 서브필드 방식이다.
이러한 PDP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가 대표적이다.
도1을 참조하면,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는 상부 기판(10)상에 형성되어진 주사/서스테인전극(12Y) 및 공통 서스테인전극(12Z)과, 하부 기판(18)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20X)을 구비한다. 주사/서스테인전극(12Y)과 공통 서스테인전극(12Z)이 나란하게 형성된 상부 기판(10)에는 상부 유전체층(14)과 보호막(16)이 적층된다. 이 것들은 전극을 방전 영역에서 분리시켜 주기 때문에 셀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동시에 셀 내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도록 하여 방전 셀 내의 전하를 이용하면 외부 전극에 인가하는 방전 전압을 낮출 수 있도록 해준다. 상부 유전체층(14)에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벽전하가 축적된다.
그리고, 보호막(1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에 의한 상부 유전체층(14)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되는데,보호막(16)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어드레스전극(20X)이 형성된 하부기판(18)상에는 하부 유전체층(22), 격벽(24)이 형성되며, 하부 유전체층(22)과 격벽(24) 표면에는 형광체층(26)이 도포된다. 어드레스전극(20X)은 주사/서스테인전극(12Y) 및 공통 서스테인전극(12Z)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24)은 어드레스전극(20X)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 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광체층(2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상판(10) 및 하판(18)과 격벽(24) 사이에 마련된 방전공간에는 가스방전을 위한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 이러한 전극 구조를 지니는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경우 방전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극성이 계속적으로 반전되는 교류 전압을 전극 사이에 인가 시켜야 한다.
이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주사/서스테인전극들(Y1 내지 Ym) 및 공통 서스테인전극들(Z1 내지 Zm)과 어드레스전극(X1 내지 Xn)들이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지점에서 각각의 셀(11)이 구성된다. 주사/서스테인전극들(Y1∼Ym)은 화면의 주사를 위해 사용되고, 공통 서스테인전극들(Z1∼Zm)은 방전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어드레스전극(X1 내지 Xn)들은 데이터 입력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같은 전극구조를 지닌 PDP의 구동파형의 예를 도3에 나타내었다.
리세트 기간에서, 초기에는 주사/서스테인전극들(Y1 내지 Ym)에 0(V)의 값이 인가되고 공통 서스테인전극들(Z1 내지 Zm)에는 전면 라이트 펄스가 인가되어 모든공통 서스테인전극들(Z1 내지 Zm)과 주사/서스테인전극들(Y1 내지 Ym) 사이에 초기 방전이 발생되며, 이후 주사/서스테인전극(Y1 내지 Ym)들에 리세트 펄스가 인가되어 리세트 방전을 발생시킨 다음 공통서스테인전극(Z1 내지 Zm)들에 전면 소거 펄스가 인가되어 모든 셀들의 방전을 소멸시킨다.
다음으로, 어드레스기간에서, 초기에는 주사/서스테인전극(Y1 내지 Ym)들과 공통 서스테인 전극(Z1 내지 Zm)들에 같은 정극의 전압이 인가되어 다음의 어드레싱에 대비하고, 스캔 펄스가 주사/서스테인전극(Y1 내지 Ym)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스캔 펄스가 인가되면 주사/서스테인전극(Y1 내지 Ym) 및 공통 서스테인전극(Z1 내지 Zm)에 속한 셀들에 양극의 데이터 펄스가 입력되어 방전에 의해 벽전하를 형성하게 되어 이후의 서스테인기간에서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서스테인기간에서는 주사/서스테인전극(Y1 내지 Ym)들과 공통 서스테인전극(Z1 내지 Zm)들에 교번적으로 같은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되어서 어드레스기간에 정해진 PDP셀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과 그 타이밍에서 알 수 있듯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은 벽전하를 초기화시키는 리세트, 켜져야 할 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선택한 셀을 유지방전하는 서스테인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에서 필요한 전압 레벨을 살펴보면 리세트 기간에서는 셋업전압(Vsetup),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데이터 전압(Va) 등이 있다. 상기 리세트 기간에서는 Vsetup 전압으로 리세트 방전을 일으켜서 벽전하를 초기화하는 것이며,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Vsc와 Va를 이용해서 선택 방전을 일으켜서 서스테인이 가능한 벽전하를 만들어주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전압을 결정함에 있어서 그 전압 레벨을 상온 및 고온에서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전압 레벨로 한번 설정하면 고정된 상태로 불변하게 된다. 그러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온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셀 내부의 벽전하를 이용한 구동을 토대로 하는데 이 벽전하는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셀 내부의 벽전하들이 활발해 지기 때문에 고온에서는 벽전하를 제어하기 위해서 더욱 높은 Vsetup 및 Va 전압 레벨이 요구되므로, 고온에서 요구되는 상기 구동 전압 레벨 이하로 구동 전압을 인가할 경우 켜져야 할 셀이 켜지지 않게 되는 오방전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전압을 고온에서 만족할 수 있는 전압 레벨로 미리 고정시켜 놓고 있다.
그러나, 상온 동작 환경에서 볼 때에는 고온에 맞춰진 구동전압 레벨로 인하여 오히려 높은 전력 소비가 일어나게 되고, 리세트시에 높은 레벨의 셋업 방전을 일으키게 되므로, 오히려 상온 동작 환경에서는 콘트라스트의 저하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정리하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전압은 고온 환경을 미리고려해서 맞춰놓고 있으므로 상온 환경에서 동작하는 동안에는 오히려 고온에 맞춰진 높은 레벨의 구동전압으로 인한 불필요하고 과도한 전력 소비의 문제점, 그리고 상온에서 필요 이상으로 높은 구동전압으로 방전하는데 따라 과도하게 발생하는 광량과 이에 따른 콘트라스트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구동 전압을 가변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주위 온도에 따라 셋업 전압(Vsetup) 레벨 및/또는 데이터 전압(Va) 레벨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배치도
도3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신호 파형도
도4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신호 파형도
도5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00: X구동부
300: Y구동부 400: 구동 제어부
500: 온도 감지부 600: 구동 전압 생성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은, 리셋기간, 어드레스기간, 서스테인기간으로 나누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에 따라 구동전압 레벨을 온도에 적응적으로 가변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는 리셋기간, 어드레스기간, 서스테인기간으로 나누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수단과,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생성된 구동전압을 주위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스캔 전극에 가해지는 Vsetup 전압 레벨을 가변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어드레스 전극에 가해지는 Va 전압 레벨을 가변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구동전압 레벨을 상온 환경과 고온 환경으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른 값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에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스캔 전극에 가해지는 Vsetup 전압 및/또는 어드레스 전극에 가해지는 Va 전압 레벨을 상온 환경과 고온 환경으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른 값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과 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써 설명한다.
먼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파형과 그 타이밍을 보여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세트 기간, 어드레스 기간, 서스테인 기간 등, 각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구동 전압의 레벨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주위 온도에 따라 가변시킨다. 예를 들어 상온에서와 고온에서의 구동 전압 레벨을 각각 다르게 설정해 놓고 주위 온도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구동 전압 레벨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킨다. 도4에서는 Vsetup 전압과 Va 전압을 각각 상온과 고온 환경에 대응하여 설정해 놓았는데, Vsetup 전압 레벨은 상온에서가 고온에서의 레벨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고, Va 전압 레벨 또한 상온에서가 고온에서의 레벨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즉, Vsetup 전압 레벨의 경우는 상온에서 Vsetup_L, 고온에서 Vsetup_H로 설정되며 Vsetup_H > Vsetup_L 이고, 데이터 전압인 Va 전압 레벨의 경우는 상온에서 Va_L, 고온에서 Va_H로 설정되며 Va_H > Va_L 이다. 도4에서는 상온과 고온 2가지 환경에 대해서만 각각 2개의 서로 다른 레벨의 구동전압이 준비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온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레벨의 구동 전압이 준비되고 이 것을 해당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전극에 인가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상기 구동전압의 종류나 그 온도별 레벨의 선택과 가변 제어의 타이밍은 자유롭게 설계 및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기 주변의 온도가 상온이라고 판단되는 온도 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스캔 전극의 구동 전압, 특히 Vsetup 전압의 레벨을 고온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Vsetup_L으로 구동한다. 이와 같이 상온에서 Vsetup 전압 레벨을 낮게 하면 배경광이 작게되고, 이에 따라 블랙 휘도를 줄여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온에서의 소비 전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기 주변의 온도가 고온이라고 판단되는 온도 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스캔 전극의 Vsetup 전압의 레벨을 상온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 Vsetup_H으로 구동한다. 이와 같이 고온에서 Vsetup 전압 레벨을 종전과 마찬가지로 높게 해줌으로써 고온 동작 환경에서의 오방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기 주변의 온도가 상온이라고 판단되는 온도 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어드레스 전극의 데이터 전압 Va를 고온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 Va_L으로 구동한다. 이와 같이 상온에서 Va 전압 레벨을 낮게 하면 어드레싱에 의한 배경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온에서의 소비전력 또한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기 주변의 온도가 고온이라고 판단되는 온도 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어드레스 전극에 가해지는 데이터 전압 Va의 레벨을 상온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 Va_H으로 구동한다. 이와 같이 고온에서 Va 전압 레벨을 종전과 마찬가지로 높게 해줌으로써 고온 동작 환경에서의 오방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셋업 전압 Vsetup과 데이터 전압 Va를 모두 상온과 고온 각각의 환경에 따라 함께 가변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온에서의 소비전력 효과와 콘트라스트 향상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며, 고온에서의 오방전에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상온 또는 고온 환경인지의 여부는 구동 제어부 등에서 판별할 수 있으며, 그 판별의 기준이 되는 온도는 기기의 특성과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위 온도에 따라 각각 다른 레벨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멀티 레벨의 전압을 미리 전압원(Multi Level Voltage Source)로 준비해 두고, 주위 온에 따라 이 중에서 하나의 적절한 전압 레벨을 선택하여 인가해 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DC/DC 컨버터의 변환 데이터 값을 조정하는 방법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도6은 상기 본 발명의 구동방법을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의 실시예 구성을 보여준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을 위하여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X구동부(200)와 Y구동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구동부에 클럭을 제공하고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400)가 구비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감지부(500)에서 감지된 온도값은 구동 제어부(400)에 입력된다. 그리고 멀티 레벨의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전압 생성부(600)가 구비되며, 구동전압 생성부(600)는 구동 제어부(400)의 제어를 받아 소정 레벨의 구동전압이 선택되고 그 선택된 구동 전압을 구동부에 제공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되는 상기 셋업 전압(Vsetup) 및/또는 데이터 전압(Va)을 해당 전극에 인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구동전압 생성부(6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Vsetup_L, Vsetup_H,Va_L, Va_H에 해당하는 레벨의 전압을 생성하며, 생성된 전압은 구동 제어부(400)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500)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선택되어 해당 구동부에 제공된다.
상기 구동전압 생성부(600)는 DC/DC 컨버터가 될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Vsetup과 Va 각각에 대해서 상온과 고온의 총 4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레벨에 해당하는 멀티 레벨의 전압 생성이 준비되고, 스위칭에 의해서 상기 멀티 레벨의 전압 중의 어느 하나를 해당 전극에 인가하는 방법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그 구동전압의 레벨을 기기 주변의 온도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시키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셋업 전압 및/또는 데이터 전압의 레벨을 상온 환경과 고온 환경으로 나누어서 각각 다른 값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환경을 고온과 상온으로 구분하고, 고온과 상온에서의 구동 전압 레벨을 각각 달리함에 있어 상온에서의 구동전압을 고온에서의 구동전압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상온에서는 낮은 소비전력을 갖도록 하고 오방전 위험없이 콘트라스틀 향상시키며, 고온에서는 기존과 동등한 소비전력과 콘스라스트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Claims (9)

  1. 리셋기간, 어드레스기간, 서스테인기간으로 나누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에 따라 구동전압 레벨을 온도에 적응적으로 가변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스캔 전극에 가해지는 셋업 전압 레벨을 가변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어드레스 전극에 가해지는 데이터 전압 레벨을 가변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구동전압 레벨을 상온 환경과 고온 환경으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른 값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라 스캔 전극에 가해지는 셋업 전압 및/또는 어드레스 전극에 가해지는 데이터 전압 레벨을 상온 환경과 고온 환경으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른 값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온도에 따른 온도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구동전압 레벨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레벨의 구동전압이 준비되고 이로부터 어느 하나의 구동전압이 선택되어 해당 전극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7. 리셋기간, 어드레스기간, 서스테인기간으로 나누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생성된 구동전압을 주위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 생성수단은 스캔 전극에 가해지는 셋업 전압 및/또는 어드레스 전극에 가해지는 데이터 전압에 대하여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 생성수단은 스캔 전극에 가해지는 셋업 전압 및/또는 어드레스 전극에 가해지는 데이터 전압에 대하여 각각 상온과 고온으로 구분되는 각각 다른 레벨의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
KR1020030028132A 2003-05-02 2003-05-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Ceased KR20040094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132A KR20040094147A (ko) 2003-05-02 2003-05-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132A KR20040094147A (ko) 2003-05-02 2003-05-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147A true KR20040094147A (ko) 2004-11-09

Family

ID=3737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132A Ceased KR20040094147A (ko) 2003-05-02 2003-05-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414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248B1 (ko) * 2004-11-05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100727300B1 (ko) * 2005-09-09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30164B1 (ko) * 2005-11-18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739595B1 (ko) * 2006-03-15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64335B1 (ko) * 2005-03-29 2007-10-05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77726B1 (ko) * 2005-11-14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효과적인 초기화가 수행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808725B1 (ko) * 2005-09-30 2008-03-03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38084B1 (ko) * 2007-04-09 2008-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적응적인 초기화를 수행하는 방전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968835B1 (ko) * 2004-04-14 2010-07-09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835B1 (ko) * 2004-04-14 2010-07-09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973741B2 (en) 2004-04-14 2011-07-05 Panas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589248B1 (ko) * 2004-11-05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100764335B1 (ko) * 2005-03-29 2007-10-05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27300B1 (ko) * 2005-09-09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08725B1 (ko) * 2005-09-30 2008-03-03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623092B2 (en) 2005-09-30 2009-11-24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Plasma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519911B2 (en) 2005-09-30 2013-08-27 Hitachi, Ltd.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device
KR100777726B1 (ko) * 2005-11-14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효과적인 초기화가 수행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730164B1 (ko) * 2005-11-18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739595B1 (ko) * 2006-03-15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838084B1 (ko) * 2007-04-09 2008-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적응적인 초기화를 수행하는 방전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2118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3961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US8508555B2 (en) Plasma display device
JP4264044B2 (ja) パネル駆動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4009414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JP2007171919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04125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8325110B2 (en) Power supply and driver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358696B1 (ko)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4502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EP2031574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502448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WO2011007563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9979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06001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1008045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605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630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100740109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080024387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500513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JP200130602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4009414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
JPWO2007063587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7004587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