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326A -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3326A KR20040093326A KR1020030027206A KR20030027206A KR20040093326A KR 20040093326 A KR20040093326 A KR 20040093326A KR 1020030027206 A KR1020030027206 A KR 1020030027206A KR 20030027206 A KR20030027206 A KR 20030027206A KR 20040093326 A KR20040093326 A KR 200400933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d
- signal
- wireless
- telephone network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와 연동하지 않고 무선통신 단말기 자체에 유선전화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중에는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자유로이 통화하고 유선전화망 접속이 가능한 곳에서는 유선전화망 접속을 통하여 통신하는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부, 기저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및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를 포함하는 무선처리 수단;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송수화 수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 수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유선전화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유선연결 수단; 상기 유선연결 수단에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접속 또는 비접속됨에 따라 접속신호 또는 비접속신호를 제 1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고, 유선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처리 수단; 상기 제 1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수화 수단을 상기 무선처리 수단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선처리수단에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선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유선연결 수단에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함께 상기 송수화 수단과 상기 유선처리 수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비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재계시키고 상기 송수화 수단과 상기 무선처리 수단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중에는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하고 유선전화망 접속이 가능할 때는 유선전화망에 접속하여 경제적인 통신 비용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음성,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이동하면서도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점으로 인해많은 사람들이 무선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게 되었지만, 그런 휴대성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즉, 하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최근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의 전화번호 입력 기능은 물론 최근 수신번호/발신번호의 리스트 및 보낸 문자메시지/받은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화를 발신하는 경우 전화번호부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단축다이얼로 지정하여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에 벨소리를 울려주는 알람기능을 제공하며, 심지어 계산기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발신자표시서비스의 보편화로 전화번호부에 입력된 이름을 검색해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아닌 발신자의 이름을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개인정보를 담고 있고, 사용이 편리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유선전화망을 통해서 사용한다면, 하기의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저렴한 유선전화요금을 내면서도 무선통신 단말기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표 1]은 2002년 10월 29일 비할인 시간대 요금 기준으로 현재의 요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도 유선전화 요금이 이동전화 요금보다 저렴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 은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부와 제어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크게 무선부와 제어부로 나눌 수 있으며, 제어부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화기(11),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송화기(12),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가 있고, 내부적 제어장치로 수신신호 처리회로와 송신신호 처리회로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4)가 있다.
또한, 무선부에는 신호의 송신을 처리하는 무선 송신부(15)와 신호의 수신을 처리하는 무선 수신부(16)가 있으며, 이 무선 송신부(15)와 무선 수신부(16)에 연결되어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공용기(17)가 있다. 또한, 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주파수 신시사이저(18)를 포함한다.
도 2 는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측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부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구별하거나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신호의 주파수 편이량을 조정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20), 저속으로 음성의 디지털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음성 신호를 대역별로 압축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or)(25),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or)(23),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or)(24), 상기 D-A 변환기(23)와 연결되어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화기(21), 상기 A-D 변환기(24)와 연결되어 있으며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송화기(22),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기(26),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27), 전화번호나 인적사항, 프로그램 및 파일 시스템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9)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서(28)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 기술로 홈 컨트롤러 시스템에 의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 전환 제어 서비스를 이용하여 집안에서는 유선에 의한 단말기로, 집밖에서는 무선에 의한 단말기로 전환되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있었지만, 이는 무선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홈 컨트롤러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장치와 연동하지 않고 무선통신 단말기 자체에 유선전화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중에는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자유로이 통화하고 유선전화망 접속이 가능한 곳에서는 유선전화망 접속을 통하여 통신하는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무선부와 제어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측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선처리부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선전화망 접속 방식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활용 방식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무선부 31 : 베이스 밴드 회로부
32 : 변환부 33 : 유선 연결부
34 : 유선 처리부 35 : 스위치부
36 : 송수화부 37 : 화면 표시부
38 : 저장부 39 : 제 1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부, 기저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및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를 포함하는 무선처리 수단;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송수화 수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 수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유선전화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유선연결 수단; 상기 유선연결 수단에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접속 또는 비접속됨에 따라 접속신호 또는 비접속신호를 제 1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고, 유선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처리 수단; 상기 제 1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수화 수단을 상기 무선처리 수단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선처리 수단에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선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유선연결 수단에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함께 상기 송수화 수단과 상기 유선처리 수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비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재계시키고 상기 송수화 수단과 상기 무선처리 수단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 전환 방법에 있어서, 유선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유선전화망에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접속신호인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비접속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단계의 판단결과, 접속신호인 경우 베이스 밴드 회로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송수화부와 유선처리부를 연결하여 유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결과, 비접속신호인 경우 상기 베이스 밴드 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송수화부와 무선처리부 측을 연결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부(30), 상기 무선부(30)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구별하거나 변환부(32)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의 주파수 편이량을 조정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회로부(31), 상기 베이스 밴드 회로부(31)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32), 유선전화 표준 커넥터(RJ-11)와 호환되며 무선통신 단말기를 유선 전화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유선연결부(33), 상기 유선연결부(33)에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가 접속됨을 감지하며, 유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유선처리부(34),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송수화부(36)를 변환부(32) 또는 유선처리부(34)에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치부(35),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송수화부(36), 입력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나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서비스(CID)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등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부(37),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나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 프로그램 및 파일 시스템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8),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유선처리부(34)로부터 유선연결부(33)에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가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 밴드 회로부(31)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함께 송수화부(36)와 유선처리부(34)를 연결시키고,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비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 밴드 회로부(31)의 동작을 재계시키고 송수화부(36)와 변환부(32)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부(35)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부(3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부(30), 베이스 밴드 회로부(신호 처리부)(31), 및 변환부(32)를 무선처리부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에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가 연결되면 상기 제 1 제어부(39)는 무선통신과의 접속을 끊고 유선통신과 접속을 하여 유선전화망을 통하여 통신하게 된다. 이 때, 무선으로 통신할 때 동작되었던 화면 표시부(37), 저장부(38), 송수화부(36), 키패드(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등은 그대로 동작을 계속한다. 따라서, 유선전화망을 통하여 통신할 때도 저장부(38)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나 단축 다이얼 및 개인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화면 표시부(37)와 키패드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서비스(CI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기본 셋팅이 무선접속으로 되어 있어, 상기 유선연결부(33)에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가 연결되지 않으면 항상 무선접속이 가능하고, 상기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가 연결되었다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무선접속이 가능해진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선처리부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선처리부는, 유선연결부(33)에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가 연결/비연결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유선신호 감지부(41), 착신호로 보통 20Hz의 신호가 수신되는데 이를 감지하여 벨을 울리고, 발신자 전화번호 표시 서비스(CID)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가 수신되었을 경우 이를 구분하여 벨소리를 울리기 위한 착신호 처리부(42), 전화번호에 따른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얼 신호 발생부(43), 유선전화망 연결시 송수화부(36)와 접속되어 통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화신호 처리부(44), 상기 유선신호 감지부(41)로부터의 접속신호/비접속신호를 제 1 제어부(39)로 전달하고, 발신 전화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다이얼 신호 발생부(43)가 다이얼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며, 착신호 처리부(42)에서 수신한 발신자 전화번호 및 단문 메시지 등을 화면 표시부(37)로 출력하고, 통화신호 처리부(44)가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부(45)를 포함한다.
상기 통화신호 처리부(44)는 제 2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통화시간 기록, 음성 녹음,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능을 더 수행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선전화망 접속 방식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유선연결부(31)를 이용하여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RJ-11)을 직접 연결할 수 있고, 또 다른 방식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에 데이터 교환과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단자(51)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유선전화망의 표준 커넥터(RJ-11)(53)와 연결할 수 있도록 매개 역할을 하는 커넥터 어댑터(5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활용 방식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가정(61) 및 회사(62) 등과 같이 유선전화망 접속이 가능한 장소에서는 유선전화망을 통하여 저렴한 요금으로 통화를 할 수 있고, 유선전화망 접속이 곤란한 장소(예: 유선망 연결이 불가능한 회사)(63)에서는 무선전화망을 통해 통화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유선처리부(34)가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53)의 접속 유무에 따라 접속신호 또는 비접속신호를 제 1 제어부(39)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제어부(39)는 유선처리부(34)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접속신호인지 또는 비접속신호인지를 판단하여(701), 접속신호이면 베이스 밴드 회로부(31)의 동작을 중지시키고(702) 스위치부(35)를 제어하여 송수화부(36)와 유선처리부(34)를 연결시킨다(703). 이로써, 유선전화망과 접속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반면, 전달받은 신호가 비접속신호이면 유선전화 표준 커넥터(53)가 접속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베이스 밴드 회로부(31)를 동작시킴(704)과 함께 송수화부(36)와 변환부(32)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35)를 제어한다(705). 이로써, 무선전화망과 접속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유선접속 가능 상태에서도 화면 표시부(37), 저장부(38), 송수화부(36) 및 키패드(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계속해서 동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선전화망 접속에 필요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유선처리부를 두어, 이동중에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유선전화망 표준 커넥터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꽂는 것만으로 유선전화망으로의 통화가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유선전화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기 때문에 유선전화기를 따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부, 기저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및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를 포함하는 무선처리 수단;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송수화 수단;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 수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유선전화망 접속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유선전화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유선연결 수단;상기 유선연결 수단에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접속 또는 비접속됨에 따라 접속신호 또는 비접속신호를 제 1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고, 유선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처리 수단;상기 제 1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수화 수단을 상기 무선처리 수단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상기 유선처리 수단에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 및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선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유선연결 수단에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리는 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함께 상기 송수화 수단과 상기 유선처리 수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비접속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 처리부의 동작을 재계시키고상기 송수화 수단과 상기 무선처리 수단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선처리 수단은,상기 유선연결 수단에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 수단이 접속 또는 비접속됨을 감지하기 위한 유선신호 감지 수단;착신호를 감지하여 처리하기 위한 착신호 처리 수단;발신 전화번호에 따른 다이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얼 신호 발생 수단;유선전화망 연결시 상기 송수화 수단과 접속되어 통화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화신호 처리 수단; 및상기 착신호 처리 수단, 상기 다이얼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통화신호 처리 수단이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선신호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접속신호 또는 비접속신호를 상기 제 1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 전환 방법에 있어서,유선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가 유선전화망에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접속신호인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비접속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상기 제 1 단계의 판단결과, 접속신호인 경우 베이스 밴드 회로부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송수화부와 유선처리부를 연결하여 유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상기 제 1 단계의 판단결과, 비접속신호인 경우 상기 베이스 밴드 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송수화부와 무선처리부 측을 연결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유/무선 전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7206A KR20040093326A (ko) | 2003-04-29 | 2003-04-29 |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7206A KR20040093326A (ko) | 2003-04-29 | 2003-04-29 |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3326A true KR20040093326A (ko) | 2004-11-05 |
Family
ID=3737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7206A KR20040093326A (ko) | 2003-04-29 | 2003-04-29 |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9332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7959B1 (ko) * | 2010-10-22 | 2011-04-12 | 주식회사 지우미디어 | 안테나 구비에 따른 유무선 스위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
-
2003
- 2003-04-29 KR KR1020030027206A patent/KR200400933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7959B1 (ko) * | 2010-10-22 | 2011-04-12 | 주식회사 지우미디어 | 안테나 구비에 따른 유무선 스위칭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13505B2 (en) | Efficient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base-to-base communication | |
US6192251B1 (en) |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
US20110090818A1 (en) |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 |
EA008113B1 (ru) | Многорежимный телефон, включающий два беспроводных модема и один процессор модема | |
AU621752B2 (en) | Cellular telephone with standard telephone set | |
KR100763129B1 (ko) |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 |
US20050119014A1 (en) | Home cellular phone system | |
JP2010056878A (ja) | 電話機及び電話機の通話制御方法 | |
US6377822B1 (en) | Wireless telephone for visually displaying progress messages | |
EP1643779A1 (en) | Telephone system for interfacing via bluetooth a cordless handset with a basestation in a wireless network | |
US6477383B1 (en) |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
KR20040093326A (ko) | 유/무선 전환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
JP3529283B2 (ja) | 回線選択装置 | |
KR20020045927A (ko) |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을 지원해주는 블루투스 방식의전화기 세트와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 |
KR100678108B1 (ko) |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 |
KR20040100806A (ko) |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 |
WO2011070570A1 (en) | System & method for a cordless end station of a land line | |
US8265249B2 (en) | Changing a state of a remote switch box which connects a phone to a network | |
KR20050040544A (ko) | 그룹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
JP3077249B2 (ja) | 無線電話装置 | |
JPH0256127A (ja) | 呼出通信位置登録方式 | |
JPH0730959A (ja) | 携帯電話システム | |
KR100566986B1 (ko) | 발신자별 벨소리 크기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 |
KR20040044595A (ko)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메시지확인방법 | |
KR20000030396A (ko) | 일반전화기로 pc를 통한 인터넷 폰을 하기 위한 교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