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229A - 액정폴더의 착탈기능이 있는 핸드폰 - Google Patents
액정폴더의 착탈기능이 있는 핸드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91229A KR20040091229A KR1020030024963A KR20030024963A KR20040091229A KR 20040091229 A KR20040091229 A KR 20040091229A KR 1020030024963 A KR1020030024963 A KR 1020030024963A KR 20030024963 A KR20030024963 A KR 20030024963A KR 20040091229 A KR20040091229 A KR 200400912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folder
- mobile phone
- crystal fold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에 결합되어 있는 액정폴더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것으로서 기존에 결합되어 있는 액정폴더를 간단히 분리시키고 다른 크기 및 용도의 액정폴더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액정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핸드폰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드폰에서 액정폴더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기존에는 핸드폰과 액정폴더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에 결합되어 있는 액정폴더 이외에 다른 크기나 용도의 액정폴더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무선인터넷 사용 등의 보다 광범위한 기능과 요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핸드폰에서 기존의 액정폴더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크기나 용도의 액정폴더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편리하게 여러 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핸드폰과 액정폴더를 연결시키는 힌지부분에 접속부를 설치하고 액정폴더의 하단에 콘넥터부를 형성함으로서 핸드폰과 액정폴더를 쉽게 분리 결합시킬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핸드폰 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핸드폰과 액정폴더를 연결시키는 힌지부분에 접속구와 접속핀으로 구성된 접속부를 설치하고 액정폴더의 하단에 콘넥터와 걸림부 접속대로 구성된 콘넥터부를 형성함으로서 핸드폰과 액정폴더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 시에는 결합된 액정폴더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걸림부와 접속구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하며 핸드폰에서 액정폴더를 분리 시킬 때는 분리버튼을 눌러 간단히 분리시키고 핸드폰에 액정폴더를 결합시킬 때에는 액정폴더의 접속대가 핸드폰본체의 접속구에 장착되도록 가볍게 눌러 줌으로서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핸드폰과 액정폴더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핸드폰과 액정폴더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핸드폰과 대형액정폴더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핸드폰과 액정폴더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폰 본체 11 : 분리버튼
12 : 접속구 15 : 접속핀
17 : 힌지
20 : 액정폴더 21 : 수신부
22 : 액정 23 : 접속대
24 : 걸림부 25 : 콘넥터
30 : 접속부 31 : 숫자버튼
32 : 보조액정 33 : 보조수신부
34 : 안테나
40 : 콘넥터부
50 : 대형액정폴더 52 : 대형액정
55 : 케이블 56 : 연결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핸드폰과 액정폴더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핸드폰과 액정폴더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핸드폰과 대형액정폴더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핸드폰과 액정폴더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상의 핸드폰에 있어서;
기존의 핸드폰은 액정화면 또는 액정폴더가 핸드폰본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어 용도나 기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액정폴더 분리형 핸드폰은 숫자버튼(31)과 안테나(34) 힌지(17)등으로 구성된 핸드폰본체(10)의 힌지(17)에 접속핀(15)이 구비되고 접속구(12)가 장착된 접속부(30)를 형성하고, 수신부(21)와 액정(22)으로 구성된 액정폴더(20)의 일 측에 콘넥터(25)와 걸림부(24)가 구비되고 접속대(23)가 형성된 콘넥터부(40)를 통하여 핸드폰본체(10)와 액정폴더(2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결합 시에는 핸드폰본체(10)의 힌지(17)에 형성된 접속구(12)에 액정폴더(20)의 일 측에 형성된 접속대(23)가 장착되면서 접속구(12) 내의 접속핀(15)과 접속대(23)에 형성된 콘넥터(25)가 결합되도록 하고 접속대(23)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24)는 접속구(12)에 장착되어 핸드폰본체(10)로 부터 액정폴더(20)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핸드폰본체(10)와 액정폴더(20)가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드폰본체(10)와 액정폴더(20)를 분리시킬 때에는 핸드폰본체(10)의 접속부(30)의 힌지(17)에 설치된 분리버튼(11)을 눌러 줌으로서 핸드폰본체(10)와 액정폴더(2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핸드폰본체(10)에서 액정폴더(20)를 분리한 경우에도 핸드폰본체(10)에 구비된 보조액정(32)과 보조수신부(33)를 이용하여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핸드폰본체(10)에 대형액정(52)이 구비된 대형액정폴더(50)를 장착하여 인터넷 등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드폰본체(10)와 액정폴더(20)와의 연결은 양끝에 연결부(56)가 구비된 케이블(55)을 통하여서도 핸드폰본체(10)의 접속부(30)와 액정폴더(20)의 콘넥터부(4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폴더의 착탈기능이 있는 핸드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핸드폰 사용시 액정화면 또는 액정폴더가 핸드폰본체와 고정 결합되어 있어 용도나 기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액정폴더를 핸드폰본체에서 분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대형 액정폴더 등 필요한 용도에 따라 바꾸어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무선인터넷 사용 등의 보다 광범위한 기능과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 핸드폰본체(10)에 형성된 접속부(30)와 액정폴더(20)의 일 측에 형성된 콘넥터부(40)를 통하여 핸드폰본체(10)와 액정폴더(20)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 제 1항에 있어서, 핸드폰본체(10)의 접속부(30)와 액정폴더(20)의 콘넥터부(40)를 양 끝단에 연걸부(56)가 형성된 케이블(55)을 통하여 핸드폰본체(10)와 액정폴더(20)를 분리 결합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4963A KR20040091229A (ko) | 2003-04-19 | 2003-04-19 | 액정폴더의 착탈기능이 있는 핸드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4963A KR20040091229A (ko) | 2003-04-19 | 2003-04-19 | 액정폴더의 착탈기능이 있는 핸드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1229A true KR20040091229A (ko) | 2004-10-28 |
Family
ID=3737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4963A Withdrawn KR20040091229A (ko) | 2003-04-19 | 2003-04-19 | 액정폴더의 착탈기능이 있는 핸드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9122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8212B1 (ko) * | 2007-06-01 | 2008-06-13 | (주)테일러테크놀로지 | 보조 배터리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
-
2003
- 2003-04-19 KR KR1020030024963A patent/KR2004009122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8212B1 (ko) * | 2007-06-01 | 2008-06-13 | (주)테일러테크놀로지 | 보조 배터리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5287305B2 (en) | Interconnect assembly for a clam sty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293863Y1 (ko) | 폴더형 핸드폰 케이스 | |
US20120127043A1 (en) | Portable radio | |
KR20040091229A (ko) | 액정폴더의 착탈기능이 있는 핸드폰 | |
US7180750B2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stacking connectors on boards from coming apart and electronic device | |
JP4071875B2 (ja) | 携帯電話機の内蔵アンテナ取付構造 | |
KR101429277B1 (ko) |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 |
KR10189894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0946025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JP4190967B2 (ja) | 携帯端末機器 | |
KR200270461Y1 (ko) | 착탈식 보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 전화 단말기 | |
KR100313146B1 (ko) |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 |
JP3893095B2 (ja) | バッテリパックを具えた携帯電話機 | |
JP4568553B2 (ja) | コネクタ構造及び該コネクタ構造を備えた端末装置 | |
KR200369496Y1 (ko) |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 |
KR100535643B1 (ko) |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311537B1 (ko) |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 |
KR200295593Y1 (ko) |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 |
KR200218561Y1 (ko) | 이동통신전화기의 배터리 결합구조 | |
KR200241098Y1 (ko) |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023281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 |
JP3769488B2 (ja) | 電話機 | |
KR200172567Y1 (ko) | 이동전화단말기용 더스트 캡의 장착구조 | |
JP2001337742A (ja) | 情報携帯端末機器の保護カバー | |
KR100783403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