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74249A -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 - Google Patents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249A
KR20040074249A KR1020030009764A KR20030009764A KR20040074249A KR 20040074249 A KR20040074249 A KR 20040074249A KR 1020030009764 A KR1020030009764 A KR 1020030009764A KR 20030009764 A KR20030009764 A KR 20030009764A KR 20040074249 A KR20040074249 A KR 2004007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quercetin
glucopyranoside
xylpyranosyl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용
황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지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지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지케어
Priority to KR102003000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4249A/ko
Publication of KR2004007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24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5Concentrating samples by solubility techniques
    • G01N2001/4061Solvent ext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2030/062Preparation extracting sample from raw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잎을 선별하기 위한 품질 검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두충잎의 주성분인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표준물질로 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산지별, 계절적으로 다양한 품질을 나타내는 두충잎 중 우수한 품질의 두충잎만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METHOD FOR QUALIFYING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본 발명은 두충 잎의 품질을 검정하기 위한 검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충 나무(Eucommia ulmoides)는 중국원산의 낙엽교목으로서,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두충 나무의 껍질은 두충(杜沖)이라 부르며, 4월 중순에서 6월 중순 사이에 10년 이상 된 수피(樹皮)를 벗겨 조피(粗皮)를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시켜 사용하는데, 그 약리 작용으로는 혈압강하, 강장, 요통 및 관절염 치료, 진정 및 이뇨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육창수; 원색 한국 약용식물도감, pp 134, 아카데미서적, 1989). 알려진 구성성분으로는 고무 성분(gutta-percha), 배당체 성분, 알칼로이드 (alkaloid) 성분, 펙틴(pectin), 지방, 수지, 유기산, 비타민 C, 케토스(ketose), 알도스(aldose),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두충나무의 처음 나온 어린 잎은 면아라고 하며, 하혈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데, 고무성분(gutta-percha), 아우쿠빈(aucubin)과 같은 배당체 성분, 알칼로이드 성분, 펙틴, 지방, 피토스테롤(phytosterol)과 같은 수지, 사과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의 유기산, 케토스 성분, 비타민 C, 클로로겐산, 탄닌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일혁; 약이 되는 풀과 나무, pp146, 중앙대학교 출판국, 1997 및 정보섭, 신민교저: 도해 향약 대사전, pp 605-606, 영림사, 1998 참조).
최근 두충잎(Eucommiae Folium)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과 금연제품의 상용화로 두충잎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두충잎의 품질을 결정짓는 성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두충의 성분 중 이리도이드(Iridoid) 배당체인 게니포시드(geniposide)가 두충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Bianco, A.et al, Gazz. Chim. Ital. 108:17-20, 1978; Deyama, T.et al, Chem. Pharm. Bull. 34:4933-4938, 1986; Gawaii,m.et al, Shoyakukaku Zasshi, 42: 76-80, 1998; Yanmei, L.et al, Biol.Pharm.Bull.,21:1306-1310, 1998).
본 발명자는 두충잎에서도 이러한 게니포시드, 게니피시딘 산(genipicidicacid), 오우쿠빈(aucubin) 등이 주성분일 것으로 추정하고 두충잎에 대한 성분연구를 계속한 결과,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가 두충잎의 주성분이며 두충잎의 품질을 결정짓는 표준물질로 적합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충잎의 품질을 결정짓는 표준물질을 이용한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두충잎 메탄올 추출물의 물 분획으로부터 비이온교환 수지에 의해 얻어진 30%, 60% 및 100% 메탄올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2a 및 2b는 표품 및 각 산지별 두충잎 검액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3은 표품 및 각 채집시기별 두충잎 검액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두충잎의 주성분인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표준물질로 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충잎 품질 검정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1) 건조 두충잎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1 단계에서 얻은 두충잎의 건조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에 비극성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후 비극성용매 가용부를 제거하고 남은 물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얻어진 물분획물을 0 내지 100%의 저급알콜을 함유하는 물을 전개용매로 하여 다공성 비이온성 흡착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한 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를 분리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분리된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하, 본 발명의 두충잎 품질 검정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1) 추출 공정
건조된 두충잎에 약 1 내지 50배 중량/부피의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용액을 넣고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의 추출온도에서 30분 내지 2일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을 통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 자연건조 등의 방법으로 건조시켜 두충잎의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2) 분획 공정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두충잎의 건조 추출물에 약 0.5 내지 10배 부피/중량의 물을 넣어 현탁시킨 후, 이 현탁액에 약 1 내지 50배의 비극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산,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아세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고 분획하여 비극성 용매 가용부를 제거하고 남은 물 분획물을 수득한다.
(3) 주성분의 분리 및 정제 공정
상기 (2) 단계에서 얻어진 물 분획물을 0 내지 100 %의 저급알콜 용액,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농도 경사별로 전개용매로 하여 다공성 비이온성 흡착수지를 통해 분자의 극성 및 분자량 크기에 따라 정제하여 주성분인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를 분리한다.
천연물인 경우 대부분 물에서 해리되지 않으므로 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할 경우 선택적으로 흡착되지 않으며 흡착되더라도 비가역적으로 화학 결합함으로써 재현성이 없어지고, 탈착시킬 경우 인조화합물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천연물을 다량으로 분리·정제하는 데는 화학적으로 흡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비이온성 흡착수지가 적합하다. 이 때, 다공성 비이온성 흡착수지로는 앰버라이트(Amberlite) XAD 계열 또는 다이아이온(Diaion) HP 계열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수지로는 앰버라이트(Amberlite) XAD-2, 앰버라이트 XAD-4 및 다이아이온 HP-20을 예시할 수 있다. 비이온성 수지를 이용한 분획 이후 분자체인 세파덱스 LH-20을 이용한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주성분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및 정제 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주성분을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동정 확인한 바, 하기 화학식 1의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임을 밝혀 내고 두충 잎의 품질을 결정짓는 표준물질로서 기준을 삼는다.
(4)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 함량 측정 공정
상기의 분리 및 정제 공정을 거친 표준물질의 함량을 HPLC에 의하여 측정한다. 이 때, 컬럼으로는 ODS계 역상 젤 컬럼, 예를 들어 크로마실(Kromasil) 100-10C18컬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상으로는 15 % 내지 30 % 농도의 MeCN, 바람직하게는 17 % MeCN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물질의 함량 측정으로부터 두충잎 중의 표준물질인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0.07 % 이상을 함유하는 두충잎을 최상품, 0.05 % 이상 0.07 % 미만을 함유하는 두충잎을 상품, 0.03 % 이상 0.05 % 미만을 함유하는 두충잎을 중품, 0.03 % 미만을 함유하는 두충잎을 하품으로 하여 두충잎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표준 물질의 정제 및 분리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건조상태의 두충잎 1 ㎏을 세절하고 100 % 메탄올 10 L로 70℃에서 3시간씩 3회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여과지(Toyo No 2, 일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기(EYELA, N-11 및 N-N, 일본)로 감압 농축하여 250 g의 두충잎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물 300 ㎖에 현탁한 후, 이 현탁액을 에테르 2500 ㎖로 4회 분획하여 상층부(에테르 층)는 제거하고, 남은 하층부(수 층)를 모아서 농축한 결과 150 g의 물분획층을 얻었다.
이 물 분획물을 다공성 비이온성 교환수지인 앰버라이트 XAD-2(Sigma) 수지가 충진된 컬럼(5 x 60 ㎝)에 통과시켜 흡착시킨 후, 전개용매를 물로 시작하여 메탄올의 함량을 높여가면서, 30 % 메탄올 용출 분획, 60 % 메탄올 용출 분획 및 100 % 메탄올 용출 분획들을 수득하였다. 각 메탄올 용출분획들을 HPLC (컬럼: Kromasil 100-10C18(4.6 ×25 ㎝), 이동상: 17 % MeCN)하여 도 1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 주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은 30 % 메탄올 용출 분획을 세파덱스 LH-20(Sephadex LH-20, Pharmacia)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전개용매를 30 % 메탄올로 하여 용출시킨 후, 얻어진 용출액을 다시 50 % 메탄올로 용출하여 486 ㎎의 황색 결정상 화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을 IR 스펙트로스코피(Galaxy FT-IR, USA), MS 스펙트로스코피(FAB-Mass, VG70-VSEQ 영국), NMR(Varian Gemini 2000, 미국) 및HPLC(Water-600 system, 미국, 분석조건: 칼럼; Akzo Nobel, Kromasil 100-10C18(4.6×25 ㎝), 검출기: UV-detector(254 nm), 이동상: 17 % MeCN, 유속: 1.0 ㎖/분, 주입량: 10 ㎕) 등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임을 확인하였다.
IR υmax KBr cm-1: 3400(OH), 2900(C-H), 1600, 1450(C=C), 1780(C=O), 1110, 1120(glycosidic O);
FAB(-)-Mass m/z: 595[M-H]-, 463[M-(xyl+H)]-, 301[M-(glc+xyl+H)]-;
1H-NMR(300 MHz, DMSO-d 6) δ ppm: 7.67(1H, dd,J=2.4, 8.4Hz, H-2'), 6.85(1H, d,J=8.4 Hz, H-5'), 7.56(1H, d,J=2.1 Hz, H-6'), 6.40, 6.18(각 1H, d,J=1.8 Hz, H-6, H-8), 5.73(1H, d,J=7.2 Hz, glc anomer H), 4.59(1H, d,J=6.9 Hz, xyl anomer H);
13C-NMR(75 MHz, DMSO-d 6) δ ppm: 155.5(C-2), 133.1(C-3), 177.6(C-4), 161.4(C-5), 98.0(C-6), 164.5(C-7), 93.5(C-8), 153.4(C-9), 104.6(C-10), 121.8(C-1'), 115.3(C-2'), 145.1(C-3'), 148.7(C-4'), 116.1(C-5'), 121.3(C-6'), 98.8(C-1''), 81.9(C-2''), 76.9(C-3''), 69.6(C-4''), 77.6(C-5''), 60.6(C-6''), 103.9(C-1'''), 73.9(C-2'''), 76.2(C-3'''), 69.4(C-4'''), 65.6(C-5''')
실험예 1: 산지별 두충잎의 표준 물질의 함량분석
산지가 서로 다른 두충잎에 대하여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표준물질로 채택할 수 있는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함량분석을 3회에 걸쳐 반복 실시하였다.
2000년 8월 경기도 마석, 강원도 홍천, 경상북도 안동, 경기도 안성,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 경상북도 영천, 경기도 양평에서 채집한 각지의 두충잎의 건조 분말 10 g에 메탄올 50 ㎖를 넣고 수욕상에서 2시간씩 2회 환류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여과지(Toyo No.2)로 여과한 후 잔사를 20 ㎖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여액을 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물에 현탁시키고 에테르로 3회 분획하여 수층을 모아서 농축하였다. 이를 다시 메탄올 50 ㎖에 녹인 후 0.45 ㎛ 여과지로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였다.
한편, 실시예 1에서 분리한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 10 mg을 메탄올 50 ㎖에 용해시켜 표준액으로 하였다. 각 표준액 5, 10, 15, 20 ㎕씩을 HPLC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예상되는 피크가 y=6×106X-826129(r2=0.9994)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검액과 표준액에 대하여 HPLC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 Akzo Nobel, Kromasil 100-10C18(4.6×25 ㎝), 검출기: UV-검출기(254 nm), 이동상: 17 % MeCN, 유속: 1.0 ㎖/분, 주입량: 10 ㎕)를 수행하여 동일한 체류시간(RT=7.5분)을 확인하고, 그 피크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1로 함량을 계산하였다.
검액의 함량(mg)=표준액의 함량(mg)×Ru/Rs
상기 식에서, Ru는 검액의 피크(peak) 면적이고, Rs는 표준액의 피크 면적이다.
그 결과, 도 2a 및 2b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산지별로 각각 다른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서울 흑석동 및 경기도 양평의 두충잎에서 0.087±0.012 및 0.077±0.006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교적 저위도 지방인 영천 및 안동지방에서 0.034±0.013 및 0.024±0.002 mg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각 지역 전체의 함량 평균은 0.056±0.023 mg으로 나타나, 두충잎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표준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회 2회 3회 평 균
안동 0.025 0.022 0.026 0.024±0.002
안성 0.040 0.047 0.049 0.045±0.005
마석 0.043 0.069 0.063 0.059±0.014
홍천 0.065 0.079 0.059 0.067±0.011
흑석동 0.098 0.074 0.089 0.087±0.012
영천 0.025 0.049 0.026 0.034±0.013
양평 0.078 0.083 0.071 0.077±0.006
평균 0.056±0.023
실험예 2: 채집시기별 두충잎의 표준 물질의 함량분석
채집시기가 서로 다른 두충잎에 대하여 퀘르세틴-3-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표준물질로 채택할 수 있는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함량분석을 3회에 걸쳐 실험하였다.
채집시기별 변화에 사용한 두충잎 재료는 중앙대학교 흑석동 소재 약초원에서 6월말부터 10월말까지 5회에 걸쳐 채집하여 건조 분말화하고,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검액 및 표준액을 제조하여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3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채집시기별로 각각 다른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두충잎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표준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표준물질의 함량은 봄보다는 가을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달은 9월 및 10월로 0.066±0.005 mg 및 0.082±0.010 mg을 함유하였다.
1회 2회 3회 평 균
6월 0.050 0.048 0.056 0.052±0.004
7월 0.040 0.040 0.052 0.044±0.006
8월 0.052 0.050 0.052 0.051±0.001
9월 0.065 0.071 0.061 0.066±0.005
10월 0.085 0.071 0.091 0.082±0.010
본 발명은 두충잎의 주성분인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의 함량분석을 통하여 산지별, 계절별로 상이한 두충잎의 품질을 객관적이며 정량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두충잎의 품질의 검정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0)

  1. 두충잎 중의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충(Eucommia ulmoidesOlv.) 잎의 품질 검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건조된 두충잎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1 단계에서 얻은 두충잎의 건조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에 비극성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후 비극성용매 가용부를 제거하고 남은 물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얻어진 물 분획물을 0 내지 100 % 농도 구배의 저급알콜을 함유하는 물을 전개용매로 하여 다공성 비이온성 흡착 수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한 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를 분리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에서 분리된 퀘르세틴-3-O-β-D-자일로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시드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 단계의 추출방법이 초음파 추출법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1 단계의 유기용매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1 단계의 추출온도는 20 내지 70℃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1 단계의 추출시간은 1시간 내지 24시간인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2 단계에서 분획에 사용하는 비극성 용매가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산,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3 단계에서 다공성 비이온성 흡착 수지는 앰버라이트(Amberlite) XAD-2, 앰버라이트 XAD-4, 다이아이온(Diaion) HP-20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3 단계에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의 수지는 세파덱스형 수지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겔 여과수지는 세파덱스 LH-20인 방법.
KR1020030009764A 2003-02-17 2003-02-17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 Ceased KR20040074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64A KR20040074249A (ko) 2003-02-17 2003-02-17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764A KR20040074249A (ko) 2003-02-17 2003-02-17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249A true KR20040074249A (ko) 2004-08-25

Family

ID=3736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764A Ceased KR20040074249A (ko) 2003-02-17 2003-02-17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4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6795A (zh) * 2011-07-20 2012-02-01 河南科技大学 杜仲活性单体化合物、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用途
CN118376703A (zh) * 2024-04-18 2024-07-23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种同时检测杜仲中四种不同类型成分含量的hplc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36795A (zh) * 2011-07-20 2012-02-01 河南科技大学 杜仲活性单体化合物、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用途
CN118376703A (zh) * 2024-04-18 2024-07-23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种同时检测杜仲中四种不同类型成分含量的hplc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ma et al. Erythrinaline alkaloids from the flowers and pods of Erythrina lysistemon and their DPPH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AU2017219005B2 (en) Novel compound contained in manuka honey and use of same
Caccamese et al. Chiral HPLC separation and CD spectra of the C‐2 diastereomers of naringin in grapefruit during maturation
JP2002267655A (ja) ニシキギ科サラキア属の植物および/またはそれからの抽出物の品質判定方法
JP2009507913A (ja) 糖尿病、及び脂質異常症の治療のために有用な医薬組成物
KR20040074249A (ko) 두충잎의 품질 검정방법
CN115368421B (zh) 一种利用含笑属植物制备苯乙醇苷类化合物的方法
JP2579255B2 (ja) 杜仲葉エキス由来のアンジオテンシン転換酵素活性阻害剤
KR100883340B1 (ko) 고농도의시아니딘­3­o­(2g­o­자일로실루티노사이드)를오미자로부터 추출하는 방법
KR20100057460A (ko)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 및 항산화 조성물
KR100444394B1 (ko) 사포닌고함유인삼추출물제조방법
KR100388357B1 (ko) 헛개나무의 줄기와 잎에서 분리한 천연항균활성물질 및그의 분리 방법
Formigoni et al. Conventional extraction techniques
Der Marderosian et al.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ERGOLINE ALKLALOIDS FROM IPOMOEA MUELLERI
KR20050105910A (ko) 쿼서틴 3-O-α-L-람노시드, 캠페롤3-O-α-L-람노피라노시드, 캠페롤 3,7-O-α-L-디람노시드,카페인, 캠페롤3-O-α-L-람노실(1→6)-O-β-D-글루코실(1→2)-O-β-D-글루코시드, 그리고 캠페롤3-O-α-L-람노시드-7-O-[β-D-글루코실-(1→3)-α-L-람노시드] 등의 천연항산화물질을 포함하여 항산화 기능을 갖는헛개나무 추출물
CN106117062B (zh) 一种苯丙素类增香剂的制备方法及其与卷烟保润剂的联合应用
KR940004838B1 (ko) 녹차 플라보노이드의 추출방법
KR100458003B1 (ko)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분리한 신규 항암활성 화합물 및 그 정제방법
KR20120037279A (ko) 제주조릿대로부터 p-쿠마르산을 비롯한 미용 유효 성분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
CN116554258B (zh) 一种灰毡毛忍冬三萜皂苷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494672B1 (ko) 홍삼, 효소 및 천연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Petrosini et al. Determination of chlorcholine chloride residues in strawberries
KR101376311B1 (ko)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사포닌의 분리방법
KR100525886B1 (ko) 지초뿌리에 함유된 기능성 당활성물질 및 그의 분리 방법
KR100668260B1 (ko) 참나무로부터 페루릭산을 추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3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