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324A - Method for Control electric home appliances for home auto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 electric home appliances for home auto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73324A KR20040073324A KR1020040008544A KR20040008544A KR20040073324A KR 20040073324 A KR20040073324 A KR 20040073324A KR 1020040008544 A KR1020040008544 A KR 1020040008544A KR 20040008544 A KR20040008544 A KR 20040008544A KR 20040073324 A KR20040073324 A KR 200400733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on
- home
- home appliance
- user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된 각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들에 대한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생하는 다수의 내부통신장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유 코드로 각각의 생활영역이 구획된 주택 평면도나 실물의 사진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접수한 식별코드로 해당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며, 사용자 의도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이 주택 평면도 상에 안착되도록 하고, 이때 생활영역과 가전기기의 정보를 매칭시켜, 이후에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 선택할 때 터치한 아이콘이 지시하는 가전기기를 식별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제어대상의 실행된 결과는 미리 입력된 사진이나 기 설치된 카메라로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ch home appliance installed in a home, a plurality of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s for generating unique identification codes for the home appliances, a home serv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nd a touch screen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A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using a home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floor plan or a real picture of each living area divided by a unique code i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 icon of a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is generated by an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from an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intention, the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settled on the floor plan of the house, and at this time, the living area is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n the household appliance indicated by the touched icon when the user selects the icon through the touch screen To identify and control. Execution results of the control target can be checked remotely with a pre-input photo or a preinstalled camera.
Description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댁내에 설치된 홈 네트워크용 가전기기들을 각각의 고유 식별정보를 가진 아이콘(icon)으로 주택 평면도와 더불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me automation, and in particular, home appliances for home networks installed in a home ar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a floor plan of a home as icons having respectiv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for home automation that enables a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by touching a touch screen.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댁내 설치된 가전기기들 즉, 조명기기, 에너지 장치, 전기장치, 보안장치, 가스장치 등 간의 홈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들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ome networks between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homes, such as lighting equipment, energy devices, electric devices, security devices, gas devices, etc., are enabled, and these devices are integrated and controlled through one device. Home automation is possible.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 방법은 일명 리모콘 방식으로서, 각 가전기기들에게 고유 키 코드를 부여하여, 부여된 키 코드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리모콘 수신장치(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로 리모콘을 통해 키 코드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다.The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method is a remote control method, which assigns a unique key code to each home appliance, and transmits the key code through the remote control to a remote control receiver (or a corresponding device) that stores information of the assigned key code. Provid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desired by the user.
상기와 같은 리모콘 방식의 홈 오토메이션 방법은 사용자가 각 가전기기들의 고유 키 코드를 암기하고 있지 않으면 리모콘 수신장치를 통해 해당 키 코드를 확인하여야 하고, 키 코드 입력과 더불어 제어할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명령을 따로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the home automation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method, if the user does not memorize a unique key code of each home appliance, the corresponding key code should be check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receive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together with the key code input There is a hassle to enter separate commands to control.
그리고, 새로운 가전기기를 설치하거나 제외시킬 때에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키 코드를 인위적으로 설정 또는 삭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or excluding a new home appliance, it is cumbersome to artificially set or delete a key code for the home applia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전기기들의 설치 및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표시된 화면을 사용자가 단순히 터치하는 것만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display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states of home appliances on a screen, and to enable the user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by simply touching the displayed screen. It is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순서도.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a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for home automation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의 설치 상태를 보인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home network for implementing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1 예시도.3 is a first exemplary view of a house floor plan provided through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제1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the first exemplary diagram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2 예시도.5 is a second exemplary view of a house plan view provided through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제2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FIG.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the second exemplary diagram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3 예시도.7 is a third exemplary view of a house plan provided through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제3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8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hird exemplary diagram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n ic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house floor plan.
도 10은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 중에서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a case where an icon is mov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요구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통해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through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순서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a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for home automation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순서도.1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n ic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house floor pla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댁내 설치된 각 가전기기를 주택 평면도 특히,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해당 가전기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o display each home appliance installed in the house on a house floor plan, in particular, a house floor plan displayed graphically to the user to visually check, and to display the house floor plan on the touch screen There is a feature that makes it easy to select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홈 오토메이션을 달성하는 홈 서버의 화면으로 제공되고, 댁내 설치된 각 가전기기(가전제품, 방범/방재 장치, 조명장치 등)들은 각 가전기기들에 대한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생하는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와 상기 홈 서버 간에 데이터 교환이 달성될 때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touch screen as a screen of a home server that achieves home automation, and each home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security / disaster prevention device, lighting device, etc.) installed in the home ha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home appliance.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s that occur, and is implemen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when data exchange between the plurality of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home server is achiev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1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여 각 가전기기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자동 생성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키면, 상기 아이콘이 안착된 해당 영역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영역 정보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매칭시키는 제3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각 가전기기의 각 상태를 미리 설정해둔 사진이나 기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어대상의 상태를 서브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제어대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o display a house plan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on the touch screen, and to generate and manage the area information table for each living area of the house plan Step 1, a second step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con indicating a type for each home appliance and displaying the identification code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s in preparation for the stored device information table, and displaying on the touch screen; A third step of identifying corresponding area information on which the icon is seated when the icon is moved by the user and matching the detected area information with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icon on the house floor plan, the touched icon Grasp the coordinates on the touch screen of the device information And a fourth step of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by contrast with a table, and a fifth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dentified home appliance.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control target is displayed on the sub window by using a photo or a pre-installed camera which sets each state of each home appliance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us of the control target.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제2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주택 평면도의 각 생활영역에 대한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의 내부통신장치로부터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에 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기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해서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에 따라 해당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단계의 대비를 통해 새로운 식별코드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결정되도록 하는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 선택 서비스를 통해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종류와 상기 아이콘이 위치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아이콘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역코드를 상기 영역정보 테이블을 통해 파악하여, 파악한 영역정보와 상기 아이콘의 좌표, 가전기기의 종류, 상기 새로운 식별코드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에 추가하는 제6 단계, 사용자가 상기 주택 평면도의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한 아이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를 파악하고, 파악한 아이콘의 좌표를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과 대비시켜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각 가전기기의 각 상태를 미리 설정해둔 사진이나 기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어대상의 상태를 서브 창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가 제어대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o display a house floor plan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on the touch screen, to generate and manage the area information table for each living area of the house floor plan In a first step, a second step of preparing the identification code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s to the stored device information table,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for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econd step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corresponding icon and displaying the icon on the floor plan of the house; and after the third step,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new identification code is determin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new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contrast of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providing an icon selection service, and after the fourth step, the user A fifth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home appliance represented by the selected icon and the coordinates on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icon is located when the one icon is selected, the area code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icon through the area information table. A sixth step of adding the identified area information, the coordinates of the icon, the type of home appliance, and a unique code included in the new identification code to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A seventh step of identifying coordinates on the touch screen of the touched icon, comparing the identified icon coordinates with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and identifying a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an eighth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dentified household appliance; Include.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control target is displayed on the sub window by using a photo or a pre-installed camera which sets each state of each home appliance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us of the control targe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for home auto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홈 서버에 제공될 댁내 가전기기의 식별코드가 어떠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따라 크게 2가지 특징으로 분류된다. 제1 특징은 상기 가전기기의식별코드를 가전기기의 종류정보, 가전기기의 동작상태 정보와, 가전기기의 고유식별정보로 구성하는 경우이고, 제2 특징은 상기 가전기기의 식별코드를 가전기기의 동작상태 정보와 가전기기의 고유식별정보로 구성하는 경우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hat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home appliance to be provided to the home server includes. The first feature is a cas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home appliance comprises the typ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second feature is the home appliance. In this cas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우선,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상기 제1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Firs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홈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for home automation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홈 서버의 화면에 사용자의 주택 평면도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시작된다(S100).The present invention begins by outputting a floor plan of the user's home on the screen of the home server (S100).
홈 서버는 주택 평면도를 화면에 표시하면, 각 가전기기들로부터 고유 식별자(이하 '식별 코드'라 칭함)를 수집한 후 저장된 아이콘 정보에 따라 각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한다. 이때, 홈 서버는 새로 설치된 가전기기가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새로 설치된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이하 '새로운 아이콘'이라 칭함)을 생성하여 상기 주택 평면도 이외의 화면에 표시한다(S101). 여기서 상기 화면은 터치 스크린인 것이 양호하며, 상기 아이콘은 각 가전기기의 종류를 알 수 있는 형태인 것이 양호하다.When the home server displays the home floor plan on the screen, the home server collects a unique ident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code') from each home appliance and displays the icon of each home applianc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home floor plan according to the stored icon information. . At this time, the home server checks whether there is a newly installed home appliance, and generates an ic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ew icon') for the newly installed home appliance and displays it on a screen other than the house floor plan (S101). The screen is preferably a touch screen, the icon is preferably a form that can know the type of each home appliance.
상기와 같이 새로운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면, 사용자가 손이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아이콘을 해당 가전기기가 설치된 실제 위치(방 또는 거실 또는 주방 등의 주택 평면도의 해당 생활영역)로 이동 및 안착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A1).When the new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oves and mounts the new icon to the actual location (the living area of the floor plan of the house such as a room or the living room or the kitchen) where the home appliance is installed by using a hand or a mouse. Work is required (A1).
사용자에 의한 오프라인(off-line) 작업(A1)이 이루어지면, 홈 서버는 새로운 아이콘이 최종 안착된 화면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한 위치에 따른 장치 추적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02).When an off-line operation A1 is performed by the user, the home server identifies a location on the screen where the new icon is finally seated, and generates and stores device trac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ed location (S102).
과정(S102)을 마치면, 홈 서버의 화면에는 가전기기들의 실제 설치 영역에 부합하는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영역에 해당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홈 서버는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추적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추적 정보를 통해 해당 아이콘이 가리키는 실제 가전기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새로운 가전기기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면 홈 서버는 새로운 가전기기의 설치를 인식하게 되고(S103), 그에 따라 과정(S100 내지 S102)을 반복하게 된다.After the process (S102), the icons of the home serv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home floor corresponding to the actual installation area of the home appliances, the home server stores the tracking information for the icon displayed on the home floor plan, Through the track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ctual home appliance indicated by the icon. If the new home appliance is additionally installed, the home server recognizes the installation of the new home appliance (S103), and repeats the process (S100 to S102) accordingly.
상기 과정(S100 내지 S102)은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준비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준비 과정이 끝나면 홈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가전기기 선택 입력을 대기한다.The processes S100 to S102 are preparations for home automation. Therefore, when the prepar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home server waits for a home appliance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이후, 사용자가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화면 입력을 통해 선택하면 즉, 화면을 터치하면(A2), 홈 서버는 선택한 아이콘의 화면상의 좌표를 기반으로 장치 추적 정보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를 식별하고(S104), 사용자가 요구하는 제어 명령을 해당 가전기기에 전달한다.The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house floor plan through the screen input, that is, when the screen is touched (A2), the home server uses the device tracking information based on the on-screen coordinates of the selected icon. The device is identified (S104), and the control command requested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전달받은 가전기기의 상태는 새로운 창으로 미리 입력된 사진이나 카메라로 동작상태를 볼 수 있다.The state of the received home appliances can be viewed in a new window with a pre-input photo or a camera.
결국, 댁내 설치된 가전기기들은 사용자가 홈 서버의 화면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대로 동작하게 된다(S105).As a result, the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the home are operated as the user intends just by touching the screen of the home server (S105).
도 1을 참조로 한 설명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실제 구현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적 요소와 소프트웨어적 요소가 필요하다.Since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conceptually describes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hardware elements and software elements are required in actual implementation.
우선 하드웨어적 요소를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 설치된 텔레비전, 냉장고, 전자렌지, 보안장치, 전기밥통, 세탁기, 오디오, 방안등, 거실등, 가스밸브 등과 같은 가전기기(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가전기기(a)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는 홈 서버(100)가 필요하며, 각 가전기기(a)의 종류,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홈 서버(100)에 알리고 홈 서버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내부통신장치(200)가 필요하다.First, as shown in Figure 2, home appliances (a) and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s, refrigerators, microwave ovens, security devices, electric kettles, washing machines, audio, room lamps, living room lamps, gas valves, etc. Is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100 is required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and control of each home appliance (a), and informs the home server 100 of the type, operation state, etc. of each home appliance (a) from the home server There is a need for an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상기 내부통신장치(200)는 가전기기별로 하나씩 설치되어 다른 가전기기와 구별되도록 하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별코드를 일정 주기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내부통신장치(200)는 가전기기(a)가 연결된 전원 스위치(switch) 또는 콘센트(concent) 등에 설치되어 전원 스위치 또는 콘덴서의 동작을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하거나, 또는, 가스밸브, 방안등, 거실등과 같이 자체 프로세서(processor)를 가지지 않은 가전기기의 경우에 각 가전기기(a)가 연결된 전원 스위치 또는 콘덴서 등에 연결시키고, 냉장고, 에어컨, TV, 세탁기와 같이 자체 프로세서를 가진 가전기기의 경우에 각 가전기기(a)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다.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ha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at is installed one by one for each home applianc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home appliances, and broadcasts the identification code at regular intervals.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is installed in a power switch or outlet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a so as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or the condenser, or a gas valve, a room lamp, a living room, or the like. 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that do not have their own processor, such as a power switch or condenser connected to each home appliance (a), and each home appliance having its own processor such as a refrigerator, air conditioner, TV, washing machine, etc. It is mounted inside or outside the home appliance (a).
내부통신장치(200)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식별코드는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부여된 고유코드와 장착된 가전기기(a)가 어떤 종류의 가전기기인지를 식별할 수있는 종류정보코드, 그리고, 가전기기(a)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상태 코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전기기가(a)가 보안장치인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의 상태 코드는 침입 여부를 알리는 정보인 것이 양호하다.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unique code artificially assigned by a person and a type information code for identifying what kind of home appliance the mounted home appliance (a) is, and home appliances It consists of a status code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a). Here, when the home appliance (a) is a security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us code of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n intrusion is made.
한편, 당업자는, 상기 고유식별코드에 가전기기의 제조사, 제품정보, 버전(version)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시키는 것이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easy to include a code indicating the manufacturer, product information, vers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상기에서, 내부통신장치(200)는 홈 서버(100)와의 통신 방법에 따라 식별코드의 형태를 달리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통신장치(200)와 홈 서버(100) 간의 통신 방법으로는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방법과,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하는 방법과, 전력선을 이용하는 방법, 무선 랜 또는 유선 랜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In the above,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home server 100. A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hom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using a laser beam, a method using a radio frequency (RF), a method using a power line, a wireless LAN or a wired cable There is a method using a LAN or Bluetooth.
I).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식별코드를 레이저광 신호로 발산하고 수신하는 장치이고, 이에 대응하여 홈 서버(100)에는 광 신호를 수신하고 해독하는 수광 장치와 레이저광 신호를 발산하는 발광 장치가 구비된다. II). RF를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식별코드를 RF로 전송하는 장치이고 이에 대응하여 홈 서버(100)에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해독할 수 있는 안테나 및 신호처리부와, RF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장치가 구비된다.I). In the case of using the laser light,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device that emits and receives an identification code as a laser light signal, and correspondingly, the home server 100 receives a light receiving device and a laser light signal that receive and decode an optical signal.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is provided. II). In the case of using RF,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code to RF, and correspondingly, the home server 100 transmits an RF signal and an antenna and a signal processor to receive and decode the RF signal. A transmission device is provided.
III). 전력선을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전력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칩(chip)이고, 이에 대응하여 홈 서버(100) 내부 또는 홈 서버(100)와 내부통신장치(200) 사이에 전력선 상에 흐르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전압과 분리하고 분리한 통신 신호를 전력선 통신 프로토콜인 Z256으로 해독하며, 전력선을 통해 내부통신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신호 처리장치가 구비된다. IV). 유, 무선 랜,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200)는 유, 무선랜, 블루투스의 통신 규격에 부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가전기기에 할당된 IP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유, 무선 랜,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내부통신장치는 각 가전기기 자체에 내장된 모뎀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IV) 방식은 자체 처리 프로세서를 가진 가전기기 장치에 한하여 이용된다.III). In the case of using a power line,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chip that enables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correspondingly, the home server 100 or the home server 100 a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 A power line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separat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signal flowing on a power line from a power source voltage and deciphering the separated communication signal with a power line communication protocol Z256,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n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power line, is provided. . IV). In case of using wired, wireless LAN, or Bluetooth,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transmits an IP or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ssigned to the home appliance in a data format that conforms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wired, wireless LAN, and Bluetooth. to be. In case of using wired, wireless LAN, and Bluetooth,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corresponds to a modem embedded in each home appliance itself. Therefore, the IV) scheme is used only for home appliance devices having their own processing processors.
한편, 홈 서버(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110)를 구비하고, 내부에 메모리 장치(120), 인터넷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외부통신장치(140)와, CPU(1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홈 서버(100)는 통신 장치(140)를 인터넷에 연결시켜 외부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Meanwhile, the home server 10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nitor 110, an internal memory device 120,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0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via the Internet, and a CPU 130. ), And the like. Here, the home server 100 connects the communication device 140 to the Internet to enable remote control from the outside.
소프트웨어적 요소를 보면, 홈 서버(100)는 I). 상기 과정(S100)을 위해 그래픽 화면을 지원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능과, II). 상기 과정(S104)을 위해 LCD 모니터(110)의 화면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되도록 지원하는 기능과, III). 외부 정보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IV). 주택 평면도의 세부 생활영역(즉, 각 방, 각 주방, 각 거실 등)을 고유영역코드로 관리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안착시키며 안착된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고유영역코드를 포함하는 하기 표 1의 영역 정보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하기 표 2의 장치정보를 매칭(matching)시키는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서 요구된다. 이러한 기본 기능들은 홈 서버(100)의 전반적인동작을 제어하는 홈 오토메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된다.In terms of software, home server 100 is I).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function that can support a graphic screen for the process (S100), II).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screen of the LCD monitor 110 to be a touch screen for the process (S104), III). A function of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information terminal, and IV). It manages the detailed living area of the house floor plan (ie, each room, kitchen, living room, etc.) with a unique area code, seats the icon of the home appliance on the house floor pla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ated icon A function of matching the area information of Table 1 including the area code with the device information of Table 2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quired as a basic function. These basic functions are provided by a home automation program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ome server 100.
여기서, 상기 영역정보와 상기 장치정보를 매칭시키는 기능에 의해 추적 정보가 생성되는데, 여기서 장치 추적 정보란 매칭된 영역정보와 장치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Here, the track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function of matching the area information with the device information, where the device tracking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matched area information and device information.
상기 표 1과 표 2는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된다. 표 1은 주택 평면도 상에 존재하는 각 생활영역(즉, 영역명)의 정보를 표기한 테이블 값이고, 표 2는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각 가전기기의 아이콘의 정보를 표기한 테이블 값이다. 그리고, 표 1과 표 2의 범위 및 위치는 해당 생활영역 또는 아이콘이 화면을 차지하는 좌표값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태는 가전기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은 켜짐, 0은 꺼짐을 나타낸다.Tables 1 and 2 ar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120. Table 1 is a table value indicating the information of each living area (that is, the name of the area) existing on the house floor plan, Table 2 is a table value indicating the information of the icon of each home appliance displayed on the house floor plan. In addition, the ranges and positions of Tables 1 and 2 represent coordinate values of the living area or icon occupying the screen. In addition, the state represent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1 is on, 0 is off.
홈 서버(100)는 상기 표 1과 표 2의 영역 정보와 가전기기 정보를 혼용함으로써 추적 정보로 이용한다. 일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화면상에 나타난 주택 평면도상의 소정 아이콘을 눌렀다고 하자. 이때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가 x=6, y= 7이면,홈 서버는 좌표값을 표 1과 표 2에 대응시켜 좌표값 (6, 7)이 어느 영역과 어떤 장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실제 표 1과 표 2에 대응시키면 터치한 아이콘은 영역코드 1001(방1)에 설치된 식별코드 0001인 TV이라고 추적이 가능해 진다.The home server 100 uses the area information and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of Tables 1 and 2 above as the tracking information. For example, suppose a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icon on a house floor plan displayed on a screen. At this time, if the user touched position is x = 6, y = 7, the home server corresponds to the coordinate values in Table 1 and Table 2 to determine which area and which device the coordinate values (6, 7). In fact, the corresponding icons can be tracked as TVs having the identification code 0001 installed in the area code 1001 (room 1).
한편, 홈 서버(100)는 일반적인 컴퓨터와 같은 서버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me server 100 has all the functions of a server such as a general comput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도 1에 도시된 각 과정(S100 내지 S105)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implementing the processes S100 to S105 illustrated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도 1에 도시된 과정(S100)을 구현하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First,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process S10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1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The first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s. 3 is a first exemplary view of a house plan view provided through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the first exemplary view of FIG. 3.
즉, 제1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 다수의 거실, 다수의 화장실, 다수의 주방, 다수의 베란다로 구획된 텍스트 형식의 주택 평면도를 사용자의 개입없이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embodiment is to provide a floor plan of a text form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oms, a plurality of living rooms, a plurality of toilets, a plurality of kitchens, a plurality of verandas as shown in FIG. 3 without user intervention.
도 4를 참조로 하여 제1 실시예의 과정을 설명한다.The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한 주택 평면도가 없거나 이미 작성한 주택 평면도가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이면, 홈 서버(100)는 그리기 작업 툴(T1)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의도를판단한다(S614).If one house floor plan does not exist or the home floor plan is not satisfied, the home server 100 determines the intention of the user using the drawing work tool T1 (S614).
여기서, 홈 서버(100)는 초기 창이 뜰 때 사용자가 저장한 주택 평면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있으면 저장된 주택 평면도를 사용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즉시 읽어들여 터치 스크린(110) 상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home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house floor plan stored by the user when the initial window is displayed, and if so, the home server 100 may immediately read the stored house floor plan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and display it on the touch screen 110. .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그리기 작업을 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그리기 작업 툴(T1)의 도구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도구가 목표하는 그리기 작업을 수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게 된다. 이때, 홈 서버(100)는 사용자의 그리기 작업에 의해 방, 거실 발코니 등의 생활영역이 결정되면, 해당 영역의 범위를 파악하고 고유영역코드를 생성하여 표 1과 같은 영역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영역의 영역명을 입력하면 이를 표 1의 영역정보 테이블에 더한다(S615, S616).When the user draws, the home server 100 determines a tool of the drawing work tool T1 selected by the user, and responds to the user's request by performing a drawing work targeted by the tool at a location designated by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living area of the room, the living room, or the balcony is determined by the user's drawing operation, the home server 100 determines the range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generates a unique area code to generate the area information table shown in Table 1.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n area name of the corresponding area, it is added to the area information table of Table 1 (S615 and S616).
이후,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그리기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과정(S614 내지 S616) 과정을 반복하며,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저장하면(S617), 이에 부응하여 현재까지 작성한 표 1과 같은 영역정보 테이블를 세팅하여 저장한다(S618).Then, the home server 100 repeats the process (S614 to S616) when the user continues to draw, and when the user saves the current state (S617), in response to this, as shown in Table 1 so far The area information table is set and stored (S618).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의 제3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3 예시도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The third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s. 7 is a third exemplary view of a house plan view provided through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hird exemplary view of FIG. 7.
즉, 제3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설사나 주택 설계회사 또는 공공기관 등에서 작성한 주택 평면도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에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제3 실시예를 위해 홈 서버(100)는 건설사 또는, 일반 설계회사 또는 공공기관 등에서 작성한 다수의 주택 평면도의 정보를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저장된 정보들을 총괄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주택 평면도를 터치 스크린(110)에 나타나게 한다. 이때, 홈 서버(100)는 각 주택 평면도에 대한 표 1과 같은 영역 정보를 가지지 않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생활 영역을 정의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That is,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loor plans of the house created by the construction company, the house design company, or the public institution as shown in FIG. 7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by user selection. For the third embodiment, the home server 100 stores in the memory device 120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house floor plans created by a construction company or a general design company or a public institution, and collectively provides the stor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user selects one house floor plan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At this time, since the home server 100 does not have the area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for each house floor plan, the home server 100 has a function of allowing the user to arbitrarily define the living area.
도 8을 참조로 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가 홈 서버(100)를 구동하면, 홈 서버(100)는 홈 오토메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S81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범위 설정이 가능하게 하는 작업 바를 가지는 윈도우 창을 초기 창으로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한다(S811). 도 7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이때까지는 주택 평면도가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되지 않는다.When the user drives the home server 100, the home server 100 executes a home automation program (S810), and as shown in FIG. 7, the window window having a task bar that enables setting of an area range is set as an initial window. The touch screen 110 is output to the touch screen 110 (S811). Unlike in FIG. 7, the house plan is not output to the touch screen 110 until this time.
홈 서버(100)는 초기 창을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하는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주택 평면도가 있는지를 파악하여(S812), 사용자가 설정한 주택 평면도가 있으면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된 다수의 주택 평면도 중에서 해당 주택 평면도를 읽어들여 터치 스크린(110)에 출력한다(S813).The home server 100 outputs an initial window to the touch screen 110 and at the same tim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house floor plan designated by the user (S812). The corresponding house plan view is read from the house plan view of the house and output to the touch screen 110 (S813).
상기 과정(S812)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주택 평면도가 없으면, 홈 서버(100)는 주택 평면도 선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쉽게 자신이 원하는 주택 평면도를 찾을 수 있게 한다(S814). 여기서, 주택 평면도 선택 프로그램의 실행 예를설명하면, 사용자에게 주택 평수, 방, 거실, 부엌, 화장실, 베란다 등의 개수를 기입하게 하는 창을 제공하거나, 아파트와 같이 공지된 주택 평면도가 제공된 경우에는 건설회사, 평형, 타입, 아파트 주소 등을 기입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거나, 평대비시켜(S911)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912).If there is no house floor plan set by the user in step S812, the home server 100 executes a house floor plan selection progra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a desired house floor plan (S814). Here, an example of the execution of the home floor plan selection program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providing a window for allowing the user to enter the number of floors, a room, a living room, a kitchen, a toilet, a veranda, or the like, or a known home floor plan such as an apart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a new company identification code has been collected by providing a window for entering a construction company, an equilibrium, a type, an address of an apartment, or the like (S911).
새로운 식별코드는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식별코드로서, 사용자가 새로운 가전기기를 댁내에 설치하면 홈 서버(100)에 수집된다.The new identification code is an identification code not recorded in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and is collected in the home server 100 when the user installs a new home appliance in the home.
상기 판단과정(S911)에서, 홈 서버(100)는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지 않으면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에 따라 각 가전기기별로 아이콘들을 해당 위치 정보(화면상의 좌표)를 기반으로 터치 스크린(110)상의 주택 평면도에 표시한다(S916).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911), if the new identification code is not collected, the home server 100 displays icons for each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based on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coordinates on the screen). It is displayed on the house floor plan on the step 110 (S916).
반면에, 상기 판단과정(S911)에서 홈 서버(100)는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면 새로운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종류, 동작 상태 및 고유 코드를 파악하고(S913), 파악한 정보를 버퍼와 같은 임시메모리에 저장시킨다(S914).On the other han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911), when the new identification code is collected, the home server 100 analyzes the new identification code to identify the type, operation state, and unique code of the home appliance (S913), and stores the identified information with the buffer. In the same temporary memory (S914).
그런 다음, 홈 서버(100)는 상기 과정(S913)에서 파악한 가전기기의 종류 정보에 따라 새로운 아이콘을 생성하고(S915), 새로운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한다(S916). 이때, 새로운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되지 않게 하며, 더욱 양호하게는 새로운 아이콘이 생성되었음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Then, the home server 100 generates a new icon according to the typ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identified in step S913 (S915), and displays the new icon on the touch screen 110 (S916). At this time, the new icon is not displayed on the house floor plan, and more preferably, it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new icon has been created.
결국, 터치 스크린(110)에는 기 설치된 가전기기의 아이콘이 표시된 주택 평면도와, 새로운 아이콘이 표시된다.As a result, 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a house floor plan in which an icon of a pre-installed home appliance is displayed, and a new icon.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새로 설치된 가전기기의 실제 설치 위치에 해당하는 주택 평면도 상의 생활영역에 새로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위치시키는 오프라인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오프라인 작업을 위해 홈 서버(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작업을 요청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present invention, an offline work is required for a user to place an icon displayed on a new screen in a living area on a house floor plan corresponding to an actual installation location of a newly installed home appliance. For this offline work, the home server 100 requests the offline work from the user in various ways.
이후,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선택하고 위치 이동시키면,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선택하였음을 판단하고(S917),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안착시키면 새로운 아이콘이 안착된 지점에 대한 터치 스크린(110) 상의 좌표값을 파악한다(S918, S919).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a new icon and moves the location, the hom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selected the new icon (S917), and when the user moves the new icon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house floor plan, the new icon is placed. The coordinate values on the touch screen 110 for this seated point are grasped (S918, S919).
그런 다음, 파악한 좌표값을 저장된 영역정보 테이블과 비교하여(S920), 새로운 아이콘이 안착된 지점이 어느 생활영역에 속하는지를 파악한다(S921). 그리고, 파악한 생활영역의 영역코드와 상기 임시 저장한 정보를 매칭시켜(S922),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 값으로 추가한 후 저장한다(S923).Then, the determined coordinate values are compared with the stored area information table (S920) to determine which living area the point where the new icon is placed belongs to (S921). Then, the identified area code of the living area and the temporarily stored information are matched (S922), added as a record value of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and stored (S923).
이때, 장치정보 테이블의 저장은 사용자 요구에 따르는 것이 양호하다.At this time, the storage of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is preferably in accordance with user requirements.
상기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에서, 도 1에 도시된 과정(S102)에 해당하는 과정은 S917 내지 S923인데, 상기 과정(S917 내지 S923)은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위치시키는 제1 경우와, 사용자가 이미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지점에 고정 표시된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의 다른 지점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2 경우이다.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9, processes corresponding to process S102 illustrated in FIG. 1 are S917 to S923, and the processes S917 to S923 may be two cases. The first i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user places a new icon on the house floor plan and the second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icon already fix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house floor plan to another point on the house floor plan.
상기 제1 경우는 상술한 도 9를 참조로 한 실시예에 해당된다.The first case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9 described above.
첨부한 도 10을 참조로 하여 상기 제2 경우를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 중에서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econd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a case where an icon is mov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9.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주택 평면도 상의 아이콘은 실수에 의한 위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비활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주택 평면도 상의 아이콘을 위치 변경시키기 위해 초기창의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위치 변경 요구 명령을 홈 서버(100)에 제공하고, 이에 홈 서버(100)는 아이콘 위치 변경 명령을 입력한다(S1001).The icons on the house floor pla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are inactive to prevent accidental location changes. Therefore, the user selects a corresponding menu of the initial window to provide a position change request command to the home server 100 to change the icon on the house floor plan, and the home server 100 inputs an icon position change command (S1001). ).
홈 서버(100)는 아이콘 위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모든 아이콘들을 활성화시키고(S1002),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When the icon location change command is input, the home server 100 activates all icons displayed on the house floor plan (S1002) and waits for a user input.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아이콘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면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한 아이콘을 위치 변경지점으로 옮긴다. 이때,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 스크린(110) 상의 지점을 좌표값으로 파악하고, 파악한 좌표값을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위치'값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해당하는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 주소(또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확그러므로, 이하에서 기술한 제2 특징에 대한 설명은 과정(S10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icon is activated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the user selects one icon and moves the selected icon to a location change point. In this case, the home server 100 recognizes a point on the touch screen 110 touched by the user as a coordinate value, and the determined coordinate value corresponds to an icon selected by the user in comparison to the 'position' value recorded in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Since the record address (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is confirmed and confirme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feature described below will only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ocess S101.
제2 특징이 제1 특징과 다른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통신장치(200)가 가진 식별코드가 제1 특징의 식별코드와 다르기 때문이다. 즉, 제2 특징의 내부통신장치(200)의 식별코드에는 가전기기의 종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The second featur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feature because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ternal communication apparatus 200 is different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first featur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of the second feature does not include the typ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결국, 제1 특징에 따른 내부통신장치는 제조시 가전기기의 종류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부여한 후 출시되고, 제2 특징에 따른 내부통신장치는 제조시 가전기기의 종류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식별코드를 부여한 후 출시된다.As a result,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feature is released after assign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typ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feature does not include the typ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is released after the code is assigned.
제1 특징과 제2 특징의 차이는 식별코드의 차이에 따른 제2 특징의 과정(S1102)을 구현하는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eature and the second feature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rocess (S1102) of the second featur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identification code.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서버(100)는 일정 주기 시간마다 브로드 캐스팅하는 식별코드를 수집하고(S1301), 수집한 식별코드를 저장된 장치정보 테이블의 레코드와 비교한다(S1302).1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n icon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house floor plan. As shown in FIG. 13, the home server 100 collects an identification code broadcast at a predetermined cycle time (S1301), and compares the collected identification code with a record of a stored device information table (S1302).
상기 비교과정(S1302)을 통해 홈 서버(100)는 수집한 식별코드 중에서 새로운 식별코드의 수집 여부를 판단하여(S1303),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지 않으면 장치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장치 종류 정보에 따라 아이콘을 생성하여 주택 평면도 상의 각각의 위치에 표시한다(S1304).Through the comparison process (S1302), the home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o collect a new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collected identification code (S1303), if a new identification code is not collected according to the device typ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evice information table An icon is generated and displayed at each position on the house floor plan (S1304).
그러나, 상기 판단(S1303) 결과, 새로운 식별코드가 수집되면 홈 서버는 새로운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와 고유코드를 파악하고(S1035), 파악한 상기 동작 상태와 고유코드를 임시 저장한다(S1306).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1303), when a new identification code is collected, the home server analyzes the new identification code to determine the operation state and unique code of the home appliance (S1035) and temporarily stores the identified operation state and unique code. (S1306).
그런 다음, 홈 서버(100)는 새로운 식별코드에 대한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아이콘 선택창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나타낸다(S1307). 이때, 터치 스크린 상에는 기 설치된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들이 표시된 주택 평면도가 나타나 있는 상태이다.Then, the home server 100 displays the icon selection window on the touch screen 11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 icon for the new identification code (S1307). In this case, a plan view of a house in which icons for pre-installed home appliances are displaye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0)에 아이콘 선택창이 표시되면 새로운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 선택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설치된 가전기기의 종류에 부합하는 아이콘을 아이콘 선택창에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에서 선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은 아이콘 선택창에서 초기창(주택 평면도가 표시된 창)으로 이동시키는 것 또는, 아이콘 선택창에 표시된 해당 아이콘을 클릭(double click) 또는 메뉴창에서 선택 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달성된다(S1308).When the icon selec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the user knows that the icon is selected for a new home appliance, and select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installed home appliance from a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in the icon selection window. Here, the user's selection is achieved by moving from the icon selection window to the initial window (the window displaying the house floor plan), or by clicking the corresponding icon displayed on the icon selection window (double click) or clicking the selection button on the menu window. It becomes (S1308).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아이콘 선택창의 홈 서버(100)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사라지게 된다(S1309). 이렇게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가전기기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1310). 여기서, 아이콘은 가전기기 종류별로 구분되어 제공된다.When one icon is selected, the home server 100 of the icon selection window or disappears at the request of the user (S1309). When the user selects one icon in this way, the home server 100 determines what kind of home appliance is represented by the icon selected by the user (S1310). Here, the icons are classified and provid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s.
그리고, 홈 서버(100)는 판단한 가전기기의 종류 정보를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와 고유코드와 함께 임시 저장한다(S1311). 이후, 사용자는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S917 내지 S923)과 같이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켜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The home server 100 temporarily stores the determined typ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ogether with the operation state and the unique code of the home appliance (S1311). Thereafter, the user moves the icon to display it on the house floor pla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S917 to S923).
여기서, 당업자라면 사용자가 아이콘 선택창을 통해 선택한 아이콘을 바로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아이콘 선택창이 아닌 다른 수단, 즉, 설정된 초기 아이콘(가전기기의 종류를 표시하지 않는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초기 아이콘을 원하는 아이콘으로 변경시킬수 있게 할 수 있다.Her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nable the user to directly place the icon selected by the icon selection window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house floor pla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ovide a means other than the icon selection window, that is, an initial icon set (an icon that does not display the type of the appliance), and allow the user to change the initial icon to a desired icon.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가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간략히 설명한다.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operat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 현재, 텔레비전,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과 같이 내부에 CPU 및 메모리 등을 내장하여 다양한 세부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기기들(이하, '신세대 가전기기'라 칭한다)은 홈 오토메이션을 위해서 제조사, 기기의 종류, 제품의 종류, 버전, 기능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품정보코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삼성에서 생산된 냉장고의 경우에 제조사인 삼성을 알리는 코드, 제품 종류인 냉장고를 알리는 코드, 냉장고의 제품 번호를 알리는 코드, 해당 제품의 버전을 알리는 코드, 냉장고가 가진 각 기능을 구별할 수 있는 기능별 코드는 홈 서버(100)의 메모리 장치(110)에 저장하고 있으며, 또는 삼성의 가전사가 관리하는 인터넷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I). Currently, home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s,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microwave ovens, etc., which perform various detailed functions by embedding a CPU and a memory inside, are referred to as 'new generation home appliances' manufacturers, for home automation. It has the product inform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device, type of product, version and type of fun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produced by Samsung, a code indicating the manufacturer Samsung, a code indicating the refrigerator as a product type, a code indicating the product number of the refrigerator, a code indicating the version of the product and a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function-specific codes that can be stored ar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110 of the home server 100, or are stored in the Internet server managed by Samsung Electronics.
본 발명의 홈 서버(100)는 댁내 설치된 가전기기가 신세대 가전기기이면, 상기 신세대 가전기기에 저장된 제품정보코드를 신세대 가전기기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하고, 상기 제품정보코드를 초기 창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If the home appliance 100 installed in the home is a new generation home appliance, the home server 100 receives the product information code stored in the new generation home appliance from the new generation home appliance, stores it in the memory device 120, and initializes the product information code. Allows the user to view through the window.
그러고,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신세대 가전기기를 선택하면, 선택한 가전기기에 대한 제품정보코드를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기능을 판단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n, when the user selects a new generation home appliance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the home server 100 provides a product information code for the selected home appliance on the touch screen, and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댁내에서 홈 서버가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touch the touch screen provided by the home server in the home,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ired home appliance.
II).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외부통신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이 외부통신장치(140)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홈 서버(100)가 인터넷 서버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여, 메모리 장치(120)에 저장된 주택 평면도의 정보(아이콘 정보 포함)를 인터넷에 연결된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주택 평면도 정보와 더불어, 표 1의 영역 정보 테이블 또는/및, 표 2의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단말기는 컴퓨터, PDA,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등이다.II). As described above,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0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enable internet communication is provided. Wha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hieve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140 is that the home server 100 enables the function of the Internet server, so that the information (including icon information) of the house floor pla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It is to be provided to an external inform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provide the area information table of Table 1 and / or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table of Table 2 together with the house floor pla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terminal is a computer, a PDA,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홈 서버(100)에 저장된 주택 평면도 정보가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 제공되면,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는 홈 서버(100)의 터치 스크린(110)과 동일한 주택 평면도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난 주택 평면도 상의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의 좌표 정보를 정보 단말기가 홈 서버(100)로 제공하여, 홈 서버(100)가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대로 해당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결과는 새로운 창에 실제 사진이나 카메라로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실시간(real time)으로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use plan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server 100 is provided to an external information terminal, the same house plan view as the touch screen 110 of the home server 100 appears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icon on the house floor pla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terminal provides the home server 100 with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con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home server 100 is intended by the user. As soon as the remote control of the home appliance. At this time, the result is connected to a real picture or camera in a new window, and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at a remote location.
여기서, 홈 서버(100)는 인터넷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단말기에 제공하지만, 정보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이 다르므로 정보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제공할 데이터의 형식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Here, the home server 100 processes the data according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protocol and provides it to the information terminal. However, since the data formats that can be processed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erminal, It is important to fit.
즉, 홈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주택 평면도는 그래픽 데이터 형식이다. 그러나, 핸드폰 등과 같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정보 단말기의 경우에는 그래픽 데이터 형식으로 주택 평면도를 제공할 경우에 해당 정보 단말기 수용하지 못하게 된다.That is, the house floor plan provided by the home server 100 is in a graphic data format. However, an information terminal that does not provi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does not accommodate the information terminal when providing a floor plan of a house in graphic data format.
따라서, 홈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 시도하는 정보 단말기가 GUI 기능이 제공되는 종류인지를 확인한 후에, GUI 기능이 제공되는 정보 단말기에게는 그래픽 형식의 주택 평면도를 제공하고, GUI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정보 단말기에게는 텍스트 형식으로 가공된 주택 평면도를 제공한다.Therefore, after the home server 100 confirms whether the information terminal attempting to connect through the Internet is a type of providing a GUI function, the home server 100 provides a graphic floor plan to the inform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GUI function, and does not provide the GUI function. For information terminals that do not have a home floor plan that is processed in text form.
III). 한편 PDA,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는 마우스나 터치 펜(touch pen) 등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주택 평면도상의 아이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나, 핸드폰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화면상의 소정 지점을 좌표값으로 표현하지 못하므로, 홈 서버(100)는 각 아이콘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의 입력 키 조작으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III).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DAs, computers, and notebook computers, the user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icon on the house floor plan selected by the user with a mouse or touch pen. Since not, the home server 100 provides text information for each ic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icon by input key manipulation of the mobile phone.
IV). 컴퓨터와 노트북 컴퓨터를 제외한 정보 단말기의 화면은 그 사이즈가 홈 서버(100)의 터치 스크린의 사이즈에 비해 상당히 작으므로, 홈 서버(100)가 제공한 주택 평면도를 한 화면으로 나타내는 것이 어려우며, 한 화면으로 나타내더라도 육안으로 보기 불편한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홈 서버(100)는 부분 확대 기능을 정보 단말기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 영역을 확대시켜 볼 수 있게 한다. 다른 일 예로서 홈 서버(100)는 주택 평면도를 생활영역별로 나누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V). Since the screens of the information terminals other than the computer and the notebook computer are considerab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of the home server 100,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home floor plan provided by the home server 100 on one screen. Even if indicated by the naked eye becomes uncomfortable. Therefore, the home server 100 provides the enlargement function to the information terminal so that the predetermined area selected by the user can be enlarged. As another example, the home server 100 may provide a function of dividing a house floor plan into living areas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screen.
V).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부통신장치(200)는 댁내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또는 창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댁내에 설치된 적외선 장치, 차량에 설치된 도난경보 장치 등과 같은 보안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내부통신장치(200)는 보안장치에 의해 외부인 침입이 감지되면, 보안장치로부터 외부침입 감지 정보 즉, 경고 이벤트를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내부통신장치(200)는 식별코드에 경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홈 서버(100)에 제공한다. 상기 경고 이벤트는 식별코드의 동작 상태 정보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상태정보는 새로운 창에 미리 입력된 사진이나 카메라로 연동해서 볼 수 있다.V).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security device such as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 a home,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n / closed state of a window, an infrared device installed in a home, a burglar alarm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nd the like. Can be. At this time,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receives an external intrusion detection information, that is, a warning event from the security device, when the intrusion of the outsider is detected by the security device. Accordingly,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includes the information on the warning event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es it to the home server 100. The warning event is represented by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code. In addition, the status information can be viewed in conjunction with a camera or a photo previously input in a new window.
따라서, 홈 서버(100)는 경고 이벤트를 파악하면, 주택 평면도 상에 표시된 보안장치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경고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거나, 경고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창을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보안장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생활영역 전체를 경고 이벤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한다. 더불어, 홈 서버(100)는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 주택 평면도 및 아이콘 정보를 제공할 때 보안장치의 감시 결과를 아이콘으로 표시 또는, 텍스트 정보로 표시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home server 100 recognizes the warning event, the home server 100 displays an icon of the security device displayed on the house floor pla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warning event, or displays a warning window indicating that the warning event has occurred. A warning eve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entire living area including an icon of the securit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warning event. In addition, the home server 100 displays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security device as an icon or text information when providing the house floor plan and ic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information terminal.
여기서, 당업자라면 상기 내부통신장치를 차량의 ECU(Engine Control Unit)에 연결시켜 홈 서버(100)의 터치 스크린(100)을 통해 시동, 윈도우 개폐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onnect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to the ECU (Engin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to control startup, window opening and the like through the touch screen 100 of the home server 100.
VI). 홈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정보 단말기에게 신세대 가전기기의 제품정보코드를 가전기기의 종류에 부합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댁내에 설치된 신세대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VI). The home server 100 provides a product information code of a new generation home appliance to an external inform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so as to match the type of home applian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new generation home appliance installed in the home through the Internet.
VII). 본 발명의 식별코드에는 굳이 가전기기의 종류 코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식별코드에 포함된 가전기기의 종류 코드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부여된 코드로서, 홈 서버(100)가 장착된 가전기기의 종류를 판별하여 해당 가전기기의 아이콘을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VII).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the type code of the home appliance. The type code of the home applianc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code previously given by the designer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home appliance to which the home server 100 is mounted so as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icon of the home appliance.
그러므로, 내부통신장치(200)에서 가전기기의 종류 코드를 제외한 고유코드와 상태 코드를 발생시키고, 홈 서버(100)가 이를 파악하면 새로운 가전기기가 설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해당 가전기기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으로 홈 서버(100)가 해당 가전기기의 종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홈 서버(100)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설치하고 주택 평면도상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영역 정보 테이블 및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generates a unique code and a status code excluding the type code of the home appliance, and when the home server 100 grasps this, it notifies the user that a new home appliance is installed and the user for the home appliance. By selecting the icon, the home server 100 can determine the type of the home appliance. Therefore, when the user install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home appliance and places the icon on the floor plan of the home, the home server 100 can generate the area information table and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tabl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리고, 상술한 경고 상태 즉, 내부통신장치(200)가 오작동하거나 설치된 가전기기가 제거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가전기기 정보 테이블의 식별코드로서 충분히 어떤 가전기기에 대하여 경고 상태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the above-mentioned warning state, that is, the internal communication device 200 malfunctions or the installed home appliance is removed, check whether the home appliance is sufficiently alerted as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table. It is possible to do
상기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intended to exemplarily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홈 서버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가전기기들의 실제 설치 위치를 표시한 주택 평면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주택 평면도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가전기기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댁내 가전기기들을 원격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원격 조정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e floor plan displaying the actual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home appliances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home serv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home appliances by simply touching the house floor pla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llows remote control of devices.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result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홈 서버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주택 평면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외부에서도 주택 평면도 정보를 통해 해당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house floor pla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home serv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house floor plan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제어 또한 댁내 터치 스크린 상과 같은 정보를 최소한의 데이터로 똑같은 정보를 공유하여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by sharing the same information with the minimum data to the same information as the external control or on the home touch screen.
Claims (2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08614 | 2003-02-11 | ||
KR1020030008614 | 2003-02-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3324A true KR20040073324A (en) | 2004-08-19 |
KR100575447B1 KR100575447B1 (en) | 2006-05-03 |
Family
ID=3736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85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5447B1 (en) | 2003-02-11 | 2004-02-10 | Method for Control electric home appliances for home auto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5447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158B1 (en) * | 2004-12-20 | 2007-02-2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ome Map Editing System of Digital Home Network and Its Editing Method |
KR100912367B1 (en) * | 2007-09-19 | 2009-08-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s |
WO2018208879A1 (en) * | 2017-05-12 | 2018-11-15 | Irobot Corporation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status |
KR20200090553A (en) * | 2019-01-21 | 2020-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CN112311633A (en) * | 2019-07-31 | 2021-02-02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method,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device, household appliance and storage medium |
CN114740749A (en) * | 2022-05-24 | 2022-07-12 | 广东顺德胜上智能家居有限公司 |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
WO2024067606A1 (en) * | 2022-09-30 | 2024-04-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Access switching method f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416B1 (en) * | 2008-10-23 | 2011-03-15 |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 Intelligent Kitchen System with Touch Monitor |
KR101397453B1 (en) | 2013-12-24 | 2014-05-20 | 렉스젠(주) | System for monitoring an image and method thereof |
KR101770156B1 (en) * | 2016-02-23 | 2017-08-23 | 주식회사 네비웍스 | Platform apparatus for firework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407026B1 (en) | 2017-08-31 | 2022-06-0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real-time indoor image |
KR20250046189A (en) | 2023-09-26 | 2025-04-02 |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 Internet of things system based on indoor map |
-
2004
- 2004-02-10 KR KR1020040008544A patent/KR1005754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158B1 (en) * | 2004-12-20 | 2007-02-2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ome Map Editing System of Digital Home Network and Its Editing Method |
KR100912367B1 (en) * | 2007-09-19 | 2009-08-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s |
US10895971B2 (en) | 2017-05-12 | 2021-01-19 | Irobot Corporation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status |
CN110785969A (en) * | 2017-05-12 | 2020-02-11 | 美国iRobot公司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raw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conditions |
JP2020522156A (en) * | 2017-05-12 | 2020-07-27 |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reating device status maps,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status |
WO2018208879A1 (en) * | 2017-05-12 | 2018-11-15 | Irobot Corporation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status |
CN110785969B (en) * | 2017-05-12 | 2022-05-03 | 美国iRobot公司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condition |
CN115102977A (en) * | 2017-05-12 | 2022-09-23 | 美国iRobot公司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condition |
US11704011B2 (en) | 2017-05-12 | 2023-07-18 | Irobot Corporation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status |
CN115102977B (en) * | 2017-05-12 | 2025-04-01 | 美国iRobot公司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mapping, controlling and displaying device status |
KR20200090553A (en) * | 2019-01-21 | 2020-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CN112311633A (en) * | 2019-07-31 | 2021-02-02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method,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device, household appliance and storage medium |
CN112311633B (en) * | 2019-07-31 | 2024-02-06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method,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device, household appliance and storage medium |
CN114740749A (en) * | 2022-05-24 | 2022-07-12 | 广东顺德胜上智能家居有限公司 |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
WO2024067606A1 (en) * | 2022-09-30 | 2024-04-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Access switching method f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75447B1 (en) | 2006-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42438B2 (en) |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US10073606B2 (en) |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10404483B2 (en) |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10778463B2 (en) | Displaying information for a smart-device-enabled environment | |
CN109413515B (en) |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erver | |
US9490997B2 (en) |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9185002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 |
US20150261427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20140359468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20150058773A1 (en) |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9651928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KR100575447B1 (en) | Method for Control electric home appliances for home automation | |
US10534529B2 (en) |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CN101103611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devices within a network utilizing inherited configuration data | |
US9524174B2 (en) | Configuration assistant for a control system within an operational environment | |
WO2017187664A1 (en) |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US9634852B2 (en) |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JP7245481B1 (en) | Equipment management system, mobile terminal and program | |
JP2024538867A (en) | Launching hierarchical mobile applic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4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26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4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