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8921A -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921A
KR20040058921A KR1020020085439A KR20020085439A KR20040058921A KR 20040058921 A KR20040058921 A KR 20040058921A KR 1020020085439 A KR1020020085439 A KR 1020020085439A KR 20020085439 A KR20020085439 A KR 20020085439A KR 20040058921 A KR20040058921 A KR 2004005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coated
extension
tab
port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90548B1 (en
Inventor
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548B1/en
Publication of KR2004005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9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548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PURPOSE: A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a wound electrode assembly is provided, to reduce the shortage in the vicinity of an electrode tap and to minimize the unbalance of shape for enhancing the thermal and structural stability of a battery. CONSTITUTION: The secondary battery has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plate(41) where a first electrode active mass(412) containing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in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411) and which comprises a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413a) where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ss is not formed at least in winding spool part; a second electrode plate(42) where a second electrode active mass(422) containing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in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421) and which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423a) where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ss is not formed at least in winding spool part, and is wound together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with a separator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ps(44, 45) which are drawn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s of the winding spool part to one or other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ach electrode assembly and are not superposed.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413a) does not superposed with at least the second electrode tap(45)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423a) does not superposed with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tap(44).

Description

권취형 전극 조립체를 구비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Secondary battery with wound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양극,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된 젤리 롤형 전극 조립체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의 구조적 및 열적 안정성을 강화시킨 젤리 롤형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 roll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wound together, and a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It is about.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an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dvanc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ellular 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a camcorder.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operating voltage of 3.6 V,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hydrogen battery, which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is rapidly expanding in terms of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to be.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Su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carbon materials a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general, a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nd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Moreover, althoug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shape, square shape, and pouch type.

이들 이차 전지는 기재에 활물질을 도포하고 이를 건조, 롤 프레스 및 절단하여 형성시킨 양극 및 음극과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삽입하여 권취시킨 젤리 롤형 전극 조립체를 사용한다. 곧, 원통형 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고 전해액을 주입 후, 밀봉하는 것이고, 각형 전지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압박하여 평평하게 한 다음 각형 캔에 수납하는 것이다.These secondary batteries use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separator is inserted and woun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formed by applying an active material to a substrate, drying, roll pressing and cutting the substrate. That is, the cylindrical battery is to receive the electrode assembly in a cylindrical can and inject the electrolyte, and then seal it, and the rectangular battery is to squeeze the electrode assembly to flatten it and then store it in the rectangular can.

도 1에는 종래에 사용되던 일반적인 원통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원통형 이차전지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캔(1)에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3)가 수납되고, 캔(1)의 개구부가 캡 조립체(2)에 의해 밀봉되는 밀폐형 전지로서, 전극 조립체(3)는 양극판(31)과 음극판(32)이 세퍼레이터(33)를 개재하여 젤리 롤(Jelly-roll)형으로 권취된 것이다.Figure 1 shows a typic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used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the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is a sealed typ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3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can 1, and an opening of the can 1 is sealed by a cap assembly 2. As the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3 is obtained by wind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3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2 in a jelly roll form via a separator 33.

이러한 전극 조립체(3)로는 각 극판으로부터 양극 탭(34) 및 음극탭(35)이 외부로 인출되는 데, 상기 양극 탭(34)은 상방으로 인출되어 캔(1)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극 탭(35)은 하방으로 인출되어 캔(1)의 바닥부에 형성된 돌기부(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 탭(34)이 연결된 캡 조립체(2)는 양극이 되고, 상기 음극 탭(35)이 연결된 캔(1)은 전체가 음극이 된다.In the electrode assembly 3, the positive electrode tab 3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35 are drawn out from each electrode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34 is pulled upward to seal the can 1. Is negatively connect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35 is drawn downwar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n 1. Accordingly, the cap assembly 2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34 is connected become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can 1 to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tab 35 is connected becomes the negative electrode as a whole.

이러한, 종래의 원통형 전지에 있어서, 양극 탭(34) 및 음극 탭(35) 중 어느 하나는 권취된 전극 조립체(3)의 권심 부분에서 인출되고, 다른 하나는 전극 조립체(3)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런데, 이렇게 전극 탭이 전극 조립체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인출될 경우에는 전극 조립체의 지름이 더욱 커지는 효과를 가져오며, 또한, 전극 조립체의 형상이 원의 형상이라기 보다는 타원의 형상에 가까워 캔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this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3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35 is drawn out from the core portion of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3, and the other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 Withdrawn. However, when the electrode tab is drawn ou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increased, and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closer to the shape of the ellipse rather than the shape of the circle,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can is clo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used efficiently.

따라서, 전극 탭들을 모두 전극 조립체(3)의 권심 부분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렇게 권심 부분으로부터 양극 탭(34) 및 음극 탭(35)을 인출할 경우에는 각 탭에 의한 단락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전극 탭은 이를 통해 외부로 전하가 이동되는 부분이 되므로, 이 전극 탭에 전하의 집중 및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양극 탭(34)과 음극 탭(35)이 모두 권심 부분에 위치할 경우 이 탭과 타극성의 전극판이 세퍼레이터를 경계로 하여 서로 만나게 되므로, 전지 단락의 위험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ull out all the electrode tabs from the core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3, and in this way, wh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3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35 are pulled out of the core portion, the possibility of a short circuit by each tab is further increased. Increases. Since the electrode tab becomes a portion through which charge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concentration and heat generation of charge occur in the electrode tab. Therefore, when both the positive electrode tab 34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35 are located at the core portion, the tabs and the other electrode plates meet each other with the separator as a boundary,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risk of battery short circuit.

이렇게 전극 탭 부분에서의 전하 집중 및 발열로 인하여 전지 단락 위험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제5,508,122호에는 권심 부분에 위치한 전극 탭의 부분은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동일 극성의 전극판과 만나도록 하고, 다른 한 전극 탭은 전극 조립체의 최외주에 위치하도록 하는 이차전지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risk of battery short circuit due to charge concentration and heat generation in the electrode tab portion, US Patent No. 5,508, 122 discloses that a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positioned at the core portion is disposed with an electrode plate of the same polarity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ary battery is disclosed so that the other electrode tab is located at the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assembly.

그러나, 이러한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에 있어서도 권심 부분에는 하나의 전극 탭만이 존재하고, 타 전극 탭은 전극 조립체의 외주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의 모양을 원형으로 만들기 어렵고, 전지 캔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를 갖는다.However, even in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since only one electrode tab exists in the core portion, and the other electrode tab is dispos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make a circle and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use the space in the battery can.

그리고, 또한, 상기와 같은 특허에서 만일 두 개의 전극 탭을 모두 권심 부분으로 위치하도록 할 경우 상기 특허의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전극 탭의 시작부 위치를 서로 달리 하여 권취시킬 수도 있으나, 그러면 전극 탭의 두께만큼 권취 형태가 어긋나게 되므로, 초기 충방전 시 전극 조립체의 형상이 변형되어 무너지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전극 탭의 두께로 인하여 권취된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지의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patent, if both electrode tabs are positioned at the core portion, the structure of the patent cannot be employed as it is. In this case, although the start positions of the electrode tabs may be woun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ince the winding form is shifted by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tabs,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deformed and collapsed during initial charging and discharging. In addition, due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tab, the thickness of the core portion of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may be thick, thereb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취형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에 모든 전극 탭이 위치하도록 할 경우에도 전극 탭의 부근에서 발생되는 단락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lectrode assembly that can reduce the risk of short circuit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ode tab even when all the electrode tab is located in the core of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having the same The object is to provide a batte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취형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에 모든 전극 탭이 위치할 때에 형상 불균형을 최소화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한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ally more stable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by minimizing the shape imbalance when all the electrode tabs are located at the core portion of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횡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횡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전극판을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ode plate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전극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plate of FIG. 3;

도 5는 도 3에 따른 전극판들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electrode plates according to FIG. 3;

도 6은 권심부에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in the core portion;

도 7은 권심부에서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의 또 다른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in the core por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core part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과 같은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re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shown in FIG. 8;

도 10은 도 8과 같은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core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shown in FIG. 8;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core part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과 같은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a core part of an electrode assembly as illustrated in FIG. 11;

도 13은 도 11과 같은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의 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wer portion of the core part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illustrated in FIG. 11;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전극판들을 도시한 평면도,14 to 16 are plan views showing electrode plates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캔 2: 캡 조립체1: can 2: cap assembly

4: 전극 조립체 41: 제 1 전극판4: electrode assembly 41: first electrode plate

411: 제 1 전극 집전체 412: 제 1 전극 합제411: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2: first electrode mixture

413a,b: 제 1 전극 무지부 414: 제 1 연장부413a, b: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414: first extension portion

415: 제 1 코팅부 42: 제 2 전극판415: first coating part 42: second electrode plate

421: 제 2 전극 집전체 422: 제 2 전극 합제421: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2: second electrode mixture

423a,b: 제 2 전극 무지부 424: 제 2 연장부423a, b: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424: second extension portion

425: 제 2 코팅부 43a,b: 세퍼레이터425: second coating portion 43a, b: separator

44: 제 1 전극 탭 45: 제 2 전극 탭44: first electrode tab 45: second electrode ta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전극 집전체에 제 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를 갖는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 집전체에 제 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상기 제 1 전극판과 권취되는 제 2 전극판과, 상기 권심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각각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방 및 타방으로 인출되고,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mixture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in the core portion. The 2nd electrode mixture containing the 2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in the 1st electrode plate which has, and the 2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has a 2nd electrode non-coupling part in which the said 2nd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in the core part at least through a separato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which are wound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of the core portion, respectively, are drawn out to one side and the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a second electrode tab, wherein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does not overlap at least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does not overlap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tab. The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권취되는 각 권취 시작부가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may be at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at each winding start portion thereof being w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은 그 길이 방향으로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귄심부에서 각 전극합제의 시작 위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the same as the starting position of each electrode mixture at its center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집전체 너비의 절반 이하의 부분에만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may be overlapped with on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and less than half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espectively.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권심부의 제 1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탭은 상기 제 1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권심부의 제 2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 탭은 상기 제 2 연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from the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core portion. The first electrode tab is provided i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from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 of the core part. A second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그리고,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may exten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or may be extende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전극 집전체에제 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를 갖는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 집전체에 제 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상기 제 1 전극판과 권취되는 제 2 전극판과, 상기 권심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각각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방 및 타방으로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적어도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이 위치한 부분은 그 양면이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동일 극성의 전극판이 존재하거나, 상기 세퍼레이터만 존재하도록 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rst electrode mixture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med on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wherein the first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at least in the core portion. A second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having a portion and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t least the core portion has a second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wound around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drawn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of the core portion, respectively, And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s are positioned, both surfaces of which have an electrode plate having the same polarity through the separator, Provided is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such that only a separator exists.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may not be overlapped with at least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may be formed without overlapping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tab.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권취되는 각 권취 시작부가 대략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to be wound may have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귄심부에서 각 전극합제의 시작 위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the same as the starting position of each electrode mixture at its center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은 그 길이 방향으로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때, 제 1 및 제 2 전극 탭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 1 및제 2 전극 탭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와 그 너비의 절반 이하의 부분에만 중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may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may overlap only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and a portion less than half of the width,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권심부의 제 1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탭은 상기 제 1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권심부의 제 2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 탭은 상기 제 2 연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from the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core portion. The first electrode tab is provided i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from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 of the core part. A second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may exten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or may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까지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의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턴이 되는 길이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는 서로 대략 동일한 것일 수 있다.And, the length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start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is respectively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It can be at least one turn long. In this case, the positions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폭을 가진 띠 상의 제 1 전극 집전체에 제 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상기 권심부의 제 1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1 연장부를 갖는 제 1 전극판과, 소정의 폭을 가진 띠 상의 제 2 전극 집전체에 제 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상기 권심부의 제 2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2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전극판과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권취되는 제 2 전극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로부터 각각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방 및 타방으로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rst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a band-shaped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herein the first electrode mixture is formed at least in the core portion. It has a 1st electrode uncoated part which is not formed, The edge part of the 1st electrode uncoated part of the said core part has the 1st extension part of the predetermined width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1st electrode plate from the end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1st electrode uncoated part. A second electrode mixture containing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second electrode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at least in the core part. A predeterm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to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winding cor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hav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wound through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and first and second portions drawn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It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econd electrode tab.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연장부와 제 2 연장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may not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의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서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여 맞닿은 대략 동일한 위치로부터 권취되기 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may be provided with separators and may begin to be wound from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where they abu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귄심부에서 각 전극합제의 시작 위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the same as the starting position of each electrode mixture at its center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은 그 길이 방향으로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전극 탭은 서로 중첩되지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may not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may exte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may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까지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의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턴이 되는 길이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는 서로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In this invention, the length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begin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i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t least one turn from the position of the tab can be at least a length,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start to extend substantially the same as each other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전극 젤리 롤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에 대해 설명하나, 이것은 단지 원통형 전지에 국한될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와 같은 전극 젤리 롤을 구비할 수 있는 전지는 어떠한 형태의 것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통형 이차전지 뿐 아니라, 단추형 이차전지 및 일차전지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설명될 도면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낸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jelly 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battery, but a battery which can be provided with the same electrode jelly roll as this embodiment. Any form may be applicab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ethods such a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and a primary battery. In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1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형 전극 조립체를 구비한원통형 이차전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캔(1)의 내부에 제 1전극판(41), 제 2전극판(42)이 서로 절연되도록 세퍼레이터(43)가 개재되어 권취된 권취형 전극 조립체(4)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캔(1)은 금속제로 구비되어 그 자체가 제 1전극판 또는 제 2전극판의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비되어 제 2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전극 단자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a wound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wound electrode assembly wound around a separator 43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in the cylindrical can 1 ( 4) is housed. The cylindrical can 1 is made of a metal and can itself serve as a terminal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or the second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can 1 is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a second electrode terminal.

상기 전극 조립체(4)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판(41) 및 제 2 전극판(42)으로부터 각각 제 1 전극탭(44) 및 제 2 전극탭(45)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 탭(44) 및 제 2 전극 탭(45)은 각각 상기 전극 조립체(4)의 권심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전극 탭(44)은 상방으로 인출되어 캔(10)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전극 탭(45)은 하방으로 인출되어 캔(1)의 바닥부에 형성된 돌기부(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전극 탭(44)이 연결된 캡 조립체(2)는 제 1전극 단자부로서 기능을 하게 되고, 상기 제 2 전극 탭(45)이 연결된 캔(1)은 전체가 제 2전극 단자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11은 전극 조립체(4)의 고정을 위한 절연판(11)이다.As the electrode assembly 4 described later, 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drawn out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respectively. . 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respectively drawn out from the core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4, and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drawn upwards to open the can 1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assembly 2 to be sealed,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drawn downw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1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n 1. Accordingly, the cap assembly 2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connected functions as a first electrode terminal portion, and the can 1 to which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connected is entirely a second electrode terminal portion. Function. Reference numeral 11, which is not described in FIG. 2, is an insulating plate 11 for fixing the electrode assembly 4.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극 조립체(4)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제 1 전극판(41) 및 제 2 전극판(42)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판(41)은 양극판으로 구비될 수있고, 상기 제 2 전극판(42)은 음극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극성을 반대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전극판(41)이 양극판으로, 상기 제 2 전극판(42)이 음극판으로 구비된 경우를 그 일예로서 설명토록 하겠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assembly 4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42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may be provided as a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may be provided as a negative electrode pla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polarity may be reversed.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is provided a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is provided as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전극판들(41)(42)은 전극 집전체(411)(421)에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전극 합제(412)(422)가 형성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41 and 42 is formed of electrode mixtures 412 and 422 includ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s 411 and 421. As follows.

상기 전극 조립체가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로서 사용될 경우, 상기 제 1 전극판(41)은 양극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411)는 스트립 형상의 금속박판으로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41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전극 합제(412)는 리튬계 산화물의 제 1 전극 활물질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함유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판(41)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411)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412)가 형성된 제 1 전극 코팅부(415)와, 상기 제 1 전극 집전체(411)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412)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413a,413b)로 구비된다.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used as an electrode assembl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may be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1 is provided with a strip-shaped metal thin plate, preferably an aluminum thin plate may be used. The first electrode mixture 412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1 may be formed of a mixture containing a binder, a plasticizer,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like in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the lithium oxide.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coating part 415 having the first electrode mixture 412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1, and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1. ) As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s 413a and 413b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mixture 412 is not formed.

한편, 음극판으로 사용되는 제 2 전극판(42)은 제 2 전극 집전체(421)로 구리 박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42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제 2 전극 합제(422)는 탄소재의 제 2전극 활물질에, 바인더, 가소제, 도전재 등이 함유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전극판(42)은 상기 제 2 전극 집전체(421)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제 2 전극 합제(422)가 형성된 제 2 전극 코팅부(425)와, 상기 제 2전극 집전체(421)에 상기 제 2전극합제(422)가 형성되지 않은 제 2전극 무지부(423a,423b)로 구비된다.Meanwhile, in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 copper thin plate may be used as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1, and a second electrode mixtu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1 ( 422 may be a mixture containing a binder, a plasticizer,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like in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made of a carbon material.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includes a second electrode coating part 425 having the second electrode mixture 422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1, and the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21. ) As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423a and 423b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mixture 422 is not formed.

이러한 제 1 전극 무지부(423a)(423b) 및 제 2전극 무지부(423a,423b) 중 일단에 위치한 제 1 전극 무지부(423a) 및 제 2 전극 무지부(423a)에는 각각 제 1 전극 탭(44) 및 제 2 전극 탭(45)이 접합되는 데, 상기 제 1 전극 탭(44)은 알루미늄(Al)으로, 상기 제 2 전극 탭(45)은 니켈(Ni)로 구비되어 제 1 전극 무지부(423a) 및 제 2 전극 무지부(423a)에 각각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 탭(44)(45)이 접합된 부분부터 권취가 시작되며, 따라서 이 부분이 권심부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44)(45)은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도록 용접된다.The first electrode tab 423a and the second electrode plain 423a respectively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423a and 423b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423a and 423b respectively have a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bond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made of aluminum (Al)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made of nickel (Ni). Ultrasonic welding may be performed on the uncoated portion 423a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423a, respectively. Winding starts from the part to which these 1st and 2nd electrode tab 44 and 45 were joined, and this part becomes a core par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44 and 45 are welded to be drawn out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the figure.

이 때, 상기와 같은 전극판들에 있어서, 각 전극판들(41)(42)의 전극 탭들(44)(45)이 접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413a)(423a)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대칭이 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를 갖고, 상기 전극 탭들(44)(45)은 이들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에 접합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는 권심부에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위치시킬 경우에도 이 전극 탭들이 형성된 부분에서 전극 조립체의 형상 유지 및 보다 컴팩트한 권취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At this time, in the electrode plate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413a and 423a to which the electrode tabs 44 and 45 of the electrode plates 41 and 42 are bonded are formed. As can be see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414 and 424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tabs 44 and 45 have thes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414 ( 424). Thes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414, 424 allow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more compact winding at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s are formed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are positioned at the core por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먼저, 상기 제 1 연장부(414)는 제 1 전극 탭(44)이 접합되는 일방의 제 1 전극 무지부(413a)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 1 전극 집전체(411)로부터 그 폭이 좁게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연장부(414)는 제 1 전극 집전체(411)의 폭방향으로 일방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414)는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413a)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이 된다.First,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is located at the end of one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s 413a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tabs 44 are joined, and the width of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is increased from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1. It can be extended to be narrow. At this time,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is positioned in one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11. Therefore,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 413a is removed.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는 그대로 제 2 연장부(424)에도 적용되는 데, 단, 제 2 연장부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연장부(414)와 반대되는 타방으로 치우쳐 위치한다.This basic structure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24 as it is, except that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oriented opposite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4 as shown in FIG. 3.

상기와 같은 제 1 연장부(414) 및 제 2 연장부(424)의 형상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연속 공정으로 전극판을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 1 전극판의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제 2 전극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4에서처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전극판은 하나의 전극판(41)과 이에 인접하는 전극판(41')이 그 사이에서 절단됨으로 인해 분리되는 데, 이 때, 그 절단을 제 1 연장부(41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면, 인접한 제 1 전극판(41')에는 제 1 연장부(414)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 1 전극 무지부(413b')가 형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424 may be formed by manufacturing an electrode plate in a continuous process. In FIG. 4,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illustrated, but the same is true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electrode plate continuously supplied is separated due to the cutting of one electrode plate 41 and the electrode plate 41 ′ adjacent thereto. When it corresponds to the shape of 414,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413b ′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is formed in the adjacent first electrode plate 41 ′.

이렇게 제조된 제 1 전극판(41) 및 제 2 전극판(42)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전극판(41)의 내측면과 제 1 및 제 2 전극판(41)(42)의 사이에 제 1 및 제 2세퍼레이터(43a)(43b)가 각각 개재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권취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세퍼레이터(43a)(43b)는 제 1전극판(41)과 제 2전극판(42) 사이를 상호 절연하는 한편, 각 전극판들(41)(42)간에 활물질 이온이 교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 1,2세퍼레이터(43a)(43b)는 전극 조립체가 수축 및 팽창되더라도 전극판들(41)(42) 사이를 완전히 절연할 수 있도록 충분한 너비 및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ve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41 and 42. The 1st and 2nd separators 43a and 43b are interposed, respectively, and wind up in the arrow direction. Thes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43a and 43b mutually insulate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while active material ions ar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41 and 42. To be exchanged.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43a and 43b have a sufficient width and length so as to completely insulate the electrode plates 41 and 42 eve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contracted and expanded.

권취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권취용 맨드렐을 이용하여 권취하며, 이 맨드렐은 소정의 직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구비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winding is wound using a separate winding mandrel, which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한편, 이렇게 제 1 전극판(41)과 제 2 전극판(42)이 세퍼레이터(43a)(43b)를 개재하여 권취됨에 있어서, 권심부에는 제 1 전극 탭(44) 및 제 2 전극 탭(45)이 공히 위치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제 1 전극 탭(44)과 제 2 전극 탭(45)이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전하의 집중으로 인한 단락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제 1 전극 탭(44)과 제 2 전극 탭(45)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이들 각 전극 탭들(44)(45)이 형성된 부분은 타 극성의 전극 무지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is way,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are wound through the separators 43a and 43b. In the core part, 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wound. ) Are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short-circuit due to concentration of charge at the portion where thes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44 and 45 are located.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portion where the respective electrode tabs 44 and 45 are formed is not overlapped with the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other polarity.

즉, 제 1 전극 탭(44)과 제 2 전극 탭(45)이 형성된 위치에서 타 전극판으로 인한 간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전극 탭(44)이 형성된 제 1 연장부(414)의 너비(b1)를 제 1 전극 무지부(413a)의 너비(a1)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하고, 제 2 전극 탭(45)이 형성된 제 2 연장부(424)의 너비(b2)를 제 2 전극 무지부(423a)의 너비(a2)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형성한 다음에, 도 5와 같은 형태로 배치시켜 권취하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 탭(44)과 제 2 전극 탭(45)이 서로 중첩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들 각 전극 탭들(44)(45)이 형성된 부분도 타 극성의 전극 무지부와 중첩되지 않게 된다. 도 6에서는 제 1 전극판(41)과 제 2 전극판(42)이 중첩된 상태를 보다 간명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세퍼레이터들(43a)(43b)을 생략하였으며,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극이 되는 제 2 전극판(42)을 보다 넓게 구비하도록 하였다.That is,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due to the other electrode plate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formed with the first electrode tab 44. The width b1 of the extension part 414 is equal to or less than half the width a1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 413a,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424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formed ( b2)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half of the width a2 of the second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423a, and then dispos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5 to be wound. As shown in FIG. 6, the first electrode tab ( Not only does the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overlap each other, but the portions in which the respective electrode tabs 44 and 45 are formed also do not overlap with the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other polarity. In FIG. 6, the separators 43a and 43b are omitted to more clearly show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overlap each other, and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serving as the cathode was provided more widely.

그리고,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44)(45)이 각각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413a)(423a)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너비(c1)(c2)는 역시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413a)(423a)의 너비(a1)(a2)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전극 탭(44)(45)이 각각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의 너비 전체에 걸쳐 접합되어 있어도 상기와 같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idths c1 and c2 of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44 and 45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upporting portions 413a and 423a,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413a and 423a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half the widths a1 and a2. Therefore,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44 and 45 are join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414 and 424, respectively, the abov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제 1 전극판(41)과 제 2 전극판(42)을 배치하여 권취함에 있어서, 제 1 전극 코팅부(415)와 제 2 전극 코팅부(425)의 시작 위치는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지의 용량은 이들 전극 코팅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만나는 영역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 시작 위치는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isposing and wind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rting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coating part 415 and the second electrode coating part 425 are the same. That is, sinc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determined by the area where these electrode coating portions meet via the separa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rting position is the same.

한편, 상기 제 1 전극판(41)과 제 2 전극판(42)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그 권취되는 시작부가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전극판(41)과 제 2 전극판(42)의 시작부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하면, 권취되는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에서의 형상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as can be seen in Figure 7, it can be such that the winding start portion is in the same position. Thus, when the start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is in the same position, it is easy to adjust the shape at the core of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그리고, 제 1 전극 탭(44)과 제 2 전극 탭(45)이 역시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전극 탭(44)과 제 2 전극 탭(45)의 위치를 동일한 위치로 하면, 권취된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 탭의 부분에서 전극 조립체의 형상이 무너지는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may also be in the same position. In this way, 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the sa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bability that the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collapses at the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in the wound electrode assembly.

물론, 이러한 전극판들의 시작 위치 및 전극 탭들의 위치는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start position of the electrode plates and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tabs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상기와 같은 전극판들을 권취하면, 그 권심부에서의 제 1 및 제 2 전극판(41)(42) 상호간의 구조는 도 8과 같이 될 것이다. 도 8에서는 그 구조의 이해가 보다 용이하도록 세퍼레이터들은 제외하였으나, 각 전극판들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개재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에는,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전극 탭(44)이 부착되어 있는 제 1 연장부(414)와 제 2 전극 탭(45)이 부착되어 있는 제 2 연장부(424)는 서로 중첩되지 않게 되어 전극 조립체의 권심부에서의 형상이 보다 균일하고 콤팩트해질 수 있으며, 전극 탭들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above electrode plates are wound, the struct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41 and 42 at the core portion will be as shown in FIG. In FIG. 8, the separators are excluded to make the structure easier to understand, but the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attached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424 to which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attached overlap each other. The shape at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made more uniform and compact, an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ode tabs can be reduced.

도 9 및 도 10은 각각 이러한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의 권심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각 전극판과 세퍼레이터가간에 간격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제는 이보다 콤팩트하게 권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9 and 10 show the top and bottom cross-sec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In the drawings, it is shown that there is a gap between each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n fact, of course, it is more compactly wound.

도 9 및 도 10을 보면, 상방으로 인출되는 제 1 전극 탭(44)과, 하방으로 인출되는 제 2 전극 탭(45)은 동일한 위치에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상부의 단면 구조와 하부의 단면 구조는 서로 정확하게 대칭되는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 1 전극 탭(44)의 인출과 제 2 전극 탭(45)이 동일한 위치에서 인출됨에 따라, 그리고, 각 전극판들(41)(42)의 시작부의 위치가 같음에 따라 전극 조립체는 보다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권취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충방전에 따른 스웰링 현상이 발생시 전극 조립체가 무너지지 않도록 보다 견고히 지지될 수 있게 된다.9 and 10, the first electrode tab 44 drawn upward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drawn downward may be drawn at the same posi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lower cross-sectional structure have a structure that is exactly symmetric with each other. As such, as the lead out of 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drawn out at the same position, and as the positions of the start of the respective electrode plates 41 and 42 are the same, the electrode assembly It may have a more compact and stable winding structure, thereby allow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be more firmly supported so as not to collapse when a swelling phenomenon due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ccurs.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도, 도 9에서 볼 때, 제 1 전극 탭(44)이부착되어 있는 부분은 그 외측면이 세퍼레이터(43a)(43b)를 개재하여 제 1 전극판(41)과 만나나,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전극 탭(45)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은 그 외측면이 세퍼레이터(43a)를 개재하여 제 1 전극판(41)과 만나게 된다. 따라서, 제 2 전극 탭(45)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전하 집중이 발생될 경우 발열에 의해 자칫 단락이 될 수도 있다.However, even in the above structure, as shown in FIG. 9,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attache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via the separators 43a and 43b. As shown in FIG. 10,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attached meets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via the separator 43a. Therefore, when charge concentration occurs in a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located, a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heat generation.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전극 탭이 위치한 부분은 그 양면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동일 극성의 전극판이 존재하도록 하거나, 세퍼레이터만 존재하도록 한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s are positioned, both surfaces thereof have the same polarity through the separator. An electrode assembly is provided so as to have an electrode plate or to have only a separator.

이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의 상기 각 전극판(41)(4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d1)(d2)와 이들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의 시작 위치, 즉,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413a)(423a)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414a)(424a)로부터 제 1 및 제 2 전극 탭(e1)(e2)까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제 1 전극판(41)과 제 2 전극판(42)의 권취되는 권취 시작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맞닿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하고, 제 1 및 제 2 전극 탭(44)(45)이 대략 동일한 위치로부터 인출되도록 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위치들은 전지의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3, the lengths d1 and d2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414 and 42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pective electrode plates 41 and 42 and the first and second length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from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s 414 and 424, that is, the positions 414a and 424a that start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413a and 423a. By adjusting the length up to e1) (e2) it is possible to achieve such a structur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However, below, the winding start part of the 1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2nd electrode plate 42 is made into the substantially same position which contacted through the separator, and the 1st and 2nd electrode tab 44 and 45 are carried out. The structure to be drawn out from the approximately same posi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battery.

도 3에서 볼 때, 제 1 연장부(414)의 제 1 전극 무지부(413a)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414a)로부터 제1 전극 탭(44)까지의 거리(e1)는 이를 권취하였을 때 적어도 하나의 턴이 되는 길이 이상이 되도록 한다. 즉, 권취 시 제 1 전극 탭(44)의 외측 위치에는 제 1 연장부(414)가 여전히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 1 연장부(414)의 거리(d1)는 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3, when the distance e1 from the position 414a starting to extend from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413a of the first extension 414 to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wound up, It should be at least one turn long. That is, the first extension part 414 is still present at the outer position of the first electrode tab 44 during the winding. The distance d1 of the first extension 414 should be longer than this.

이러한 위치 한정은 제 2 전극 탭(45)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이 때에는 제 2 연장부(424)가 제 2 전극 무지부(423a)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424a)가 제 1 연장부(414)이 제 1 전극 무지부(413a)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414a)와 일치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This position limitation is equally applied to the case of the second electrode tab 45. However, at this time, the position 424a at which the second extension 424 begins to extend from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423a starts to extend from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413a.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match the position 414a.

이렇게 제 1 및 제 2 전극 탭(44)(45)의 위치를 결정하고 권취하면, 도 11과 같은 형태로 권심부의 구조가 형성된다. 도 1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퍼레이터를 생략한 구조이고, 제 1 전극판(41)과 제 2 전극판(42)은 각각 세퍼레이터에 의해 절연된 구조가 됨은 물론이다.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44 and 45 are determined and wound in this manner, the structure of the core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11. 11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or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42 are each insulated by the separator.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및 제 2 전극판(41)(42) 각각에 있어서, 제 1 전극 탭(44) 및 제 2 전극 탭(45)의 위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의 시작 위치(414a)(424a)보다 더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전극 탭(44)이 위치한 부분은 그 외측면으로 세퍼레이터들(43a)(43b)을 개재해 제 1 전극 무지부(413a)로부터 연장된 제 1 연장부(414)가 위치하게 되고, 그 내측면으로는 세퍼레이터들(43a)(43b)만이 위치하게 되며,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전극 탭(45)이 위치한 부분도 그 외측면으로 세퍼레이터들(43a)(43b)을 개재해 제 2 전극 무지부(423a)로부터 연장된 제 2 연장부(424)가 위치하게 된다.도 12 및 도 13은 각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의 권심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각 전극판과 세퍼레이터가간에 간격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제는 이보다 콤팩트하게 권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As can be seen in FIG. 11,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41 and 42,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ectrode tab 44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45 are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 414 and 424 are located further inward than the starting positions 414a and 424a.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2, the por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tab 44 is located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413a via the separators 43a and 43b to the outer surface thereof. 414 is positioned, and only the separators 43a and 43b ar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as shown in FIG. 13,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tab 45 is located is also separated by the outer side thereof. A second extension portion 424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423a is positioned via (43a) and 43b. FIGS. 12 and 13 illustrate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xample is shown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In the drawings, it is shown that there is a gap between each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n fact, of course, it is more compactly wound.

이렇게 각 전극 탭이 위치한 부분에서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만나는 전극이 동일 극성이 되도록 함에 따라 전극 탭의 부분으로 전하 집중이 일어남으로 인한 발열에도 전지의 단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electrodes that meet each other through the separator at the position where each electrode tab is located have the same polarity, thereby preventing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even when heat is generated due to charge concentration on the electrode tab.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는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전극 탭(44)(45)의 부착된 위로 절연 테이프(46)를 더 붙여 제조할 수도 있고, 도 15에서 볼 수 있듯이, 전극 탭을 용접하지 않고, 각 전극 집전체와 일체로 형성하여 이를 접어 올리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by further attaching an insulating tape 46 attached to each of the electrode tabs 44 and 45, and as shown in FIG. 15, It can also manufacture by the method of integrally forming and folding up an electrode tab, without welding an electrode tab.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제 1 및 제 2 연장부(414)(424)가 도 16과 같은 형태로, 즉, 각 전극판(41)(42)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절단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경사 각도(θ)는 타 전극판과의 간섭 등의 문제와 전극 탭이 용접될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는 데, 대략 30도 내지 60도 정도로 할 수 있으며, 45도 정도로 맞추는 것이 타 전극판과의 간섭 등의 문제를 고려해 가장 적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414 and 424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 shape as shown in FIG. 16, that is, in a shape cut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41 and 42. It may be.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θ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problems such as interference with other electrode plates and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tabs are welded, and the like, and may be approximately 30 degrees to 60 degrees, and may be 45 degrees. It may be most suitable in view of problems such as interference with other electrode plat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차 전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전극 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인출되는 전극 탭을 모두 권심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First, all of the electrode tabs drawn out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positioned at the core part.

둘째, 두 개의 전극 탭이 권심부에 위치하여도 전극 탭 간의 간섭 및 타 전극판에 의한 간섭을 보다 효과적으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탭에 전하 집중이 발생할 경우에도 전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even if the two electrode tabs are located in the core por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escap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ode tabs and the interference by the other electrode plate. Therefore, even when charge concentration occurs in the electrode tab, a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can be prevented.

셋째, 전극판들의 권취 형상이 균일해지므로, 충방전에 따른 스웰링 시 전극 조립체의 구조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winding shapes of the electrode plates become unifor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from collapsing during swelling due to charge and discharge.

넷째, 전극판에 전극 탭이 위치한 부분의 양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동일 극성의 전극판이 오도록 하거나, 세퍼레이터만 오도록 함으로써 전극 탭이 위치한 부분에서 전지 단락의 위험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risk of battery short-circuit at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located by bringing the electrode plates of the same polarity through the separator on both sides of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located on the electrode plate or by allowing only the separator to com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30)

제 1 전극 집전체에 제 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를 갖는 제 1 전극판;A first electrode plate having a first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med on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having at least a core portion a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제 2 전극 집전체에 제 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상기 제 1 전극판과 권취되는 제 2 전극판; 및A second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in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has at least a core portion with a second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and is wound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via a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상기 권심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각각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방 및 타방으로 인출되고,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 1 및 제 2 전극 탭;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drawn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of the core portion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and no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And a first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not overlapping at least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formed so as not to overlap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ta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권취되는 각 권취 시작부가 대략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secondary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pective winding start portion is wound around the same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은 그 길이 방향으로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귄심부에서 각 전극합제의 시작 위치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secondary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sition of each of the electrode mixture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집전체 너비의 절반 이하의 부분에만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overlap only th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and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s less than or equal to half.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권심부의 제 1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탭은 상기 제 1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권심부의 제 2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 탭은 상기 제 2 연장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 first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from the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core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1st extension part, The 2nd extension part of the predetermined width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2nd electrode plate from the other end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2nd electrode support part is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2nd electrode support part of the said cor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s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exte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제 1 전극 집전체에 제 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를 갖는 제 1 전극판;A first electrode plate having a first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med on a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having at least a core portion a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제 2 전극 집전체에 제 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상기 제 1 전극판과 권취되는 제 2 전극판; 및A second electrode mixture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on a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has at least a core portion with a second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and is wound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via a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상기 권심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각각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방 및 타방으로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적어도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이 위치한 부분은 그 양면이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해 동일 극성의 전극판이 존재하거나, 상기 세퍼레이터만 존재하도록 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drawn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of the core portion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and including at least a firs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Th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s located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such that both sides of the electrode plate having the same polarity, or only the separator is present through the separato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는 적어도 상기 제 1 전극 탭에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does not overlap at least the second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 is formed not to overlap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tab.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권취되는 각 권취 시작부가 대략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secondary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pective winding start portion is wound around the same positio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귄심부에서 각 전극합제의 시작 위치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secondary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sition of each of the electrode mixture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am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은 그 길이 방향으로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제 1 및 제 2 전극 탭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do not overlap each other.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와 그 너비의 절반 이하의 부분에만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overlap on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arts and a portion less than half of the width, respectively. 제 9항 및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and 15, 상기 권심부의 제 1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의 너비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1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탭은 상기 제 1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권심부의 제 2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2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 탭은 상기 제 2 연장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 first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from the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ortion of the core portion, and the first electrode tab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tab. It is provided with a 1st extension part, The 2nd extension part of the predetermined width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2nd electrode plate from the other end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2nd electrode support part is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2nd electrode support part of the said cor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s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exte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까지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의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턴이 되는 길이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t least one length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start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is respectively.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o be more than the length of the tur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는 서로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positions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begin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소정의 폭을 가진 띠 상의 제 1 전극 집전체에 제 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1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상기 권심부의 제 1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1 연장부를 갖는 제 1 전극판;The first electrode mixture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on a band-shaped first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as at least a core portion having a first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A first electrode plate having a first extens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from the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t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 of the first electrode uncoated part; 소정의 폭을 가진 띠 상의 제 2 전극 집전체에 제 2 전극 활물질을 포함한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고, 적어도 권심부에 상기 제 2 전극 합제가 형성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를 가지며, 상기 권심부의 제 2 전극 무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의 너비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전극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폭의 제 2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전극판과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권취되는 제 2 전극판; 및The second electrode mixture including the second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on the band-shaped second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as at least a core portion with a second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mixture is not forme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no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non-coated portion has a second extens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from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non-coated portion, and wound around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로부터 각각 전극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일방 및 타방으로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탭;을 구비한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to one and the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respectively.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 1 연장부와 제 2 연장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do not overlap each other.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의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서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여 맞닿은 대략 동일한 위치로부터 권취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provided with separators and start to be wound from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판은 그 귄심부에서 각 전극합제의 시작 위치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are secondary batter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sition of each of the electrode mixture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am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 1 전극 탭 및 제 2 전극 탭은 그 길이 방향으로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제 1 및 제 2 전극 탭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do not overlap each other.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exte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의 길이방향에 경사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nd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exten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respectively. 제 2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8,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까지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탭의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턴이 되는 길이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t least one length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start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is respectively.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o be more than the length of the turn. 제 2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무지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는 서로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A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positions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begin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coated por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KR10-2002-0085439A 2002-12-27 2002-12-27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Expired - Fee Related KR100490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439A KR100490548B1 (en) 2002-12-27 2002-12-27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439A KR100490548B1 (en) 2002-12-27 2002-12-27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921A true KR20040058921A (en) 2004-07-05
KR100490548B1 KR100490548B1 (en) 2005-05-17

Family

ID=3735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4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0548B1 (en) 2002-12-27 2002-12-27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548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528B1 (en) * 2004-10-26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same
KR100774735B1 (en) * 2006-02-14 2007-1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lectrode body-lead connection structur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740667B2 (en) 2004-07-28 2010-06-22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n electrode plate for rechargeable battery
KR100966604B1 (en) * 2007-11-19 2010-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KR101156331B1 (en) * 2010-01-26 2012-06-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method for fabric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CN102637846A (en) * 2011-02-11 2012-08-15 三星Sdi株式会社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275677B1 (en) * 2008-01-22 2013-06-14 히다치 비클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lithium secondary battery
US8679675B2 (en) 2005-04-26 2014-03-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including a member configured to prevent a short circuit
US9401499B2 (en) 2011-06-17 2016-07-26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WO2018080080A1 (en) * 2016-10-27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주) Secondary battery
EP3696899A4 (en) * 2017-10-11 2021-06-30 Samsung SDI Co., Ltd. SET OF ELECTROD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IT
US11303000B2 (en) 2013-09-09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EP3817123A4 (en) * 2018-07-20 2022-04-27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same
WO2024117460A1 (en) * 2022-12-01 2024-06-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N118435418A (en) * 2022-12-01 2024-08-02 株式会社Lg新能源 Wound-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2199314B2 (en) 2018-07-20 2025-01-14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793B1 (en) * 2013-05-07 2016-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9197B2 (en) 2004-07-28 2011-05-10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plate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740667B2 (en) 2004-07-28 2010-06-22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n electrode plate for rechargeable battery
KR100670528B1 (en) * 2004-10-26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same
US8679675B2 (en) 2005-04-26 2014-03-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including a member configured to prevent a short circuit
US7768770B2 (en) 2006-02-14 2010-08-03 Ls Mtron Ltd.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electrode and lea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pacitor
KR100774735B1 (en) * 2006-02-14 2007-1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lectrode body-lead connection structur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66604B1 (en) * 2007-11-19 2010-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KR101275677B1 (en) * 2008-01-22 2013-06-14 히다치 비클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156331B1 (en) * 2010-01-26 2012-06-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method for fabric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US8450002B2 (en) 2010-01-26 2013-05-28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electrode having non-coated portio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2637846A (en) * 2011-02-11 2012-08-15 三星Sdi株式会社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9172109B2 (en) 2011-02-11 2015-10-27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9401499B2 (en) 2011-06-17 2016-07-26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11303000B2 (en) 2013-09-09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18080080A1 (en) * 2016-10-27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주) Secondary battery
US12183869B2 (en) 2016-10-27 2024-12-3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EP3696899A4 (en) * 2017-10-11 2021-06-30 Samsung SDI Co., Ltd. SET OF ELECTROD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IT
EP3817123A4 (en) * 2018-07-20 2022-04-27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same
US12199314B2 (en) 2018-07-20 2025-01-14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WO2024117460A1 (en) * 2022-12-01 2024-06-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CN118435418A (en) * 2022-12-01 2024-08-02 株式会社Lg新能源 Wound-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0548B1 (en)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6562B2 (en) secondary battery
KR100509606B1 (en) Jelly-roll type battery unit and winding method thereof and lith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490548B1 (en) Secondary battery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US7585589B2 (en)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958649B1 (en) Battery unit, a winding method thereof,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RE42696E1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20240055741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23836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assembly
KR102822973B1 (en) Secondary battery
JP2004356085A (en)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is
JP3821434B2 (en) Battery electrode group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472510B1 (en) Jelly-roll type battery unit and winding method of the same and lith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307452B1 (en) Electrode of secondary battery
KR100591435B1 (en) Can-type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KR20240056395A (en) El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0534799B (en) Battery and battery cover plate assembly
KR100601563B1 (en) Cylindrical Li-ion Secondary Battery
KR20040022919A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20250049622A (en) Electrode assembly, second battery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and vehicle
KR100515834B1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20250037138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assembly, second battery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and vehicle
KR20240056427A (en) El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40056430A (en) El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03168415A (en) Rechargeable battery
KR20220073563A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5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5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