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722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58722A KR20040058722A KR1020020085101A KR20020085101A KR20040058722A KR 20040058722 A KR20040058722 A KR 20040058722A KR 1020020085101 A KR1020020085101 A KR 1020020085101A KR 20020085101 A KR20020085101 A KR 20020085101A KR 20040058722 A KR20040058722 A KR 200400587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criber
- traffic
- traffic card
- identification module
- c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가입자 식별 모듈과 요금 지불 수단을 같이 사용하게 되면 요금 지불 수단인 교통 카드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간의 어느 쪽에 교통 요금을 부과할 것인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초기화 시마다 교통 카드의 아이디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두 아이디가 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활성화하고 반대로 두 아이디가 불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통 카드사용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하면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와 교통 카드의 아이디를 사업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두 아이디를 전달받아 교통 카드사용을 인증하고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사용자에게 맞는 교통 카드 아이디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새 교통 카드 아이디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교통 카드에 저장하고 이 기능을 활성화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을 다른 단말기에 삽입하여 교통 카드 기능을 사용할 때 자신의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에 교통 요금이 부가되게 동작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사용되는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과 교통 카드 사이에 상호 인증을 통하여 교통 요금을 부과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요금 지불 수단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 요금 지불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지불 기능 칩과 요금 지불 대상을 사용할 경우 요금 정산기와 정보 교환으로 상기 요금 지불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요금 정산기에 전달하는 안테나로 구성된 요금 지불 수단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요금 지불 수단인 교통 카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품 번호가 저장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제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면에 밀착 형성된 개루프 형상의 안테나와 계좌 정보, 전화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전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안테나의 양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삽입하여 자신의 단말기처럼 사용하고 교통 카드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가입자 식별 모듈과 요금 지불 수단을 같이 사용하게 되면 요금 지불 수단인 교통 카드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간의 어느 쪽에 교통 요금을 부과할 것인가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과 교통 카드 사이에 상호 인증을 통하여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쪽으로 교통 요금이 부과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서 단말기 초기화시 수행하는 절차를 보인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서 교통 카드 사용시 수행하는 절차를 보인 동작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초기화 시마다 교통 카드의 아이디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두 아이디가 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활성화하고 반대로 두아이디가 불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통 카드사용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하면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와 교통 카드의 아이디를 사업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두 아이디를 전달받아 교통 카드사용을 인증하고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사용자에게 맞는 교통 카드 아이디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새 교통 카드 아이디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교통 카드에 저장하고 이 기능을 활성화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교통 카드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이 삽입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어 동작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서 단말기 초기화시 수행하는 절차를 보인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초기화시마다 교통 카드의 아이디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S11, S12))와; 상기 두 아이디가 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활성화하고 반대로 두 아이디가 불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S13, S14)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을 삽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11).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는 교통 카드의 아이디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를 비교판단하여 두 아이디가 일치하는지 아니면 불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2).
상기 두 아이디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교통 카드 기능을 활성화하고(S13) 두 아이디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비활성화한다(S14).
교통 카드 기능이 비활성화되면 사용자는 교통 카드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에서 교통 카드 사용시 수행하는 절차를 보인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통 카드사용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하면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와 교통 카드의 아이디를 사업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1~S22)와;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두 아이디를 전달받아 교통 카드사용을 인증하고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사용자에게 맞는 교통 카드 아이디를 전달하는 단계(S23)와; 상기 새 교통 카드 아이디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교통 카드에 저장하고 이 기능을 활성화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단계(S24, S25)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타인의 단말기에 자신이 소지한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을 삽입함에 따라 교통 카드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이다(S26).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통 카드사용을 선택하지 않으면 계속 단말기의 교통 카드 기능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사용하지 못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통 카드사용을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와 교통 카드의 아이디를 사업자에게 전달한다(S21, S22).
사업자는 상기 두 아이디를 전달받아 교통 카드사용을 인증하고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사용자에게 맞는 교통 카드 아이디를 전송한다(S23).
새 교통 카드 아이디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를 교통 카드에 저장한다(S24). 그리고, 교통 카드 기능을 활성화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S25).
이후, 사용자는 버스 또는 지하철 등 대중 교통 수단의 요금 정산기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접촉하여 교통 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통 카드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간의 상호 인증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을 다른 단말기에 삽입하여 교통 카드 기능을 사용할 때 자신의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에 교통 요금이 부가되게 동작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초기화 시마다 교통 카드의 아이디와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두 아이디가 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활성화하고 반대로 두 아이디가 불일치하면 교통 카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통 카드사용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하면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아이디와 교통 카드의 아이디를 사업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업자 서버에서 상기 두 아이디를 전달받아 교통 카드사용을 인증하고 가입자/광역 가입자 식별 모듈의 사용자에게 맞는 교통 카드 아이디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새 교통 카드 아이디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교통 카드에 저장하고 이 기능을 활성화하여 동작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5101A KR20040058722A (ko) | 2002-12-27 | 2002-12-27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5101A KR20040058722A (ko) | 2002-12-27 | 2002-12-27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8722A true KR20040058722A (ko) | 2004-07-05 |
Family
ID=3735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5101A Withdrawn KR20040058722A (ko) | 2002-12-27 | 2002-12-27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58722A (ko) |
-
2002
- 2002-12-27 KR KR1020020085101A patent/KR20040058722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85081A (en) | Method for allocating a user identification | |
JP4509931B2 (ja) | トランザクションの容易化および認証 | |
KR100419109B1 (ko) | 내부요금계산기능을갖는이동전화시스템 | |
KR100511317B1 (ko) | 비접촉식 카드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드 도용방지 방법 및 장치 | |
KR100815148B1 (ko)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결제보안 시스템 및 방법 | |
EP1487228B1 (en) | Authentication of sever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singl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 |
JPH1166430A (ja) | 安全性の高い無線電話による課金・支払いシステム | |
CN101562902A (zh) | 通信系统和通信设备 | |
KR20020078989A (ko)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거래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8000755B2 (en) | Information-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utomatic ba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2004002957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payment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
US20030208446A1 (en) | Method for loading money, an electronic device, and a system | |
JP3509664B2 (ja) |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用の車載器 | |
JP5178267B2 (ja) | Icカードおよびicカードに用いられ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制御方法 | |
KR20040058722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교통 요금 과금 방법 | |
KR102406519B1 (ko) |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KR100838464B1 (ko) | 존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화폐 충전 및 결제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 |
KR100639320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데이터 통신기능을 이용한 요금결제장치 및 그 방법 | |
JP2002056331A (ja) | クレジットカードやプリペイドカードの決済システム | |
KR20050061009A (ko) | 휴대폰으로의 전자화폐 자동충전방법 및 그 휴대폰 | |
JP4503341B2 (ja) | 電子マネー入金機及びその認証方法 | |
KR20040004963A (ko) | 무선 공개키 기반 etc 결제방법 | |
KR100564097B1 (ko) |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 |
KR20030008670A (ko) | 무선 통신망에서의 상품권 운영 장치 및 그를 이용한상품권의 발행/결재 및 이체 방법 | |
JP2001273451A (ja) | 移動通信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