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54849A -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 Google Patents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849A
KR20040054849A KR1020020081161A KR20020081161A KR20040054849A KR 20040054849 A KR20040054849 A KR 20040054849A KR 1020020081161 A KR1020020081161 A KR 1020020081161A KR 20020081161 A KR20020081161 A KR 20020081161A KR 20040054849 A KR20040054849 A KR 20040054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vibration
circular sorter
circular
s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Original Assignee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4849A/ko
Publication of KR20040054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8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돌, 자갈, 흙, 쓰레기 등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을 고르게 분급할 수 있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Trome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선별기의 입구측에 진동 분급장치를 직렬로 설치하여 원활한 공정과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설폐기물(5)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원형 선별기(10)에 있어서, 상기 원형 선별기(10)의 입구측에 설치된 입구 가이드 판(16); 상기 입구 가이드 판(16)상에 설치되어 투입된 건설폐기물(5)을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호퍼(32); 및 상기 호퍼(32)의 배출구(35) 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32) 및 배출구(35)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가진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A tromel installed with a vibration class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돌, 자갈, 흙, 쓰레기 등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을고르게 분급할 수 있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Trome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선별기의 입구측에 진동 분급장치를 직렬로 설치하여 원활한 공정과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선별기(10)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형 선별기는 건설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원통 스크린(12)은 내부가 비어 있는 실린더 형상이고, 구멍이 뚫린 철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소정 크기 이하의 것은 원통 스크린(12)의 구멍을 통과하여 화살표 방향(7)과 같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있고, 크기가 큰 것은 원통 스크린의 출구측 화살표(3)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통 스크린(12)은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기 위해, 구동모터, 체인 및 스프라켓 장치, 베어링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 스크린(12)의 입구측에는 입구 가이드판(16)이 설치되어 건설폐기물(5)을 투입을 용이하게 하고, 컨베이어 벨트(5)는 입구 가이드판(16)까지 건설폐기물(5)을 일정하게 공급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원형 선별기(10)는 공급되는 건설폐기물(5)을 그대로 선별하였기 때문에, 쓰레기 및 토사 덩어리의 분리가 효율적이지 못했고, 선별된 골재 등에도 많은 토사와 모래, 흙 등이 섞여 있기 때문에 품질의 저하나 재처리의 공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원통 스크린의 길이를 길게 하고자 하는시도가 있었으나, 장비의 잔고장이 많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 선별기(10)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5)을 한번 분급한 뒤 공급함으로서, 원형선별기(10) 내부에서 원활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고장 원인을 줄임으로서 장비가 장시간 동안 멈춤없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폐기물(5)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원형 선별기(10)에 있어서,
상기 원형 선별기(10)의 입구측에 설치된 입구 가이드 판(16);
상기 입구 가이드 판(16)상에 설치되어 투입된 건설폐기물(5)을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호퍼(32); 및
상기 호퍼(32)의 배출구(35) 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32) 및 배출구(35)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가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진수단은, 상기 호퍼(32)의 하단부 및 상기 배출구(35)가 연결되는 진동대(33);
상기 진동대(33) 상에 설치되고, 편심된 회전추를 회전시킴으로서 진동을 발생하는 모터(40); 및
상기 진동대(33)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37)을 포함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32)는 역 피라미드 형상이고, 상부의 개구는 4m ×3m 이고, 하부의 개구는 1 m ×1 m 인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40)는 30 마력 ~ 50 마력 범위인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원형 선별기(10)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입구 가이드 판(16), 호퍼(32); 및 가진수단은 상기 원형 선별기(10)에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 선별기(10)와 상기 호퍼(32) 사이의 거리는 1m 이상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선별기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2중 진동 분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건설폐기물, 10 : 원형선별기,
12 : 원통 스크린, 14 : 하우징,
16 : 입구 가이드판, 17 : 출구 가이드판,
18 : 컨베이어 벨트, 30 : 진동 분급장치,
32 : 호퍼, 33 : 진동대,
35 : 배출구, 37 : 스프링,
39 : 지지대, 40 : 편심모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10)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선별기(10)내의 원통 스크린(12)은 하류로 갈 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통 스크린(12)은 내부가 비어 있는 실린더 형상이고, 구멍이 뚫린 철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소정 크기 이하의 것은 원통 스크린(12)의 구멍을 통과하여 화살표 방향(7)과 같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있고, 크기가 큰 것은 원통 스크린의 출구측 화살표(3)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방향(7)과 같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에 대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원통 스크린(12)의 하부에 별도의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를 설치한다.
이러한 원통 스크린(12)은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기 위해, 구동모터, 체인 및 스프라켓 장치, 베어링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대략적인 크기는 직경이 약 2.4m 이고, 길이가 약 4m 이다.
이러한 원통 스크린(12)의 입구측에는 입구 가이드판(16)이 설치되어 있고, 출구측에는 출구 가이드판(17)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입구 가이드판(16)은 원통스크린(12)과 일직선이 되도록 같은 경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 가이드판(16) 상에는 원통스크린(12)가 약 1.5m 정도 떨어진 위치에 진동 분급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만약 1m 보다 가까우면, 진동 분급장치(30)의 진동이 원통 스크린(12)으로 전달되어 장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분급장치(30)의 상세한 구성은 도 3에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중 진동 분급장치(30)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분급장치(30)는 대략 호퍼(32), 지지대(39), 가진장치로 대별될 수 있다.
호퍼(32)는 역피라미터의 형태이며, 상부의 개구는 4m ×3m 이고, 하부의 개구는 1 m ×1 m 이며, 포크레인(미도시) 또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 등을 통해건설 폐기물(5)이 호퍼(32) 내부로 투입된다.
지지대(39)는 호퍼(32)의 중간영역을 지지하고, 바닥이나 입구 가이드 판(16)에 고정되어 진동 분급장치(30) 전체를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대(39)의 내부에는 가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편심모터(40)는 중심축선에 대해 편심된 무게추(미도시)가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가 회전할 경우 일정한 진폭의 진동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편심모터(40)는 30마력 내지 50마력 내외의 용량이 적합하나, 호퍼(32)의 크기에 따라서, 같은 비율로 가감하여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진동대(33)는 상면에 상기 편심모터(40)가 고정되며, 일측으로는 배출구(35)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구(35)는 호퍼(32)의 아래쪽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진동대(35)의 진동은 지지대(39)와 배출구(35)를 통해 호퍼(32) 전체로 전달된다. 배출구(35)는 일정한 단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입구 가이드판(16)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스프링(37)의 진동대(33)의 하부면과 지지대(39) 사이에 4 ~ 6개 정도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37)은 진동대(33)를 지지하면서도 진동대(33)의 진동을 아래쪽으로 방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포크레인(미도시) 또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 등을 통해 진동 분급장치(30)의 호퍼(30)에 다량의 건설 폐기물(5)을 적재한다.
그 다음, 편심모터(40)가 회전함에 따라 진동대(33)가 진동을 전달받는다. 진동대(33)의 진동은 일부가 배출구(35)로 전달되고, 일부가 지지대(39)를 통해 호퍼(32) 전체로 전달된다. 그러면, 호퍼(32) 내부에 무작위적으로 적재되었던 건설폐기물(5)이 분급되면서 작은 덩어리는 아래쪽으로 흘러 내리고, 큰 덩어리들 끼리는 서로 부딪치면서 작게 분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배출구(35)에는 비교적 분급이 잘된 건설폐기물(5)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건설폐기물(5)은 입구 가이드판(16)을 따라 원통 스크린(12) 내부로 투입된다. 이와 동시에 원통 스크린(12)이 회전하기 때문에, 스크린(12)의 매쉬보다 작은, 흙, 토사, 모래, 자갈, 쓰레기, 콘크리트 덩어리, 벽돌 덩어리등은 화살표 방향(7)과 같이 아래로 떨어져 별도의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를 타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다.
또한, 원통 스크린(12)을 통과하지 못한 건설폐기물(5)은 화살표 방향(3)으로 배출되어 출구 가이드판(17)에 의해 안내된 후, 컨베이어 벨트(미도시) 등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역피라미드 형태의 호퍼를 적용함에 따라 그 단면이 사각형이었으나, 필요에 따라 원뿔형, 타원뿔형, 육각뿔형 등 다양한 형태의 호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진동 분급장치(30)의 진동을 위해 편심모터를 사용하였으나, 벨트, 체인 등을 사용하여 동력의 전달과 동시에 진동을 유발하게끔 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건설폐기물을 대상으로 진동을 가해 분급한 뒤 선별하는공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없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혼합된 재료에 대해 이를 선별할 필요가 있는 공정이라면 어떠한 공정이라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에 의하면, 원형 선별기(10)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5)을 한번 분급한 뒤 공급함으로서, 원형선별기(10) 내부에서 원활한 선별이 이루어진다. 이로서 생산된 골재의 품질이 향상되고,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나 중복 공정이 필요없다는 경제적 잇점이 있다.
또한, 원형 선별기가 큰 덩어리의 건설폐기물로 인한 고장 원인을 줄임으로서 장비가 장시간 운정하는 동안에도 멈춤없이 동작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건설폐기물(5)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원형 선별기(10)에 있어서,
    상기 원형 선별기(10)의 입구측에 설치된 입구 가이드 판(16);
    상기 입구 가이드 판(16)상에 설치되어 투입된 건설폐기물(5)을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호퍼(32); 및
    상기 호퍼(32)의 배출구(35) 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32) 및 배출구(35)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가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수단은,
    상기 호퍼(32)의 하단부 및 상기 배출구(35)가 연결되는 진동대(33);
    상기 진동대(33) 상에 설치되고, 편심된 회전추를 회전시킴으로서 진동을 발생하는 모터(40); 및
    상기 진동대(33)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32)는 역 피라미드 형상이고, 상부의 개구는 4m ×3m 이고, 하부의 개구는 1 m ×1 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40)는 30 마력 ~ 50 마력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선별기(10)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입구 가이드 판(16), 호퍼(32); 및 가진수단은 상기 원형 선별기(10)에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선별기(10)와 상기 호퍼(32) 사이의 거리는 1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KR1020020081161A 2002-12-18 2002-12-18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KR20040054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161A KR20040054849A (ko) 2002-12-18 2002-12-18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161A KR20040054849A (ko) 2002-12-18 2002-12-18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849A true KR20040054849A (ko) 2004-06-26

Family

ID=3734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161A KR20040054849A (ko) 2002-12-18 2002-12-18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4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334B1 (ko) * 2006-04-29 2007-11-05 구대환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920108B1 (ko) * 2007-09-28 2009-10-01 한국전력공사 토사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334B1 (ko) * 2006-04-29 2007-11-05 구대환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
KR100920108B1 (ko) * 2007-09-28 2009-10-01 한국전력공사 토사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20110074042A (ko) 건식 모래 생산방법 및 장치
US5921400A (en) Apparatus for sieving a particulate material
CN209476806U (zh) 新型矿石筛分装置
KR100863605B1 (ko) 다단 각도변화를 갖는 순환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이용하여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0441430B1 (ko) 이중 스크린망 트럼멜 및 이를 갖는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JP3263342B2 (ja) 風力選別装置
KR20040002833A (ko) 재생골재 선별장치
JP3682755B2 (ja) 廃棄物選別装置
KR100395132B1 (ko) 재생골재 선별기
CN110302960A (zh) 一种振动与风力共同作用的垃圾分选设备
KR20040054849A (ko) 진동 분급장치가 연결된 원형 선별기
KR100627912B1 (ko) 건설폐기물 선별 및 재활용장치
KR100756341B1 (ko) 트롬멜장치
KR200468274Y1 (ko)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KR200259899Y1 (ko) 재생골재 선별기
RU2233713C2 (ru) Вибровращательное сито
JP3831552B2 (ja) 廃石膏ボ−ド破砕分別処理装置
KR200366384Y1 (ko) 고형 원료 선별장치
CN222035670U (zh) 一种石膏粉振动筛选器械
KR102672667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CN221620033U (zh) 一种沥青混凝土石料筛分装置
CN217474133U (zh) 磨球分选设备
CN221790068U (zh) 一种固废垃圾砖块用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