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9445A - 세정제용 펄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용 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445A
KR20040049445A KR1020020077219A KR20020077219A KR20040049445A KR 20040049445 A KR20040049445 A KR 20040049445A KR 1020020077219 A KR1020020077219 A KR 1020020077219A KR 20020077219 A KR20020077219 A KR 20020077219A KR 20040049445 A KR20040049445 A KR 2004004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l
composition
stability
cationic polymer
pearl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민두식
박현석
랑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7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445A/ko
Publication of KR2004004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44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펄제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펄 조성물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더 첨가한 후 급속 냉각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펄감 및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낮은 비용으로 펄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샴푸와 같은 두발 및 인체 세정용 제품에 적용할 경우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와 같은 사용감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세정제용 펄 조성물{Pearl Composition For Cleanser}
본 발명은 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여 향상된 펄감 및 안정성을 가지며, 샴푸에 적용할 경우 소량으로도 우수한 펄감 및 안정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하며, 펄 입자를 급냉에 의하여 결정화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펄제는 세정제 또는 화장품에 있어 외관을 화려하게 하기 위한 펄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 알려진 펄제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올리고머 및 알킬렌 글리콜의 모노 스테아레이트 혹은 디 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 중 에틸렌 글리콜, 모노 스테아레이트 및 디 스테아레이트가 주로 많이 사용된다.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펄제는 고온의 상태로 용융시킨 뒤 결정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진주와 같은 광택과 펄감을 지니게 되는데, 좋은 펄감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펄제를 녹는점 이상으로 가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모두 가용화 되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해야 한다고 미국특허 제6,165,955호는 게재하고 있다. 또한, 펄 입자는 고온의 용융상태에서 냉각과정을 통해 결정화되는데 결정의 모양이 펄의 외관과 이를 사용한 제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미국특허 제5,925,604호는 게재하고 있다.
즉, 펄 입자는 결정화 과정에서 주로 판상과 침상의 모양을 갖는데, 이러한 모양의 펄 입자가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며, 투과된 빛은 다시 다른 펄 입자에서 반사와 투과를 반복하여 간섭효과를 일으킴으로 펄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펄의 결정입자가 너무 큰 경우 빛의 반사를 주로 일으켜 외관상 금속성이 많기는 하나 입자감이 느껴지는 조잡한 펄을 형성하기 쉽고 제품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정도가 작은 반면에, 펄의 입자가 너무 얇고 적은 경우에는 제품의 안정성은 증가하지만 펄감이 급격히 감소하여 백탁이 된다.
따라서, 좋은 펄감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펄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결정화 과정, 즉, 냉각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좋은 펄을 얻기 위한 최적화된 조성 및 냉각조건을 찾아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찾는 것은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함으로 쉽지 않을 뿐만 아나리, 시간 및 비용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펄제, 분산제 및 펄 보조제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일반적인 냉각 방식으로 제조하는 종래의 펄 조성물은 펄 입자의 크기가 크고 불균일하여 화려하지 못하며 제품의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펄은 미세한 펄 입자의 분산에 의해 제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미국 특허 제5,998,354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비헨산(behenic acid)을 사용한 펄 조성물은 화려한 펄감은 얻을 수 있으나 제품의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미미하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44676호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를 포함하는 펄을 게재하여 종래의 펄 조성물에 비하여 소량 사용하여도 더 좋은 펄감과 안정성의 개선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런한 경우에도 고온 안정성 및 사용감 측면에서 좀 더 많은 향상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펄 조성물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여 향상된 펄감과 안정성을 가지며, 그 결과 소량 사용하여도 우수한 펄감과 안정성을 유지하여 경제적인 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펄 조성물을 두발 및 인체 세정용 제품에 적용하여 펄감 및 안정성을 유지하며,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펄 조성물의 펄 입자를 급냉에 의하여 결정화함에 따라 우수한 펄감 및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펄 조성물은 1종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펄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펄제+비이온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 3:1 내지 15:1이고, 펄제: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5:1 내지 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중량%이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셀룰로오즈 계열의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발 및 피부 세정용 펄 조성물은 1종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펄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펄제+비이온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 3:1 내지 15:1이고, 펄제: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 5:1 내지 1:1로 이루어진 펄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펄감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샴푸와 같은 세정제에 적용시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하게 하며, 낮은 생산비의 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펄제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펄 조성물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게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펄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의 최적 함량은 단독으로 결정되지 않고 서로 간의 함량에에 따라 변하는데, 이는 각 조성의 비율이 점도와 펄 결정의 형성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펄제+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 3:1 내지 15:1이고, 펄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 5:1 내지 1: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대한 펄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합량에 대한 비율이 3:1 미만이면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아 펄 형성이 곤란하고, 상기 비율이 15: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펄은 형성되지만 펄감이 약하고 급속냉각 조건의 설정이 어려워 경제적인 비용으로 펄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취지에 부적합하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펄제의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데, 펄제의 함량에 대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량에 대한 비율이 5:1 미만이면 펄 결정 형성 시 입자가 너무 작아 펄감 및 안정성면에서 모두 좋지 않으며, 상기 비율이 1: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펄 입자가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안정성이 저하된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분산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점증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펄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올리고머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스테아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펄 조성물에 비하여 펄감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0.01중량% 미만에서는 향상된 펄감의 효과가 미비하고, 3.0중량% 이상인 경우 양이온성 폴리머가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과도한 착물(complex)을 형성함으로 펄 형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흡착량이 많아 빌드업 현상이 일어난다. 특히, 양이온성 폴리머는 다른 폴리머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펄 형성 시 점탄성 효과를 증가시키므로 판상모양의 펄 결정을 많이 생성시키고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최적의 펄 입자를 생성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셀룰로오즈 계열의 아크릴아미드와 디메틸디알릴암모니움클로라이드가 중합된 4급암모늄의 반응생성물인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가 중합된 4급암모늄의 반응생성물인 폴리쿼터늄-10 (Polyquaternium-10) 및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Jaguar C17)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펄감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샴푸와 같은 세정제에 적용시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하게 하며, 낮은 생산비의 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펄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70 내지 80℃의 고온에서 녹인 후, 펄을 형성하는 40 내지 45℃의 온도까지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물을 0.5 내지 20℃/min의 속도로 급속 냉각한다. 상기와 같이 급냉하여 제조하는 것은 서서히 냉각하는 경우에 펄감 및 안정성이 저하되어, 개선된 펄감 및 향상된 안정성을 갖는 펄 조성물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펄 조성물을 두발 및 피부 세정용 펄 조성물에 포함하게 하여 개선된 외관 및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며,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발휘하게 하는 두발 및 피부 세정용 펄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조성과 조성비의 혼합물을 75℃의 온도로 가온하고 5분 이상 교반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45℃의 온도까지 2.0℃/min의 속도로 급냉하여 펄 제제를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음이온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30%) 50 50 50 50 50 50 50 50
비이온계면활성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5 5 5 5 5 5 5 5
펄제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양이온성폴리머 폴리쿼터늄-71) 0.5 1.0 1.0 - - - - -
폴리쿼터늄-102) - - - 1.0 - - - -
구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윰클로라이드3) - - - - 1.0 - - -
폴리옥시에틸렌(평균분자량 10만)4) - - - - - 0.5 1.0 1.0
34.5 34.9 34.9 34.9 34.9 34.5 34.9 34.9
1) 마크레니움 007 엘알 (Mackernium 007 LR, Nalco)
2) 폴리머 제이알 (Polymer JR400, Union Carbide)
3) 자구알 씨 17 (Jaguar C17, Rhodia)
4) 폴리옥스 엔-10 (Polyox N-10, Union Carbide)
[시험예 1]
윤기, 펄감 및 금속성 효과 시험예
상기 표 1의 각 펄 제제를 자외선 분광기 셀(UV Cell)에 넣고 윤기 측정기인 마이크로 -그로스 미터 85o(micro-gross meter, 85o)로 윤기를 3회 측정한 후 계산하여 평균한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윤기 측정기기는 대상체에 조사한 광원이 반사되어 나오는 광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윤기가 적은 대상일수록 반사각이 큰 것을 이용한다. 펄감이 약한 경우는 불투명의 백색을 띠고, 펄감이 좋은 경우는 윤기 있는 백색을 띠므로 반사광량의 세기가 세어진다. 입사광량 대비 반사광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어 100%인 경우는 완전 반사체에 해당한다.
또한, 표 1의 펄 제제에 대한 펄 무늬의 선명성에 해당하는 펄감과, 빛을 반사하는 정도인 금속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께 0.5cm, 가로 30cm, 세로 30cm의 검은색 무광 아노다이징을 처리한 알루미늄 판에 각 펄 조성물을 3g 씩 따른 뒤 남녀 각 25명에게 펄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는 펄감이 우수하고 금속성이 있는 경우에는 5점을, 펄감은 우수하나 금속성은 떨어지는 경우에는 4점을, 펄감 및 금속성이 보통인 경우에는 3점을, 펄감이 있기는 하나 부족한 경우에는 2점을, 그리고 펄감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1점을 부여한 후 평균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윤기(%) 89.0 91.2 91.2 92.6 90.3 83.3 84.3 84.3
펄감선호도 4.5 4.6 4.5 4.7 4.5 4.2 4.3 4.3
상기 표 2에 의하면 양이온성 폴리머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는 폴리옥시에틸렌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윤기 및 펄감선호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내지 11 및 비교예 4 내지 5]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한 펄 제제를 모발 컨디셔닝제로 이용되는 실리콘이 포함된 샴푸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의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의 펄 제제를 제조하고 이를 표 4의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15 또는 20중량% 함유한 샴푸를 제조하였다.
제품 안정성 비교를 위한 샴푸 제조는 표 4와 같은 조성비로 물에 3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를 가하여 교반하면서 45℃의 온도까지 가온한 후 디메치콘을 가하여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40℃까지 교반 냉각시키고, 미리 만들어진 펄 조성물과 색소,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염화나트륨 및 구연산을 가한 뒤 30분 동안 교반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펄조성물
1 2 3 4
음이온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30%) 60 60 60 60
비이온계면활성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5 5 5 5
펄제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양이온성폴리머 폴리쿼터늄-7 1.0 - - -
폴리쿼터늄-10 - 1.0 - -
구하이드록시프로필 트리모니윰클로라이드 - - 1.0 -
폴리옥시에틸렌(평균분자량 10만) - - - 1.0
구분(중량%) 실시예 비교예
6 7 8 9 10 11 4 5
라우릴황산나트륨(3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3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1.0 1.0 1.0 1.0 1.0 1.0 1.0 1.0
디메치콘1) 2.0 2.0 2.0 2.0 2.0 2.0 2.0 2.0
펄 조성물 1 20 - - 15 - - - -
펄 조성물 2 - 20 - - 15 - - -
펄 조성물 3 - - 20 - - 15 - -
펄 조성물 4 - - - - - - 20 1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0.2 0.2 0.2 0.2
향료 0.4 0.4 0.4 0.4 0.4 0.4 0.4 0.4
색소, 염화나트륨, 구연산 및 물 36.4 36.4 36.4 41.4 41.4 41.4 36.4 41.4
1) 디이씨-200에프 (DC-200F: 10,000 cst, Dow Corning)
[실험예 2]
안정성 및 컨디셔닝 효과 시험예
본 발명에 따른 펄 조성물을 샴푸에 적용할 경우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표 4의 조성으로 제조한 각 샴푸를 50℃ 항온기에 넣은 후 하단부에 분리된 투명층이 육안으로 보이기 시작하는 시점을 안정성 일수로 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 조성물을 샴푸에 적용할 경우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 4의 조성으로 제조한 각 샴푸를 남녀 각 15명이 사용하게 한 후, 마른 후 모발 감촉이 매우 우수한 경우 5점, 우수한 경우 4점, 보통인 경우 3점, 나쁜 경우 2점, 매우 나쁜 경우 1점을 부여하도록 한하여 평균한 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중량%) 실시예 비교예
6 7 8 9 10 11 4 5
안정성(일) 53 50 48 39 37 33 27 20
컨디셔닝 효과 4.3 4.1 3.9 3.7 3.7 3.2 3.6 3.1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펄 조성물을 실리콘을 함유한 샴푸에 적용한 실시예 6 내지 11은 폴리옥시에틸렌을 함유하는 펄 조성물을 실리콘을 함유한 샴푸에 적용한 비교예 4 내지 5에 비하여 안정성 및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폴리머가 함유한 펄 조성물의 함량을 15%로 한 실시예 9 내지 11의 경우가 폴리옥시에틸렌 폴리머를 함유한 펄조성물의 함량을 20%로 한 비교예 4 보다 안정성 및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여, 더 적은 양의 펄 조성물로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성 측면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결과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펄 조성물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함으로서 향상된 펄감과 안정성을 가지며, 이를 샴푸와 같은 두발 및 인체 세정용 제품에 적용할 경우 소량의 펄 조성물로도 펄감및 안정성의 효과를 유지하여 낮은 비용으로 제품을 생산 가능하게 하며, 또한, 펄 조성물의 펄 입자를 급냉에 의하여 결정화함에 따라 우수한 펄감 및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더욱 더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펄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펄제+비이온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 3:1 내지 15:1이고, 펄제: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조성비가 5:1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가 셀룰로오즈 계열의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및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이 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 조성물
제1항의 펄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발 및 피부 세정용 펄 조성물.
KR1020020077219A 2002-12-06 2002-12-06 세정제용 펄 조성물 Ceased KR20040049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219A KR20040049445A (ko) 2002-12-06 2002-12-06 세정제용 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219A KR20040049445A (ko) 2002-12-06 2002-12-06 세정제용 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445A true KR20040049445A (ko) 2004-06-12

Family

ID=3734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219A Ceased KR20040049445A (ko) 2002-12-06 2002-12-06 세정제용 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44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851A (en) * 1994-04-07 1995-10-10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Ketoconazole shampoo containing butylated hydroxytoluene or butylated hydroxyanisole
US5580494A (en) * 1989-06-21 1996-12-03 Colgate-Palmolive Company Hair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high charge density polymers
KR19990082172A (ko) * 1996-01-29 1999-11-25 만기니 미첼 지 세정 조성물
KR20000005086A (ko) * 1996-03-27 2000-01-25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콘디쇼닝 샴푸 조성물
KR20030050936A (ko) * 2001-12-19 2003-06-25 조선진 샴프 조성물
US6608011B2 (en) * 2001-06-11 2003-08-19 Colgate-Palmolive Company Shampoos with behenyl-alcoh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0494A (en) * 1989-06-21 1996-12-03 Colgate-Palmolive Company Hair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high charge density polymers
US5456851A (en) * 1994-04-07 1995-10-10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Ketoconazole shampoo containing butylated hydroxytoluene or butylated hydroxyanisole
KR19990082172A (ko) * 1996-01-29 1999-11-25 만기니 미첼 지 세정 조성물
KR20000005086A (ko) * 1996-03-27 2000-01-25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콘디쇼닝 샴푸 조성물
US6608011B2 (en) * 2001-06-11 2003-08-19 Colgate-Palmolive Company Shampoos with behenyl-alcohol
KR20030050936A (ko) * 2001-12-19 2003-06-25 조선진 샴프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6633B2 (ja) ガラクトマンナンハイドロコロイド
ES2324677T3 (es)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hidrocoloides.
HK1249012A1 (zh) 用於毛发的透明制剂组合物
ES2507142T3 (es) Derivados de Cassia
JP4108710B2 (ja) 水性の真珠光沢濃縮物
US20090137438A1 (en) Hydrocolloids and Process Therefor
KR20160065954A (ko) 디히드록시알킬 치환된 폴리갈락토만난,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N1823706B (zh) 提高毛发色泽的方法
JP2006241330A (ja) カチオン変性精製タラ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115300405A (zh) 一种具有护色效果的发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327257A (zh) 一种透明氨基酸调理洗发水
JP2000319139A (ja) 毛髪用洗浄剤組成物
KR20040049445A (ko) 세정제용 펄 조성물
KR20030005257A (ko) 화장품 조성물
US20160287508A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100401813B1 (ko) 세정제용 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00407A1 (en) CLEANING COMPOSITION WITHOUT SULFATE
KR101577785B1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함유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610470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S6038309A (ja) パ−ル光沢を有する組成物
KR100448241B1 (ko) 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펄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4485085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647975B1 (ko) 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펄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TWI726880B (zh) 毛髮洗淨劑
KR20050072584A (ko)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