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6896A -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896A
KR20040046896A KR1020020074940A KR20020074940A KR20040046896A KR 20040046896 A KR20040046896 A KR 20040046896A KR 1020020074940 A KR1020020074940 A KR 1020020074940A KR 20020074940 A KR20020074940 A KR 20020074940A KR 20040046896 A KR20040046896 A KR 20040046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arget
bit
bit rate
quantization par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896A/ko
Publication of KR2004004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89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전화 시스템의 전송 비트율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무선 패킷 기반의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패킷 단위로 전송 비트율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송 타겟 비트와 전송 프레임율을 이용해서 각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를 계산하고,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를 계산한다. 부호화 초기에는 초기 패킷 QP에 따라 1개의 패킷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하고, 이후에는 그 다음 패킷을 부호화하기 전에 비트율 조절을 위한 QP값 조정 과정을 행한다. QP값 조정은 부호화된 패킷 비트 정보(Pout)와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Ptarget)를 서로 비교하여, Pout> Ptarget이면 QP값을 높여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 수를 내리고, Pout< Ftarget이면 QP값을 낮춰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 수를 높이는 과정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패킷화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적응적으로 패킷 단위의 비트율 조절을 행함으로써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효율적인 비트율 조절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BIT RATE CONTROL METHOD BASED ON PACKET OF VIDEO TELEPHONY SYSTEM}
본 발명은 영상 전화 시스템의 전송 비트율 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킷 기반의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송 비트율 조절을 패킷 단위로 패킷화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적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계산적 복잡도를 줄이면서 동시에 전송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패킷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 규약인 H.263에서 정의하는 유/무선 패킷(인터넷 또는 패킷 기반 IMT-2000망) 기반의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킷 망(Packet Network)(101)을 기반으로 하여 H.323단말(H.323 Terminal)(102)(103)간의 영상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킷 응용 H.263 패킷화 기반의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영상 전송시 비디오 코덱(Video CODEC)은 비트율 조절을 통하여 각각 응용 타겟 비트(application target bit)에 맞추어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2는 이와 같은 패킷 망 기반의 H.323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킷 망(200)을 기반으로 하여 H.323 단말기(송신단/수신단)가 서로 영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영상 전화 단말은 영상 취득과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LCD(201), 전송할 영상신호의 부호화 및 수신한 영상신호의 복호화를 위한 동영상 부호화기/복호화기(CODEC)(202), H.263 통신규약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전송할 영상신호(bit-stream)의 패킷화 및 수신한 영상 패킷의 디패킷화를 위한 패킷화/디패킷화부(203),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Protocol Layer)로 RTP/RTCP(204), UDP(205), IP(206)를 포함하고 있다.
카메라/LCD(201)는 송신할 사용자 영상을 취득하고 또 수신한 상대방 영상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며, 동영상 부호화기/복호화기(202)는 카메라로 취득한 사용자 영상신호를 압축 부호화 규격을 기반으로 하여 압축 부호화하거나, 수신한 상대방 영상신호를 복호화하여 재생한다. 패킷화/디패킷화부(203)는 H.263을 기반으로 해서 전송할 영상신호를 패킷화하거나, 수신한 영상 패킷을 디패킷화하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패킷 망(200)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신호 등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제어부(204,205,206)가 구동된다.
상기 RTP/RTCP(204)에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는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화를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스포트층 통신 규약으로서, RFC 1889에 RTCP(RTP control protocol)와 함께 규정되어 있다. 자원 예약 프로토콜(RSVP)과는 달리 라우터 등의 통신망 기기에 의지하지 않고 단말 간에 실행되는 것이 특징이며, RTP는 보통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의 상위 통신 규약으로 이용된다.
송신 측은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근거로 재생 동기를 취해서 지연이 큰 패킷을 포기할 수 있고, 또 수신 측에서 전송 지연이나 대역폭 등을 점검, RTCP를 사용해서 송신 측의 상위층 응용(application)에 통지하는 것으로 부호화 속도 등의 조정을 통해서 서비스 품질(QoS)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UDP(user datagram protocol)(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205)는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 집합인 TCP/IP의 기반이 되는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TCP/IP에서는 망 계층(OSI의 제3계층에 해당) 프로토콜인 IP와 전송 계층(OSI의 제4계층에 해당) 프로토콜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의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TCP에서는 세션(접속)을 설정한 후에 통신을 개시하지만, UDP에서는 세션을 설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상대의 주소로 송출한다. UDP의 특징은 프로토콜 처리가 고속이라는 점이지만, TCP와 같이 오류 정정이나 재송신 기능은 없고, 신뢰성보다도 고속성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응용 등에서 일부 사용되고 있다.
한편, IP(internet protocol)(인터넷 프로토콜)(206)은 OSI 기본 참조 모델을 기준으로 하면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에 해당되는 프로토콜이며, TCP/IP의 일부로 사용된다. IP 주소에 따라 다른 망(network) 간 패킷의 전송, 즉 경로 제어를 위한 규약으로 다른 망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이 프로토콜의 특징이다. 그러나 패킷이 발신된 순서대로 도착하는 것은 보증하지 않는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또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과 함께 사용한다.
도3은 상기 H.263 기반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동영상 부호화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동영상 부호화기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인트라/인터 모드에 따라 I프레임과 P프레임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부(301)와, 상기 스위칭부(301)에서 선택된 프레임 영상을 DCT 변환하는 DCT 변환부(302)와, 상기 DCT 변환된 영상신호를 양자화하는 양자화기(303)와, 상기 양자화된 영상신호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기(304)와, 상기 역양자화된 영상신호를 역DCT 변환하는 IDCT변환부(305)와, 상기 역양자화 및 역DCT 변환된 영상신호와 움직임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움직임 예측을 위한 영상 메모리(306)와, 상기 영상 메모리에 재구성된 영상과 현재 프레임 영상정보를 이용해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는 움직임 예측기(307)와, 상기 양자화된 영상신호의 엔트로피 부호화(entrophy coding)를 위한 부호화기(308)와, 상기 부호화된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전송 채널(309)과, 비트율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양자화기로부터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될 영상신호의 비트율을 조절하는 비트율 조절기(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도3을 참조하여 동영상 부호화 동작을 살펴본다.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부(301)는 인트라 모드(INTRA MODE)/인터 모드(INTER MODE)에 따라 I프레임 또는 P프레임 영상을 선택하여 DCT 변환부(302)에 인가한다. DCT 변환부(302)는 입력된 프레임 영상신호를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하고, 양자화기(303)는 DCT 계수를 양자화하여 출력한다. 부호화기(308)는 양자화된 영상신호를 엔트로피 코딩(예: 가변길이 부호화 등)하여 전송채널(309)을 통해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DCT 변환부(302) 및 양자화기(303)에 의해서 변환 및 양자화된 영상신호는 다시 역양자화기(304)와 IDCT 변환부(305)에 의해서 역양자화 및 DCT 역변환 과정을 거쳐 원래의 정보로 재구성되고, 이 정보는 영상 메모리(106)에 저장된다. 움직임 예측기(307)는 상기 영상 메모리(306)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정보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이용해서 현재 프레임 영상의 움직임 정보를 예측하여 상기 스위칭부(301)가 인트라/인터 모드에 따른 I프레임 혹은 P프레임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한 움직임 벡터 정보를 부호화기(308)에 인가하여 엔트로피 코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 비트율 조절기(310)는 H.324 또는 H.323과 같은 영상전화 프로토콜의 목표 전송 비트율 및 목표 전송 프레임율에 따라 전송 비트율을 조절하게 된다.
비트율을 조절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프레임 단위 또는 매크로 블록 단위의 양자화 파라미터 값(QP) 조절 및 프레임 스킵(frame skip)을 적절하게 이용하고 있다. 즉, 영상 전화 시스템에서는 송신측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분량에 따라 초당 얼마의 비트율로 전송할 것인지와, 초당 몇 프레임 정도의 영상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도3의 동영상 부호화기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 단말에서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드시 패킷 망 전송 전에 패킷화를 수행하게 된다. 도4는 기존의 패킷화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즉, 첫번째 단계(S401)에서는 sum=0 및 MB_bit = 0 으로 초기화를 수행하고, 다음 단계(S402)에서는 1개의 매크로 블록(MB)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하고, 그 다음 단계(S403)에서는 상기 매크로 블록의 비트수(MB_bit)가 최대 전송 패킷 크기인가를 판단하여, 최대 전송 패킷 크기인 1500bytes가 될 때까지 매크로 블록 단위의 부호화를 행하면서 하나의 패킷을 만들고, 최대 전송 패킷 크기에 도달하면 이를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것이다(S404).
상기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패킷 기반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영상신호 전송을 위하여 패킷화가 수행되는데, 동영상 부호화기의 하위 단에서의 패킷화 방법이 매크로 블록 단위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다면 기존의 비트율 조절방법으로 매크로 블록 단위의 비트율 조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매크로 블록당 비트율을 조절하는 방법은 부호화할 매크로 블록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 복잡도가 크고, 주관적 화질 면에서도 한 화면내에 각각 매크로 블록마다 다른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적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QP값에 따른 가변적이고 불균일하며 블록마다 다른 화질을 나타내게 되므로 전체적인 화질의 저하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송 비트율 조절을 위하여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에 있어 패킷 당 QP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비트율을 조절함으로써 계산의 복잡도를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263 패킷화 방법을 이용하는 유/무선 패킷 기반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와 한 프레임당 패킷의 갯수를 이용해서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를 계산하고, 이 것을 향후 패킷당 QP 조절을 위한 파라미터로 삼아서, 부호화시 각 패킷당 드는 부호화 비트와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패킷 QP를 높여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를 내리거나, 패킷 QP를 낮춰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를 높이는 방법으로 패킷 당 QP 조절을 통해 패킷 단위의 비트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패킷 기반 영상 전화 서비스 망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패킷 기반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기존의 동영상 부호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4는 기존의 패킷화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5는 본 발명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은 전송할 목표 프레임율(F) 및 목표 비트율(T)을 이용해서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Ftarget)를 설정하는 단계, 한 프레임당 패킷 갯수와 상기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Ftarget)를 이용해서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Ptarget)를 계산하는 단계, 부호화된 패킷의 비트(Pout)와 상기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Ptarget)를 비교하여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패킷 단위로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에서, 상기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 Ftarget은, Ftarget= T(목표 비트율)/F(목표 프레임율)로 설정하고,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 Ptarget는, Ptarget= Ftarget/(한 프레임당 패킷 갯수)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에서,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단위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에 대해서;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 Ptarget대비 출력된 패킷 비트의 많고 적음의 정도(W)에 따라, 높은 경우는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높여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 수를 감소시키고, 낮은 경우는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낮춰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에서,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단위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에 대해서; 각각의 패킷당 양자화 파라미터 값(QP) 조절만 수행하고 각각의 매크로 블록 단위의 양자화 파라미터 값(QP) 조절은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에서,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단위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은 1 ~ 31의 값으로클리핑(clipping)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첫번째 단계(S501a,S501b)는 전송할 목표 비트율(T)과 목표 프레임율(F)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다음 단계(S502)는 상기 목표 프레임율(F)과 목표 비트율(T)을 이용해서 각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Ftarget)을 Ftarget= T/F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다음 단계(S503)는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Ptarget)를 Ptarget= Ftarget/(한 프레임당 패킷 갯수)로 설정하는 단계이고, 그 이후의 단계들은 패킷 단위로 QP를 조절하여 패킷 단위의 비트율 조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표현한다. 이 과정은 각 패킷당 양자화 파라미터 값(QP)만을 조절하고 각각의 매크로 블록 단위의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은 조절하지 않으며, 패킷 당 목표 비트 대비 출력된 패킷 비트의 대소에 따라 패킷당 QP값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보다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단계(S504)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 부호화기를 포함하는 영상 전화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패킷 부호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첫번째 영상에 대해서는 초기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init)(504a)에 따라 패킷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 부호화의 결과로 부호화된 패킷 비트 정보(Pout)(S504b)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패킷 비트 정보(Pout)는 각각의 부호화 과정에서 알 수 있으므로, 한 패킷 부호화후 그 다음 패킷의 부호화 전에 비트율 조절을 위한 패킷 단위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의 조절 과정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즉, 다음 단계(S505)에서 상기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Ptarget)와 상기 부호화된 패킷 비트 정보(Pout)를 가중치 파라미터(W)와 함께 고려해서 그 대소를 비교한다. 여기서 가중치 파라미터(W)는 패킷당 목표 비트 대비 출력된 패킷 비트의 많고 적음의 정도를 반영하는 파라미터로서, W=1인 경우라면, 상기 비교 단계(S505)에서 Pout> Ptarget인 경우 새로운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은 +Q1 스텝만큼 증가시키고(S506a), Pout< Ptarget인 경우 새로운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은 -Q2 스텝만큼 감소시킨다(S506b).
다음 단계(S507)에서는 상기 조정된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을 반영하여 새로운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Qnew를 Qnew= Qnew+ New_Q로 설정하고, 이 조정된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S507a)를 이용해서 다음 패킷의 부호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이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패킷당 양자화 파라미터 값(QP)만 조절하고 각각의 매크로 블록 단위의 양자화 파라미터값(QP)의 조절은 하지 않음으로써, 각 패킷당 일정한 화질을 유지하는 한편, 각 매크로 블록당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의 조절을 위한 불필요한 계산량은 줄이고 속도는 높여준다.
또한 이 때, 조정된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은 다음 패킷의 부호화 전에 사용 가능하도록 그 값을 1 ~ 31 사이의 값으로 클리핑(clipping)하여 사용함으로써 잘못된 양자화 파라미터 값에 대한 오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패킷 단위의 QP 조절은 향후 패킷 망의 비동시성(Non-isochronous nature)으로 인한 패킷 지연 및 손실로 인한 에러 발생 시, 복호화기단에서의 에러 은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한다. 또한, 패킷 손실 시 주변 패킷을 이용한 은닉 시에 같은 QP를 가진 패킷은 일정한 화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은닉 후의 화질면에서 보다 더 유리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트율 조절을 위한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의 조정이 패킷당 목표 비트 대비 출력된 패킷 비트의 많고 적음의 정도(W)에 따라, Pout> W * Ptarget로 높은 경우는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높여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를 내리고, Pout< W * Ptarget로 낮은 경우는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낮춰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를 높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킷 기반 영상전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패킷 단위의 비트율 조절을 수행하므로 기존에 한 화면에서 매크로 블록마다 다른 QP를 주어 비트율을 조절하는데 따른 화질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에러가 존재하는 유/무선 패킷 망에서 에러 은닉에 보다 더 효과적인 비트율 조절방법을 제공하였다.

Claims (5)

  1. 전송할 목표 프레임율(F) 및 목표 비트율(T)을 이용해서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Ftarget)를 설정하는 단계, 한 프레임당 패킷 갯수와 상기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Ftarget)를 이용해서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Ptarget)를 계산하는 단계, 부호화된 패킷의 비트(Pout)와 상기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Ptarget)를 비교하여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패킷 단위로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당 기준 타겟 비트 Ftarget은, Ftarget= T(목표 비트율)/F(목표 프레임율)로 설정하고,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 Ptarget는, Ptarget= Ftarget/(한 프레임당 패킷 갯수)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단위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에 대해서; 각 패킷당 기준 타겟 비트 Ptarget대비 출력된 패킷 비트의 많고 적음의 정도(W)에 따라, 높은 경우는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높여서 다음 패킷의출력 비트 수를 감소시키고, 낮은 경우는 패킷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을 낮춰서 다음 패킷의 출력 비트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단위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에 대해서; 각각의 패킷당 양자화 파라미터 값(QP) 조절만 수행하고 각각의 매크로 블록 단위의 양자화 파라미터 값(QP) 조절은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호화시의 패킷 단위 양자화 파라미터 값(QP)은 1 ~ 31의 값으로 클리핑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KR1020020074940A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Ceased KR20040046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940A KR20040046896A (ko)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940A KR20040046896A (ko)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896A true KR20040046896A (ko) 2004-06-05

Family

ID=3734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940A Ceased KR20040046896A (ko) 2002-11-28 2002-11-28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8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986B1 (ko) * 2006-03-25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비트율 비디오 코딩에서 비트율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559A (ko) * 1994-01-12 1995-08-21 김광호 디지탈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부호비트 고정방법 및 장치
JPH11215501A (ja) * 1998-01-23 1999-08-06 Sony Corp 画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画像複雑度予測方法及び装置
JP2001008207A (ja) * 1999-06-22 2001-01-12 Victor Co Of Japan Ltd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20071608A1 (en) * 1997-07-29 2002-06-13 U.S. Philips Corporation Variable bitrate video coding method and corresponding video co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559A (ko) * 1994-01-12 1995-08-21 김광호 디지탈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부호비트 고정방법 및 장치
US20020071608A1 (en) * 1997-07-29 2002-06-13 U.S. Philips Corporation Variable bitrate video coding method and corresponding video coder
JPH11215501A (ja) * 1998-01-23 1999-08-06 Sony Corp 画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画像複雑度予測方法及び装置
JP2001008207A (ja) * 1999-06-22 2001-01-12 Victor Co Of Japan Ltd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986B1 (ko) * 2006-03-25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비트율 비디오 코딩에서 비트율을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20B1 (ko) 비디오 전화용 비디오 소스 레이트 제어
US8848790B2 (en) Encoding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ving image
KR101013342B1 (ko) 역방향 링크 상태에 대한 비디오 레이트 적응
KR100943875B1 (ko) 비디오 레이트 제어에서의 콘텍스트-적응형 밴드폭 조정
US20080259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adaptive video coding
US20060130104A1 (en) Network video method
JP3668110B2 (ja) 画像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伝送方法
US20050089092A1 (en)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JP2006333254A (ja) 動画像リアルタイム通信端末、動画像リアルタイム通信端末の制御方法及び動画像リアルタイム通信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10018573A (ko) 네트워크 대역폭에 적응적인 영상 압축 장치
Van Beek et al. Adaptive streaming of high-quality video over wireless LANs
Walker et al. Mobile video-streaming
KR20040047010A (ko) 영상 전화 시스템의 비트율 조절방법
KR20040046896A (ko)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 단위 비트율 조절방법
JP2003023639A (ja) データ伝送装置及び方法、データ伝送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901031B1 (ko) 영상 전화 시스템의 패킷화 방법
JP2004147104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KR20040064968A (ko) 영상전화 시스템의 픽쳐타입 손실 대응 복호화 방법
Semsarzadeh et al. An adaptive rate control for faster bitrate shaping in x264 based video conferencing
WO2006135250A2 (en) Method for down-speeding in an ip communication network
KR20040064969A (ko) 영상전화 시스템의 영상 포맷 손실 대응 복호화 방법
JP2002534864A (ja) ビデオデータの帯域幅スケーラビリティのための適応バッファ及び量子化調整スキーム
JP2003116133A (ja) 動画像圧縮符号化伝送品質制御方式および方法
KR20040064970A (ko) 영상전화 시스템의 픽쳐타입 손실 대응 복호화 방법
KR20040046055A (ko) 동영상 전송 비트율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