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6445A -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 Google Patents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445A
KR20040046445A KR1020020074374A KR20020074374A KR20040046445A KR 20040046445 A KR20040046445 A KR 20040046445A KR 1020020074374 A KR1020020074374 A KR 1020020074374A KR 20020074374 A KR20020074374 A KR 20020074374A KR 20040046445 A KR20040046445 A KR 2004004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buoyancy
power
chambe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배
Original Assignee
김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배 filed Critical 김진배
Priority to KR102002007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445A/en
Publication of KR2004004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445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양의 물이 채워져 있는 소정의 챔버 내에서 다수의 플로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수단이 순간적으로 상승하면서 얻어지는 부력을 이용하여 휠형 출력 수단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동력을 얻어낼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구동과 관련한 기본적인 외부 동력만 있어도 부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동력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of a spherical float, comprising a plurality of float means in a predetermined chambe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wheel type using the buoyancy obtained while the float means is instantaneously raised By providing a power generator that can generate power by rotating the output means,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power through the efficient use of buoyancy even with the basic external power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device. .

Description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본 발명은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구형 플로트를 준비하는 플로트 대기부와, 실린더 수단을 이용하여 구형 플로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로트 공급부와, 적어도 10개 이상의 구형 플로트를 동시에 수용하면서 이것들의 부력을 받아 회전하는 휠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와, 역할을 마친 구형 플로트의 재투입을 위해 일정량의 플로트를 회수하는 플로트 회수부와, 각각의 유니트를 연계적으로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부력의 효과적인 활용과 관련하여 각종 장비나 설비에 사용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얻어낼 수 있도록 한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of a spherical float, more specifically, a float standby portion for preparing a large amount of spherical float, a float supply portion for sequentially supplying a spherical float using a cylinder means, and at least 10 A power unit for generating power using a wheel that rotates under the buoyancy while receiving more than two spherical floats at the same time; a float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a certain amount of float for re-insertion of the old float which has played a role; By providing a power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unit in conjunction, the power using the buoyancy of the old float to efficiently obtain the power used in various equipment or fac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effective use of the buoyancy. It relates to a generator.

일반적으로 부력은 비중이 낮은 물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수위감지용 센서의 플로트나 선박용 플로트 챔버 등 산업상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buoyancy is a principle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is pushed up by a relatively high material, and is widely used in industries such as a float of a water level sensor or a float chamber of a ship.

한편, 환경 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태양열이나 풍력, 조력 등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어내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발명은 부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동력을 얻어내는 장치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that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that does not affec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urgently required, researches to obtain power by using solar heat, wind power, tidal, etc. are actively progressed, and according to this trend Aims to devise a device that efficiently utilizes buoyancy to generate power.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한 양의 물이 채워져 있는 소정의 챔버 내에서 다수의 플로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수단이 상승하면서 얻어지는 부력을 이용하여 휠형 출력 수단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동력을 얻어낼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구동과 관련한 기본적인 외부 동력만 있어도 부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동력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loat means in a predetermined chambe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uses a buoyant force obtained while the float means rises to produce a wheel-type output means. By providing a power generator that can generate power in a rotating mann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power through the efficient use of buoyancy even with the basic external power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device. Is the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일정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의 격리된 밀폐공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순환가능한 체인형 캐리어를 이용하여 일렬로 연속해서 배열되는 플로트를 1개씩 순차적으로 하향 이동시켜주는 플로트 대기부와, 상기 체인형 캐리어의 하단 배출부위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실린더 및 가이드 채널을 이용하여 플로트 대기부로부터 배출되는 플로트를 챔버 내의 물속으로 1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로트 공급부와, 상기 챔버 내에 수용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을 이용하여 플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플로트를 1개씩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이때의 부력으로 회전가능한 휠 및 축을 통해 동력을 얻어내는 동력부와, 상기 챔버의 상부에서 체인형 캐리어의 상단 투입부위에 배치되며 수면 위로 떠오르는 각각의 플로트를 펜스 내에 일시 수용한 후 순환가능한 체인형 보조 캐리어를 이용하여 1개씩의 플로트를 순차적으로 플로트 대기부측으로 투입하는 플로트 회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tinuous in a row using a chamber that is open at the top and can store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is installed vertically in an isolated enclosed space in the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circulating a chain carrier The float discharged from the float atmosphere to the water in the chamber by using a float standby portion that sequentially moves the floats arranged one by one downwardly, and a cylinder and a guide channel disposed downwardly inclined at the lower discharge portion of the chain carrier. Float supply unit for supplying sequentially one by one, and a plurality of basket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individually receive the float supplied from the float supply unit one by one to the power through the wheel and shaft rotatable by the buoyancy at this time And a power unit for obta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And a float recovery part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hain carrier and temporarily receiving each float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fence, and then sequentially introducing the floats one by one to the float standby part by using the circulating chain auxiliary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또한, 상기 플로트 공급부의 가이드 채널은 일정량 이상의 물 유입을 단속할 수 있는 자체 복원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channel of the float suppl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lf-restorable door that can control the inflow of a certain amount or more.

또한, 상기 동력부는 축의 회전력을 소정의 기어비로 증속시켜주는 기어박스와 기어박스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arbox for increa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to a predetermined gear ratio and a generator driven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gearbox.

또한, 상기 동력부의 휠은 적어도 10개 이상의 바스켓 내에 수용되는 플로트에 의한 부력을 동시에 받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heel of the pow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simultaneously received buoyancy by the float accommodated in at least 10 or more baskets.

또한, 상기 동력부의 휠이 갖는 바스켓은 구형 플로터의 안착이 용이한 원추형 갓 형태의 바스켓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ket of the wheel of the pow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ket of the conical shade shape that is easy to mount the spherical plotter.

또한, 상기 플로트 대기부의 체인형 캐리어와 플로트 회수부의 체인형 보조 캐리어는 동일한 피치를 가지면서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in carrier of the float standby portion and the chain auxiliary carrier of the float recover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ted simultaneously by one driving means having the same pitc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Figure 2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에서 플로트 회수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at recovery unit in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평면도4 is a top view of FIG. 3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에서 플로트 공급부의 동작순서를 보여주는 확대도5a to 5c are enlarged views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float supply unit in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챔버 10 : 밀폐공간부1: Chamber 10: Enclosed Space

11 : 체인형 캐리어 12 : 실린더11: chain carrier 12: cylinder

13 : 가이드 채널 14 : 바스켓13: guide channel 14: basket

15 : 휠 16 : 축15: wheel 16: axis

17 : 펜스 18 : 체인형 보조 캐리어17: fence 18: chain secondary carrier

19 : 도어 20 : 기어박스19: door 20: gearbox

21 : 발전기 22 : 플로트 안내용 핀21 generator 22 float guide pin

23 : 가이드 터널23: guide tunne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다.1 and 2 is a front and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일정한 용적의 챔버(1) 내에는 적당한 수준의 물이 채워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물로부터 격리되는 별도의 밀폐공간부(10)가 조성되어 그 속에 플로트의 공급을 위한 플로트 대기부와 플로트 공급부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an appropriate level of water is filled in a constant volume chamber 1 having an open top, and a separate enclosed space portion 10 separated from the water is formed therein. The float waiting portion and the float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the float are installed therein.

상기 챔버(1)의 전면에는 그 전체 공간을 차지하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휠(15)과 그 중심의 축(16)으로 구성되는 동력부가 배치되어 휠(15)의 회전력을 이용한 동력을 얻어낼 수 있게 되고, 챔버(1)의 상부에는 수면 윗쪽으로 플로트 회수부가 배치되어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플로트를 임시 수용할 수 있게 된다.A power unit composed of a wheel 15 having a diameter that occupies the entire space and a shaft 16 at the center thereof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mber 1 to obtain power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 15. I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1, a float recovery part is disposed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to temporarily accommodate the float rising by buoyancy.

물과 격리되어 있는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플로트 대기부에서는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 다수의 플로트를 1개씩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체인형 캐리어(11)를 제공한다.The float wai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separated from the water provides a chain carrier 11 capable of sequentially moving a plurality of floats arranged in a row one by one.

상기 체인형 캐리어(11)는 직립형 구조를 갖는 일종의 순환형 컨베이어 수단으로서, 일정한 피치의 플로트 안내용 핀(22)이 갖추어져 있어서, 이것을 이용하여 플로트를 1개씩 아래로 내려주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플로트 공급부로는 항상 일정한 인터벌로 플로트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chain carrier 11 is a kind of circulating conveyor means having an upright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a float guide pin 22 having a constant pitch, by which the float can be moved down one by one, Accordingly, the float supply unit can always discharge the float at a constant interval.

예를 들면, 체인형 캐리어(11)에 의해 이동되는 플로트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되는 시점에서 플로트 안내용 핀(22)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낙하하면서 플로트 공급부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float moved by the chain carrier 11 can proceed to the float supply part while falling off the float guide pin 22 and falling naturally downward at the time when it is located at the bottom.

이때의 체인형 캐리어(11)의 주변에는 이와 나란하게 가이드 터널(23)이 제공되며, 따라서 구형 플로트는 유동이나 이탈없이 일렬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tunnel 23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hain carrier 11, so that the spherical float can proceed in a line without flow or departure.

이러한 체인형 캐리어(11)는 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외부 동력에 의해 가동되며, 이때의 가동속도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한 제어를 받아 플로트 공급부의 실린더 작동, 동력부의 휠 작동 등과 연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The chain carrier 11 is operated by a separate external power, such as a motor, the operation speed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of the float supply, wheel operation of the power unit, etc. It becomes possible.

상기 플로트 공급부는 플로트를 물속으로 1개씩 밀어낼 수 있는 실린더(12)와 실린더(12)에 의해 밀려나는 플로트가 정확한 위치, 즉 바스켓(15) 내의 위치로 진행될 수 있게 해주는 가이드 채널(13)로 구성된다.The float supply is a cylinder 12 which can push the float into the water one by one and a guide channel 13 which allows the float pushed out by the cylinder 12 to proceed to the correct position, ie the position in the basket 15. It is composed.

이때의 상기 실린더(12)는 콤프레샤 등과 같은 별도의 외부 동력을 받아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ylinder 12 is preferably operated to receive a separate external power, such as a compressor.

상기 실린더(12)와 가이드 채널(13)은 플로트 대기부로부터 배출되는 플로트의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면서 챔버(1) 내에 있는 별도의 격리된 밀폐공간부(10)에 고정 설치되며, 이때의 가이드 채널(13)의 출구는 휠(15)이 갖는 바스켓(14)의 이동궤적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므로서, 가이드 채널(13)을 빠져나온 플로트는 실린더(12)의 미는 힘과 부력에 의해 곧바로 그 위치에 도달한 바스켓(14)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The cylinder 12 and the guide channel 13 are arranged in an inclined downward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float discharged from the float atmosphere, and separate isolated enclosed space 10 in the chamber 1. Is fixed to the outlet of the guide channel 13 is locat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asket 14 of the wheel 15, the float exiting the guide channel 13 is the cylinder 12 Meaning can easily enter into the basket 14, which has reached its position immediately by force and buoyancy.

특히, 상기 가이드 채널(13)의 출구에는 스프링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상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19)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도어(19)는 실린더(12)의 작동에 따라 밀려나는 플로트에 의해 강제 열려질 수 있고, 그 이외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채널(13)의 내측으로 소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12)의 피스톤은 가이드 채널(13)내에서의 이동시 내벽과 완전 밀착되어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exit of the guide channel 13 is equipped with a door 19 that can maintain the normally closed state while receiving the elastic support by the spring, the door 19 is pus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2 It can be forcibly opened by the float, otherwise it can be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can prevent the water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flowing into the guide channel (13). To this end, the piston of the cylinder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when moving in the guide channel 13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동력부는 플로트의 연속적인 상승에 의한 부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플로트로부터 부력을 제공받는 휠(15)과 휠(15)의 중심에 일체식으로 조립되는 축(16)을 포함한다.The power unit is a portion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buoyancy caused by the continuous rise of the float, and includes a wheel 15 receives a buoyancy from the float and a shaft 16 integrally assembled to the center of the wheel 15. .

상기 휠(15)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일종의 플레이트로서, 그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균등하게 고정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14)을 갖고 있으며, 바스켓(14) 내에 1개씩 수용되는 플로트의 부력을 받아 회전하게 되고, 이때의 함께 회전되는 축(16)의 회전력을 이용해 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e wheel 15 is a kind of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as a plurality of baskets 14 fixed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thereof, and the buoyancy of the float received one by one in the basket 14. Received and rotated, it is possible to obtain pow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6 to rotate together at this time.

이를 위하여, 챔버(1)내 밀폐공간부(10)로 연장되는 축(16)상에는 소정의 기어비를 가지면서 회전력을 증속시킬 수 있는 기어박스(20)가 조립되고, 기어박스(20)의 출력측에는 이렇게 증속되는 회전력으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발전기(21)가 연결되므로서, 휠(15)과 축(16)의 회전작동과 기어박스(20)의 전동작용으로부터 소정의 동력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a gear box 20 capable of increasing the rotational force with a predetermined gear ratio is assembled on the shaft 16 extending to the closed space 10 in the chamber 1, and the output side of the gear box 20 The generator 21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21 capable of generating power at the increased rotational force, there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power from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wheel 15 and the shaft 16 and the electric movement of the gearbox 20. Will be.

여기서, 상기 바스켓(14)은 구형의 플로트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잡아줄 수 있는 내측공간을 가지는 형태의 것이면 충분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구형의 플로트가 그 중심에 정확히 안착되게 하여 플로트가 발휘하는 부력을 100% 그 중심에서 받아낼 수 있고, 또 플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플로트를 초기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원추형 갓 형태의 바스켓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asket 14 may have a shape having an inner space that can hold the spherical float out of the outside, but preferably a buoyant force exerted by the float by allowing the spherical float to be accurately seated at its center. It is preferable to use a basket of conical lampshade which can take 100% of its center and can easily settle the float supplied from the float supply unit early.

도 3과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에서 플로트 회수부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3 and 4 show the structure of the float recovery unit in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 회수부는 부력을 이용하여 휠(15)의 바스켓(14)과 함께 수면 위로 떠오른 플로트를 모아놓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면적 내에 플로트를 가두어 둘 수 있는 펜스(17)와, 펜스(17)내에 모여있는 플로트를 1개씩 순차적으로 승강시켜 플로트 대기부의 체인형 캐리어(11)로 전달하여 투입할 수 있는 체인형 보조 캐리어(1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float recovery portion is a portion that collects the float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with the basket 14 of the wheel 15 by using buoyancy, a fence that can trap the float within a certain area (17) and a chain-shaped auxiliary carrier (18)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floats gathered in the fence (17) one by one to the chain carrier (11) of the float waiting section.

상기 펜스(17)는 수면 위에서 체인형 캐리어(11)의 상단 투입부를 포함하는 그 주변의 일정한 면적에 걸쳐 둘러쌓여 있으며, 그 일부 구간은 휠(15)의 바스켓(14)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부분으로 되어 있다.The fence 17 is enclosed over a certain area around the water surface, including the top input of the chain carrier 11, and some sections are cut to allow the basket 14 of the wheel 15 to pass through. It is a part.

이때의 상기 체인형 보조 캐리어(18)는 도면에는 직립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체인형 캐리어(11)와 동일한 피치의 플로트 안내용 핀(22)을 갖게 되므로서, 체인형 보조 캐리어(18)에 의해 1개씩 승강되어 전달되는 플로트는 체인형 캐리어(11)의 초입에서 적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1개씩 투입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hain-shaped auxiliary carrier 18 is installed upright in the figure, but preferably installed inclined, and also has a float guide pin 22 of the same pitch as the chain-shaped carrier 11, The floats which are lifted and transferred one by one by the carrier 18 can be smoothly introduced one by one without being accumulated at the beginning of the chain-shaped carrier 11.

여기서, 상기 체인형 보조 캐리어(18)의 플로트 안내용 핀(22)은 끝을 약간 위로 구부린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loat guide pin 22 of the chain-shaped auxiliary carrier 18 is preferably used in the form of a bent end up slightly.

이것은 플로트의 진행을 가이드 터널(23)이 보조하고 있는 체인형 캐리어(18)와는 달리 체인형 보조 캐리어(18)는 수면상에 떠있는 구형 플로트를 잡아줄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측으로 이송시키기 용이하게 위와 같은 구부린 형태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chain-assisted carrier 18, unlike the chain-carrier 18, which the guide tunnel 23 assists in the progress of the float, transfers upwards because there is no means to hold the float float on the water surface. It is easy to apply the bent form as above.

또한, 상기 체인형 보조 캐리어(18)의 구동은 별도의 구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벨트 전동수단을 구비하여 체인형 캐리어(11)와 연동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drive of the chain-shaped auxiliary carrier 18 may use a separate drive means, preferably comprising a structure for interlocking with the chain-shaped carrier 11 having a belt transmission means.

따라서, 휠(15)의 바스켓(14)과 함께 떠오르는 플로트는 펜스(17) 내의 수면 위를 바스켓(14)이 통과하는 시점에서 펜스(17) 내에 가두어지게 되고, 계속해서 그 수량이 많아져 한쪽으로 밀려나면서 체인형 보조 캐리어(18)에 의해 1개씩 탑재된 후 진행되다가 플로트 대기부의 체인형 캐리어(18) 내로 투입되는 순환과정을 거치게 된다.Therefore, the float floating together with the basket 14 of the wheel 15 is confined in the fence 17 at the point when the basket 14 passes over the water surface in the fence 17, and the quantity thereof continues to increase. While being pushed by the chain-shaped auxiliary carrier 18 is mounted one by one and proceeds to go through the circulation process is introduced into the chain carrier 18 of the float atmosphere.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of the spherical fl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동력발생장치에서 사용하는 플로트는 구형의 플로트로서, 내부에 공기나 가스가 채워져 있는 공간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The float used in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herical float, which is made of a space filled with air or gas.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가동을 위한 예비조건으로서, 드럼 대비부의 전체 가이드 터널(23) 구간과, 휠(15)의 전체 바스켓(14) 중에서 회전 진행방향의 앞쪽으로 위치되는 적어도 10개의 바스켓(14)과, 드럼 회수부의 펜스(17) 내에 각각 채워진 다수의 구형 플로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precondi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10 baskets located in front of the entire guide tunnel 23 section of the drum counterpart and the entire basket 14 of the wheel 15 in the forward direction of rotation. (14) and a plurality of spherical floats each filled in the fence 17 of the drum recovery portion.

소정의 가동 신호가 개시되면, 드럼 대기부의 체인형 캐리어(11)와 드럼 회수부의 체인형 보조 캐리어(18)가 작동을 시작하면서 플로트의 배출과 투입을 위한진행이 이루어진다.When a predetermined start signal is initiated, the chain carrier 11 of the drum standby portion and the chain auxiliary carrier 18 of the drum recovery portion begin operation, and progress is made for discharge and introduction of the float.

도 5a 내지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형 캐리어(11)로부터 1개의 플로트가 배출되면, 이와 동시에 플로트 공급부의 실린더(12)가 작동하면서 그 로드를 이용하여 플로트를 밀어내게 되고, 이렇게 밀려나는 플로트는 가이드 채널(13)을 따라 이동되다가 도어(19)를 열고 챔버(1) 내의 물 속으로 공급된다.As shown in Figs. 5A to 5C, when one float is discharged from the chain carrier 11, the cylinder 12 of the float supply unit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and the float is pushed out by using the rod. The float moves along the guide channel 13, opens the door 19 and is fed into the water in the chamber 1.

가이드 채널(13)의 도어(19)를 실린더(12)의 힘에 의해 강제로 열고 물 속으로 빠져나온 플로트는 바로 그 위치에 도달되어 있는 휠(15)의 바스켓(14) 내에 안착되고, 이때의 플로트가 발휘하는 부력에 의해 휠(15)은 도면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A float forced out of the door 19 of the guide channel 13 by the force of the cylinder 12 and exited into the water is seated in the basket 14 of the wheel 15 reaching its position. The buoyant force exerted by the float allows the wheel 15 to rotate clockwise as shown in the figure.

이때, 도어(19)의 개폐와 동시에 챔버(1) 내의 물이 가이드 채널(1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실린더 로드의 복귀작동과 동시에 곧바로 도어(19)가 자체 복원력으로 닫혀지게 되므로, 항상 일정한 수준만의 물이 가이드 채널(13) 내에 유입되고, 그 이상은 초과하지 않게 된다. 즉, 실린더(12)가 가이드 채널(13) 내벽에 완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 5c와 같이 실린더(12)의 후진시 피스톤이 가이드 터널(23)을 지나기 전에 도어(19)가 완전히 닫히게 되며 이때 물은 소량 유입될 수 있으나 유입된 소량의 물은 재차 플로터가 투입되고 실린더(12)가 플로터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물을 외측으로 배출시키므로 항상 소정량의 유입수 만이 남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in the chamber 1 may be introduced into the guide channel 13 at the same time as the door 19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door 19 is closed by self restoring force at the same time as the return operation of the cylinder rod. Only a constant level of water is always introduced into the guide channel 13 and no more is exceeded. That is, since the cylinder 12 remain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guide channel 13, the door 19 is completely closed before the piston passes through the guide tunnel 23 when the cylinder 12 moves backward as shown in FIG. 5C. At this time, a small amount of water may be introduced, but the small amount of water introduced is floated again and the cylinder 12 discharges the water to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pushing the plotter, so that only a predetermined amount of inflow water always remains.

또한, 플로트가 물 속으로 빠져나오는 타이밍과 바스켓이 정확히 그 곳에 위치되는 타이밍은 바스켓 간의 피치와 휠의 속도, 그리고 실린더의 스트로크 등을고려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ing at which the float exits into the water and the timing at which the basket is precisely located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considering the pitch between the baskets, the speed of the wheel, the stroke of the cylinder, and the like.

휠(15)의 바스켓(14) 내에 안착된 플로트는 챔버(1) 내의 물 속에서 받는 부력을 이용하여 서서히 상승하게 되며 챔버(1)내 진행방향 수면에 잠긴 바스켓(14)에 플로트가 모두 공급되면 일정하게 휠(15)이 빠른 속도로 회전되고, 이와 함께 축(16) 및 기어박스(20)를 통한 발전기(21)에 의해서 동력발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float seated in the basket 14 of the wheel 15 is gradually raised by using buoyancy received in the water in the chamber 1 and all the float is supplied to the basket 14 submerged in the water surface of the traveling direction in the chamber 1. When the wheel 15 is constantly rotated at a high speed, power is generated by the generator 21 through the shaft 16 and the gearbox 20.

부력을 이용하여 휠(1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마친 플로트는 수면 위로 떠오름과 동시에 펜스(17) 내에 모여진 후 체인형 보조 캐리어(18)에 의한 안내를 받아 드럼 대기부로 다시 보내지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순환형태의 진행과정을 거치면서 휠(15)을 회전시켜줄 수 있게 되므로서, 연속적인 동력발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Float, which has finished the role of rotating the wheel 15 by using buoyancy,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is gathered in the fence 17 and is sent back to the drum atmosphere under the guidance of the chain-shaped auxiliary carrier 18. Since the wheel 15 can be rotated while going through the circul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continuous power generation is enabl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Would be possib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구형 플로트를 준비하는 플로트 대기부, 실린더 수단을 이용하여 구형 플로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로트 공급부, 적어도 10개 이상의 구형 플로트를 동시에 수용하면서 이것들의 부력을 받아 회전하는 휠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역할을 마친 구형 플로트의 재투입을 위해 일정량의 플로트를 회수하는 플로트 회수부, 각각의 유니트를 연계적으로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부력의 효과적인 활용에 의해 각종 장비나 설비에 사용되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 waiting unit for preparing a plurality of spherical floats, a float supply unit for sequentially supplying a spherical float using a cylinder means, and at the same time receiving at least ten or more spherical floats to rotate under buoyancy thereof A power generator including a power unit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a wheel, a float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a certain amount of float for re-insertion of the old float which has completed the rol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each unit in association; By providing an effective use of buoyanc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wer used in various equipment and facilities can be efficiently obtained.

Claims (5)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일정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챔버(1);A chamber (1) whose top is open and capable of stor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상기 챔버(1) 내의 격리된 밀폐공간부(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순환가능한 체인형 캐리어(11)를 이용하여 일렬로 연속해서 배열되는 플로트를 1개씩 순차적으로 하향 이동시켜주는 플로트 대기부;Float wait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isolated closed space 10 in the chamber (1) vertically and moves the float arranged in a row in succession one by one using the circulating chain carrier 11 sequentially ; 상기 체인형 캐리어(11)의 하단 배출부위에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실린더(12) 및 가이드 채널(13)을 이용하여 플로트 대기부로부터 배출되는 플로트를 챔버(1) 내의 물속으로 1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로트 공급부;Using the cylinder 12 and the guide channel 13 inclined downward from the bottom discharge portion of the chain carrier 11 to sequentially supply one float discharged from the float atmosphere into the water in the chamber (1) Float supply; 상기 챔버(1) 내에 수용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14)을 이용하여 플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플로트를 1개씩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이때의 부력으로 회전가능한 휠(15) 및 휠(15)중심에 설치한 축(16)을 통해 동력을 얻어내는 동력부;The wheel 15 and the wheel 15 rotatable by the buoyancy at this time by individually receiving the float supplied from the float supply unit using a plurality of baskets 14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chamber 1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power unit for obtaining power through the shaft 16 installed at the center; 상기 챔버(1)의 상부에서 체인형 캐리어(11)의 상단 투입부위에 배치되며 수면 위로 떠오르는 각각의 플로트를 펜스(17) 내에 일시 수용한 후 순환가능한 체인형 보조 캐리어(18)를 이용하여 1개씩의 플로트를 순차적으로 플로트 대기부측으로 투입하는 플로트 회수부;I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1) is placed on the top input of the chain carrier 11, each float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loat temporarily received in the fence 17 and then using the circulating chain auxiliary carrier 18 A float recovery unit for sequentially supplying the floats one by one to the float standby part sid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buoyancy of the spherical floa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공급부의 가이드 채널(13)은 일정량 이상의 물 유입을 단속할 수 있는 자체 복원가능한 도어(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2.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buoyancy of the spherical flo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channel (13) of the float supply portion includes a self-recoverable door (19) capable of intermitten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fl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축(16)의 회전력을 소정의 기어비로 증속시켜주는 기어박스(20)와 이곳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발전기(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The spherical flo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unit includes a gear box 20 for increa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6 at a predetermined gear ratio and a generator 21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shaft. Power generator using the buoyancy of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의 휠(15)은 적어도 10개 이상의 바스켓(14) 내에 수용되는 플로트에 의한 부력을 동시에 받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2.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buoyancy of the spherical flo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heel (15) of the power unit is rotated under simultaneous buoyancy by the float accommodated in at least 10 baskets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대기부의 체인형 캐리어(11)와 플로트 회수부의 체인형 보조 캐리어(18)는 동일한 피치를 가지면서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플로트의 부력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2. The buoyancy of a spherical flo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in carrier 11 of the float atmosphere and the chain auxiliary carrier 18 of the float recovery part are operated simultaneously by one driving means while having the same pitch.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KR1020020074374A 2002-11-27 2002-11-27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KR200400464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374A KR20040046445A (en) 2002-11-27 2002-11-27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374A KR20040046445A (en) 2002-11-27 2002-11-27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445A true KR20040046445A (en) 2004-06-05

Family

ID=3734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374A KR20040046445A (en) 2002-11-27 2002-11-27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44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1451A (en) * 2010-09-08 2011-07-13 蔡永恒 Buoyancy power machine
WO2022125026A1 (en) * 2020-12-10 2022-06-16 Duzce Universitesi Rektorlugu An energy conver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1696A1 (en) * 1995-04-04 1996-10-10 Derrick Vincent Mcgowan Buoyancy motor
JPH10141204A (en) * 1996-11-01 1998-05-26 Tadashi Ono Rotary device
KR19990087888A (en) * 1998-05-09 1999-12-27 장근석 Power increase device using floatage and eccentricity
KR20010075817A (en) * 2000-01-19 2001-08-11 최기호 Electrical generating apparatus by the gravity and buoyant
KR20010095818A (en) * 2000-04-12 2001-11-07 이한홍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1696A1 (en) * 1995-04-04 1996-10-10 Derrick Vincent Mcgowan Buoyancy motor
JPH10141204A (en) * 1996-11-01 1998-05-26 Tadashi Ono Rotary device
KR19990087888A (en) * 1998-05-09 1999-12-27 장근석 Power increase device using floatage and eccentricity
KR20010075817A (en) * 2000-01-19 2001-08-11 최기호 Electrical generating apparatus by the gravity and buoyant
KR20010095818A (en) * 2000-04-12 2001-11-07 이한홍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1451A (en) * 2010-09-08 2011-07-13 蔡永恒 Buoyancy power machine
WO2022125026A1 (en) * 2020-12-10 2022-06-16 Duzce Universitesi Rektorlugu An energy conve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64084A (en) Power generator using buoyancy
EP0819216A1 (en) Buoyancy motor
JP2006029277A (en) Electric generator
US4805406A (en) Air activated liquid displacement motor
EP0736123A1 (en) Wave energy transformer
KR20040046445A (en) Power unit system using buoyancy of sphere type float
KR101475409B1 (en) Floating structure
JP2002138944A (en) Buoyancy power generator and its power generating method
KR20050048958A (en) Circulation type generating apparatus
AU2024203347A1 (en) Energy generator
JP4290878B2 (en) Apparatus comprising an elongated tubular body disposed in water
JP2007023797A (en) Power device using buoyancy, gravity, and air
CA2146091A1 (en) Hydrodynamic power generator apparatus
KR960007103B1 (en) Wave-power generating apparatus
US20190032627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Green Energy Source- using the weight of Tidal Body of Water
KR19990080155A (en)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buoyancy and gear
CN116951346B (en) Floating type deformable submerged plant light supplementing lamp
JP6142383B1 (en)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JP7072341B1 (en) Underwater air buoyancy power generation system
US11542914B2 (en) Power generator with multiple turbine units
KR101568848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Water Screen Function
RU1779763C (en) Wave energy plant
ES2288419B1 (en) ECOLOGICAL SYSTEM OF MOTOR ENERGY PRODUCTION FOR TURBINES OR MACHINES.
KR20020008891A (en) Wave Power Generator
KR100524521B1 (en) an apparatus for generating energy by buoy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