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5672A -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 Google Patents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672A
KR20040045672A KR1020020073518A KR20020073518A KR20040045672A KR 20040045672 A KR20040045672 A KR 20040045672A KR 1020020073518 A KR1020020073518 A KR 1020020073518A KR 20020073518 A KR20020073518 A KR 20020073518A KR 20040045672 A KR20040045672 A KR 20040045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talk
pair
idc
core wire
patch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741B1 (ko
Inventor
안정균
서태석
류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7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7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7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8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 a slotted tubular configuration, e.g. slotted tube-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속핀에 의해 발생하는 대부분의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여 초고속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반대쪽 모서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핀홈이 형성되는 플러그몸체와, 플러그몸체의 제1결합돌기가 체결되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체결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플러그덮개와, 플러그몸체의 핀홈에 한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교차가 이루어지는 교차페어와 교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직진페어를 교대로 배열하고 각각에는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보상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복수의 접속핀과, 접속핀에 각각 심선이 접속 고정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IDC Patch Cord with Crosstalk Canceling Mechanism}
본 발명은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선로를 같은 페어내에서 상호 교차시킨 페어와 교차시키지 않은 직진핀 페어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하고 보상플레이트에 의해 초고속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IDC 플러그의 접촉핀 플레이트의 배열에 의해 발생하는 용량성 누화를 완전히 소거하도록 이루어지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팅 블록용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패치코드(patch cord)는 신호 페어(pair)간의 누화(crosstalking)가 발생하여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문제가 있었다. 이는 플러그에 의해 종단된 케이블의 다수 신호 페어(예를 들면 UTP케이블의 경우에는 4페어 단위)가 접속핀과 접속하여 꼬임이 풀린 상태로 나란히 IDC 패치코드 플러그로 인입되어 페어의 도체 사이의 불균일한 전자기적 커플링에 의해 누화가 심각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ISO/IEC 11801의 규격에서는 카테고리 5(category 5) 및 카테고리 6에 접속자재를 표준화하고 있으며, 100㎒에서 최소 근단누화가 40㏈ 이상을 만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IDC형 패치코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10)와 접속핀(4), 케이블(6)로 구성된다.
상기한 플러그(10)는 몸체(12)와 덮개(16)로 이루어지고, 몸체(12)에는 4개의 제1결합돌기(13)가 내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덮개(16)에는 상기한 제1결합돌기(13)가 체결 결합되는 제1결합홈(17)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상기한 덮개(16)에는 상기한 제1결합홈(17)의 반대쪽 모서리부분에 4개의 제2결합돌기(18)가 일열로 배열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내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몸체(12)에는 상기한 제2결합돌기(18)가 체결 결합되는 제2결합홈(14)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2)의 제1결합돌기(13)가 덮개(16)의 제1결합홈(17)에 체결 결합되고, 덮개(16)의 제2결합돌기(18)가 몸체(12)의 제2결합홈(14)에 체결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함 몸체(12)와 덮개(16)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한 몸체(12)에는 상기한 접속핀(4)이 삽입 지지되는 핀홈(15)이 접속핀(4)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상기한 케이블(6)에는 복수의 심선(7)이 꼬인 상태로 내장되고, 심선(7)의 끝부분은 각각 상기한 접속핀(4)에 1개씩 배열되어 접속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6)의 심선(7)을 접속핀(4)에 접속 연결한 상태에서 접속핀(4)을 몸체(12)의 핀홈(15)에 삽입하고, 상기한 덮개(16)를 몸체(12)에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도 3에는 케이블(6)의 양끝에 플러그(10)를 설치한 IDC형 패치코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IDC형 패치코드는 커넥팅블럭간을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IDC형 패치코드는 플러그(10)에서 차등모드신호(differential mode signal) 누화가 발생하는 데, 그 원인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6) 외피로부터 커넥터로 인입되면서 페어(pair)간 심선(7)의 꼬임이 풀려 나란히 인입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차등모드의 신호 누화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핀(4)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인입된 차등신호(differential signal)는 주변의 이웃한 도선의 정전용량차에 따라 발생하는 용량성 누화로 나눌 수 있다.
상기에서 접속핀(4)에 의해 발생하는 대부분의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여 초고속 신호전송이 가능한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를 제공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IDC형 패치코드의 플러그부분을 나타내는 덮개를 연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IDC형 패치코드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IDC형 패치코드의 접속핀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차페어의 접속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직진페어의 접속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심선접속부에 심선을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에 있엇 접속핀의 배열상태를 모델링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에있어서 교차페어와 직진페어 사이에서 누화가 소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모델링한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와 종래 IDC형 패치코드의 근단누화를 측정하여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이 제안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는 복수의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반대쪽 모서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핀홈이 형성되는 플러그몸체와, 상기한 플러그몸체의 제1결합돌기가 체결되는 제1결합홈 및 상기한 제2결합홈에 체결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플러그덮개와, 상기한 플러그몸체의 핀홈에 한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교차가 이루어지는 교차페어와 교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직진페어를 교대로 배열하는 복수의 접속핀과, 상기한 접속핀에 각각 심선이 접속 고정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접속핀은 각각 2개가 한조(페어)를 이루며, 최소 2조 이상으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한 접속핀의 핀홈에 삽입되는 반대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케이블의 심선 끝부분이 삽입 고정되어 접속되는 대략 "V"형상의 심선고정홈이 형성된 심선접속부를 설치한다.
상기한 심선고정홈은 심선이 삽입됨에 따라 심선의 외피를 찢으면서 도체와 접속하게 되도록 대략 중간부분의 간격부터는 심선의 도체 지름보다 작아지는 경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접속핀에는 각각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보상플레이트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결합돌기(22) 및 제2결합홈(24)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결합돌기(22)가 형성되는 반대쪽 모서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핀홈(26)이 형성되는 플러그몸체(20)와, 상기한 플러그몸체(20)의 제1결합돌기(22)가 체결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32) 및 상기한 제2결합홈(24)에 체결되는 복수의제2결합돌기(34)가 형성되는 플러그덮개(30)와, 상기한 플러그몸체(20)의 핀홈(26)에 한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교차가 이루어지는 교차페어(42)와 교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직진페어(44)를 교대로 배열하는 복수의 접속핀(40)과, 상기한 접속핀(40)에 각각 심선(52)이 접속 고정되는 케이블(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플러그몸체(20) 및 플러그덮개(30)에는 상기한 케이블(50)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28), (38)과, 상기한 케이블(5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부(29), (39)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한 안착부(29), (39)는 설치되는 케이블(5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돌출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결합돌기(22) 및 제2결합돌기(34)는 끝부분을 외주면쪽으로 돌출시켜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제1결합홈(32) 및 제2결합홈(24)에 각각 체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한 제1결합돌기(22) 및 제2결합돌기(34)는 각각 제1결합홈(32) 및 제2결합홈(24)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턱이 걸린 상태로 되어 쉽게 결합상태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는 플러그몸체(20)와 플러그덮개(30)에 각각 제1결합돌기(22) 및 제2결합돌기(34), 제1결합홈(32) 및 제2결합홈(24)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결합돌기(22)와 제1결합홈(32) 또는 제2결합돌기(34)와 제2결합홈(24) 중의 어느 한쌍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러그몸체(20)와 플러그덮개(30)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구조이면 다른 구조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접속핀(40)은 각각 2개가 한조(페어)를 이루며, 최소 2조 이상으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접속핀(40) 8개를 4조로 구성하고, 2조의 교차페어(42)와 2조의 직진페어(44)로 구성한다.
상기한 접속핀(40)은 한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1조의 교차페어(42), 1조의 직진페어(44), 다른 1조의 교차페어(42), 다른 1조의 직진페어(44)와 같은 방식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설치한다.
상기에서 교차페어(42)를 이루는 접속핀(4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플러그몸체(20)의 핀홈(26)에 삽입되는 접촉부(45)와, 상기한 접촉부(45)로부터 한쪽으로 연장되는 직선부(46)와, 상기한 직선부(46)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대응되는 원호형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교차부(47)와, 상기한 교차부(47)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블(50)의 심선(52)이 접속되는 심선접속부(4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교차부(47)는 1조가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는 경우에 서로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나의 교차부(47)는 높은 위치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교차부(47)는 낮은 위치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에 위치하는 접속핀(40)의 교차부(47)는 낮게 형성하고, 오른쪽에 위치하는 접속핀(40)의 교차부(47)는 높게 형성한다.
상기한 교차부(47)는 원호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한쌍의접속핀(40)을 서로 교차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삼각형상이나 타원형상의 반, 육각형상의 반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직진페어(44)를 이루는 접속핀(4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플러그몸체(20)의 핀홈(26)에 삽입되는 접촉부(45)와, 상기한 접촉부(45)로부터 한쪽으로 연장되는 직선부(46)와, 상기한 직선부(46)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블(50)의 심선(52)이 접속되는 심선접속부(4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직진페어(44)의 심선접속부(48)에 인접하는 부분은 필요에 따라 설치공간의 효율화를 위하여 소정의 경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직진페어(44)의 접속핀(40)에 형성되는 경사각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직진페어(44)는 전구간에 걸쳐서 한쌍의 접속핀(40)이 평행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접속핀(40)에는 각각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보상플레이트(43)를 설치한다.
상기한 보상플레이트(43)는 교차페어(42)의 경우에는 교차부(47)의 중간부분에 설치하고, 직진페어(44)의 경우에는 심선접속부(48)에 근접한 부분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직진페어(44)에 설치되는 보상플레이트(43)는 교차페어(42)에 설치되는 보상플레이트(43)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즉 상기한 교차페어(42)에 설치되는 보상플레이트(43)와 직진페어(44)에 설치되는 보상플레이트(43)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접속핀(40)의 핀홈(26)에 삽입되는 반대쪽 끝부분인 심선접속부(48)에는 상기한 케이블(50)의 심선(52) 끝부분이 삽입 고정되어 접속되는 대략 "V"형상의 심선고정홈(49)을 형성한다.
상기한 심선고정홈(49)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선(52)이 삽입됨에 따라 심선(52)의 외피(53)를 찢으면서 도체(54)와 접속하게 되도록 대략 중간부분의 간격부터는 심선(52)의 도체(54) 지름과 같거나 작아지는 경사로 형성한다.
나아가서 상기한 심선고정홈(49)의 양측면을 위쪽(입구)은 날카롭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게 되면, 심선(52)의 외피(53)가 보다 더 잘 찢어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심선(52)의 외피(53)를 벗겨내는 별도의 작업없이 심선(52)을 심선고정홈(49)에 강제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도체(54)와 심선접속부(48)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접속작업이 별도의 장비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매우 간편하게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용량성 누화가 소거되는 과정 및 원리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도 3과 같이 접속핀(4)이 평행하면 외부로부터 접속핀(4)으로 인입되어 케이블(6)쪽으로 전송되는 차등신호는 주변의 이웃한 도선(접속핀)에 정전용량차에 따른 용량성 누화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용량성 누화를 완전히 소거하기 위해서는 도 8 및 도 9의 모델링 단면에서 교차페어(42)의 접속핀(40)인 T3과 R3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T3에 해당하는 모든 정전용량의 합과 R3에 유도되는 모든 정전용량의 합이 같으면 된다.
여기에서 교차페어(42)와 이웃하는 직진페어(44)의 접속핀(40)인 T2가 (+)의 신호라 하면, 교차페어(42)인 T3과 R3에 유기되는 정전용량은 (-)로 표시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된다.
상기에서 CT2T3는 누화발생부인 접촉부(45)와 직선부(46)에서의 T2와 T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내고, CT2R3은 누화발생부인 접촉부(45)와 직선부(46)에서의 T2와 R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내고, CR2T3은 누화발생부인 접촉부(45)와 직선부(46)에서의 R2와 T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내고, CR2R3은 누화발생부인 접촉부(45)와 직선부(46)에서의 R2와 R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내고, C'T2T3는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에서의 T2와 T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내고, C'T2R3은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에서의 T2와 R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내고, C'R2T3은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에서의 R2와 T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내고, C'R2R3은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에서의 R2와 R3 사이의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즉 누화발생부인 접촉부(45)와 직선부(46)에서는 T3이 R3보다 더 많은 정전용량성 결합이 이루어지지만,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에서는 R3이 T3에 비하여 더 많은 정전용량성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두 도선에 인입된 누화의 양이 같으면 차등모드 신호에서는 누화가 없어지는 결과가 된다.
상기와 같은 용량성 누화의 발생을 도 5, 도 6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회선 T2(+)와 R2(-)에 인입된 차등신호에 의해 3회선의 T3과 R3에 용량성 누화의 원인을 제공하는 캐패시턴스를 고찰하면, T3에 유도된 용량성 캐패시턴스는 T2에 의해 발생한 CT2T3과 R2에 의해 발생한 CR2T3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고, R3에 유도된 용량성 캐패시턴스는 T2에 의해 발생한 CT2R3과 R2에 의해 발생한 CR2R3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T3과 R3에는 (-CT2T3+CR2T3)-(-CT2R3+CR2R3) 만큼의 정전용량차에 의해 누화가 발생한다. 상기에서 누화발생부인 접촉부(42)와 직선부(46)의 면적과 간격은 동일하므로, CT2T3=CR2R3이다. 따라서 누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전용량은 CT2R3-2CT2T3-CT2R3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e는 접속핀(40) 사이의 유전율을 나타내고, d는 접속핀(40) 사이의 거리(간격)를 나타내고, t는 접속핀(40)의 두께를 나타내고, A는 누화소거부인 접촉부(45)와 직선부(46)의 면적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접속핀(40) 사이의 간격(d)에 비하여 접속핀(40)의 두께(t)가 충분히 작으면(즉 t≪d라면), 상기한 수학식 2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교차부(47)를 지나면서 교차페어(42)는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한다. 도 8과 같이 교차부(47)를 지나면 보상플레이트(43)에 의해 누화가 소거된다. 누화가 소거되는 과정을 상기와 같이 해석하면, T3과의 정전용량은 C'R2T3-C'T2T3로 표시되고, R3과의 정전용량은 C'R2R3-C'T2R3으로 표시된다.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에서는 보다 강한 정전용량 결합을 이웃하는 도선(접속핀(40))에 인가하기 위해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간격(dc)을 충분하게 줄였다.
따라서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만을 계산하면, (C'R2T3-C'T2T3)-(C'R2R3-C'T2R3)으로 표현된다.
이를 상기한 수학식 2와 같이 표시하면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된다.
상기에서 B는 보상플레이트(43)의 면적을 나타내고, da는 교차페어(42)의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거리(간격)을 나타내고, dc는 교차페어(42)의 보상플레이트(43)와 이웃하는 직진페어(44)의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거리(간격)을 나타낸다.
도 8에서 R2와 T4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3d=da+2dc임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da=3d-2dc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상기한 수학식 4에 대입하면 다음의 수학식 5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접속핀(40) 사이의 간격(d) 및 교차페어(42)의 보상플레이트(43)와 이웃하는 직진페어(44)의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간격(dc)에 비하여 접속핀(40)의 두께(t)가 충분히 작으면(즉 t≪d이고, t≪dc라면), 상기한 수학식 5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수학식 6에 있어서, 교차페어(42)의 보상플레이트(43)와 이웃하는 직진페어(44)의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간격(dc)을 접속핀(40) 사이의 간격(d)과같게 한다면(즉 d=dc라면),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수학식 7과 수학식 3을 비교하면 서로 부호가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경우에 용량성 누화가 완전히 소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dc로 한다고 가정하면, 누화발생부의 면적(A)과 소거부의 면적(B)가 일치하면 정확하게 용량성 누화가 완전히 소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수학식 6과 수학식 3으로부터 누화의 소거가 가능한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거리(dc)와 접속핀(40) 사이의 거리(d), 누화발생부의 면적(A),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의 면적(B)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8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접속핀(40) 사이의 거리(d)는 커넥팅블록의 IDC 핀 사이의 피치이므로 상수로 볼 수 있으며, 누화발생부인 접촉부(45)와 직선부(46)의 면적(A)도 설계시에 결정되는 값이다. 따라서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43)의 면적(B)과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간격(dc) 사이의 관계를 상기한 수학식 8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수학식 8로부터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기에 충분한 보상플레이트(43)의 면적(B)을 설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교차페어(42)의 보상플레이트(43)와 이웃하는 직진페어(44)의 보상플레이트(43) 사이의 간격(dc)을 줄이는 것으로 충분하게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수학식 8의 결과를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일실시예에 적용하여 측정한 근단누화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 IDC형 패치코드의 근단누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 10에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경우에 종래 IDC형 패치코드에 비하여 근단누화 특성이 최소 15㏈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에 의하면, 접속핀의 접촉부와 직선부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용량성 누화를 교차페어와 직진페어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교차부에서 1차적으로 소거하고, 각각의 접속핀에 보상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2차적으로 완전히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초고속 통신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에 의하면, 케이블의심선을 접속핀의 심선접속부에 강제로 삽입하는 것으로 심선의 외피가 찢어지면서 도체가 접속핀과 접속 연결되므로, 심선의 접속작업이 별도의 장비나 기구를 필요치 않으며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10)

  1. 복수의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반대쪽 모서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핀홈이 형성되는 플러그몸체와,
    상기한 플러그몸체의 제1결합돌기가 체결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 및 상기한 제2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플러그덮개와,
    상기한 플러그몸체의 핀홈에 한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교차가 이루어지는 교차페어와 교차가 이루어지지 않는 직진페어를 교대로 배열하는 복수의 접속핀과,
    상기한 접속핀에 각각 심선이 접속 고정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핀에는 각각 용량성 누화를 소거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보상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핀은 각각 2개가 한조(페어)를 이루며, 최소 2조 이상으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교차페어를 이루는 접속핀은 상기한 플러그몸체의 핀홈에 삽입되는 접촉부와, 상기한 접촉부로부터 한쪽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와, 상기한 직선부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대응되는 원호형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교차부와, 상기한 교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블의 심선이 접속되는 심선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직진페어를 이루는 접속핀은 상기한 플러그몸체의 핀홈에 삽입되는 접촉부와, 상기한 접촉부로부터 한쪽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와, 상기한 직선부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한 케이블의 심선이 접속되는 심선접속부로 이루어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교차부는 1조가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는 경우에 서로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나의 교차부는 높은 위치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교차부는 낮은 위치로 형성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상플레이트는
    상기한 교차페어의 경우에는 교차부의 중간부분에 설치하고,
    상기한 직진페어의 경우에는 심선접속부에 근접한 부분에 설치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교차페어의 보상플레이트와 이웃하는 직진페어의 보상플레이트 사이의 거리(dc), 접속핀 사이의 거리(d), 누화발생부인 접촉부와 직선부의 면적(A),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의 면적(B)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9를 만족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상기에서 e는 접속핀 사이의 유전율을 나타내고, d는 접속핀 사이의 거리(간격)를 나타내고, dc는 교차페어의 보상플레이트와 이웃하는 직진페어의 보상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간격)을 나타내고, A는 누화발생부인 접촉부와 직선부의 면적을 나타내고, B는 소거부인 보상플레이트의 면적을 나타낸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핀의 핀홈에 삽입되는 반대쪽 끝부분인 심선접속부에는 상기한 케이블의 심선 끝부분이 삽입 고정되어 접속되는 "V"형상의 심선고정홈을 형성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심선고정홈은 심선이 삽입됨에 따라 심선의 외피를 찢으면서 도체와 접속하게 되도록 중간부분의 간격부터는 심선의 도체 지름과 같거나 작아지는 경사로 형성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러그몸체 및 플러그덮개에는 상기한 케이블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과 상기한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부를 각각 형성하는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KR1020020073518A 2002-11-25 2002-11-25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518A KR101007741B1 (ko) 2002-11-25 2002-11-25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518A KR101007741B1 (ko) 2002-11-25 2002-11-25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672A true KR20040045672A (ko) 2004-06-02
KR101007741B1 KR101007741B1 (ko) 2011-01-13

Family

ID=3734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51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41B1 (ko) 2002-11-25 2002-11-25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7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9370A1 (en) * 2015-07-29 2017-02-02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Low crosstalk printed circuit board based communications plugs and patch cords including such plugs
WO2018075769A1 (en) * 2016-10-21 2018-04-26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CN111384619A (zh) * 2018-12-28 2020-07-07 江苏英曼电子工业有限公司 万用型插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80Y1 (ko) * 2000-06-30 2001-01-15 대은전자주식회사 패치 플러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9370A1 (en) * 2015-07-29 2017-02-02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Low crosstalk printed circuit board based communications plugs and patch cords including such plugs
US9819124B2 (en) 2015-07-29 2017-11-14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Low crosstalk printed circuit board based communications plugs and patch cords including such plugs
WO2018075769A1 (en) * 2016-10-21 2018-04-26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US11296431B2 (en) 2016-10-21 2022-04-05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CN111384619A (zh) * 2018-12-28 2020-07-07 江苏英曼电子工业有限公司 万用型插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741B1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32274B (zh) 低串扰和阻抗受控的电连接器
US9570855B2 (en) Patch cord having a plug with contacts having a curved segment extending forwardly of a front edge of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340693B1 (ko) 소음제거기능을가진통신용콘넥터단자열
JP3547639B2 (ja) コネクター・ジャック組立体
CN1314170C (zh) 低串扰和阻抗受控的电连接器
HU224083B1 (hu) Érintkezőpár-elrendezés villamos csatlakozópárhoz, közelvégi áthallás kompenzálására
US7794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te contact mounting and compensation boards
US7427218B1 (en) Communications connectors with staggered contacts that connect to a printed circuit board via contact pads
RU2216079C2 (ru) Штепсельные розетка (варианты), колодка и вилка
US5586914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crosstalk between a plurality of conductors
RU2237326C2 (ru) Экранированная штепсельная вилка для средств связи
US6050843A (en) Crosstalk canceling 110 index strip and wiring block
KR100668189B1 (ko) 전기플러그-소켓 접속부로 이루어진 접속케이블
EP2765656B1 (en) Patch cord
KR20030028713A (ko) 전기 커넥터
JP2007518245A (ja) 漏話を最適化する通信用コネクタ
CN101286600A (zh) 用于减少电磁干扰和/或串扰的插座连接器组件
KR101007741B1 (ko) 누화소거수단을 갖는 idc형 패치코드
US20030112087A1 (en) Cross talk compensation circuit
JP2000200659A (ja) モジュラ―電話型オスプラグおよびこれとデ―タ送信ケ―ブルとの組み合わせ
US2005026672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AU2820699A (en) Improved manner of electrical connection
EP2624377B1 (en) Communication adapter
JP2018520467A (ja) Rj45コネクタ
KR100537996B1 (ko) 누화 억제 기능을 가진 고성능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