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4229A -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229A
KR20040044229A KR1020020072153A KR20020072153A KR20040044229A KR 20040044229 A KR20040044229 A KR 20040044229A KR 1020020072153 A KR1020020072153 A KR 1020020072153A KR 20020072153 A KR20020072153 A KR 20020072153A KR 20040044229 A KR20040044229 A KR 2004004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bsp
state
doubl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662B1 (ko
Inventor
김유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6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662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지국의 장애 상태가 이중 비정상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일어나면 BSP의 이중 비정상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BSP의 이중 비정상이 해제되면 상기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기지국의 알람을 재수집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지국의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운용자에게 보고하고 기지국의 장애 일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Method for alarm management of base station in IMT-2000 system}
본 발명은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범세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의 BSP(Base station Signalling Processor, 기지국의 메인 프로세서)의 이중 비정상(Dual Abnormal) 상태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운용자에게 보고하고 기지국의 장애 일치를 최소화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MT-2000 시스템은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Radio-Communications sector)의 TG/1에서 권고안을 작성하고 있는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Third Generation Mobile System, TGMS)이다. 이 시스템은 이동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공중 전화 교환망) /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 /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광대역 ISDN) 등과 같은 고정통신망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사용주파수 대역은 WARC-92(World Administrative Radio Conference, 세계무선운영위원회)에서 결정된 1885MHz ~ 2025MHz와 2110MHz ~ 2200MHz로서, 기존의 다양한 통신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향상된 기술에 의한 한 차원 높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지상망 또는 위성망에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전화기가 이동통신용 또는 고정통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MT-2000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T-2000 시스템의 무선운용을 수행하는 무선운용 장치(10)와; 상기 무선운용 장치(10)와 연결되어 IMT-2000 시스템을 관리하는 망관리부(Network Management System)(20)와; 상기 무선운용 장치(10)와 연결되어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30)과; 상기 무선운용 장치(10)와 연결되고, 단말기와 함께 무선구간에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운용 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DataBase Management System), 망관리부(2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CIN(Communication Interworking Network) 에이전트(Agent)(18), 제어국(30) 및 기지국(40)의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Direct Control Interface Block, DCIB)(19)가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인 로딩부(DownLoading Management Block, DLMB)(12), 구성부(Configuration & Data Management Block, CDMB)(13), 상태부(STatus Management Block, STMB)(14), 시험부(TeSt Management Block, TSMB)(15),장애부(Trouble Management Block, TRMB)(16), 통계부(Statistics & Measurement Management Block, SMMB)(17)가 있다.
도 2는 종래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41은 기지국의 셀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CRP(Cell Router Processor)이고, 42는 액티브 사이드에서 기지국(40)의 메인 프로세서 역할을 수행하는 BSP이며, 43은 스탠바이 사이드에서 기지국(40)의 메인 프로세서 역할을 수행하는 BSP이다.
그래서 종래의 IMT-2000 시스템에서는 기지국(40)의 메인 프로세서인 BSP(42)(43)가 이중 비정상(Dual Abnormal) 상태가 되면 장애를 보고할 주체가 비정상(Abnormal)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간과하여 아무런 장애보고를 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용자에게 BSP 이중 비정상 상태를 보여주지 못하게 된다.
BSP 이중 비정상 상태의 천이 후에 장애 목록을 확인하면, BSP(42)(43)가 비정상이 되기 전에 취합하여 보고한 알람(Alarm)이 발생되어 있으며, 이는 현재 시스템의 장애 상태와 불일치 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또한 새로 증설한 기지국에 대해서는 기지국 자체의 파워가 내려가 있어 비정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무선운용 장치(10)의 GUI에서는 정상(Normal) 상태로 보여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IMT-2000 시스템에서는 기지국(40)과 제어국(30)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기지국(40)의 메인 프로세서인 BSP(42)(43)가 취합한 장애를 제어국(30)을 통하지 않고 무선운용 장치(10)의 통신부(19)를 통해 직접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BSP(42)(43) 자체의 장애도 BSP(42)(43)가 취합하여 무선운용 장치(10)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서 CRP(41)가 BSP(42)(43)의 장애를 감지하여 액티브 사이드인 BSP_A(42)에게 다시 보고 한 후 최종적으로 BSP가 무선운용 장치(10)로 보고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스탠바이인 BSP_B(43)에서 장애가 발생한 상태에서 액티브인 BSP_A(42)에도 장애가 발생한다면 이를 무선운용 장치(10)로 보고할 경로가 끊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에서는 이중 비정상 알람(Dual Abnormal Alarm)이 발생하지 않아 BSP가 비정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태를 운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용자가 무선운용 장치(10)에서 장애 목록을 보거나 GUI로 전체 네트워크 엘리먼트(Network Element)의 상태를 파악할 때 상태가 정상이거나 장애 불일치가 일어나 장애 상태를 올바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의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운용자에게 보고하고 기지국의 장애 일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은,
기지국의 장애 상태가 이중 비정상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일어나면 BSP의 이중 비정상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BSP의 이중 비정상이 해제되면 상기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기지국의 알람을 재수집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IMT-2000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알고리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메시지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운용 장치 11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2 : 로딩부 13 : 구성부
14 : 상태부 15 : 시험부
16 : 장애부 17 : 통계부
18 : CIN 에이전트 19 : 통신부
20 : 망관리부 30 : 제어국
40 : 기지국 41 : CRP
42 : BSP_A 43 : BSP_B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알고리즘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40)의 장애 상태가 이중 비정상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일어나면 BSP(42)(43)의 이중 비정상 알람(Dual Abnormal Alarm)을 발생시키는 제 1 단계(ST11 ~ ST18)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BSP(42)(43)의 이중 비정상이 해제되면 상기 BSP(42)(43)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기지국(40)의 알람을 재수집하는 제 2 단계(ST19)(ST20)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 1 단계(ST11 ~ ST18)는, 무선운용 장치(10)의 장애부(16)를 실행시키고, 초기화 메시지를 상태부(14)로 전송한 다음 상기 기지국(40)이 장착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T11 ~ ST13)와; 상기 기지국(40)이 장착되었으면 상기 무선운용 장치(10)의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BSP 이중 비정상 상태로 초기화하는 단계(ST14)와; 상기 BSP 이중 비정상 상태로의 초기화 후 상기 상태부(14)로부터 시그널을 기다려 상기 기지국(40)에서 알람 발생 메시지가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ST15)(ST16)와; 상기 기지국(40)에서 알람 발생 메시지가 없으면 상기 제 2 단계(ST19)(ST20)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40)에서 알람 발생 메시지가 있으면 해당 기지국(40)의 모든 알람을 해제하고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발생시킨 후 상기 상태부(14)로부터 시그널을 다시 기다리도록 하는 단계(ST17)(ST18)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기지국의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운용자에게 보고하고 기지국의 장애 일치를 최소화하고자 한 것이다.
IMT-2000 시스템에서와 같이 기지국(40)과 제어국(30)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의 메인 프로세서인 BSP(42)(43)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감지할 방법이 없다.
그래서 BSP(42)(43)에 장애가 발생하면 이를 CRP(41)에서 감지하여 액티브사이드의 BSP_A(42)에 전달한다. 다시 BSP_A(42)는 취합된 기지국(40)의 모든 장애를 무선운용 장치(10)에 전달하고, 무선운용 장치(10)는 이를 운용자에게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BSP가 이중 비정상에 빠진 상태에서는 CRP(41)가 이를 감지하더라도 무선운용 장치(10)에게 보고할 주체인 BSP가 모두 비정상 상태이기 때문에 BSP 이중 비정상 상태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BSP 이중 비정상 상태를 무선운용 장치(10)에서 알지 못한다면 장애 상태가 올바로 반영되지 않으므로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는 점을 해결하여 무선운용 장치(10) 자체적으로 BSP(42)(43)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운용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무선운용 장치(10)의 상태를 관리하는 블록인 상태부(14)와 장애를 관리하는 블록인 장애부(16)를 연동시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운용 중에 BSP(42)(43)가 이중 비정상 상태가 되어 상태부(14)에서 상태천이가 일어나면, 장애부(16)에 상태 천이가 일어났음을 알리는 시그널을 보내고, 장애부(16)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BSP 이중 상태의 장애 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을 보인 메시지 흐름도이다.
그래서 먼저 기지국(40)의 BSP(42)(43)에서 상태부(14)로 Keep-Alive 시그널을 전송한다(ST21).
그리고 상태부(14)는 장애부(16)로 BSP(42)(43)로부터 Keep-Alive 시그널을 받았음을 알린다(ST22).
그러면 장애부(16)는 MMI(Man Machine Interface)로 BSP(42)(43) 이중 비정상 알람을 해제한다(ST23).
그리고 장애부(16)는 기지국(40)의 BSP(42)(43)로 주기적으로 알람 일치 시그널을 전송한다(ST24).
그래서 주기적으로 받고 있던 Keep-Alive 시그널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에는 상태부(14)에서 장애부(16)로 BSP(42)(43)로부터 Keep-Alive 시그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알려준다(ST25)(ST26).
장애부(16)는 MMI로 해당 기지국의 모든 알람을 해제시킨다(ST27).
그리고 장애부(16)는 MMI로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Keep-Alive 시그널이 다시 들어오기 시작할 경우에는 기지국(40)의 BSP(42)(43)에서 상태부(14)로 Keep-Alive 시그널이 전송되게 된다(ST29)(ST30).
그러면 상태부(14)는 장애부(16)로 BSP(42)(43)로부터 Keep-Alive 시그널을 받았음을 알려준다(ST31).
이에 따라 장애부(16)는 MMI로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해제한다(ST32).
또한 장애부(16)는 BSP(42)(43)로 주기적으로 알람 일치 시그널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BSP(42)(43)가 이중 비정상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일어나면 상태부(14)에서 Keep-Alive 오류 장애를 장애부(16)로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장애부(16)에서는 무선운용 장치(10)와 BSP(42)(43) 간의 Keep-Alive Fault 장애가 발생하면 BSP 이중 비정상 상태를 인지하고, 해당 기지국(40)에 발생되어 있던 알람을 모두 해제시키고, 가장 상위 알람인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만들어 운용자에게 보고하게 된다.
또한 BSP(42)(43)가 이중 비정상 상태에서 다시 상태부(14)와 Keep-Alive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상태부(14)는 장애부(16)에게 BSP(42)(43)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시그널로 알린다. 장애부(16)는 이 시그널을 받아 자체적으로 발생시켰던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해제하고 알람을 주기적으로 일치시키는 시그널을 BSP(42)(43)로 보냄으로써 기지국(40)의 알람을 재수집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실시간으로 BSP(42)(43)의 상태가 변할 때마다 실행되도록 하고, 무선운용 장치(10)가 초기화되거나 장애부(16)가 초기화되었을 시에도 동일하게 동작하게 한다.
무선운용 장치(10)가 초기화되거나 장애부(16)가 초기화될 때는 디폴트(Default)로 모든 장착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해서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데이터베이스에 초기화시켜놓고 상태부(14)로부터 정상인 기지국(40)에 대해서만 시그널을 받아 비정상(Abnormal) 상태로 초기화시켜놓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지국의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운용자에게 보고하고 기지국의 장애 일치를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은 BSP로부터 보고 받을 수 없는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효과적으로 운용자에게 보고할 수 있음으로써 기지국의 장애 일치를 최소한으로 감수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기지국 증설 시에 기지국의 파워 다운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장애 상태를 정상으로 관리하였던 현상을 비정상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기지국의 장애 상태가 이중 비정상 상태로 상태 천이가 일어나면 BSP의 이중 비정상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BSP의 이중 비정상이 해제되면 상기 BSP의 이중 비정상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기지국의 알람을 재수집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무선운용 장치의 장애부를 실행시키고, 초기화 메시지를 상태부로 전송한 다음 상기 기지국이 장착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이 장착되었으면 상기 무선운용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BSP 이중 비정상 상태로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BSP 이중 비정상 상태로의 초기화 후 상기 상태부로부터 시그널을 기다려 상기 기지국에서 알람 발생 메시지가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서 알람 발생 메시지가 없으면 상기 제 2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알람 발생 메시지가 있으면 해당 기지국의 모든 알람을 해제하고 BSP 이중 비정상 알람을 발생시킨 후 상기 상태부로부터 시그널을 다시 기다리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KR10-2002-0072153A 2002-11-20 2002-11-20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KR10051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53A KR100511662B1 (ko) 2002-11-20 2002-11-20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53A KR100511662B1 (ko) 2002-11-20 2002-11-20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29A true KR20040044229A (ko) 2004-05-28
KR100511662B1 KR100511662B1 (ko) 2005-08-31

Family

ID=3734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153A KR100511662B1 (ko) 2002-11-20 2002-11-20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6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254A (ko) * 1998-08-06 2000-03-06 윤종용 씨디엠에이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애 조사방법
KR20000056007A (ko) * 1999-02-12 2000-09-15 윤종용 소용량 기지국의 주 제어 프로세서 이중화장치 및 방법
KR20010009119A (ko) * 1999-07-07 2001-02-05 김영환 무선호출 데이타 위성전송 시스템에서 망관리부의 다운 방지방법
KR100427966B1 (ko) * 1999-12-30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제어국의 프로세서와디바이스의 상태와 장애내역 불일치 해결방법
KR20010111173A (ko) * 2000-06-08 2001-12-17 윤종용 기지국 관리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
KR100386586B1 (ko) * 2000-12-13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장애 처리 방법
KR20030077727A (ko)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 운용시 프로세서 상태제어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662B1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043B1 (en)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a connection verification mechanism therefor
KR100318940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장애시재접속방법
US61783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ult tolerance in frequency reus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5680437A (en) Signaling system seven distributed call terminating processor
USH1836H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402038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le call preservation
US6215867B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with rapid restoration
KR100511662B1 (ko)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애관리 방법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EP1285551B1 (en) Operations and maintenance of radio base station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S20010013106A1 (en) Subscriber testing system
Chadha et al.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WO2002021778A1 (en) Alternate fault notification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723698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데이터 경로의 장애를 방지하는 방법
US7446665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isolating a power outage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400733B1 (ko) 망 연동장치의 인터넷 링크 유지 보수 방법
KR100403214B1 (ko) 통화로 시험 방법
US6330440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assigning signaling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0161158B1 (ko) 전전자 교환기를 이용한 다층셀 구조에서의 셀 선택 방법
KR100366541B1 (ko)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ass-t 구간별 신호링크경로 테스트 방법
KR100357704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 장비 에러 자동 검출방법
Nishihata et al. SDH network in Japan and SDH 52/156 Mbps (VC-3/4) digital cross-connect systems with hit-less switching function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960009465B1 (ko) 가상 경로(VP) 루프백(loopback)을 이용한 망자원 관리 방법
KR930010916B1 (ko) CCITT No. 7 신호방식의 신호연결 제어부간 동적주종 방법에 의한 신호망 관련데이터 일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