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438Y1 -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 Google Patents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8Y1
KR200400438Y1 KR20-2005-0022878U KR20050022878U KR200400438Y1 KR 200400438 Y1 KR200400438 Y1 KR 200400438Y1 KR 20050022878 U KR20050022878 U KR 20050022878U KR 200400438 Y1 KR200400438 Y1 KR 200400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taining wall
block
pattern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근
Original Assignee
이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근 filed Critical 이정근
Priority to KR20-2005-0022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양거푸집을 대체하기 위한 블록아웃용 강판이 상면에 부착된 하부판과 측면판을 포함하되, 지반에 상기 하부판이 지지되도록 설치한 옹벽용 벽체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벽체거푸집을 탈형시켜 제작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의 전면에, 블록아웃용 강판에 의하여 배제된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블록아웃부에 칼라와 문양을 가진 합성고무재를 충전시키거나, 블록아웃부 형상에 따른 식생재료를 삽입시켜 벽체전면부에 여러 문양을 형성시킨 옹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Retaining Wall with Pattern to the Front Wall}
본 고안은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양한 문양, 표시부 및 식생 재료를 벽체 전면부에 경제적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옹벽(10)은 도 1a와 같이 크게 벽체(11) 및 저판(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옹벽(10)의 저판(12)은 통상 현장에서 거푸집을 미리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소정의 폭 및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지만 공장 등에서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벽체(11)도 역시 현장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로서 공장 등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미리 제작 설치된 저판(12) 상부에 설치하기도 한다.
이때, 벽체 전면부(A)는 콘크리트 마감면이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 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벽체 전면부에 일종의 마감공종으로서 페인트칠을 하거나, 타일을 부착시켜 여러 가지 문양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페인트칠 또는 타일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이 마모되어 유지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심미감을 해칠 우려도 크고, 그 비용 또한 상당히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음각부 및 양각부로 형성된 부조방식의 요철부가 벽체 전면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문양거푸집(20)은 거푸집 내면에 스티로폴, EPS 블록 또는 프라스틱 재질의 음각 및 양각부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부조판을 미리 설치한 거푸집을 의미하며, 문양거푸집 정확하게는 부조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문양거푸집을 탈형 하게 되며, 이로서 콘크리트 면에 다양한 입체적 형태가 부조방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문양거푸집에 의하여, 도 1b와 같이 벽돌무늬 또는 연꽃무늬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콘크리트 표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제작사, 시공사 등을 표시하는 문자 및 표장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문양거푸집을 이용할 경우, 형상 또는 형태는 비교적 자유스럽게 표현할 수 있을 지라도 다양한 채색이 불가능하여 통상 페인트칠을 다시 하는 경우가 많을 뿐더러, 또한 입체감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사라지게 되고, 표면이 마모되는 등 유지관리 어려움이 지적되었다.
또한 문양거푸집은 부조판 사용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파손되기 쉽고 이에 따라 표면 형태가 매끄럽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교체횟수가 증가할 수밖에 없어, 특히 옹벽 전면부와 같이 대규모 면적 모두에 적용하는 것은 경제성이 낮아 종래의 문양거푸집을 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일부 사람들에게 많이 노출되는 콘크리트 면에 적용하는 정도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프리캐스트 옹벽용 벽체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강재거푸집을 그대로 이용하되, 옹벽용 벽체 전면부에 다양한 채색 및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는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블록아웃용 강판(111)이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블록아웃용 강판에 의하여 배제된 공간이 옹벽벽체 전면부(A)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벽체 전면부 형성을 위한 하부판(110); 상기 하부판(110) 양 측면에 상방으로 설치된 측면판(120);을 포함하되, 지반(B)에 상기 하부판(110)이 지지되도록 설치한 옹벽용 벽체거푸집(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벽체거푸집을 탈형시켜 제작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200);
상기 블록아웃용 강판(111)에 의하여 배제된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블록아웃부(S)에 칼라와 문양을 가진 합성고무재(310)를 충전시킨 후 표면을 코팅처리 하거나, 블록아웃부 형상에 따른 식생재료(320)를 삽입시켜 형성된 벽체전면문양부(300); 및
상기 벽체전면문양부(300)가 벽체전면에 형성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200)가 세워져 설치되는 옹벽용 저판(400);을 제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a는 본 고안의 옹벽용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옹벽용 벽체거푸집으로서 강재 거푸집(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상기 강재거푸집(1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상기 강재거푸집(100)으로부터 탈형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2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강재거푸집(100)은 크게 하부판(110) 및 측면판(120)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강재판을 가공하여 제작하게 된다.
옹벽용 벽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강재거푸집을 사용하는 이유는 강재거푸집이 다소 제작비용은 클지 모르지만, 동일한 형태의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량으로 제작하기 위한 경제성 및 안전성의 측면에 있어서는 목재거푸집 등과 비교하여 상당한 비교우위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장 또는 공장에서 이러한 강재거푸집을 제작, 설치하는 것도 사실상 상당한 비용소모를 요구하게 된다.
예컨대, 현장에서 강재거푸집을, 미리 설치한 저판에 수직으로 벽체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이격시켜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강재거푸집 내부에 타설 하는 작업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강재거푸집을 이용하되 특히 옹벽용 벽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별도로 강재거푸집을 설치하는 공종을 채택하지 않고, 지반(B)에 강재거푸집(100)을 누여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후 강재거푸집을 탈형시키고, 완성된 옹벽용 벽체를 별도로 저판에 설치한다면 강재거푸집의 설치공종을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도 옹벽용 벽체(200)를 제작하기 위하여 강재거푸집(100)을 이용하되 강재거푸집(100)을 별도의 저판에 직접 설치하는 공종을 취하지 않고, 도 2a와 같이 강재거푸집(100)을 지반(B)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표면처리작업 후에 수평으로 누여 놓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에 강재거푸집(100)을 구성하는 하부판(110)이 지반(B)과 접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옹벽용 벽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높이가 결정된 상기 하부판(110) 양 측면에는 측면판(120)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판(110)의 상부면(C)은 강재거푸집을 탈형 시킬 때, 옹벽용 벽체의 전면부(A)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면부에 본 고안에서는 일정한 모양, 깊이를 가지는 블록아웃부(S)를 형성시킴으로서 이러한 블록아웃부(S)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블록아웃부(S)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하부판(110)의 상부면(B)에 블록아웃용 강판(111)이 하부판의 상부면(C)에 부착된다.
즉, 블록아웃용 강판(111)이 차지하는 부피 및 위치에 의하여 일정한 형태를 가진 블록아웃부(S)가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옹벽용 벽체 전면부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블록아웃용 강판(111)이 본 고안에서는 문양거푸집, 정확하게는 부조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판으로서 내구성이 매우 크므로 그 공용횟수에 있어 종래의 문양거푸집과 비교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상당한 비교우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블록아웃용 강판(111)의 크기, 모양 또는 형태는 여러 목적을 위하여 다양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아웃용 강판(111)은 단지 다양한 크기, 모양 또는 형태를 가진 블록아웃부(S)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블록아웃부(S)에 실질적인 문양 또는 장식을 위한 수단은 후술하는 벽체전면문양부(300)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벽체 옹벽용 블록아웃용 강판(111)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하부판 상부면(C)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블록아웃용 강판(111)이 부착된 하부판 양 측면에는 역시 강판으로 가공된 측면판(120)이 설치되며, 이러한 측면판(120)의 하부연결부는 하부판(110)과 힌지 형식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탈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블록아웃용 강판(111)이 부착된 하부판(110) 및 측면판(120)으로 구성된 강재거푸집(100)을 지반(B)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후에는, 도 2b와 같이 상기 강재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하게 되며, 콘크리트가 모두 양생되면 측면판을 회전시켜 탈형시키고, 도 2c와 같이 최종적으로 강재거푸집을 탈형시키면 전면부에 블록아웃용 강판(111)에 의하여 형성된 블록아웃부(S)가완성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20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상기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200)의 전면부에 블록아웃용 강판(111)에 의하여 형성된 블록아웃부(S)의 구체예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블록아웃부(S)는 작업자 및 설계자의 의도 하에 미리 일정한 모양,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3a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 블록아웃부(S)가 상,하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하나의 사각형 블록아웃부(S)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3c와 같이 서로 크기가 다른 원형 블록아웃부(S)가 형성되도록 할수도 있고, 도 3d와 같이 원형 및 직사각형 블록아웃부(S)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크기, 모양 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블록아웃부(S)가 전면부에 형성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200)를 미리 설치한 옹벽용 저판(400)에 설치하거나 설치하기 전에(이러한 설치는 크레인 등을 포함한 양중장치에 의하여 일종의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설치하는 방식을 따르게 된다.)
옹벽용 벽체(100)의 전면부에는 일정한 모양 등으로 형성된 블록아웃부(S)만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블록아웃부(S)에는 본 고안의 벽체전면문양부(300)를 형성시킴으로서 다양한 채색 및 장식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벽체전면문양부(300)는 크게 2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첫째는 도 4a 와 같이, 블록아웃부(S)에 칼라와 문양을 가진 합성고무재(310)를 설치한 후 표면을 코팅처리 할 수 있다.
합성고무재(310)는 다양한 칼라가 채색될 수 있으며, 가공이 매우 용이하므로 통상 빌딩 옥상의 조깅트랙, 어린이놀이터의 바닥판 등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채색이 자유로운 이러한 합성고무재를 다양한 문양을 가지도록 하되 블록아웃부 형상에 대응한 판 형태로 형성시킨 다음 블록아웃부(S)에 삽입, 설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삽입설치는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열로울러를 이용하여 열압착 시킴으로서 합성고무재(310)가 블롯아웃부(S)에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합성고무재는 내마모성 등이 매우 크지만 먼지가 유입되는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채색부분이 탈색될 여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코팅재를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문양은 옹벽구조물의 특성, 주변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문자, 도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정한 장소 및 구조물 시공사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자체로서 다양한 채색이 자유롭기 때문에 별도의 페인트칠과 같은 추가 공종이 필요 없게 된다.
둘째로는 블록아웃부 형상에 따른 자연산 나무를 포함한 다양한 식생재료(32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블록아웃부(S)에 합성고무재(310) 형성시키는 경우 아무래도 자연스러운 질감을 형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도 4b와 같이 직사각형의 블록아웃부에 예컨대 식생재료(320)로서 자연 또는 인공의 대나무 또는 통나무를 절단하여 삽입시킨다든지, 대나무와 관련된 조류 등을 나머지 블록아웃부에 삽입시키는 경우 매우 수려한 형태의 문양이 발현될 수 있게 되며, 자연 또는 인공 식생재료를 활용하는 경우 폐자재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다양한 알루미늄 캔을 이용하여 여러 회화적인 문양을 구현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다양한 회화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블록아웃부(S)를 장식하는 경우 콘크리트로 마감된 옹벽용 벽체의 전면부를 화려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문양이 다양하게 형성된 옹벽용 벽체를 저판(400)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 낮시간에는 여러 문양을 육안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지만, 야간에는 별도의 조명이 없는 경우 그 장식효과가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블록아웃부(S)를 설치할 때 다양한 조명수단(500)을 위한 등을 설치함으로서 야간에도 여러 문양의 장식효과를 배가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LED 조명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블록아웃부 주위에 설치할 수도 있고, 미도시 하였지만 블록아웃부 내부에 조명수단을 미리 설치한 다음 벽체전면문양부(300)를 형성시킴으로서 보다 은은한 조명효과를 발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수단(500)은 전력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지만, 상용화된 태양열 집광판(510)을 설치하여 낮에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옹벽용 벽체는 종래의 문양거푸집을 대체하여 다양한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어 옹벽의 활용성 및 장식성을 배가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각적 효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문양 형성을 위한 재료로서 폐자재를 이용하는 경우 친환경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옹벽 및 문양거푸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고안의 옹벽용 벽체 제작을 위한 강재 거푸집 및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된 상태 및 탈형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옹벽용 벽체의 블록아웃부의 각 형태의 구체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옹벽벽체문양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문양이 형성된 옹벽용 벽체의 최종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강재거푸집 110:하부판
111:블록아웃용강판 120:측면판
200:옹벽용 콘크리트 벽체 300:벽체전면문양부
310:합성고무재 320:식생재료
400:옹벽의 저판 500:조명수단
A:옹벽용 벽체 전면부
B:지반
C:하부판의 상부면

Claims (3)

  1. 블록아웃용 강판이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블록아웃용 강판에 의하여 배제된 공간이 옹벽벽체 전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벽체 전면부 형성을 위한 하부판; 상기 하부판 양 측면에 상방으로 설치된 측면판;을 포함하되, 지반에 상기 하부판이 지지되도록 설치한 옹벽용 벽체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벽체거푸집을 탈형시켜 제작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
    상기 블록아웃용 강판에 의하여 배제된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블록아웃부에 칼라와 문양을 가진 합성고무재를 충전시킨 후 표면을 코팅처리 하거나, 블록아웃부 형상에 따른 식생재료를 삽입시켜 형성된 벽체전면문양부; 및
    상기 벽체전면문양부가 벽체전면에 형성된 옹벽용 콘크리트 벽체가 세워져 설치되는 옹벽용 저판;을 포함하는 것을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에 형성된 식생재료는 자연산 나무를 포함하는 자연, 인공 식생재료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에 엘이디 조명등을 포함한 조명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전력 또는 태양열 집광판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KR20-2005-0022878U 2005-08-08 2005-08-08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KR200400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78U KR200400438Y1 (ko) 2005-08-08 2005-08-08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78U KR200400438Y1 (ko) 2005-08-08 2005-08-08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8Y1 true KR200400438Y1 (ko) 2005-11-08

Family

ID=4370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878U KR200400438Y1 (ko) 2005-08-08 2005-08-08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055B1 (ko) * 2014-08-06 2015-03-12 김정태 목재 장식부재가 결합된 옹벽패널 및 상기 옹벽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구조
KR101768701B1 (ko) * 2015-04-15 2017-08-17 나라앤텍 주식회사 조명 설치가 용이한 옹벽블록 구조물
KR20210148588A (ko) * 2020-06-01 2021-12-08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KR102495375B1 (ko) * 2022-05-08 2023-02-06 주식회사 금호콘텍 습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055B1 (ko) * 2014-08-06 2015-03-12 김정태 목재 장식부재가 결합된 옹벽패널 및 상기 옹벽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구조
KR101768701B1 (ko) * 2015-04-15 2017-08-17 나라앤텍 주식회사 조명 설치가 용이한 옹벽블록 구조물
KR20210148588A (ko) * 2020-06-01 2021-12-08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KR102409262B1 (ko) * 2020-06-01 2022-06-22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KR102495375B1 (ko) * 2022-05-08 2023-02-06 주식회사 금호콘텍 습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12954A (zh) 使小型装配式保温预制板外保温系统保温装饰一体化的方法
US20130234002A1 (en) Decorative brick mould for in-situ production on building
KR200400438Y1 (ko) 벽체전면부에 문양이 형성된 옹벽
CN102828599B (zh) 马赛克瓷砖、其制作方法和制作模具
KR101431652B1 (ko) 건축구조물 내ㆍ외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는 시공방법
CN202866214U (zh) 马赛克瓷砖及其制作模具
CN102910015B (zh) 一种反画反贴制作工艺
CN214026218U (zh) 一种一体成型文艺挡墙加工模具
CN201058958Y (zh) 贴面边石
CN201714003U (zh) 预制混凝土楼梯
CN2778966Y (zh) 多功能多形建材梁、柱模合
CN109441215A (zh) 钢筋混凝土多功能景观围墙节段、围墙及其建造方法
CN210122847U (zh) 钢筋混凝土板柱组合装配式多功能景观围墙
CN205768264U (zh) 一种水晶玻璃装饰板
KR200316294Y1 (ko) 인조석
CN2557580Y (zh) 彩色路面砖
CN209585796U (zh) 钢筋混凝土多功能景观围墙节段及景观围墙
CN202925821U (zh) 一种仿蘑菇石装饰板
CN201661028U (zh) 一种在建筑物墙体上的仿真石材覆盖层
CN2462006Y (zh) 一种彩色砌块
CN207538315U (zh) 带有玻璃幕墙和复合琉璃瓦的预制复合外墙
CN208733973U (zh) 一种带装饰面的扣接板材立柱
CN116517391A (zh) 装配式雕花护栏垛柱及装饰柱
CN205766738U (zh) 一种市政预制桥墩用造型模板
CN2291324Y (zh) 建筑模型饰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8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8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