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275A -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에프에이 및 섹터로의 호설정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에프에이 및 섹터로의 호설정 차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38275A KR20040038275A KR1020020067164A KR20020067164A KR20040038275A KR 20040038275 A KR20040038275 A KR 20040038275A KR 1020020067164 A KR1020020067164 A KR 1020020067164A KR 20020067164 A KR20020067164 A KR 20020067164A KR 20040038275 A KR20040038275 A KR 200400382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block
- transmission power
- status
- c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0760620 Homo sapiens Cell adhesion molecul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1772 Homo sapiens Hsc70-interacting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1139126 Homo sapiens Krueppel-like factor 6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710013 Homo sapiens Reversion-inducing cysteine-rich protein with Kazal motif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661816 Homo sapiens Suppression of tumorigenicity 18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661807 Homo sapiens Suppressor of tumorigenicity 14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37 interleukin-2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Tx Power) 측정을 통해 송신 상태를 체크하고 그 상태에 따라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BCPA로 보고된 BTU의 송신 전력값과 실험적으로 확인된 특정 임계값(threshold)을 비교하여 해당 경로의 송신 상태를 파악하고, 그 상태를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반영하여 송신 상태가 이상(abnormal)인 FA 및 섹터로의 호 할당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저전력에 의한 호 단절이나 감도 불량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Tx Power) 측정을 통해 송신 상태를 체크하고 그 상태에 따라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BCPA로 보고된 BTU의 송신 전력값과 실험적으로 확인된 특정 임계값(threshold)을 비교하여 해당 경로의 송신 상태를 파악하고, 그 상태를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반영하여 송신 상태가 이상(abnormal)인 FA 및 섹터로의 호 할당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저전력에 의한 호 단절이나 감도 불량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단말기의 호처리 요구를 공중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공중전화 교환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에 전송하여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어국과, 상기 제어국의 호전송 요구를 이동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호처리 요구를 수신하는 기지국과, 이동하거나 또는 특정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 정지하는 중 운용되고, 상기 기지국의 포괄영역 내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는 이동단말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자 자신의 이동단말기를 가지고 기지국의 포괄영역 이내에 있으면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면, 제어국은 기지국을 제어하여 파악한 가입자의 이동단말기 정보를 교환기로 전송한다. 그래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음성정보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다른 통신망과 연결시켜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하였다. 그리고 운용자는 제어국과 기지국의 제어 및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BCPA(BTS Control Processor Assembly) 보드와, MCCA(Modulation and demodulation Channel Card Assembly) 보드 및 각종 보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특정 FA나 섹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경로로 호 할당을 못하도록 CDMA 채널 리스트(List)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때 상기 자동 변경 기능 요소가 모두 양호하더라도 CDMA 채널 리스트중 송신 전력(Tx Power)이 미약하여 감도가 약하거나 심할 경우에는 호가 단절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감도 불량이나 호 단절에 의한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송신 전력값을 수시로 감지하고 비교하여, 만일 송신 전력값이 일정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리스트로는 호 할당이 수행되지 않도록 리스트를 삭제함으로써, 감도 불량이나 호 단절에 의한 이용자들의 불만을 사전에 예방할 수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Tx Power) 측정을 통해 송신 상태를 체크하고 그 상태에 따라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저전력에 의한 호 단절이나 감도 불량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차단 방법은,
상태블럭(BBSM)에서 송신 상태를 파악할 임계값(threshold)을 설정하고,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송신 이상(abnormal)을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이상 추가 후, 상기 상태블럭에서 주기적으로 진단블럭(BBDM)으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 후, 진단블럭으로부터 측정된 전력값이 보고되면 상기 송신 전력값과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송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송신 이상 상태이면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의해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할당을 차단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진단 블럭에서 기지국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기적인 송신 상태 확인 및 호 할당 차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지국 출력 측정부
110 ..... BSM(Base Station Manager)
120 ..... BIN(BTS Interconnection Network)
130 ..... BCPA(BTS Control Processor Assembly)
140 ..... BTU(BTS Test Unit)
200 ..... 기지국 최종 출력부
210 ..... LPA(Linear Power Amplifier)
220 ..... FEU(Front End Unit)
230 ..... 안테나(ANT)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진단블럭에서 기지국 출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M(Base Station Manager)(110), BIN(BTS Interconnection Network)(120), BCPA(BTS Control Processor Assembly)(130), BTU(BTS Test Unit)(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지국 출력 측정부(100)와, LPA(Linear Power Amplifier)(210), FEU(Front End Unit)(220), 안테나(ANT)(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지국 최종 출력부(200)로 구성된다.
또한, 기지국을 제어하는 상기 BCPA(130)는 상태블럭을 나타내는 BBSM과 진단블럭을 나타내는 BBDM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BCPA는 하드웨어 보드이고, 상기 상태블럭(BBSM) 및 진단블럭(BBDM)은 상기 BCPA에 올라가는 AP 블럭이다.
이에 대한 동작 구성을 살펴보면, 기지국 출력 측정부(100)내에서 기지국의 상태 관리 및 진단하는 BSM(110)에서 기지국 출력 측정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보드인 BCPA(130)에서는 기지국 출력 실측부인 BTU(140)로 이 명령을 처리하고, 상기 BTU(140)은 상기 기지국 최종 출력부(200)내에서 안테나(230)로 나가는 출력값을커플링(coupling)해서 그 값을 알아내고, 상기 BCPA(13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BCPA(130)는 다시 상기 BSM(110)으로 보고하게 된다.
상기한 동작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은 BCPA(BTS Control Processor Assembly)의 상태블럭(BBSM)과 진단블럭(BBDM)을 이용한다.
즉, 상기 진단블럭에서 측정되는 기지국 출력값을 이용하여 상태블럭에서 송신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상태블럭의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 요소에 송신 이상(abnormal)을 추가하여 송신 이상이 발생한 FA 및 섹터로는 호 할당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진단블럭(BBDM)은 주기적으로 송신 전력을 측정하여 상태블럭(BBSM)으로 그 결과를 보고한다.
이때, 상기 상태블럭에서는 송신 상태를 파악할 임계값(threshold)을 갖고 있다가 상기 진단블럭에서 올라오는 송신 전력값과 비교하고, 또한 상기 상태블럭에서는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송신 이상(abnormal)을 추가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태블럭에서는 주기적으로 진단블럭으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하게 되고, 상기 진단블럭에서 보고된 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송신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만일 송신 이상 상태이면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의해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할당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실제 기지국의 출력을 측정하는 하드웨어는 BTU이고, 상기 BTU 내부의 CPU(미도시)와 BCPA간의 통신을 통해 송신 전력값을 알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되는 값은 안테나로 출력되는 값을 커플링(coupling)한 값이기 때문에 실제 에어(air)로 나가는 값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블럭에서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데에는 RF 특성상 많은 시간(수초)이 걸리고 또한 진단블럭은 송신 전력 측정 이외의 기능도 갖고 있기 때문에 상태블럭에서는 송신 전력 측정 주기를 충분히 길게 설정한다.
상기 상태블럭에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하더라도 진단블럭이 다른 기능을 수행 중이라면 그 주기는 스킵(skip)(reason 발생)하고, 반대로 상기 진단블럭이 송신 전력 측정 기능을 수행 중에 다른 기능 요구가 들어오면 이 또한 그 주기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상태블럭에서는 임계값과 송신 전력 측정 주기를 알맞게 설정하여 송신 상태를 파악하고 그 상태로부터 불량한 FA 및 섹터로의 호 할당을 차단하여 호 단절이나 감도 불량과 같은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주기적인 송신 상태 확인 및 호 할당 차단 과정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기적인 송신 상태 확인 및 호 할당 차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Tx Power) 측정을 요구하는 단계(ST11)와, 상기 측정 요구 후, 진단블럭(BBDM) 기능 수행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T12)와,상기 체크결과 진단블럭이 기능 수행중일 경우, 또다른 기능 대기를 요구하고, 리즌 코드(reason code)가 발생하면 상기 송신 전력 측정을 재 요구하는 단계(ST13)(ST14)와, 상기 체크결과 진단블럭이 기능 수행중인 아닌 경우, 주기적으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ST15)하고, 상기 진단블럭으로부터 보고가 수신되면, 송신 전력값과 임의의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ST16)와, 상기 비교결과 송신 전력값이 임의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송신 정상(normal) 처리를 수행(ST17)하고, 상기 비교결과 송신 전력값이 임의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송신 이상(abnormal)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T18)와, 상기 송신 이상 처리 후,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을 호출하는 단계(ST19)와, 상기 호출 후, 해당 서브셀을 블럭화(Subcell Block)하는 단계(ST2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진단블럭(BBDM)은 주기적으로 송신 전력을 측정하여 상태블럭(BBSM)으로 그 결과를 보고하는데, 이때, 상기 상태블럭에서는 송신 상태를 파악할 임계값(threshold)을 갖고 있다가 상기 진단블럭에서 올라오는 송신 전력값과 비교하고, 또한 상기 상태블럭에서는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송신 이상(abnormal)을 추가한다.
상기 상태블럭에서는 주기적으로 진단블럭으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하게 되고, 상기 진단블럭에서 보고된 값과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송신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만일, 송신 이상 상태이면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의해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할당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태블럭에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하더라도 진단블럭이 다른 기능을 수행 중이라면 그 주기는 스킵(skip)(reason 발생)하고, 반대로 상기 진단블럭이 송신 전력 측정 기능을 수행 중에 다른 기능 요구가 들어오면 이 또한 그 주기가 끝날 때까지 대기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Tx Power) 측정을 통해 송신 상태를 체크하고 그 상태에 따라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저전력에 의한 호 단절이나 송/수신 감도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을 통해 송신 전력값을 수시로 감지 및 비교하고, 만일 송신 전력값이 일정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리스트로는 호 할당이 수행되지 않도록 리스트를 삭제함으로써, 감도 불량이나 호 단절에 의한 이용자들의 불만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차단 방법에 있어서,상태블럭(BBSM)에서 송신 상태를 파악할 임계값(threshold)을 설정하고,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송신 이상(abnormal)을 추가하는 단계와;상기 송신 이상 추가 후, 상기 상태블럭에서 주기적으로 진단블럭(BBDM)으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하는 단계와;상기 요구 후, 진단블럭으로부터 측정된 전력값이 보고되면 상기 송신 전력값과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송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상기 확인결과 송신 이상 상태이면 CDMA 채널 리스트 자동 변경 기능에 의해 해당 FA 및 섹터로의 호 할당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블럭에서 송신 전력 측정을 요구하더라도 진단블럭이 다른 기능을 수행 중일 경우에는 그 주기를 스킵(skip)하고, 상기 진단블럭이 송신 전력 측정 기능 수행 중에 다른 기능 요구가 들어오면 그 주기가 끝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FA 및 섹터로의 호 설정 차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7164A KR20040038275A (ko) | 2002-10-31 | 2002-10-31 |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에프에이 및 섹터로의 호설정 차단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67164A KR20040038275A (ko) | 2002-10-31 | 2002-10-31 |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에프에이 및 섹터로의 호설정 차단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8275A true KR20040038275A (ko) | 2004-05-08 |
Family
ID=3733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67164A KR20040038275A (ko) | 2002-10-31 | 2002-10-31 |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에프에이 및 섹터로의 호설정 차단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3827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250B1 (ko) * | 2004-05-14 | 2007-09-05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낮은 배터리와 신호 상실 상태에 따른 이동국용 네트워크 자원의 급속 해제 방법,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및 이동국 |
-
2002
- 2002-10-31 KR KR1020020067164A patent/KR200400382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250B1 (ko) * | 2004-05-14 | 2007-09-05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낮은 배터리와 신호 상실 상태에 따른 이동국용 네트워크 자원의 급속 해제 방법,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및 이동국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56896B2 (en) | High accuracy receiver forward and reflected path test injection circuit | |
KR100330809B1 (ko) | 소프트 핸드오프 상태의 트래픽 채널을 재할당하는 장치및무선 네트워크 및 방법 | |
KR100222001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무선 수신 경로 중 내부 시스템에 대한 이상 유무 진단 방법 | |
KR100433899B1 (ko) |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 |
US6885640B2 (en) | Method for measuring operation of cellular radio system, and cellular radio system | |
US6532221B1 (en) | Handoff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 |
WO2018171282A1 (zh) | 分布式天线系统远端机及其上行信号链路检测方法、装置 | |
US674164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turn loss of an antenna | |
US5898921A (en) | Monitoring of the operation of a subscriber unit | |
TWI356644B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etermination of i | |
CN1964562A (zh) | 用于从wcdma网络切换到cdma网络的移动通信终端及其方法 | |
US676871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assisted detection of a transmission fault on the abis interfac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 |
KR20040038275A (ko) | 송신 전력 측정을 이용한 특정 에프에이 및 섹터로의 호설정 차단 방법 | |
CA2549362C (en) | System for testing subscriber lines and method thereof | |
KR100266859B1 (ko) | 기지국시험기와 시험단말기을 이용한 원격호 제어방법 | |
KR101075699B1 (ko) |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 | |
KR20000052156A (ko) |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체점검 방법 | |
JP2002246978A (ja) | 無線装置およびその受信故障検出方法 | |
KR100340002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리스트 자동변경 장치 및 방법 | |
KR100231160B1 (ko) | 이동단말기에서 자동 위치 등록 방법 | |
JP2003169006A (ja) |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 |
KR100262821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정합부의 데이터송신 제어장치 | |
KR100529762B1 (ko) | 무선 이동통신망에서의 광결합기 출력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 |
KR100834613B1 (ko) | 기지국에서 송신 출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KR0135963B1 (ko) |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휴대장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31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4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