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35064A - 휴대폰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064A
KR20040035064A KR1020020063788A KR20020063788A KR20040035064A KR 20040035064 A KR20040035064 A KR 20040035064A KR 1020020063788 A KR1020020063788 A KR 1020020063788A KR 20020063788 A KR20020063788 A KR 20020063788A KR 20040035064 A KR20040035064 A KR 20040035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rotary cam
hill
cam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평우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주식회사 엠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주식회사 엠솔테크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02006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5064A/ko
Publication of KR2004003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0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작은 개폐각도로 휴대폰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는 고정편(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방향으로 샤프트(26)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캠(20);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되는 회전캠(30);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되어 샤프트(26)의 단부와 결합되는 슬리브(40); 및 상기 회전캠(30)과 슬리브(40)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50)으로 구성되는 휴대폰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30)은 상기 고정편(21)의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되는 제 1 회전캠(31); 및 상기 제 1 회전캠(31)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회전캠(3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힌지구조{HINGE UNIT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록힌지는 심플하고 고장이 적으면서도 각도조절이 용이하여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의 개폐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 및 모양을 달리하여 여려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휴대폰 힌지구조는 크게 클릭 힌지(CLICK HINGE) 타입과 프리스탑 힌지(FREE-STOP HINGE)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클릭힌지 타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 및 회전캠의 대응구조를 이용하여 휴대폰(10)의 커버(12)를 소정의 각도(대부분 30도)까지 열어주면 150도 지점까지 한 번에 열려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에 반해, 도 2에 도시된 프리스탑 힌지 타입은 상기에서 언급한 클릭 힌지 타입과 그 구조가 거의 유사하나, 캠선도가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10)의 커버(12) 개방각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리스탑 힌지구조는 휴대폰(10)의 커버(12) 개방각도가 최소한 90도 이상은 되어야지 전화 통화 및 메세지 확인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90도까지 프리스탑으로 개방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그 개방각도까지 직접 개방해야 하므로 사용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작은 개폐각도로 휴대폰을 개방할 수 있는 휴대폰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방향으로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캠; 상기 샤프트상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단부와 결합된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일측으로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휴대폰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상기 샤프트상에 설치된 제 1 회전캠; 및 상기 제 1 회전캠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된 제 2 회전캠으로 이루어지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클릭 타입의 힌지구조를 가진 휴대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프리스탑 타입의 힌지구조를 가진 휴대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의 일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회전캠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회전캠의 일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회전캠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의 일시예와 제 1 회전캠의 일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닫힘상태에서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20도까지 휴대폰의 수동동작 개방상태에서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150도까지 휴대폰의 자동동작 개방상태에서 휴대폰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20도까지 휴대폰의 수동동작 닫힘상태에서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11 : 휴대폰 몸체
12 : 커버 20 : 고정캠
21 : 고정편 22 : 언덕부
23 : 경사부 24 : 함몰부
25 : 돌출부 26 : 샤프트
27 : 걸림체 28 : 결합돌기
30 : 회전캠 31 : 제 1 회전캠
32 : 함몰부 33 : 돌출부
34 : 언덕부 35 : 경사부
36 : 제 2 회전캠 37 : 스프링지지부
40 : 슬리브 41 : 걸림턱
43 : 결합홈 50 : 스프링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고정편(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방향으로 샤프트(26)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캠(20);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되는 회전캠(30);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되어 샤프트(26)의 단부와 결합되는 슬리브(40); 및 상기 회전캠(30)과 슬리브(40)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50)으로 구성되는 휴대폰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30)은 상기 고정편(21)의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되는 제 1 회전캠(31); 및 상기 제 1 회전캠(31)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5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회전캠(3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고정캠(20)은 내구성, 내부품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기존의 고정캠(20)과 샤프트(26)를 조립하는 과정이 없앨 수 있어 전체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26)는 단부에 걸림체(27)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체(27)는 외주면상에 복수개의 결합돌기(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21)은 일측에 상호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22)를 형성하며, 상기 언덕부(22) 사이에 경사부(23)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언덕부(22)는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22)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22)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인 고정편(21)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상기 고정편(21)은 일측에 상호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까지 함몰부(24)를 형성하며, 상기 함몰부(24)에 사이에 돌출부(25)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24)는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22)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22)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캠(31) 일측면은 상기 고정편(21)의 언덕부(22) 및 경사부(23)와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함몰부(3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함몰부(32) 사이에 돌출부(33)가 형성되고, 제 1 회전캠(31)의 타측면은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일측면과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3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언덕부(34) 사이에 경사부(35)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시예인 제 1 회전캠(31)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상기 제 1 회전캠(31) 일측면은 상기 고정편(21)의 함몰부(24) 및 돌출부(25)와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3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언덕부(34) 사이에 경사부(35)가 형성되고, 제 1 회전캠(31)의 타측면은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일측면과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3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언덕부(34) 사이에 경사부(3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32)는 상기 제 1 회전캠(31)의 중심점(A)과 함몰부(32)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함몰부(32)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언덕부(34)는 상기 제 1 회전캠(31)의 중심점(A)과 언덕부(34)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34)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캠(36)은 일측에 스프링지지부(37)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호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까지 함몰부(32)를 형성하며, 상기 함몰부(32)에 사이에 돌출부(33)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32)는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중심점(A)과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중심점(A)과 상점(D)의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40)는 일측에 상기 걸림체(27)와 결합되는 걸림턱(4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1)에는 상기 결합돌기(28)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40)는 힌지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스프링(5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력적인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고정캠(20)의 샤프트(26)와 결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힌지구조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캠(20)의 샤프트(26)에 상기 제 1 회전캠(31), 제 2 회전캠(36), 스프링(50), 및 슬리브(40)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먼저, 상기 고점캠(20)의 고정편(21) 일측면과 제 1 회전캠(31) 일측면이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 1 회전캠(31)이 상기 샤프트(26) 내에 설치된다.
다음, 상기 제 1 회전캠(31) 타측면과 제 2 회전캠(36) 일측면이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 2 회전캠(36)이 상기 샤프트(26) 내에 적층되어 설치된다.
그 다음, 상기 스프링(50)이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스프링지지부(37)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샤프트(26) 내에 적층되어 설치된다.
그 다음, 상기 슬리브(40)의 결합홈(43)과 상기 샤프트(26)의 걸림체(27) 외주면상에 복수개의 결합돌기(28)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40)와 상기 샤프트(26)가 상호 맞대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힌지구조가 설치된 휴대폰 커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휴대폰 힌지구조는 휴대폰 몸체(11)와 커버(12)를 연결하여 상기 휴대폰 몸체(11) 일측에 상기 커버(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닫힘상태에서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힌지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 즉, 휴대폰(10)의 커버(12)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고정캠(20)의 언덕부(22)가 상기 제 1 회전캠(31)의 함몰부(32)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회전캠(31)의 언덕부(34)가 상기 제 2 회전캠(36)의 함몰부(32)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스프링지지부(37)상에 스프링(50) 탄성력에 의해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20도까지 휴대폰의 수동동작 개방상태에서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힌지가 정방향으로 10 ~ 20도까지 회전한 상태 즉,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휴대폰(10)의 커버(12)를 10 ~ 20도까지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고정캠(20)의 언덕부(22)가 상기 제 1 회전캠(31)의 함몰부(32)에 위치됨과아울러 상기 제 2 회전캠(36)의 돌출부(33)가 상기 제 1 회전캠(31)의 경사부(35)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스프링지지부(37)와 상기 슬리브(4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50)이 압축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150도까지 휴대폰의 자동동작 개방상태에서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힌지가 180도까지 회전한 상태 즉, 스프링(50)이 탄력적으로 유동되면서 고정캠(20)의 언덕부(22)가 상기 제 1 회전캠(31)의 함몰부(32)에 계속 위치되며, 상기 제 2 회전캠(36)의 돌출부(33)가 제 1 회전캠(31)의 언덕부(34)를 넘게 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부(35)를 따라 한 번에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캠(31)은 상기 제 2 회전캠(36)에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캠(31)과 상기 제 2 회전캠(36) 사이에 유격은 힌지의 회전을 30도 만큼 보상하기 때문에, 회전캠(30)이 180도 회전하여도 휴대폰(10)의 커버(12)가 150도 만큼만 회동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20도까지 휴대폰의 수동동작 닫힘상태에서 휴대폰 힌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힌지가 역방향으로 10 ~ 20도까지 회전한 상태 즉,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휴대폰(10)의 커버(12)를 역방향으로 10 ~ 20도까지 닫음으로써 상기 제 1 회전캠(31)의 돌출부(33)가 고정캠(20)의 언덕부(22) 상단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회전캠(31)의 언덕부(34)가 상기 제 2 회전캠(36)의 함몰부(32) 위치되며,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스프링지지부(37)상에 스프링(50)이압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회전캠(31)의 언덕부(34)가 제 2 회전캠(36)의 함몰부(32)에 위치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50)이 탄력적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제 1 회전캠(31)의 돌출부(33)가 고정캠(20)의 언덕부(22) 상단을 넘게 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부(35)를 따라 한 번에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회전캠(3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최초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의 일시예와 제 1 회전캠의 일시예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상기한 실시예와 그 조립과정 및 작동상태가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휴대폰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 본 발명은, 단순히 휴대폰 힌지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기기, 사무기기, 가정용 전기기기의 힌지 등 그 기술적 용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정캠, 회전캠, 슬리브 및 스프링으로 구성된 휴대폰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폰 몸체와 커버 사이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상기 휴대폰 몸체 일측에 커버를 10 ~ 20도 사이각으로 회동하여도 휴대폰 몸체에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Claims (9)

  1. 일측에는 고정편(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장방향으로 샤프트(26)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캠(20);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되어 샤프트(26)의 단부와 결합된 슬리브(40); 및
    상기 슬리브(40)의 일측으로 설치된 스프링(50)으로 구성된 휴대폰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21)의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상기 샤프트(26)상에 설치된 제 1 회전캠(31); 및
    상기 제 1 회전캠(31) 일측면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50)의 일측에 설치된 제 2 회전캠(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21)은 일측에 상호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22)를 형성하며, 상기 언덕부(22) 사이에 경사부(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캠(31) 일측면은 상기 고정편(21)의 언덕부(22) 및경사부(23)와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함몰부(3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함몰부(32) 사이에 돌출부(33)가 형성되고, 제 1 회전캠(31)의 타측면은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일측면과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3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언덕부(34) 사이에 경사부(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21)은 일측에 상호 대칭되게 소정의 각도까지 함몰부(24)를 형성하며, 상기 함몰부(24)에 사이에 돌출부(2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캠(31) 일측면은 상기 고정편(21)의 함몰부(24) 및 돌출부(25)와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3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언덕부(34) 사이에 경사부(35)가 형성되고, 제 1 회전캠(31)의 타측면은 상기 제 2 회전캠(36)의 일측면과 상호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소정의 각도까지 언덕부(34)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언덕부(34) 사이에 경사부(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덕부(22)는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22)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22)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24)는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함몰부(24)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함몰부(24)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덕부(34)는 상기 제 1 회전캠(31)의 중심점(A)과 언덕부(34)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언덕부(34)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32)는 상기 제 1 회전캠(31)의 중심점(A)과 함몰부(32)의 시작점(B)을 연결하는 선(C)과, 상기 고정편(21)의 중심점(A)과 상기 함몰부(32)의 상점(D)에 수직점(E)을 연결하는 선(F)의 사이각(θ)이 다음식 0 < θ ≤ 2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힌지구조.
KR1020020063788A 2002-10-18 2002-10-18 휴대폰 힌지구조 KR20040035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788A KR20040035064A (ko) 2002-10-18 2002-10-18 휴대폰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788A KR20040035064A (ko) 2002-10-18 2002-10-18 휴대폰 힌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121U Division KR200301198Y1 (ko) 2002-10-18 2002-10-18 휴대폰 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064A true KR20040035064A (ko) 2004-04-29

Family

ID=3733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788A KR20040035064A (ko) 2002-10-18 2002-10-18 휴대폰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506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54B1 (ko) * 2002-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9537B1 (ko) * 2005-03-21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33206B1 (ko) * 2005-09-27 2007-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KR100796945B1 (ko) * 2007-03-12 2008-01-22 (주)제이엠씨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WO2009116809A2 (ko) * 2008-03-18 2009-09-24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EP2184905A1 (en) * 2008-11-07 2010-05-12 HTC Corporation Multi-stage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2168716A (zh) * 2010-02-25 2011-08-31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多段式铰链总成及包含该总成的可携式电子装置
CN101737414B (zh) * 2008-11-13 2012-05-30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多段式铰链总成及包含该总成的可携式电子装置
CN101825137B (zh) * 2009-03-05 2012-09-0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多段式铰链总成及包含该总成的可携式电子装置
US8286307B2 (en) 2009-03-02 2012-10-16 Htc Corporation Multi-stage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630A (ja) * 1997-10-08 1999-04-2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ヒンジ装置
KR20020002210A (ko) * 2000-06-30 2002-01-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KR20020059785A (ko) * 2000-09-29 2002-07-13 이마이 가쓰야 힌지 장치
WO2002077472A1 (fr) * 2001-03-22 2002-10-03 Nifco Inc. Structure de charniere dotee d'un actionneur rotati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630A (ja) * 1997-10-08 1999-04-2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ヒンジ装置
KR20020002210A (ko) * 2000-06-30 2002-01-0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KR20020059785A (ko) * 2000-09-29 2002-07-13 이마이 가쓰야 힌지 장치
WO2002077472A1 (fr) * 2001-03-22 2002-10-03 Nifco Inc. Structure de charniere dotee d'un actionneur rotatif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54B1 (ko) * 2002-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9537B1 (ko) * 2005-03-21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33206B1 (ko) * 2005-09-27 2007-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KR100796945B1 (ko) * 2007-03-12 2008-01-22 (주)제이엠씨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WO2009116809A2 (ko) * 2008-03-18 2009-09-24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WO2009116809A3 (ko) * 2008-03-18 2009-11-12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EP2184905A1 (en) * 2008-11-07 2010-05-12 HTC Corporation Multi-stage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7952858B2 (en) 2008-11-07 2011-05-31 Htc Corporation Multi-stage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1737414B (zh) * 2008-11-13 2012-05-30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多段式铰链总成及包含该总成的可携式电子装置
US8286307B2 (en) 2009-03-02 2012-10-16 Htc Corporation Multi-stage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I395883B (zh) * 2009-03-02 2013-05-11 Htc Corp 多段式絞鏈總成及包含該總成之可攜式電子裝置
CN101825137B (zh) * 2009-03-05 2012-09-0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多段式铰链总成及包含该总成的可携式电子装置
CN102168716A (zh) * 2010-02-25 2011-08-31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多段式铰链总成及包含该总成的可携式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0435B2 (en) Locking apparatus of swing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647674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439610Y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US7913358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078062A1 (en) Swivel hing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100239B2 (en) Hinge assembly
US8432677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299523B2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AU2004240140B8 (en) Rota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50172454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256958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035064A (ko) 휴대폰 힌지구조
US20100050384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565717B2 (en) Hinge assembly
US8056186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493102B1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107648B1 (en) Hinge
US20060079303A1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KR200301198Y1 (ko) 휴대폰 힌지구조
US7404235B2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60123596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254504Y1 (ko) 휴대폰의 힌지구조
KR200261269Y1 (ko) 휴대폰의 클릭·프리스탑 힌지구조
KR100374969B1 (ko) 휴대폰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