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9522A -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522A
KR20040029522A KR1020020059817A KR20020059817A KR20040029522A KR 20040029522 A KR20040029522 A KR 20040029522A KR 1020020059817 A KR1020020059817 A KR 1020020059817A KR 20020059817 A KR20020059817 A KR 20020059817A KR 20040029522 A KR20040029522 A KR 2004002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cutting
sheet
sealing
plastic 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래옥
최재호
이세종
박종열
박우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덕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덕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덕기계
Priority to KR102002005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9522A/ko
Publication of KR2004002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52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16Cutt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0/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 B31B2150/1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the longitudinal axes of the containers being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ets or blanks are f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31B2160/106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btained from sheets cut from larger sheets or webs before finishing the bag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시트를 융착 및 절단하여 비닐 포장백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백의 측부에 형성된 실링부위가 잘 터지는 점을 보완하여, 튼튼한 포장백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합성수지 시트를 두겹으로 겹쳐서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과, 상기 원단공급공정 후 공급되는 상기 시트의 측면 개방부에 소정 폭을 갖는 제1실링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측면융착공정과, 상기 측면융착공정 후 상기 시트에 횡방향의 제2실링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횡방향융착공정과, 상기 횡방향융착공정 후 상기 제2실링부의 일측을 커팅하는 절단공정을 포함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포장백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과정이나 기타 취급과정에서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많은 량의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Vinyl- bag}
본 발명은 합성수지 시트를 융착 및 절단하여 비닐 포장백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백의 측부에 형성된 실링부위가 잘 터지는 점을 보완하여, 튼튼한 포장백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 포장백은 내부에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기밀성이 뛰어나 냄새가 심하거나 누설되기 쉬운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6은 종래의 포장백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7a,b는 도 6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융착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절단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닐 포장백은 합성수지 시트(100)를 반으로 접어서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S10)과, 공급되는 시트(100)에 횡방향으로 실링부(130)를 형성하는 융착공정(S20)과, 상기 실링부(130)의 중심부분을 커팅하는 절단공정(S30)을 통해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포장백은 입구의 양측으로 실링부가 구비되되, 상기 실링부는 절단공정을 통해 양분되어 그 폭이 감소되므로, 포장백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과정이나 기타 취급과정에서 양측의 실링부위가 쉽게 터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종래에는 상기 실링부를 히터를 이용한 직접가열방식으로 융착하여 왔으므로, 융착부위에 과열로 인한 열변형의 우려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형성가능한실링부의 폭이 제한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백의 측부에 형성된 실링부위가 잘 터지는 점을 보완하여, 튼튼한 포장백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의 개방부측에 형성되는 융착부위의 끝단을 잘라내어 깔금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 시트를 두겹으로 겹쳐서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과, 상기 원단공급공정 후 공급되는 상기 시트의 측면 개방부에 소정 폭을 갖는 제1실링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측면융착공정과, 상기 측면융착공정 후 상기 시트에 횡방향의 제2실링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횡방향융착공정과, 상기 횡방향융착공정 후 상기 제2실링부의 일측을 커팅하는 절단공정을 포함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부와 이로부터 공급되는 두겹의 합성수지 시트를 횡방향으로 융착하는 융착부를 포함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와 융착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개방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측을 광폭으로 융착하는 밴드실러를 더 포함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2a,b,c는 도 1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측면융착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횡방향융착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c는 절단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a,b,c는 도 4에 따른 것으로,
도 5a는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5b는 밴드실러를 나타낸 개략도.
도 5c는 사이드커팅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포장백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7a,b는 도 6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융착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절단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급부
11 : 가이드롤러 12 : 이송롤러
13 : 접음판
20 : 공급조절부
30 : 밴드실러
31 : 구동롤러 32 : 아이들롤러
33 : 밴드 34 : 히터
40 : 융착부
50 : 냉각부
60 : 사이드커팅부
61 : 지지대 62 : 고정축
63 : 커터 64 : 핸들
65 : 가이드롤러
70 : 커팅부
100 : 시트
110 : 제1실링부 120 : 제2실링부
130 : 실링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한 도 2a,b,c는 도 1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측면융착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횡방향융착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절단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은 합성수지 시트(100)를 두겹으로 겹쳐서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S1)과, 상기 원단공급공정(S1) 후 공급되는 상기 시트(100)의 측면 개방부에 소정 폭을 갖는 제1실링부(110)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측면융착공정(S2)과, 상기 측면융착공정(S2) 후 상기 시트(100)에 횡방향의 제2실링부(120)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횡방향융착공정(S3)과, 상기 횡방향융착공정(S3) 후 상기 제2실링부(120)의 일측을 커팅하는 절단공정(S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면융착공정(S2)에서는 시트(100)의 진행방향에 따라 그 측면 개방부를 연속적으로 융착할 수 있으며, 밴드를 이용한 간접가열방식으로 상술한 직접가열방식에 비하여 광폭의 실링부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밴드실러(band sealer)를 사용한다. 상기 밴드실러는 포장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지의 장치로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S4)에서는 커터를 이용하여 시트(100)상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2실링부(120)의 일측을 커팅함으로써, 입구의 일측면과 밑면은 광폭의 제1실링부(110)와 제2실링부(120)에 의해 견고하게 폐쇄된 포장백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백 제조공정은 합성수지 시트를 두겹으로 겹쳐서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S1)과, 상기 원단공급공정(S1) 후 공급되는 상기 시트의 측면 개방부에 소정 폭을 갖는 제1실링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측면융착공정(S2)과, 상기 측면융착공정(S2) 후 상기 시트에 횡방향의 제2실링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횡방향융착공정(S3)과, 상기 횡방향융착공정(S3) 후 상기 제2실링부의 일측을 커팅하는 절단공정(S4)을 포함하는 포장백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측면융착공정(S2) 후 상기 제1실링부의 끝단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공정(S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포장백의 측면은 사용중 인체와 많이 접촉되는 부위이며, 특히 가열에 의해 융착된 실링부위는 그 끝단이 거칠게 마련이므로, 시트가 진행함에 따라 커터를 이용하여 제1실링부의 끝단을 연속적으로 잘라내는 트리밍공정을 통해 깔끔한 마무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 시트를 두겹으로 접어서 공급하는 공급부(10)와, 이로부터 공급되는 합성수지 시트를 횡방향으로 융착하는 융착부(40)를 포함하는 통상의 비닐 포장백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와 융착부(4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개방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측을 광폭으로 융착하는 밴드실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10)와 밴드실러(30)의 사이에는 다수의 댄싱롤로 구성되어 시트의 진행 및 정지를 조절하는 공급조절부(20)가 구비되고, 융착부(40)의 다음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커터가 구비되어 시트상에 횡방향으로 융착된 실링부의 일측을 절단하는 커팅부(70)가 구비되며, 상기 융착부(40)와 커팅부(70)의 사이에는 냉매가 통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되어 시트상의 융착부위를 식혀주는 냉각부(50)가 구비된다. 이는 산업에서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70)의 전방에는 밴드실러(30)를 통과한 시트상의 실링부 끝단을 잘라내는 사이드커팅부(60)가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5c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b,c는 도 4에 따른 것으로, 도 5a는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는 권취롤에서 인출되는 시트(100)의 흐름을 가이드해주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1)와, 상기 시트(100)를 반으로 접어주는 역삼각형의 접음판(13)과, 모터(M)에 의해 구동되며 접혀진 시트를 일정하게 당겨주는 이송롤러(12)를 포함하는 공지의 공급장치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힌 시트를 공급조절부(20)로 일정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b는 밴드실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실러(30)는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구동롤러(31)와 아이들롤러(32) 및 그 외측에 감겨 회전하는 밴드(33)로 구성되며, 상기 밴드(33)는 상,하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로 시트(10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31)와 아이들롤러(32)의 사이에는 상,하로 승강되는 히터(34)가 구비되어 회전하는 밴드(33)와 접촉하여 이를 1차적으로 가열하게 되며, 상기 밴드(33)는 공급되는 시트(100)를 상,하측에서 동시에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융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조절부(20)로부터 두겹으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시트(100)의 개방측으로 밴드(33)의 폭에 대응하는 광폭의 실링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c는 사이드커팅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커팅부(60)는 지지판(61)의 사이에 설치된 고정축(62)과, 상기 고정축(62)상에 회전자유롭게 구비되는 커터(63)와, 상기 커터(63)에 나선결합하여 그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핸들(64)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실러(30)의 후방으로 커팅부(70)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61)의 사이에는 고정축(62)의 하측으로 상기 밴드실러를 통과한 시트(100)를 가이드해주는 다수의 가이드롤러(6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64)을 조절하여 커터(63)를 가이드롤러(65)상에 위치시킨 후 고정함으로써, 그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100)의 일측에 형성된 실링부 끝단을 연속적으로 잘라내어 깔끔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백의 측부에 형성된 실링부위가 잘 터지는 점을 보완하여 튼튼한 포장백을 제공함으로써, 포장백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과정이나 기타 취급과정에서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많은 량의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시트의 개방부측에 형성된 실링부의 끝단을 잘라내어 깔끔하게 마무리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포장백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합성수지 시트(100)를 두겹으로 겹쳐서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단공급공정(S1)과;
    상기 원단공급공정(S1) 후 공급되는 상기 시트(100)의 측면 개방부에 소정 폭을 갖는 제1실링부(110)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측면융착공정(S2)과;
    상기 측면융착공정(S2) 후 상기 시트(100)에 횡방향의 제2실링부(120)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횡방향융착공정(S3)과;
    상기 횡방향융착공정(S3) 후 상기 제2실링부(120)의 일측을 커팅하는 절단공정(S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융착공정(S2) 후,
    상기 제1실링부(110)의 끝단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공정(S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3. 공급부(10)와, 이로부터 공급되는 두겹의 합성수지 시트(100)를 횡방향으로 융착하는 융착부(40)를 포함하는 비닐포장백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와 융착부(4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100)의 개방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측을 광폭으로 융착하는 밴드실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실러(30)의 후방에 설치되며, 고정축(62)상에 회전자유롭게 구비되는 커터(63)와 상기 커터(63)에 나선결합하여 그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핸들(64)로 구성되는 사이드커팅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포장백 제조장치.
KR1020020059817A 2002-10-01 2002-10-01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 Ceased KR20040029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17A KR20040029522A (ko) 2002-10-01 2002-10-01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17A KR20040029522A (ko) 2002-10-01 2002-10-01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374U Division KR200299193Y1 (ko) 2002-10-01 2002-10-01 비닐 포장백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522A true KR20040029522A (ko) 2004-04-08

Family

ID=3733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817A Ceased KR20040029522A (ko) 2002-10-01 2002-10-01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952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08B1 (ko) * 2009-08-03 2010-02-22 서광묵 비닐백의 제조방법
KR101050716B1 (ko) * 2011-05-09 2011-07-20 (주)태기산자 단열용 메탈 박판시트의 접합장치
WO2012087079A3 (ko) * 2010-12-24 2012-09-27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부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KR20140140447A (ko) * 2013-05-29 2014-12-09 조은팩 (주) 포장용기 제조장치,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포장용기
KR20240134444A (ko) * 2023-03-02 2024-09-10 (주)알파화학 가스배출이 가능한 친환경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08B1 (ko) * 2009-08-03 2010-02-22 서광묵 비닐백의 제조방법
WO2012087079A3 (ko) * 2010-12-24 2012-09-27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부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KR101050716B1 (ko) * 2011-05-09 2011-07-20 (주)태기산자 단열용 메탈 박판시트의 접합장치
KR20140140447A (ko) * 2013-05-29 2014-12-09 조은팩 (주) 포장용기 제조장치, 포장용기 제조방법 및 포장용기
KR20240134444A (ko) * 2023-03-02 2024-09-10 (주)알파화학 가스배출이 가능한 친환경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4049B1 (en) Apparatus for making pneumatically filled packing cushions
US9242748B2 (en) Machine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ir-filled cushions
US8696848B2 (en) Inflation and sealing device for inflatable air cushions
US3283672A (en) Bag
EP2323908B1 (en) Apparatus for inflating and sealing packing cushions with rotary sealing mechanism
US20080000204A1 (en) Vacuum sealer apparatus and a film cartridge for a vacuum sealer and a means of operating the vacuum sealer and the film cartridge
JP2007269353A (ja) 縦シールテープシール機構、縦シール機構及び液体紙容器成形装置
KR20040029522A (ko) 비닐 포장백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99193Y1 (ko) 비닐 포장백 제조장치
JP4411618B2 (ja) ジッパー付き収納袋用中間連続体及び製造方法
KR100495495B1 (ko) 포장지 실링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지 실링방법
JP5046576B2 (ja) プラスチック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70989A (ja) 製袋機
US5993368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ipping pouches
KR200385535Y1 (ko) 봉합 영역을 갖는 봉투 제조 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봉투
JPH06278722A (ja) 包装装置用シール装置
JP2004292029A (ja) 包装充填機
JP3060177B1 (ja) ネット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17133A (ja) 確実に横シール部を形成可能な自動包装機械
JP2002019731A (ja) 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製袋包装装置
JP4549684B2 (ja) 多列スティックタイプ自動充填包装機における縦シール装置
KR20030094922A (ko) 순두부 자동포장장치
JPH07214666A (ja) 多層フィルム同士の溶着切断装置
JPH0331345B2 (ko)
JP2005153235A (ja) チャック付き包装用袋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