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9179A -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 회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179A
KR20040029179A KR10-2004-7003843A KR20047003843A KR20040029179A KR 20040029179 A KR20040029179 A KR 20040029179A KR 20047003843 A KR20047003843 A KR 20047003843A KR 20040029179 A KR20040029179 A KR 2004002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cking
lift
doo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851B1 (ko
Inventor
앙스트필립
데플라체스로메오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2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유닛 (14) 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에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몸체 (12), 그 구동 유닛 (14) 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16), 그 제어 유닛 (16) 에 접속되는 데이터 버스 (22), 그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폐쇄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11) 들, 케이지 부분에 그 엘리베이터 도어 (11) 들을 로킹하는 로킹 장치 (18) 들, 및 그 로킹 장치 (20) 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로킹 센서 (20) 들을 구비한다. 로킹 센서 (20) 들은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하여 제어 유닛 (16) 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 (16) 에 의해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하여 짧은 간격들로 반복적으로 로킹 센서 (20) 에 자동적으로 질의하여, 송신 동안에 데이터 버스를 통한 통신 간섭들 또는 송신 에러들을 검출할 수 있다. 로킹 센서 (20) 들 및 버스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로킹 센서 (20) 들의 상태를 폐쇄된 엘리베이터 도어들 및 개방된 엘리베이터 도어들의 조건으로 긴 간격들로 반복적으로 자동 질의하여, 제어 유닛 (14) 이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 회로 {SAFETY CIRCUIT FOR ELEVATOR DOORS}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도입부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리프트 시스템들은 소위 이중 도어 즉, 샤프트 도어뿐만 아니라 리프트 케이지에 배열되는 케이지 도어들을 가진다. 통상, 샤프트 도어들의 개폐는 케이지 또는 케이지 도어들에 의해 야기된다. 리프트 시스템들의 사용자들 및 그 리프트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빌딩의 방문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각각의 샤프트 및 케이지 도어들의 설정이 리프트 케이지의 위치에 대등하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 즉, 리프트 케이지가 지정된 승강장들 중 하나에서 즉, 층의 레벨에서 정지하는 경우에만 샤프트 및 케이지 도어들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샤프트 도어들의 위치 뿐만 아니라 케이지 도어들의 위치도 또한 모니터한다.
통상, 샤프트 도어들은 기계적 로킹 장치에 의해 폐쇄된 세팅으로 로크될 수 있다.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안전 컨택트들에 의해 샤프트 도어들의 세팅을 모니터하고; 이러한 안전 컨택트들은 기계적 로킹 장치들이 그들의 로킹 세팅 또는 언로킹 세팅을 채택하는 지를 검출한다. 안전 컨택트들은, 로킹 장치들이로킹 세팅에 위치되고 샤프트 도어들이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폐쇄된다. 안전 컨택트들은, 안전 컨택트들이 폐쇄되는 경우에만 차례로 폐쇄되는 안전 회로에 내장되어 있다. 안전 회로는, 안전 회로가 폐쇄되는 경우에만 정상 동작시에 리프트 케이지가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리프트 시스템의 드라이브와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 도어가 개방되고 그 로킹 장치가 언로킹 세팅에 있으면, 대응하는 안전 컨택트 및 안전 회로가 개방되어, 특정 제어 유닛 또는 인터럽트된 안전 회로를 통한 서비스 퍼스널 브리지를 제외하고는, 리프트 케이지는 어떤 상하방 이동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이하,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링 수단을 가지는 모든 리프트 시스템의 다양한 단점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 모든 경우에 있어서 안전 회로가 갖는 고유 문제점들로는 접속의 길이, 안전 회로에서의 전압 강하 및 비교적 높은 조립 비용이 있다.
- 안전 회로를 갖는 모니터링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불안전한 상황 또는 위험한 상황을 피할 수 없고; 한편으로, 안전 컨택트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통적으로 쉽고 용이하게 브리지할 수 있으나, 실제로 안전 대책들이 없는 것과 동일하며; 다른 한 편으로는, 개방된 샤프트 도어는 실제로 케이지의 이동을 방지하지만, 만일 케이지가 샤프트 도어에 위치되지 않으면, 개방된 샤프트 도어를 통하여 추락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된다.
- 예를 들어, 안전 회로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텔리전트 반응 또는 상황에 적절한 반응은, 모든 경우에서 케이지가 정지되어 있으므로 발생하지 않지만; 특히, 사람들이 의도하지 않게 리프트 케이지내에 트랩되는 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진단이 불가능한데 즉, 안전 회로가 개방된 경우, 하나 이상의 안전 컨택트, 및 하나 이상의 로킹 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 도어가 개방되도록는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 컨택트 또는 컨택트들이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없게 된다.
- 안전 컨택트들의 상태에 대한 표시가 없기 때문에, 예방적인 유지보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리프트 시스템을 미리 서비스하고, 리프트 시스템은주기적인 검사의 범위 내를 제외하고 적기의 시점에서 그리고 문제없이 셧 다운시킬 수 있는 시점에서 모된 안전 컨택트들을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많은 경우에 있어서, 그 기간에 리프트 시스템에서 본질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동작을 취할 수 있다. 개방된 안전 컨택트는 항상 리프트 시스템의 고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고장난 샤프트 부분에서는 이동을 하지 않는 또 다른 해결책이 가능하지만, 리프트의 이용가능성이 제한되게 된다.
만일 데이터 버스를 샤프트 도어들의 설정과 함께, 안전과 관계되는 데이터의 검출 또는 전송에 사용하면, 기능적으로 개선된 솔루션을 실제로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대응하는 데이터가 안전과 관련된 데이터이므로, 안전 버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 버스 및 특히 그 목적에 필요한 안전 버스 노드들은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표준화된 리프트 시스템용으로는 거의 고려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 도어들의 설정과 관련된 안전 대책들에 대하여, 한편으로 종래 기술의 결점들을 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적 경제적인, 도입부에서 설명한 종류의 개선된 리프트 시스템의 제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의 양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개선은 종속항 제 2 항 내지 제 10 항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은, 표준 데이터 버스를 가진 모니터링 시스템을 새롭게 구비한다. 이 데이터 버스를 의해, 샤프트 도어들의 설정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검출하거나 또는 전송한다. 안전 데이터 버스 대신에, 통상의 표준 버스 노드들을 가진 통상의 데이터 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데이터 버스는 리프트 시스템에서 어떤 프로세스 데이터의 전송용으로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일 수 있다. 이 목적에 요구되며 전송될 데이터의 안전 관련성으로 인해 실제로 요구되는 고가의 안전 버스 노드들을 포함하는 비교적 고가의 안전 데이터 버스의 사용은, 본질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안전 관련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절한 수단들을 사용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샤프트 도어 또는 그 로킹 장치의 상태 또는 세팅을 탐지하기 위하여, 로킹 센서는 각 샤프트 도어 또는 각 로킹 장치와 연관되어 있다. 로킹 센서는 탐지된 데이터를 제어 유닛 또는 모니터링 유닛으로 전송하는 종래의 데이터 버스와 접속되어 있다. 그 후, 제어 유닛 또는 모니터링 유닛은 탐지된 데이터를 평가한다. 이는 제어 유닛 또는 모니터링 유닛이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20 ㎳ 의 간격으로 로킹 센서들에 질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 또는 버스 노드들의 영역에서의 통신 중단을 매우 빠르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연관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각 로킹 센서는 주기적으로 또는 더 긴 시간 간격들로 예를 들어, 매 8 또는 24 시간 내에 한 번 테스트된다. 이를 위하여, 대응하는 샤프트 도어들을 개방한 후 다시 폐쇄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컨택트들을 작동(언로크/로크)시키고, 이때 제어 유닛 또는 모니터링 유닛으로 정확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관찰한다. 이 테스트는 샤프트 도어들의 개폐시의 정상 동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만일 8 또는 24 시간의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 한 층을 이동하지 않았으면, 테스트 목적을 위하여, 그 층으로의 테스트 이동을 제어 유닛에 의해 개시한다(필수 테스트). 모든 테스트의 실행은 제어 유닛에서 모니터링되고, 바람직하기로는 표에 기록된다.
조처럼 이동하지 않는 층들에 있어서, 로킹 센서 또는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는 안전지향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리프트 샤프트로부터 펜트하우스 등의 주거 유닛으로 직접 들어 갈 수 있기 때문에, 리프트 케이지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없는 층들에 특히 권장된다.
이하, "안전지향적"이라는 표현은, 사람들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관계되며 따라서 증가된 기능적 신뢰성으로 구성요소들로서 실행되는 제어 수단, 구동장치 등에 대해 사용된다. 이러한 "안전지향적"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여분의 데이터 검출, 데이터 송신 및 데이터 처리에 의하거나 및/또는 작동기에 의해 검출, 전송 및 처리되는 데이터의 소프트웨어 적합성 체킹에 의해, 및/또는 여분의 형태로존재하는 구동장치들에 의해 식별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로 필요한 경우에는, 로킹 센서들에 더하여, 샤프트 도어의 상태, 특히 샤프트 도어의 세팅을 검출하는 추가적인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단은 어떤 경우에 존재하는 데이터 버스에 의해 또는 안전 노드들을 포함한 부가적인 안전 버스가 제공된 안전지향 통합체에 의해, 샤프트 도어의 설정 또는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한다.
샤프트 도어들은 자기-폐쇄되도록, 즉 이들이 수동적으로 개방되어 유지되자 마자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킹 수단은 샤프트 도어가 폐쇄된 경우에 자기-폐쇄된다. 능동적인 로킹은 요구되지 않는다.
안전의 이유로, 샤프트 도어들을 로킹하는데 사용되는 로킹 장치들은, 이들이 리프트 케이지에 제공되는 케이지 도어에 의해서만 언로킹,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또는 이들이 특정 툴에 의해 언로킹되고, 수동으로 슬라이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 도어 및 이들의 로킹 장치의 상태는 이 샤프트 도어에 배열된 로킹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센서로서, 예를 들어 로킹 장치 컨택트, 마이크로스위치, 유도 센서, 용량 센서 또는 광학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리프트 시스템의 제어 유닛은, 하나 이상의 소정의 반응, 특히 고장의 인식 및 국부화, 서비스 호출의 개시, 리프트 케이지의 정지 또는 개방되어 있는 샤프트 도어를 인식하는 경우에 또 다른 상태 적응(situation-adapted) 반응의 수행을 위하여 로킹 센서들의 질의를 평가한다.
또한, 제어 유닛은 일부 데이터 패킷들의 평가에 의해 확인된 전송 에러들을 정정하기 위하여 로킹 센서들의 질의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샤프트 도어들의 모니터링에 더하여, 케이지 도어도 또한 모니터링하면, 리프트 시스템의 안전에 특히 유리하며; 그 결과, 한편으로 샤프트 도어들의 신호 및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지 도어의 신호의 동시 체킹에 의해, 샤프트 도어들 및/또는 샤프트 도어들의 로킹 센서들의 기능적인 능력에 대한 설명(statement)을 획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현저한 이점들을 나타낸다.
- 종래 모니터링 시스템의 안전 회로가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고유의 단점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이미 제공된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선 또는 조립 비용이 작게 된다.
- 리프트 시스템의 안전이 안전 시스템에서 안전 회로를 사용한 리프트 시스템과 비해 증가된다. 컨택트들의 브리징 오버 (bridging-over) 가 실제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능하지만, 이는 소정의 시간 이후에 인식되어 제거될 수 있다. 안전은, 예를 들어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서비스가 개시중인 경우에도 유지된다.
-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장이 즉시 국부화되고 원격지로 전송되기 때문에, 특정한 진단들이 가능하다.
- 센서들 특히 로킹 센서들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서비스가 가능하다.
- 리프트의 이용가능성이 증가한다.
또한, 리프트 시스템의 안전을 이하의 대책에 의해 증대시킬 수 있는데, 케이지 도어의 모니터링을 안전지향 방식으로 실현하여, 동시 체크의 취지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지 도어와 연관된 센서는, 접속된 데이터 버스 및 버스 노드들과 같이, 안전지향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형태의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크게 간략화되고 개략적인 예로서, 모니터링 시스템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낸 리프트 시스템 (10) 은 3 개의 층 (A, B 및 C) 을 서비스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샤프트 도어 (11) 는 각각의 층 (A, B, C) 에 존재한다. 샤프트 도어 (11) 는 리프트 샤프트를 분리하기 위해 기능하며, 여기서 케이지 도어를 가지는 리프트 케이지 (12) 는, 둘러싸인 공간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프트 케이지 (12) 의 이동은 구동 유닛 (14) 에 의해 수행되고, 제어 유닛 (16) 에 의해 제어된다. 원칙적으로, 샤프트 도어는, 리프트 케이지 (12) 가 대응하는 층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개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샤프트 도어는 리프트 케이지 (12) 의 케이지 도어 (13) 에 의해 제어되며, 이때 샤프트 도어는 이하에서 로킹 장치 (18) 로 지칭되는 로킹 장치에 의해 폐쇄된 세팅으로 로킹된다. 로킹 장치 (18) 및 샤프트 도어의 상태, 특히 이들의 세팅을 정하기 위하여, 로킹 장치 컨택트를 가진 콘택트 장치가 로킹 센서 (20) 로서 제공된다. 로킹 장치 컨택트를 가진 컨택트 장치는 데이터 버스 (22) 를통하여 제어 유닛 (16) 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지 (12) 는 제어의 관점에서 제어 유닛 (16) 과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리프트 장치 (10) 는 아래와 같이 기능한다.
로킹 센서 (20) 또는 각각의 로킹 장치 (18) 또는 각각의 샤프트 도어와 연관되는 로킹 장치 컨택트 (20) 는 로킹 장치 (18) 또는 샤프트 도어의 상태와 관련된 유용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 데이터 버스 (22) 는, 그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제어 유닛 (16) 으로 전송한다. 제어 유닛 (16) 은 예를 들어 20 ㎳ 의 짧은 시간 간격으로 로킹 센서 (20) 들에 질의하여, 데이터 버스 (22) 또는 버스 노드들의 영역에서의 통신 간섭을 매우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수행되는 테스트에 더하여, 긴 시간 간격으로 추가적인 테스트를 수행한다. 리프트 케이지 (12) 가 층들 (A, B, 또는 C) 중 한층으로의 이동을 완료하면, 케이지 도어가 개방된다. 구동되었던 층의 샤프트 도어 (11) 가 정상 상태에서 케이지 도어 (13) 에 의해 언로크되고 개방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8 내지 24 시간의 시간 주기로 한 번 추가적인 테스트를 수행한다. 로킹 컨택트 (20) 를 테스트 한다. 만일 로킹 컨택트가 정상상태에 있는 것으로 발견되면, 표에 대응하는 기입을 행하여, '컨택트 정상' 상태 및 테스트의 시점을 기억한다. 테스트의 성과는 표의 기재사항에 의해 체크할 수 있다.
샤프트 도어 (11) 가 실제로 개방되지만, 비계획적인 행위에 의한 개방을 나타내면, 이는 그 자체로 예를 들어 도어들 및/또는 로킹 장치 (18) 의 영역에서의 마모 또는 오염에 의한 약간의 결함을 암시한다. 이 경우, 리프트 시스템 (10) 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동작될 수 있지만, 서비스 직원에 의한 매우 신속한 체크 및 검사를 제공받도록 권장된다.
로킹 컨택트 (20) 가 개방되지 않으면, 이로부터 컨택트가 검출되어, 로크가 해제되고 샤프트 도어가 개방되어 있다 것을 추론해야 한다. 이 경우, 리프트 케이지 (12) 는 더 이상 동작되지 않아야 하고; 리프트 시스템 (10) 은 정지되어야 하고, 서비스 직원을 호출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 된다. 이 경우에, 관련된 샤프트 도어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더 이상 인식할 수 없게 된다.
그 층으로부터 출발하기 이전에, 샤프트 도어 및 로킹 장치 (18) 는 원칙적으로 케이지 도어 (13) 에 의해 폐쇄되고, 로크가 중지된다. 그 경우에, 샤프트측의 로킹 컨택트 (20) 는 샤프트 도어 (11) 가 폐쇄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를 체크한다. 동시에, 케이지 도어 (13) 의 폐쇄 상태를 안전 지향적 방식으로 모니터링하므로, 2 번의 폐쇄 처리의 동시 체크가 가능하여 안전이 증가된다. 이러한 2 개의 검사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리프트 케이지 (12) 를 이동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이와 반대로, 상술한 체크들 중 하나 이상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지는 경우, 복구 시도를 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들의 개폐를 복수회 수행한다. 복구 시도에 의해 샤프트 도어 (11) 가 폐쇄되고 로크되는 결과를 가지는 경우, 리프트 시스템 (10) 은 실제로 동작될 수 있지만, 적어도 반복된 복구 시도들을 수행하여야 할때에는 서비스가 필요하게 된다.
만일 이와 반대로, 복구 시도를 수행한 이후에도, 샤프트 도어 (11) 가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경우, 리프트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서비스 직원을 호출해야 한다.
만일 샤프트 도어가 대응하는 층으로 구동된 리프트 케이지 (12) 없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이로부터 샤프트 도어가 외부로부터 개방되었음을 추론해야 하며; 이러한 개방은 샤프트 도어들을 의도하지 않게 또는 고장 동작에 의해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특정의 툴을 가진 허가받은 사람에 의해 또는 힘의 행사에 의해 비허가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샤프트 도어 (11) 의 지속적인 개방은 비안전지향적인 데이터 버스에 의해서만 인식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의 샤프트 도어 (11) 의 비안전지향적인 검출은 충분한 것으로, 특히 이하의 이유로 간주될 수 있으며, 첫째로, 이러한 경우가 단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둘째로, 허가받은 사람들이 실제로 잠재적인 위험에 대해 직업상의 문제로 지시를 받아, 이들이 샤프트 도어를 개방하기 이전에 리프트 시스템을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도록 강제된다. 셋째로, 로킹 컨택트들을 예를 들어 매 8 시간 마다 정규적으로 체크한다. 네 번째로, 로킹 컨택트들의 상태가 제어 유닛 (16) 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로 질의되므로, 전송 에러들가 제거되어 묵인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샤프트 도어들이 자기-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 도어 (11) 의 개방이 리프트 케이지 (12) 로부터 발생하지 않는 경우, 리프트 시스템은 즉시 정상 동작 모드로부터 전환되고, 샤프트 도어 (11) 가실제로 폐쇄되었음이 보증되지 않고는 정상 동작 모드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리프트 시스템은 로킹 컨택트들을 브리징 오버함으로써 동작상태에 있을 수 없게 된다.
신규한 리프트 시스템의 중요한 이점들은 아래와 같다.
- 모니터링을 위하여, 안전 지향적인 버스 접속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안전지향적인 버스 접속을 위한 별도의 층들이 필요없게 된다. 종래 비안전지향적인 버스 접속들은 어떤 경우에서는 호출들을 검출하고 지시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 층에 설치되어 있다. 다양한 안전 지향적인 버스 접속들을 생략하여 설치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 각각의 로킹 컨택트를 개별적으로 판독하여 체크한다. 고장 또는 에러가 발생한 것 뿐만 아니라 그 고장 또는 에러의 정확한 지점을 특정할 수 있어, 장애의 경우에도, 신속한 진단을 행할 수 있다.
- 장애가 발생하기 이전에, 고장 또는 에러, 특히 로킹 센서 들 또는 로킹 컨택트들의 고장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로킹 센서들 또는 로킹 컨택트들의 상태, 특히 바운드 동작 및 전압 강하에 대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예방적인 로킹 컨택트들의 서비스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로킹 컨택트들의 고장으로 인해 결함 및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 제어 유닛은 의도하지 않은 시점에서 발생하는 신호 변화를 인식하므로, 예기치 않은 로킹 컨택트들의 브리징 오버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샤프트 도어 모니터링의 안전을 추가적으로 증가시킨다.
- 장애의 발생시에, 개방된 로킹 컨택트들을 장소특정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리프트 케이지를 그 개방된 컨택트를 가지는 고장난 샤프트 도어를 통과하는 경우 없이 다음의 이용가능한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승객들은 모든 경우에 내릴 수 있으며, 더 긴 시간 간격 동안에 트랩되지 않는다. 이후에 또한, 다른 반응들을 수행할 수 있고; 리프트 케이지를 승객들을 내린 층에 정지시킬 수 있고, 서비스 직원을 호출하거나, 또는 리프트 케이지를, 만일 리프트 케이지가 결함있는 로킹 컨택트를 가진 층 아래로 위치하고 있으면, 그 케이지 루프가 개방된 샤프트 도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사람이 리프트 샤프트 내의 개방된 샤프트 도어를 통하여 추락할 위험을 제거할 수 있도록, 또는 리프트 케이지를 저속으로 이동시키되, 바람직하기로는 개방된 샤프트 도어를 가지는 고장발생 층으로 음향 신호에 의해 이동시킨다. 복구 시도를 수행할 수 있고, 만일 이것에 성공하면, 다시 리프트 시스템은 동작을 대기한다.

Claims (10)

  1. 구동 유닛 (14) 에 의해 리프트 샤프트에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 케이지 (12), 상기 구동 유닛 (14) 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16), 상기 제어 유닛 (16) 과 접속된 데이터 버스 (22), 상기 리프트 샤프트를 폐쇄하는 샤프트 도어 (11) 들, 상기 샤프트 도어 (11) 들을 샤프트 부분에서 로킹하는 로킹 장치 (18) 들 및 상기 로킹 장치 (18) 들의 설정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하여 제어 유닛 (16) 과 접속되는 로크 센서 (20) 들을 구비하는 리프트 시스템 (10) 에 있어서,
    로크 센서 (20) 는, 상기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한 송신시의 통신 간섭들 또는 송신 에러들을 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유닛 (16) 에 의해 상기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하여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자동 질의되며,
    로킹 센서 (20) 의 작용은, 상기 로킹 센서 (20) 의 상태를 개폐된 샤프트 도어에 대하여 긴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자동 질의하고 상기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하여 상기 제어 유닛 (16) 에 이용함으로써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대응하는 샤프트 도어 (11) 가 폐쇄되는 경우에 자기-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도어 (11) 들을 로킹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로킹 장치 (18) 들은, 이들을 상기 리프트 케이지 (12) 에 제공되는 케이지 도어 (13) 에 의해서만 언로크,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또는 이들을 특정 툴에 의해 언로크하고 수동으로 슬라이드 개방시키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도어 (11) 들 중 하나에서 상기 로킹 센서 (20) 를 통하여, 이 샤프트 도어 (11) 들의 로킹 장치 (18) 의 상태 (예를 들어, 위치) 및 상기 샤프트 도어 (11) 들의 상태 (예를 들어, 세팅) 를 모니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센서 (20) 는 로킹 장치 컨택트, 마이크로스위치, 유도 센서, 용량 센서 또는 광학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6) 은,
    소정의 반응들, 즉 고장의 인식과 위치 파악; 서비스 호출의 개시; 또는 개방된 샤프트 도어가 인식된 경우, 리프트 케이지의 정지 또는 상태적응 반응의 수행 중 하나 이상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로킹 센서 (20) 들의 질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6) 은 일부 데이터 패킷들의 평가에 의해 확인된 송신 에러들을 정정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 센서 (20) 들의 질의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가 샤프트 도어 (11) 들의 모니터링에 더하여, 샤프트 도어 (11) 와 케이지 도어 (13) 의 신호들의 동시 체크에 의해, 상기 샤프트 도어 (11) 및/또는 상기 샤프트 도어 (11) 의 상기 로킹 센서 (20) 의 기능적인 능력에 관한 설명(statement)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지 도어도 또한 모니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도어 (13) 의 모니터링은 안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안전 버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센서 (20) 들에 더하여, 상기 샤프트 도어 (11) 들의 상태를 검출하는 추가적인 수단이 존재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데이터 버스 (22) 를 통하여 또는 상기 제어 유닛 (16) 의 안전 버스를 통하여 상기 샤프트 도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시스템.
KR1020047003843A 2001-09-18 2002-09-11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 회로 KR100953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810903 2001-09-18
EP01810903.3 2001-09-18
PCT/CH2002/000498 WO2003024856A1 (de) 2001-09-18 2002-09-11 Siecherheitskreis für aufzugstü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179A true KR20040029179A (ko) 2004-04-03
KR100953851B1 KR100953851B1 (ko) 2010-04-20

Family

ID=818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843A KR100953851B1 (ko) 2001-09-18 2002-09-11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 회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00650B2 (ko)
EP (1) EP1427662B1 (ko)
JP (1) JP4334346B2 (ko)
KR (1) KR100953851B1 (ko)
CN (1) CN1274575C (ko)
AT (1) ATE312791T1 (ko)
CA (1) CA2458460C (ko)
DE (1) DE50205296D1 (ko)
HK (1) HK1066781A1 (ko)
RU (1) RU2292297C2 (ko)
WO (1) WO20030248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769B2 (en) * 2017-05-12 2022-09-13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elevator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490284T3 (da) 2002-03-27 2007-09-10 Inventio Ag Skaktovervågningssystem til elevator
US20050020839A1 (en) 2003-06-17 2005-01-27 Go Masuda Fluorinated bis(phthalic anhydri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S2291884T5 (es) * 2003-06-30 2013-11-29 Inventio Ag Sistema de seguridad para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SG112018A1 (en) * 2003-11-11 2005-06-29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CN101052585B (zh) * 2004-09-27 2010-05-26 奥蒂斯电梯公司 电梯门锁传感器装置
EA012739B1 (ru) * 2007-07-09 2009-12-30 Руп Завод "Могилевлифтмаш" Система лифта
US8443944B2 (en) * 2007-07-17 2013-05-21 Inventio Ag Monitoring method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US8771204B2 (en) * 2008-12-30 2014-07-08 Masimo Corporation Acoustic sensor assembly
DK2401221T3 (da) * 2009-02-25 2013-11-11 Inventio Ag Elevator med et overvågningssystem
WO2010109748A1 (ja) 2009-03-25 2010-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信号伝送装置
CN102020179A (zh) * 2010-12-30 2011-04-20 成都市第四建筑工程公司 一种拦截装置
CN102070066B (zh) * 2010-12-30 2013-03-27 成都市第四建筑工程公司 一种施工升降机与楼层防护门的联锁装置
EP2741989B1 (de) * 2011-08-11 2015-03-04 Inventio AG Funktionsüberwachung eines sicherheitselementes
CN102602785A (zh) * 2012-03-21 2012-07-25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电梯门无线通信系统
PL2900581T3 (pl) 2012-09-25 2017-05-31 Inventio Ag Sposób przestawiania systemu bezpieczeństwa instalacji dźwigowej
TWI622548B (zh) * 2012-12-13 2018-05-01 伊文修股份有限公司 用於人員輸送設備的監視裝置、人員輸送設備、以及用於監視人員輸送設備之方法
CN103058039B (zh) * 2013-01-18 2015-03-04 江苏立达电梯有限公司 一种无触点电梯门锁、电梯门锁控制器及电梯门锁控制方法
WO2014191379A1 (de) * 2013-05-28 2014-12-04 Inventio Ag Aufzugstür mit einem türkontaktschalter
US9414155B2 (en) 2013-10-15 2016-08-09 Stratoscientific, Inc.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O2015058913A1 (de) * 2013-10-23 2015-04-30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betriebnahme einer aufzugsanlage
CN103588072A (zh) * 2013-10-31 2014-02-19 深圳市一兆科技发展有限公司 监测电梯层门开关状态的方法及系统
AU2014368522B2 (en) 2013-12-20 2017-08-31 Inventio Ag Configuration of operating units of an elevator installation
CN104058309B (zh) * 2014-06-23 2016-05-04 重庆市特种设备检测研究院 一种电梯冗余电气安全回路及制停控制方法
CN108025887B (zh) * 2015-09-11 2019-09-24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监控电梯设备的维护模式的装置和方法
BR112019010648A2 (pt) * 2016-12-21 2019-10-01 Inventio Ag dispositivo para o desbloqueio de uma porta de poço
EP3403970B1 (en) 2017-05-17 2020-10-28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aintenance data of an elevator door system
EP3492419B1 (en) * 2017-12-01 2020-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EP3643674B1 (en) * 2018-10-26 2022-08-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CN109879144B (zh) * 2019-03-01 2021-10-2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层门开锁控制系统、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099668B1 (ko) 2019-06-05 2020-04-10 김태하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
CN110775760B (zh) * 2019-10-21 2021-07-06 宁波宏大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贯通门门锁短接检测方法与系统
EP4126733A1 (de) * 2020-03-31 2023-02-08 Inventio Ag Sicherheitsüberwach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icherheitsüberwachen einer aufzuganlage
CN114148866B (zh) * 2021-11-29 2024-05-14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电梯门锁检测系统的校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541875B (zh) * 2022-01-29 2023-05-09 佛山市和众电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型电梯自动门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593A (en) * 1977-03-17 1978-08-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s and tools for servicing an elevator system
US4512442A (en) * 1984-03-30 1985-04-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ervicing of an elevator system
JP2776687B2 (ja) * 1992-04-30 1998-07-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点検装置
CA2118393A1 (en) * 1994-03-07 1995-09-08 John Michael Eschenbrenner Special emergency service control arrangement for elevator car
JP3354354B2 (ja) * 1995-06-22 2002-12-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装置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SG116410A1 (en) * 1999-11-11 2005-11-28 Inventio Ag Method of configuring elevator controls.
US6357553B1 (en) * 2000-09-07 2002-03-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ccess key switch
DE10122204B4 (de) * 2001-05-08 2008-10-09 Otis Elevator Co., Farmington Aufzugssicherheitssystem
US6516923B2 (en) * 2001-07-02 2003-02-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uditing and maintenance
CA2457551C (en) * 2001-09-18 2010-11-23 Inventio Ag Monitoring system
FI116132B (fi) * 2004-01-23 2005-09-30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automaattioven kunnonvalvonta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769B2 (en) * 2017-05-12 2022-09-13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elevator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4575C (zh) 2006-09-13
CN1555338A (zh) 2004-12-15
US20040173410A1 (en) 2004-09-09
ATE312791T1 (de) 2005-12-15
DE50205296D1 (de) 2006-01-19
RU2004111685A (ru) 2005-04-27
EP1427662A1 (de) 2004-06-16
KR100953851B1 (ko) 2010-04-20
JP4334346B2 (ja) 2009-09-30
WO2003024856A1 (de) 2003-03-27
CA2458460A1 (en) 2003-03-27
CA2458460C (en) 2010-12-07
JP2005502567A (ja) 2005-01-27
EP1427662B1 (de) 2005-12-14
HK1066781A1 (en) 2005-04-01
RU2292297C2 (ru) 2007-01-27
US7500650B2 (en)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85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안전 회로
CA2457551C (en) Monitoring system
KR100926922B1 (ko) 리프트 시스템의 도어 영역의 고장시의 상태의존 반응
CN111699148B (zh) 电梯设备的检查控制系统以及转换电梯设备的运行的方法
CN1073964C (zh) 分析电梯运作的方法和设备
JP469900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用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8928697B (zh) 用于生成电梯门系统的维护数据的方法和系统
JP2007506625A (ja) エレベータ構造に対する安全システム
US20190300337A1 (en) Elevator with safety chain overlay control unit with a safety plc separately monitoring various safety switches for increasing a safety integrity level
JP2012066881A (ja) 安全エレベータ
US11673767B2 (en) Elevator systems
CN111137773B (zh) 用于检测电梯系统的故障的方法和系统
US9745169B2 (en)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afety system
CN114650959B (zh) 用于远程控制电梯设备的移动操纵装置和方法
JPH0977412A (ja) エレベータの故障復旧装置
KR102469078B1 (ko) 비상통화장치를 활용한 승객 구출 시스템
JP332063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85686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광학 안전 센서 진단 시스템
KR19980016203A (ko) 승강기 고장 검출장치
JPH10316338A (ja) 自動開閉扉の安全装置
CN118651738A (zh) 电梯安全系统、电梯系统及电梯轿厢救援运行方法
KR0167160B1 (ko)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