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6549A -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549A
KR20040026549A KR1020020058082A KR20020058082A KR20040026549A KR 20040026549 A KR20040026549 A KR 20040026549A KR 1020020058082 A KR1020020058082 A KR 1020020058082A KR 20020058082 A KR20020058082 A KR 20020058082A KR 20040026549 A KR20040026549 A KR 2004002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ursor
menu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형근
강명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6549A/en
Publication of KR2004002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4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azimuth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its direction are provided to increase users' convenience by moving a scroll bar or a curser by moving only a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pressing a direction key. CONSTITUTION: A key pad(11) inputs a user's command related to a menu selection. An azimuth sensor(12) senses inclination of a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LCD(13) displays menu items, characters or image information. A controller(14) controls menu selection or displaying of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inputted through the key pad(11), and controls a moving direction of a curser or a scroll bar on the LCD(13) according to mo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azimuth sensor(12).

Description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본 발명은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키 대신에 방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스크롤바와 커서 등을 이동통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direction sensor and a direction movement method thereof, and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oving a scroll bar and a cursor through a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instead of the direction key, and It relates to a method of moving its direction.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메뉴를 표시 및 선택할 경우에, 메뉴 키를 누름으로 인해서 번호 순서를 갖는 하위 메뉴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하위 메뉴 방식이 있다. 이러한 하위 메뉴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표시된 하위 메뉴의 해당 번호에 해당하는 키패드상의 숫자 키를 누르거나,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해당 메뉴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a menu is displayed and selected to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sub-menu method in which sub-menu information having a numerical order is displayed on a screen by pressing a menu key. This sub-menu method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number key on th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isplayed sub-menu or by moving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and pressing the select key. Can be.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하 키를 사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되어있는 메뉴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된 메뉴에서 원하는 하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지움이라는 취소키를 사용하여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할 수 있었다.In this case, when the menu desired by the user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submenu from the changed menu by changing the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up and down keys.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move from the lower menu to the upper menu, the user could move from the lower menu to the upper menu by using a cancel key called erase.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하위 메뉴 방식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정보가 순차적인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2차원적으로 배열됨에 따라, 인간 친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위 메뉴 방식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가 동일한 성격의 메뉴만이 표시되고, 메뉴 선택과 변경 등에 관련된 기능적인 메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거나 변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ub-menu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insufficient as a human-friendly user interface as the menu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arranged two-dimensionally in a sequential order. In addition, in the sub-menu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only the menu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are displayed, and the functional menus related to menu selection and change are not display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따라서, 이와 같은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키패드 상에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그 키(jog key)를 설치하고, 화면상에는 상기 조그 키로 선택할 수 있는 메뉴와 상기 조그 키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는 조그 키의 작동 관련 기능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개선된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flip)을 열음에 따라 메뉴 표시부에는 "메뉴", "상/하", "전화부"라는 조그 키의 작동 관련 기능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그 키를 이용하여 각 방향키에 할당되어 있는 작동 관련 기능 정보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수 있다.Accordingly, as a method for improving such a technique, a jog key is provided on the keypad to move the cursor on the screen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nd a menu selectable on the screen by the jog key and There is a method of displaying the fun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jog key that can display the operation of the jog key. According to the improved technology, as the user opens the fli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nu display unit displays fun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jog keys such as "menu", "up / down", and "telephone unit". The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unction from the operation related function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direction key by using the jog key.

이때, 사용자가 "메뉴"라는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가 메뉴 표시부에 표시되고, 여기에 덧붙여서 "선택", "상하이동", "취소"에 해당하는 조그 키의 동작을 나타내는 조그 키의 작동 관련 기능 정보가 메뉴 표시부의 아래 부분에 표시된다.At this time, as the user selects the item "Menu",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s displayed on the menu display part, and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jog key corresponding to "Select", "Up / Down", "Cancel" is displayed. The fun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jog keys shown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menu display.

이때, 사용자는 표시된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가 없는 경우에는 상하 조그 키를 누름으로써 표시된 메뉴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변경할 수 있으며, 원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메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가 가리키는 메뉴를 조그 키의 좌측키, 즉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선택된 메뉴에 대하여 선택을 취소하고자 할 때에는 조그 키의 오른쪽 키, 즉 취소키를 누름으로써 메뉴의 선택을 취소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desired menu is not displayed in the displayed menu, the user can change the displayed menu by moving the displayed menu sequentially by pressing the up and down jog keys.If the desired menu is displayed, the user indicates the menu indicated by the cursor displayed on the menu display. The selection can be made by pressing the left key, i.e., the select key. Of course, if you want to cancel the selection of the selected menu, you can cancel the selection of the menu by pressing the right key of the jog key, i.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하기 위하여 취소 키를 반복적으로 누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cancel key is repeatedly pressed to move from the lower menu to the upper menu.

또한, 상기 개선된 종래 기술은, 표시된 하위 메뉴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조그 키의 아래키를 누름으로써 순차적으로 하나씩 하나씩 변경해 나감으로, 메뉴 변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mproved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hange the menu by sequentially changing one by one by pressing the down key of the jog key when the displayed submenu is to be changed.

그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발명으로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조그 키(jog key)와 상기 조그 키의 작동 관련 기능 정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키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중 기능 및 메뉴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었다.Thus, by using the improved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using a jog key that can move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nd a function key that can replace the fun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jog key. There has been a method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multiple functions and menu information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최근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형화되고 그래픽화되어 한번에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축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 선택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s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nlarged and graphicized to display a lot of information at once, a menu selection method using a shortcut icon has been provided.

이러한 단축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 선택 방법은 키패드 상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상에 선택가능한 다수의 메뉴가 아이콘 형태로 제공된다.In the menu selection method using the shortcut icon, a plurality of menus selectable on the screen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con when the menu button on the keypad is clicked.

그리고, 화면의 하단에는 현재 커서가 위치한 아이콘의 메뉴가 문자의 형태로 제공되며, 각각의 메뉴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가 제공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menu of the ico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etter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a number for identifying each menu may be provided.

이때 사용자는 조그키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원하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고 원하는 메뉴로 이동한 경우에 사용자가 확인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메뉴의 하위 메뉴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user can move to the desired menu by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using the jog key. When the user presses the OK button when the user moves to the desired menu, the user provides a submenu of the selected menu.

하위 메뉴 제공 또한 단축 아이콘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문자로만 제공될 수도 있다.Submenus may also be provided using shortcut icons or may be provided only in text.

단축 아이콘을 이용하여 하위 메뉴가 제공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조그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하위 메뉴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원하는 하위 메뉴로 이동하였을 때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하위 메뉴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When a submenu is provided by using a shortcut icon, the user can easily move to a desired submenu by using a jog key, and when the user moves to a desired submenu, the user can use the function of the submenu by pressing the OK butto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키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할 경우, 커서나 스크롤바 등을 이동할 때마다 사용자가 조그키를 눌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화면상에서 반대쪽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여러번의 조그 키를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electing a menu using the jog ke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o press the jog key every time the cursor or scroll bar is moved, and several jogs are selected to select the menu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of pressing a ke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를 움직여서 스크롤바나 커서 등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irection mo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moving a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ove a scroll bar or a cursor.

본 발명은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만을 움직여서 스크롤바나 커서 등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moving the direction thereof, by which only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without moving the scroll key to move a scroll bar or a cur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orient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동 방법에 대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rection mov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키패드 12: 방위센서11: keypad 12: orientation sensor

13: 액정화면 14: 제어부13: LCD screen 14: control uni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뉴항목이나 문자 및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하기 위한 액정화면; 상기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방위센서; 및 상기 방위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CD screen for displaying menu items, text and image information;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regarding content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An orienta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moving a cursor or a scroll ba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본 발명은 액정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나 스크롤바와 같은 것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 1 내지 제 4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곧바로 수평상태로 원위치시키면,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한번 이동시키는 제 1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 1 내지 제 4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이 상태를 지속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원위치될 때까지 계속하여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o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ving a cursor or a scroll bar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scree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ne of the first to fourth directions. A first step of moving the cursor or scroll ba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nce in the inclined direction when the home position is returned to the horizontal state immediately after the tilting; And til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ne of the first to fourth direction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inuing this state unt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a horizontal state. And a second step of moving a scroll bar in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orient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뉴 선택 등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1)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방위센서(12)와, 메뉴항목이나 문자 및 영상 정보 등을 디스플레하기 위한 액정화면(LCD)(13)과, 키패드(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메뉴 선택이나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방위센서(12)에 의해 감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액정화면(13) 상의 커서나 스크롤바 등의 이동방향을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11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related to menu selection, an orientation sensor 12 for detecting an inclination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nu item. LCD display 13 for displaying text and image information, and control of menu selection or display of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input through keypad 11 and detected by azimuth sensor 12 And a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a moving direction of a cursor, a scroll bar, or the like on the LCD screen 13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방위센서(12)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동서남북 방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가 북쪽 방향으로 놓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한 방향이다.Orientation sensor 12 is to detect and transfer to the control unit 14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il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east-west, north-west direction in a horizontal state, it may be mounted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east, west and north directions are directions set based on the case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in the north direction.

그리고, 제어부(14)는 방위센서(12)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그 움직임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어야만 커서나 스크롤바 등을 움직임이 감지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controller 14 moves the cursor or the scroll ba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is detected only after the movem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12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사용자가 키패드(11)를 눌러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서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a case where the user selects a specific menu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essing the keypad 1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사용자가 키패드(11) 상의 메뉴키를 누르면, 제어부(14)는 액정화면(13)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메뉴항목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When the user presses a menu key on the keypad 11, the controller 14 displays menu items selectable by the user on the LCD screen 13. Here, it is assumed that the menu item is displayed as an icon.

이렇게, 메뉴항목의 아이콘들이 액정화면(13)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평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서남북 방향으로 기울여서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커서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부가 북쪽 방향으로 놓인 것으로 가정한다.In this way, while the icons of the menu items are displayed on the LCD screen 13,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rizontal state in the east-west-south-north direction to move the cursor for designating the icons. same. Here, it is assumed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in the north direction.

먼저,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통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First, a case of moving the cursor for designating an icon to the left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수평 상태로 놓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서쪽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곧바로 수평상태로 원위치시키면, 제어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어짐을 방위센서(12)를 통해 감지하여 액정화면(13) 상의 커서를 좌측으로 한번 이동시킨다.When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rizontal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west direction and immediately returns to the horizontal state, the controller 14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azimuth sensor 12 to display the liquid crystal display 13. Move the upper cursor to the left once.

만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서쪽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이 상태를 지속하면, 제어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원위치될 때까지 계속하여 액정화면(13) 상의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If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west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inues this state, the control unit 14 continues to move the cursor on the LCD screen 13 to the left unt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horizontal state. Move it.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Then, the cursor for designating the icon is moved to the right in this manner.

다음은,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커서를 상방향으로 이동통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Next, a case in which a cursor for designating an icon is moved upward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수평 상태로 놓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북쪽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곧바로 수평상태로 원위치시키면, 제어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울어짐을 방위센서(12)를 통해 감지하여 액정화면(13) 상의 커서를 상방향으로 한번 이동시킨다.When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rizontal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north direction and immediately returns to the horizontal state, the controller 14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azimuth sensor 12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3 Move the cursor up once.

만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북쪽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이 상태를 지속하면, 제어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원위치될 때까지 계속하여 액정화면(13) 상의 커서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If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north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inues this state, the controller 14 continues to move the cursor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3 upward unt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turned to the horizontal state. Move to.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커서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n, the cursor for designating the icon is moved downward in this manner.

한편, 커서나 스크롤바 등은 반드시 방위센서(12)에 의해 감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서만 이동되는 것은 아니고, 키패드(11) 상의 방향키의 눌림을 통해서도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cursor or scroll bar is not necessarily moved only through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by the orientation sensor 12, but also through the pressing of the direction key on the keypad (1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동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rection mov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놓인 상태에서, 제어부(14)는 방위센서(12)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북쪽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감지되었지를 판단하여(S201), 북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으면, 제어부(14)는 액정화면(13) 상에 표시된 커서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02).Referring to FIG. 2, in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the controller 14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north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12 (S201). Direction is inclined, the controller 14 moves the curso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13 upward (S202).

판단과정(S201)에서의 판단결과 북쪽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았으면, 제어부(14)는 방위센서(12)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쪽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감지되었지를 판단하여(S203), 동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으면, 제어부(14)는 액정화면(13) 상에 표시된 커서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04).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201 is not inclined in the north direction, the controller 14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east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12 (S203). Direction is inclined, the controller 14 moves the curso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13 in the right direction (S204).

판단과정(S203)에서의 판단결과 동쪽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았으면, 제어부(14)는 방위센서(12)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남쪽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감지되었지를 판단하여(S205), 남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으면, 제어부(14)는 액정화면(13) 상에 표시된 커서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06).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203 is not inclined in the east direction, the controller 14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outh direction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12 (S205). Direction is inclined, the controller 14 moves the cursor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3 downward (S206).

판단과정(S205)에서의 판단결과 남쪽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았으면, 제어부(14)는 방위센서(12)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쪽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감지되었지를 판단하여(S207), 서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으면, 제어부(14)는 액정화면(13) 상에 표시된 커서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08).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205) is not inclined in the south direction, the controller 14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west direction by the orientation sensor 12 is detected (S207), the west Direction is inclined, the controller 14 moves the curso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13 to the left direction (S208).

판단과정(S202)에서의 판단결과 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았으면, 제어부(14)는 액정화면(13) 상의 커서를 현위치에 유지시킨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202 is not inclined in the west direction, the controller 14 maintains the cursor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13 at the current posi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무선인터넷이나 게임 등을 수행할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used when performing a wireless Internet or a game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를 움직여서 스크롤바나 커서 등을 이동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preference for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by moving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ove the scroll bar, the cursor, or the lik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laims (4)

메뉴항목이나 문자 및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하기 위한 액정화면;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ing menu items, text and image information; 상기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regarding content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방위센서; 및An orientation sensor for detecting an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방위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이동시키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cursor or scroll ba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위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가 수평 상태에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orientation sensor detects whe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n a horizontal stat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위센서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그 움직임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움직임이 감지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moves the cursor or scroll ba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is detected if the movem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by the orientation sensor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erminal. 액정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나 스크롤바와 같은 것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동 방법에 있어서,In the direction mov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ving a cursor or scroll bar displayed on the LCD scree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 1 내지 제 4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곧바로 수평상태로 원위치시키면,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한번 이동시키는 제 1 단계; 및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l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ne of the first to fourth directions and then immediately returns to a horizontal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he cursor or scroll bar displayed in the tilted direction once in the tilted direction. First step;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 1 내지 제 4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기울인 후 이 상태를 지속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원위치될 때까지 계속하여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커서나 스크롤바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단계If the mobile terminal is incl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directions and continues in this state, the cursor or scroll bar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LCD screen until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horizontal state. Second step of mo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inclined direction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이동 방법.Directional movemen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R1020020058082A 2002-09-25 2002-09-25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Ceased KR200400265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82A KR20040026549A (en) 2002-09-25 2002-09-25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082A KR20040026549A (en) 2002-09-25 2002-09-25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49A true KR20040026549A (en) 2004-03-31

Family

ID=3732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082A Ceased KR20040026549A (en) 2002-09-25 2002-09-25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6549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160B1 (en) * 2002-11-26 2005-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Handset instrumenting azimuth sensor
KR100582349B1 (en) * 2002-12-12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by movement in a terminal
KR100703482B1 (en) * 2005-10-1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713502B1 (en) * 2004-08-2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for illuminating movement dependent soun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7764269B2 (en) 2006-02-02 2010-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of moving between menu list items
WO2011043601A3 (en) * 2009-10-07 2011-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ui using motion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160B1 (en) * 2002-11-26 2005-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Handset instrumenting azimuth sensor
KR100582349B1 (en) * 2002-12-12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by movement in a terminal
KR100713502B1 (en) * 2004-08-27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for illuminating movement dependent soun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703482B1 (en) * 2005-10-1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US7764269B2 (en) 2006-02-02 2010-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of moving between menu list items
WO2011043601A3 (en) * 2009-10-07 2011-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ui using motion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9495066B2 (en) 2009-10-07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UI using motion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9841869B2 (en) 2009-10-07 2017-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UI using motion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236C2 (en) Method of block display operation and terminal therefor
KR100441173B1 (en) Display and maneouvring system and method
JP5334330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92134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ic devices part II
EP37518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dl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US8276100B2 (en) Input control device
US8351989B2 (en)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0568892C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US8264471B2 (en) Miniature character input mechanism
EP1183590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2204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304577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105720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user interactive visual interface
CN1070249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20231853A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input control program
KR2013003585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creen navigation
JP2000194469A (en) Item display controller
JP2000311042A (en) Instruction menu display device
KR20040026549A (en)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JP4803951B2 (en) CHARACTER INPUT DEVICE, ITS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470553B1 (en) Mobile phone using dir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oving direction thereof
KR20020080538A (en) display menu choice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mobile phone
JP4697816B2 (en) Input control device
KR2011001184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385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