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3102A -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102A
KR20040023102A KR1020020054727A KR20020054727A KR20040023102A KR 20040023102 A KR20040023102 A KR 20040023102A KR 1020020054727 A KR1020020054727 A KR 1020020054727A KR 20020054727 A KR20020054727 A KR 20020054727A KR 20040023102 A KR20040023102 A KR 2004002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weight
tub
dishwasher
presen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102A/ko
Publication of KR2004002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Arrangements for setting the machine, e.g. anti-tip devices therefor, fixing of integrated machin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서 도어의 개폐시 본체가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발란스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세척기의 터브의 상면 후단부에 설치되는 발란스웨이트로서 터브 상면(112)의 후단부 상면 전체에 밀착되는 상부(122)와; 상기 상부(122)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성형되고, 터브의 양측면(114,116) 상부에 밀착되는 측면부(124,126)가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에는 비중이 높은 물질이 내장된다. 본 발명의 발란스웨이트는,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형성되어, 내부에 비중이 높은 소금물 또는 모래 등을 내장하고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Balance weight for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열 때 본체가 앞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의 터브상에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의 발란스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의 세척을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0)를 포함하여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터브(16)에 의하여 내부케이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브(16)의 내부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올려놓기 위한 상부랙어셈블리(12a)와 하부랙어셈블리(12b)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랙어셈블리(12)에 올려진 식기에 세척수를 분출하기 위한 상부 분사아암(14a)와, 하부분사아암(14b)이, 각각의 랙어셈블리(12)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분사아암(14)을 통하여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식기의 세척이 진행된다.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하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20)의 이면 상단부와 본체의 전면상단부에는 , 도어의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록(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어(20)를 하방으로 잡아당길 때, 상기 도어록을 해제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열게 되고, 그리고 도어(20) 자체도 일정한 하중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0)를 하방으로 잡아당길 때, 상기 본체(10)가 앞으로 전도될 우려가 있다.
이렇게 본체(10)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브(16)에는 발란스웨이트를 설치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본체(10)는, 상면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10a)와, 상기 탑플레이트(10a)의 양측면 하단에 연결되는 한쌍의 측면(10b,10c)에 의하여 외형이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16)의 상면 후방에는, 발란스웨이트(1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발란스웨이트(18)는 터브(16)의 상면 후단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도어(20)를 열 때 본체(10)가 앞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란스웨이트(18)는, 단순히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시멘트를 올려서 고정하거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케이싱의 내부에 시멘트 등과 같이 비중이 높은 물질을 채우는 것에 의하여 완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란스웨이트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종래의 시멘트를 이용하여 발란스웨이트를 만드는 경우에는, 시멘트 자체의 성질에 기인하여 먼지 또는 가루 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식기세척기의 제조공정에서는 물론이고, 사용환경에도 좋지 않은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시멘트를 이용하여 발란스웨이트(18)를 만드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작업환경이 열악함은 물론이고, 조립공정에 있어서 외형상 좋지 않은 단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발란스웨이트(18)는, 단순히 터브(16)의 상면에만 올려진 상태에서 다수개의 체결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발란스웨이트의 외관을 사출 성형되는 케이싱을 이용하여 형성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사출 성형으로 발란스웨이트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 비중인 높은 물질을 채우고 전체적인 발란스웨이트를 완성하는 공정 및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즉,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질을 내장할 수 있도록 발란스웨이트의 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사출 성형하여야 하고, 사출성형된 부분의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질을 넣고, 내부의 물질을 밀폐할 수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을 서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사출 성형과정에 의하여 발란스웨이트를 형성하는 것은 실제로 복잡한 공정 및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종래의 발란스웨이트는, 단순히 터브(16)의 상면에만 다수개의 체결스크류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으나, 이렇게 터브(16)의 상면에만 다수개의 체결스크류로 고정하는 것은, 정확한 체결위치의 설정하여 스크류로 체결하여야 하는 위치결정의 불편함과, 발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발란스웨이트로서의 기능상 다소 불충분한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완성되어,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질을 내장하는 발란스웨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브에 장착하는 과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도어를 열 때 전체적으로 보다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발란스웨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조립 공정에서, 작업환경이 좋은 발란스웨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체척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터브어셈블리의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터브어셈블리의 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터브112 ..... 상면
114, 116 ..... 측면120 ..... 발란스웨이트
122 ..... 상부124, 126 ..... 측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세척기의 터브의 상면 후단부에 설치되는 발란스웨이트로서; 터브 상면의 후단부 상면 전체에 밀착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성형되고, 터브의 양측면 상부에 밀착되는 측면부가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에는 비중이 높은 물질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란스웨이트는,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는,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형성되는 성형상의 편리함과, 도어의 개폐시 보다 안정적으로 식기세척기본체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발란스웨이트는, 터브의 후단부에 스크류로 고정할 때, 위치선정이 용이하여 우수한 조립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120)가 장착되어 있는 터브(100)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120)는, 하방이 개구된 ㄷ자형상으로 성형되어, 터브(100)의 후단 상부에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120)는, 블로어몰딩(Blower mold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합성수지재의 블로어몰딩 방법 자체는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상기 발란스웨이트(12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이고, 일측부분에만 소형의 구멍이 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발란스웨이트(120)의 외부 케이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형성된 발란스웨이트(120)의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소금물 또는 모래 등을 손쉽게 채울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중이 높은 물질이 내부에 채워지면, 동일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 등의 패킹부재를 이용하여 후방의 개구된 일부분을 완전하게 밀폐시키는 것에 의하여, 내장되어 있는 비중이 높은 소금물 또는 모래 등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블로어몰딩법에 의하여, 발란스웨이트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 사출 성형방법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한 공정으로 발란스웨이트(120)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로어몰딩법에 의한 발란스웨이트는 실질적으로 외관이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먼지의 발생 등이 전혀 없는, 우수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120)는, 터브(100) 상면(112)의 후단부분에 장착되고, 터브(100)의 상면(112) 및 양측면(114,116)의 적어도 상부의 일부에 동시에 부착될 수 있는, 하방이 개구된 ㄷ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발란스웨이트(120)는, 터브(100)의 상면(112)에 밀착되는 상부(122)와, 터브(100)의 양측면(124,126)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측면부(124,12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122)와 측면부(124,126)는 일체로 성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122)와 측면부(124,125)가 일체로 성형되는 ㄷ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터브(100)의 상면 및 양측면의 일부에 정확하게 덮어씌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란스웨이트(120)와 터브(100)의 후단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다수개의 스크류(S)로 발란스웨이트(120)를 터브(100)의 후단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발란스웨이트(120)를 터브(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120)를 터브(100)에 조립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종래의 것에 비하여 체결을 위한 위치설정이 용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발란스웨이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은, 상기 발란스웨이트(120)의 후방 및 터브(100)의 후면에 미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발란스웨이트(120)를 터브(100)의 후단부에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체결을 위한 위치설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발란스웨이트(120)는, 상부(122)와 측면부(124,126)로 구성되어, 터브(100)의 후단부 상면 전체와, 양측면(114,116)의 상단 일부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단순히 터브의 상면의 일부분에만 설치되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도어의 개폐시 식기세척기의 본체 자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ㄷ자형상의 발란스웨이트를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발란스웨이트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질이 채워져야 하는 발란스웨이트 자체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질을 채운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보다 깨끗한 외관을 가질 수 있음도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란스웨이트는, 터브(100)의 후단부 상면 전체와, 양측면의 일부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시 식기세척기 자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ㄷ자형 발란스웨이트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개의 스크류(S)를 이용하여 터브의 후면에 체결할 때, 체결위치 선정이 더욱 편리하여 조립공정에서의 생산성 향상에 있어서도 더욱 유리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식기세척기의 터브의 상면 후단부에 설치되는 발란스웨이트로서;
    터브 상면(112)의 후단부 상면 전체에 밀착되는 상부(122)와;
    상기 상부(122)의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성형되고, 터브의 양측면(114,116) 상부에 밀착되는 측면부(124,126)가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에는 비중이 높은 물질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발란스웨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스웨이트는, 블로어몰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발란스웨이트.
KR1020020054727A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 KR20040023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27A KR20040023102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27A KR20040023102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102A true KR20040023102A (ko) 2004-03-18

Family

ID=3732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727A KR20040023102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1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83B1 (ko) * 2005-07-12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웨이트 밸런싱 구조
WO2017030316A1 (en) 2015-08-17 2017-02-23 Lg Electronics Inc. Weight balance of dishwasher
EP2409631A3 (de) * 2010-07-22 2017-05-10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schirrspül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37A (ja) * 1996-06-18 1998-01-06 Toshiba Corp 洗濯機用水準器
KR19980049698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투입장치
KR20010088202A (ko) * 2000-03-11 2001-09-26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구동기 장착구조
KR100774160B1 (ko) * 2000-12-18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밸런스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37A (ja) * 1996-06-18 1998-01-06 Toshiba Corp 洗濯機用水準器
KR19980049698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투입장치
KR20010088202A (ko) * 2000-03-11 2001-09-26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구동기 장착구조
KR100774160B1 (ko) * 2000-12-18 200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밸런스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83B1 (ko) * 2005-07-12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웨이트 밸런싱 구조
EP2409631A3 (de) * 2010-07-22 2017-05-10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schirrspülmaschine
WO2017030316A1 (en) 2015-08-17 2017-02-23 Lg Electronics Inc. Weight balance of dishwasher
KR20170021014A (ko) * 2015-08-17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웨이트 밸런스 구조
AU2016307569B2 (en) * 2015-08-17 2019-01-31 Lg Electronics Inc. Weight balance of dishwasher
US10278562B2 (en) 2015-08-17 2019-05-07 Lg Electronics Inc. Weight balance of dish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4860B2 (en) Dishwashing machine, preferably for home use, with an improved architecture
US5249590A (en) Article retaining mechanism
AU2006314820B2 (en) Mat device for a dishwashing machine basket
US20060289038A1 (en) Molded plastic dishwasher rack tine members including elastomeric bumpers
CA2449294C (en) Snap assembly dishwasher basket
US3529881A (en) Stabilizing panel for an appliance
AU2013257526B2 (en) Dishwasher
GB2508731A (en) A dishwasher
KR20050110922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US11708657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JP7403002B2 (ja) 食器洗い機
US1007752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KR20040023102A (ko) 식기세척기용 발란스 웨이트
EP1281345A1 (en) Seal for dishwasher door
US8381919B2 (en) Storing device for a dishwashing machine
US20030041523A1 (en) Dishwasher bottom door seal
US7578566B2 (en) Ribbed escutcheon for appliance door assembly
EP1935320A1 (en) Component for insertion into the wet space of a dishwashing machine or washing machine or clothes dryer
RU2528203C2 (ru) Навесной элемент двери для холод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211834275U (zh) 一种水槽洗碗机的门体密封结构
EP2432365B1 (en) A dishwasher
US7207341B2 (en) Dishwasher with shielded dispenser
KR101207870B1 (ko) 드럼 세탁기
CN214632053U (zh) 洗碗机装饰门框结构及其可提升美观性和耐用性的洗碗机
CN211270594U (zh) 一种门组件及洗涤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09101003327

Request date: 20090410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PJ0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0410

Appeal identifier: 2009101003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