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20278A -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 Google Patents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278A
KR20040020278A KR1020020051845A KR20020051845A KR20040020278A KR 20040020278 A KR20040020278 A KR 20040020278A KR 1020020051845 A KR1020020051845 A KR 1020020051845A KR 20020051845 A KR20020051845 A KR 20020051845A KR 20040020278 A KR20040020278 A KR 20040020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rrugated steel
constructed
concrete
shee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278A/ko
Publication of KR2004002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5Plate linings; Laggings, i.e. linings designed for holding back formation material or for transmitting the load to main suppor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0Special cross- sections, e.g.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착식으로 시공되는 지하철 등의 공동구를 파형강판을 사용하여 아치형으로 시공함으로써, 휨모멘트의 발생을 줄이고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굴착된 지반 위에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기초부(100)와, 기초부(100)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 다수의 파형강판을 아치형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포함하는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로서, 아치형상의 파형강판 구조물(120)이 상방 및 측방의 하중을 양호하게 지지하게 되어, 중앙지지대를 삭제하여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파형강판 구조물(120)의 내부로 차량 등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EXCAVATION TYPE CAVE USING CORRUGATED MATTER PLATE}
본 발명은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착식으로 시공되는 지하철 등의 공동구를 파형강판을 사용하여 아치형으로 시공함으로써, 휨모멘트의 발생을 줄이고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개착식 공법은 지하 구조물이 설치되는 깊이가 약 18m이하일 때, 터널공법보다 공사비용과 공기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지하철 공사를 비롯한 여타공동구 공사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시공되었던 콘크리트 공동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동구(10)는 굴착 후 축조되는 지하철 및 공동구 구조는 라멘식 박스형 구조에 한정되어 왔으며,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된다.
이러한 공동구(10)는 되메우기 후 토압, 수압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지지하기 위해서 철근량을 증가시켜 시공하고, 공동구(10)의 중심에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중앙지지대(20)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물의 내부가 매우 복잡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동구(10)는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철근 배근 공정도 복잡하여 시공성이 저하되고 장기간의 공기가 요구된다. 또한, 중앙지지대(20)가 사용됨에 따라 공동구(10)의 내부로 차량 등의 장비의 통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착식으로 시공되는 지하철 등의 공동구를 파형강판을 사용하여 아치형으로 시공함으로써, 휨모멘트의 발생을 줄이고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시공되었던 콘크리트 공동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공동구의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초부110: 지지부
120: 파형강판 구조물130: 베이스 채널
140: 앵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착된 지반 위에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지지부;및 상기 지지부 상에 다수의 파형강판을 아치형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파형강판 구조물;을 포함하는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공동구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동구는, 굴착된 지반 위에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기초부(100)와, 기초부(100)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 상에 다수의 파형강판을 아치형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파형강판 구조물(1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파형강판 구조물(120)의 형상은 공동구가 설치되는 곳의 지질, 하중, 시공조건에 따라서,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나, 양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반아치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양측단부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마제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양측면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원형 아치형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파형강판 구조물(120)은, 양단부에 베이스 채널(130)이 결합되고, 베이스 채널(130)에는 단부가 절곡되어 지지부(110)에 매설되어 고정된 앵커(140)가 체결된다. 따라서 파형강판 구조물(120)이 지지부(110)에 고정된다.
파형강판 구조물(120)의 상방 및 측방에는 토사를 덮어서 다지고, 그 위에 콘크리트나 도로를 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개착식 공동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파형강판 구조물(120)은, 금속판에 파형의 굴곡을 성형하여 형상강도를 높인 것으로, 아치형을 이룰 경우 상방 및 측방향의 하중을 모두 양호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파형강판 구조물(120)은 그 구조상 종래에 사용되었던 중앙지지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파형강판 구조물(120)의 시공시 또는 공동구 내에 치하철 선로 작업 등에 사용되는 차량이 이동하기 편리하게 된다.
또한 파형강판 구조물(120)은 파형강판을 볼트의 조립에 의해 아치형의 구조물(120)로 완성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콘크리트의 응고에 필요한 시간이 절감되어, 전체적으로 공기가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착된 지반 위에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기초부(100)와, 기초부(100)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 다수의 파형강판을 아치형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포함하는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로서, 아치형상의 파형강판 구조물(120)이 상방 및 측방의 하중을 양호하게 지지하게 되어, 중앙지지대를 삭제하여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파형강판 구조물(120)의 내부로 차량 등이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굴착된 지반 위에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기초부(100);
    상기 기초부(100)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 상에 다수의 파형강판을 아치형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120)은, 양단부에 베이스 채널(130)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채널(130)에는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110)에 매설되어 고정된 앵커(140)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KR1020020051845A 2002-08-30 2002-08-30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KR20040020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45A KR20040020278A (ko) 2002-08-30 2002-08-30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45A KR20040020278A (ko) 2002-08-30 2002-08-30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278A true KR20040020278A (ko) 2004-03-09

Family

ID=3732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845A KR20040020278A (ko) 2002-08-30 2002-08-30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2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13A (ko) * 2004-12-13 2006-06-16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박스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75919B1 (ko) * 2013-12-16 2014-12-24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20150088762A (ko) * 2015-06-03 2015-08-03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905128A (zh) * 2017-11-03 2018-04-13 中交第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波纹钢结构防雪通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306A (en) * 1981-01-28 1983-06-28 Armco Inc. Composite arch structure
KR200241025Y1 (ko) * 2001-04-04 2001-10-10 유근무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건설구조
KR200246947Y1 (ko) * 2001-04-03 2001-10-29 한국도로공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통수로암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306A (en) * 1981-01-28 1983-06-28 Armco Inc. Composite arch structure
KR200246947Y1 (ko) * 2001-04-03 2001-10-29 한국도로공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통수로암거 구조
KR200241025Y1 (ko) * 2001-04-04 2001-10-10 유근무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건설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13A (ko) * 2004-12-13 2006-06-16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박스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75919B1 (ko) * 2013-12-16 2014-12-24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20150088762A (ko) * 2015-06-03 2015-08-03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905128A (zh) * 2017-11-03 2018-04-13 中交第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波纹钢结构防雪通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2759B2 (ja) 腹起こし固定具
CN111593739A (zh) 一种水泥土搅拌桩围护墙-型钢悬臂式组合支护
JP4647544B2 (ja) アンダーパスの施工方法およびアンダーパス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26984B1 (ko) 흙막이 가설시스템
JP2005068816A (ja) 橋梁改築に伴う橋台の構築工法およびその橋台構造物
KR20040020278A (ko) 파형강판을 사용한 개착식 공동구
CN205046560U (zh) 筋式托架
KR101057003B1 (ko) 포스트 텐션 터널 공법
JP4465459B2 (ja) 覆工用pc版および覆工用pc版の取付け構造
KR200203448Y1 (ko) 조립식 옹벽
CN212742557U (zh) 一种水泥土搅拌桩围护墙-型钢悬臂式组合支护
CN105274997A (zh) 筋式托架和利用该托架施工顶道钢管支撑及顶板的方法
RU2123091C1 (ru) Фундамент под металлическую колонну, способ его сооружения и рихтования
KR100412162B1 (ko) 트러스식 지보구조에 의한 지반 굴착공법
KR200258949Y1 (ko) 흙막이벽 구축용 트러스식 지보구조체
KR20030023036A (ko)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CN219061669U (zh) 一种用于浅埋偏压隧道的支护结构
KR200255698Y1 (ko) 교각 구조물 시공을 위한 6각형 콘크리트 흙막이틀
KR200205807Y1 (ko) 가로등 설치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CN210562205U (zh) 一种隧道基坑外支撑结构
CN216865719U (zh) 一种地铁围护桩钢筋笼
KR102626717B1 (ko) 프리플렉스 하중이 도입된 보강부재를 사용한 가시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9772981U (zh) 一种地下空间逆作顶板的围护结构
KR200208830Y1 (ko) 개착(開鑿)식으로 시공되는 지하철 및 공동구의 아치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6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