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19753A -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 Google Patents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753A
KR20040019753A KR1020020051469A KR20020051469A KR20040019753A KR 20040019753 A KR20040019753 A KR 20040019753A KR 1020020051469 A KR1020020051469 A KR 1020020051469A KR 20020051469 A KR20020051469 A KR 20020051469A KR 20040019753 A KR20040019753 A KR 20040019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lder
lamp
fluorescent
fluorescent lamp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503B1 (ko
Inventor
홍병희
송장섭
김성수
오승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
Priority to KR102002005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5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그 상부에 설치된 반사판;과, 반사판상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형광램프;와, 상부램프홀더와, 이와 대향되게 설치된 하부램프홀더와,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형광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관외전극을 병렬연결하는 도전수단을 구비하며,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중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는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수단이 형성된 램프홀더 조립체;와, 형광램프 상부에 설치된 확산판;와, 확산판상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훼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형광램프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상부 및 하부패드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램프홀더가 결합된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화된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수가 줄어들고,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Description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Lamp holder assembly and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을 고정시키는 램프홀더의 구조를 단순화시킨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한다. 발광형으로는 평면음극선관(flat 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형광표시장치(vacc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있으며, 수광형으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있다.
이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표시장치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관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의 배면에는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가 설치되어 빛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니트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수광형 표시장치외에에도 조명간판등과 같은 면광원장치에도 사용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니트는 광원의 배치형태에 따라서, 액정패널의 바로 아래서 설치된 다수의 광원이 빛을 액정패널에 직접 조사하는 직하발광형(direct light type)과, 도광판(light guide panel)의 측벽에 설치된 광원이 빛을 조사하여 액정패널에 전달하는 가장자리 발광형(edge light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니트의 광원중 하나인 형광램프는 전극의 형태에 따라서, 양 단부의 전극이 관내에 설치되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와, 양 단부의 전극이 관외에 설치된 관외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등으로 구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직하발광형 백라이트 유니트(10)는 베이스 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상에 설치되는 반사판(12)과, 상기 반사판(12)상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형광램프(13)와, 상기 형광램프(13)를 고정지지하는 패드수단(14)과, 상기 패드수단(14)상에 설치되는 램프홀더(15)와, 상기 형광램프(13)상에 위치하는 확산판(16)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에 결합되는 훼이스 프레임(1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패드수단(14)은 상부패드(14a)와, 상기 상부패드(14a)와 결합되는 하부패드(14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부패드(14b)의 윗면에는 도전성 스트립(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전성 스트립(18)에는 상기 형광램프(13)의 단부에 형성된 관외전극(13a)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관외전극(13a)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3)상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상기 도전성 스트립(18)에 병렬연결되어 있다.
상기 패드수단(14)의 상부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강성부재로 된 램프홀더(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홀더(15)의 아랫면은 상기 상부패드(14a)의 윗면에 면접촉한상태에 이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백라이트 유니트(10)는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어서 다수개의 형광램프(13)가 빛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형광램프(13)로부터 발생된 빛은 확산판(16)을 통하여 백라이트 유니트(10)의 전방에 결합된 액정패널로 산란 및 확산된다. 또한, 확산판(16)에 대하여 광원(13)의 후방으로 조사되는 빛은 반사판(12)을 경유하여 반사되어서 상기 확산판(16)으로 입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액정패널에 표현되는 문자, 숫자, 도형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백라이트 유니트(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상에 다수개 설치되는 형광램프(13)를 고정하기 위해서, 관외전극(13a)이 형성된 단부가 도전성 스트립(18)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부패드(14b)에 대하여 상부패드(14a)가 결합되어서 베이스 프레임(11)의 일측변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유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패드수단(14) 상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램프홀더(15)가 설치됨에 따라서 상기 형광램프(13)는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설정하는게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형광램프(13)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부 및 하부패드(14a)(14b)와, 램프홀더(15)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서 부품수가 증가하고, 제조공정수도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조원가도 상승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을 홀더시키는 램프홀더의 구조를 단순화시켜서 제조공정이 단순화게 된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램프홀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램프홀더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램프홀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백라이트 유니트21...베이스 프레임
22...반사판23...형광램프
23a...관외전극26...확산판
27...훼이스 프레임28...도전성 스트립
200...램프홀더 조립체210...상부램프홀더
211...램프지지홈213...연장벽
220...하부램프홀더221...램프삽입홈
222...안착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램프홀더 조립체는,
상부램프홀더;
상기 상부램프홀더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결합되며, 복수개의 형광램프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하부램프홀더;
상기 공간부내에 배치되며, 상기 형광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관외전극을 병렬연결하는 도전수단; 및
상기 상부램프홀더 또는 하부램프홀더중 상기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상부램프홀더에는 상기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방향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부램프홀더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램프홀더의 전면을 커버하는 연장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장벽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나 하부램프홀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는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백색소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연장벽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나 하부램프홀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는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쉬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된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형광램프;
상부램프홀더와, 상기 상부램프홀더와 대향되게 설치된 하부램프홀더와, 상기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형광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관외전극을 병렬연결하는 도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램프홀더 또는 하부램프홀더중 상기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는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수단이 형성된 램프홀더 조립체;
상기 형광램프 상부에 설치된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상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훼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2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0)에는 베이스 프레임(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은 백라이트 유니트(20)의 외형을 유지하도록 강성을 가지는 후판의 금속재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윗면에는 반사판(2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2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윗면 전 영역에 걸쳐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빛은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백색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반사판(22)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1)의 윗면에는 형광램프(2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형광램프(23)는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 형광램프(23)는 전극(23a)이 관외로 노출되어 있는 관외전극 형광램프이다. 상기 형광램프(23)는 관의 양 단부에 관외전극(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 내주벽에는 형광체층이 도포되고, 관 내부공간에는 아르곤 또는 수은과 같은 방전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형광램프(23)의 상부에는 확산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확산판(26)은 형광램프(23)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산란 및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에는 이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결합되며, 백라이트 유니트(20)의 외형을 유지하는 훼이스 프레임(27)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훼이스 프레임(27)은 중공(2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외곽을 따라 결합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20)는 상기 형광램프(23)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 램프홀더 조립체(200)가 설치된데에 있다. 상기 램프홀더 조립체(200)는 상부램프홀더(210)와, 상기 상부램프홀더(210)와 결합되는 하부램프홀더(220)와, 상기 하부램프홀더(220) 상에 설치되는 도전성 스트립(28)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홀더 조립체(200)에는 하부램프홀더(2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 도 2참조)의 단변부내측벽에 설치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하부램프홀더(220)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고탄성의 고분자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에는 단변부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램프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삽입홈(221)은 형광램프(23)가 배치되는 간격과 상응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벽과 접한 부분에 안착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면(222)에는 도전수단인 도전성 스트립(28)이 배치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스트립(28)은 도전성이 우수한 소재, 예컨대 구리판과 같은 금속재의 스트립이다. 상기 도전성 스트립(28)에는 상기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이 공히 접촉되어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도전성 스트립(28)은 전류를 공급하는 교류전원과 리이드(미도시)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의 상부에는 상부홀더램프(210)가 결합가능하다. 상기 상부램프홀더(210)는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 부분이 안착된 하부램프홀더(220)의 윗면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바아(bar) 형상이다. 이때, 상기 상부램프홀더(210)의 하부에는 전류를 인가하는 방식에 따라서 복수개의 하부램프홀더(220)가 설치가능하다.
상기 상부램프홀더(210)에는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의 윗면과 대향되는 아랫면에 상기 형광램프(23)가 삽입되는 램프삽입홈(2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램프지지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지지홈(211)은 상기 램프삽입홈(221)에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 부분이 삽입된 후에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을 감쌀수 있으며, 상기 램프삽입홈(221)과 결합되어 실린더 형상의 홈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의 안착홈(222)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램프홀더(210)에는 상기 안착홈(222)에 안착된 도전성 스트립(28)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압부(212)가 간헐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램프지지홈(211)과, 가압부(212)는 상기 상부램프홀더(210)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바아형상의 고정부재에 형성시켜서 이를 접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부램프홀더(210)에 부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램프지지홈(211)과 가압부(212)가 형성된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램프홀더(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재로 된 것이 제조공정상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상부램프홀더(210)의 일측벽에는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와 결합시 형광램프(23)가 배치되는 방향의 하부램프홀더(220)의 일측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벽(213)이 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벽(213)은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부램프홀더(21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벽(213)에는 상기 형광램프(23)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깊이의 고정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214)은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에 대하여 상부램프홀더(210)가 결합시 상기 형광램프(23)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연장벽(213)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형상을 가지는 상부램프홀더(210)는 강성을 가지는 고분자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램프홀더(210)는 절연성의 소재로 되어있다.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210)(220)는 상기 형광램프(23)가 배치되는 측벽에 형광램프(23)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서 확산판(26,도 2 참조)으로 재입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장벽(213)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210) 또는 하부램프홀더(220)의 대향벽은 반사율을 높일 수 있는 백색물질로 코팅되어 있으며, 대안으로는 백색의 반사쉬트를 부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210)(220)를 백색으로 사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상기 램프홀더 조립체(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윗면에는 반사판(2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내측벽에는 그 단변부 길이방향으로 따라 하부램프홀더(22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의 안착홈(222)에는 도전성 스트립(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램프삽입홈(221)에는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 부분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관외전극(23a)은 도전성 스트립(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의 상부에는 상부램프홀더(210)가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램프홀더(210)에는 상기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 부분이 삽입된 램프삽입홈(221)상에 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램프지지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 부분은외부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가능하다.
상기 상부램프홀더(210)는 형광램프(23)가 설치되는 방향의 일측벽을 따라 연장벽(213)이 연장되어서 상기 하부램프홀더(220)의 일측벽 전방을 커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장벽(213)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210)의 측벽은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백색을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 형광램프(23)의 관외전극(23a)이 형성된 부분을 보호하는 상기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210)(220)는 상호 결합된 다음에 보울트와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형광램프(23)의 상부에는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산란 및 확산시키는 확산판(26)이 설치되고, 상기 확산판(26)의 양 가장자리는 상부램프홀더(210)의 윗면에 그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상기 확산판(26)의 상부에는 중공(27a)이 형성된 훼이스 프레임(27)이 위치하여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에 대하여 결합되어 백라이트 유니트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형광램프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상부 및 하부패드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램프홀더가 결합된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화된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수가 줄어들고,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둘째, 형광램프를 고정하는 상부램프홀더가 강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형광램프의 관외전극 부분은 보호된다.
셋째, 상부 또는 하부램프홀더의 측벽에는 반사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넷째, 상부홀더램프가 이에 대향되는 하부홀더램프에 결합되어 하나의 고정수단이 되므로 조립성이 용이해진다.
다섯째, 형광램프의 홀더기능과 함께 형광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관외전극이나 도전성 스트립이 금속재로 된 베이스 프레임 또는 훼이스 프레임과의 절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상부램프홀더;
    상기 상부램프홀더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결합되며, 복수개의 형광램프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하부램프홀더;
    상기 공간부내에 배치되며, 상기 형광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관외전극을 병렬연결하는 도전수단; 및
    상기 상부램프홀더 또는 하부램프홀더중 상기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램프홀더에는 상기 형광램프의 관외전극부분이 삽입안착될 수 있는 램프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램프홀더에는 상기 램프삽입홈이 형성된 하부램프홀더와 대응되는 부분에 램프지지홈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지지홈과 램프삽입홈은 결합시 상기 형광램프의 관외전극부분이 수용가능하도록 실린더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램프홀더에는 상기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방향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부램프홀더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램프홀더의 전면을 커버하는 연장벽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벽에는 상기 형광램프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이를 수용가능한 소정깊이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벽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나 하부램프홀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는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백색소재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벽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나 하부램프홀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는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쉬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램프홀더는 강성을 가지는 고분자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램프홀더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고탄성의 고분자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수단은 금속재로 된 도전성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12.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된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형광램프;
    상부램프홀더와, 상기 상부램프홀더와 대향되게 설치된 하부램프홀더와, 상기 상부 및 하부램프홀더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형광램프의 단부에 형성된 관외전극을 병렬연결하는 도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램프홀더 또는 하부램프홀더중 상기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는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수단이 형성된 램프홀더 조립체;
    상기 형광램프 상부에 설치된 확산판; 및
    상기 확산판상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훼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상부램프홀더와 하부램프홀더가 결합시 상기 형광램프의 관외전극부분이 수용가능하도록 실린더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램프홀더에는 상기 형광램프가 배치되는 방향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부램프홀더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15.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벽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나 하부램프홀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코팅된 백색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16.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형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벽이 형성된 상부램프홀더나 하부램프홀더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벽에 부착된 반사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 조립체.
KR1020020051469A 2002-08-29 2002-08-29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069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69A KR100690503B1 (ko) 2002-08-29 2002-08-29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69A KR100690503B1 (ko) 2002-08-29 2002-08-29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753A true KR20040019753A (ko) 2004-03-06
KR100690503B1 KR100690503B1 (ko) 2007-03-09

Family

ID=3732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469A KR100690503B1 (ko) 2002-08-29 2002-08-29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5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349B1 (ko) * 2005-10-13 2010-02-12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244954B1 (ko) * 2007-01-30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305367B1 (ko) * 2006-11-06 201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모듈
KR101318223B1 (ko) * 2006-12-15 2013-10-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41B1 (ko) * 2001-11-05 2007-11-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직하형 백 라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349B1 (ko) * 2005-10-13 2010-02-12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305367B1 (ko) * 2006-11-06 201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모듈
KR101318223B1 (ko) * 2006-12-15 2013-10-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244954B1 (ko) * 2007-01-30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503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3814C (zh) 照明装置、背光组件和配有此装置和组件的液晶显示设备
US6902285B2 (en)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apparatus
KR100774581B1 (ko) 램프고정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0363010B1 (ko) 백라이트
US7278754B2 (en) Back light unit
KR100595934B1 (ko) 백라이트 유니트
KR100485325B1 (ko) 백라이트용 램프홀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KR20080045454A (ko) 액정표시장치
KR100690503B1 (ko)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CN101162083A (zh) 背光组件及其装配方法
US20040090766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KR200211527Y1 (ko) 형광램프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JP2001013881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7265900A (ja) 照明装置
KR100545101B1 (ko) 백라이트 유니트
KR100530950B1 (ko) 직하발광형 평면광원
KR100796482B1 (ko) 백라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44293B1 (ko) 면광원 장치
KR100928398B1 (ko) 백라이트 유니트와 그 조립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466267B1 (ko) 엘시디용 형광램프 고정구조
KR20070002238A (ko) 액정모듈
KR200210672Y1 (ko) 면발광장치
US2008010666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8159390A (ja) 照明装置
KR20030094691A (ko) 직하 발광형 백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3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8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