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992A -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13992A KR20040013992A KR1020020047148A KR20020047148A KR20040013992A KR 20040013992 A KR20040013992 A KR 20040013992A KR 1020020047148 A KR1020020047148 A KR 1020020047148A KR 20020047148 A KR20020047148 A KR 20020047148A KR 20040013992 A KR20040013992 A KR 200400139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shaft
- cushioning
- dehydration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세이터 또는 탈수조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때에, 회전동력이 안정적으로 확실히 단(短)시간내에 절환제어될 수 있도록 한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기구에 있어서, 쿠션링의 구조 개선을 통해 돌출리브의 형태를 단면상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탈수모드로의 동력 절환에 따른 커플링의 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 및 헹굼을 저속 회전하는 펄세이터에 의하여 행하고, 탈수를 고속회전하는 탈수조에 의해 수행하는 새로운 동력전달 메커니즘을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 및 세탁날개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펄세이터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으로서, 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양과 종류를검출하여 세탁방법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또한 세탁수의 수위를 세탁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수위까지 급수한 후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세탁을 수행하게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방식은 구동 모터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용 벨트 및 풀리등을 개재하여 세탁축으로 전달하거나 탈수축으로 전달하여 펄세이터 또는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방식과, BLDC모터(Brushless DC Motor)의 속도제어에 의해 세탁조겸 탈수조를 세탁 및 탈수시 각각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방식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BLDC모터를 이용하면서도 동력전달 경로를 달리 제어하여 세탁시에는 펄세이터를 저속회전시켜 세탁을 행하고, 탈수시에는 펄세이터 및 탈수조를 동시에 고속회전시켜 탈수를 행하는 구조가 등장하였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동 세탁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적용된 클러치기구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b의 요부 확대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동 세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동 세탁기는 본체의 외조(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조 겸용인 탈수조(2)와, 상기 탈수조(2) 내에 설치되되 상기 탈수조(2)와는 독립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3)와, 베어링 케이스(20; 도 2a참조)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탈수조(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탈수축(5)과, 펄세이터(3)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세탁축(4)과, 스테이터(7a)에 통전됨에 따라 로터(7b)가 회전하는 BLDC모터(7)와, 세탁행정 또는탈수행정에 대응하여 BLDC모터(7)의 동력전달경로를 세탁축(4) 또는 탈수축(5)으로 절환가능한 클러치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기구는, 도 2a와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조(1) 하부에 설치되는 클러치모터(6)와, 상기 클러치모터(6)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캠(600)과, 상기 베어링 케이스(20) 상에 고정된 레버가이드(30)와, 상기 클러치모터(6)의 구동시 레버가이드(30)의 안내를 받아 직선운동하며 경사면(801)을 갖는 홈(800) 및 상기 경사면(801) 하단에서 수평하게 이어지는 평탄면(802)을 갖는 레버(8)와, 상기 클러치모터(6)의 캠(600)과 레버(8) 사이에 설치되어 클러치모터(6)의 온시 레버(8)를 상기 클러치모터(6)측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는 커넥팅로드(17)와, 상기 레버가이드(30)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레버(8) 일측의 걸림돌기(803)에 타단이 고정되어 레버(8)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14)과, 탈수시 레버(8)의 경사면(801)을 갖는 홈(800)에 맞닿고 있다가 세탁모드로의 절환시 경사면(801)을 타고 하강하여 평탄면(802)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중공실린더형의 가동자(9)와, 상기 가동자(9) 내부의 안내홈(900)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10)와, 상기 가동자(9)와 플런저(10)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스프링(11)과, 상기 베어링 케이스(20)의 하부에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어이(221)가 구비된 커플링 스톱퍼(22)와, 상기 플런저(10)의 하단부에 일측 선단이 힌지결합되고 커플링 스톱퍼(22) 하부에 형성된 지지브라켓(220) 하단부에 중간부위 일지점이 힌지결합되어 플런저의 승강시 상기 힌지결합된 중간부위의 일지점을 중심으로 시이소 운동하는 포크(fork) 형태의 가동로드(12)와, 상기 가동로드(12)의 회동방향에 따라 탈수축(5) 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BLDC모터(7)의 회전동력 전달경로를 절환시키는 커플링(15)과, 로터(7b)의 회전력이 세탁축(4)에 전달되도록 개재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클러치모터(6)는 내부에 구비된 감속기어를 통해 감속하여 캠(600)에 연결된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이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6)는 로터(7b)에 볼트로 체결되는 수지물인 아우터 커넥터(16a)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16a) 내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그 내주면상에 세탁축(4) 하단의 세레이션에 맞물리는 세레이션(160b)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커넥터(16a)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부 외주면 상에 커플링(15)와의 결합을 위한 세레이션(161b)이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인너 커넥터(16b)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인너 커넥터(16b)는 강도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합금 소결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넥터(16a) 상면 중심부에는 환형의 홈(162a)이 구비되고, 상기 홈(162a)에는 탄성부재인 쿠션링(18)이 안착된다.
도 4은 쿠션링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로서, 쿠션링(18)은 내측 테두리 하부로는 그 내경이 인너 커넥터(16b)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갖는 탄성리브(180)가 형성되고, 하부면의 상기 탄성리브(180)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상기 탄성리브(18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의 변형여유를 주기 위한 환형의 요홈(181)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환형의 돌출리브(183a)(183b)가 이격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돌출리브(183a)(183b) 사이에는 쿠션링(18)이 밀착되어 딸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요홈(182)이 형성된다.
한편, 도 2a와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탈수축(5)은 기존의 탈수축과는 달리 내경이 큰 하부축부 상단부 내측으로 상부축부가 압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하부축부의 상단은 탈수축(5)을 지지하는 상부 축지지베어링(23)을 떠받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자(9)의 상단부는 레버(8)의 경사면(801)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레버(8)의 수평이동시 상기 가동자(9)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로드(17)는 일단이 캠(6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레버(8)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커넥팅로드가 결합되는 레버(8)의 일단부 하측에는 리턴스프링(14)의 복원력 작용시 상기 레버(8)의 레버가이드(30)로의 삽입 위치를 한정하는 멈춤돌기(80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15)의 상부면과 하부 축지지베어링(24) 사이에는 탈수모드로의 절환시 커플링(15)을 하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 스톱퍼(22)의 외측면 일측과 상기 가동로드(12) 사이에는 탈수모드로의 절환시 가동로드(12)가 고정핀(12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13)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로드(12)의 선단부는 커플링(15)의 플랜지부 하부면에 맞닿는 선단부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라운드(round)진 형태로 처리된다.
한편, 상기 커플링(15)은 원통형 몸체 상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부(152)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152) 상면 가장자리에 상기 커플링 스톱퍼(22)의 기어이(221)에 형합가능한 기어이(15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 상에는 탈수축(5)의 세레이션 및 커넥터 어셈블리(16)를 구성하는 인너 커넥터(16b) 상단부 외주면상의 세레이션(161b)에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세레이션(150a)(150b)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커플링(15)의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세레이션(150a)(150b)의 피치는, 상기 커플링(15)이 완전히 하강하여 인너 커넥터(16b)에 치합되었을 때의 인너 커넥터(16b)의 상단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측 세레이션(150a) 및 하부측 세레이션(150b)이 서로 다른 모듈을 갖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커플링(15)의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세레이션의 피치는, 치합되었을 때의 인너 커넥터(16b) 상단 위치를 기준으로 그 하부의 세레이션(150b)이 더 큰 모듈을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라운드 처리되는 하부측 세레이션(150b)의 하단부는, 인너 커넥터(16b)의 세레이션(161b)과의 클러칭이 용이하도록 인벌루트 프로파일 면(involute profile surface)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15)의 몸체 내주면에 형성된 상부측 세레이션(150a)의 하면과 하부측 세레이션(150b)의 각 골이 만나는 지점은 급격한 단면변화를 줄여 비틀림 응력에 견디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라운드 처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기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이 시작되기 전에는 클러치모터(6)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오프상태로서 도 2b 및 도 3에서와 같이 커플링(15)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가동자(9)는 레버(8)의 경사면(801)을 갖는 홈(800)에 위치하게 되고, 커플링(15)은 하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클러치모터(6)에 전원이 인가되어 클러치모터(6)가 온(on)되면, 상기 클러치모터(6)의 구동력이 구동축을 통해 캠(600)에 전달되고, 상기 캠(600)의 회전운동에 의해 커넥팅로드(17)가 클러치모터(6)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레버가이드(30)의 안내를 받으며 레버(8)가 클러치모터(6)쪽으로 당겨진다.
이 때, 상기 레버가이드(30) 후단부에 설치된 리턴스프링(14)은 인장된다.
한편, 캠(600)의 회전시 상기 레버(8)의 경사면(801)에 접촉하는 가동자(9)는 경사면(801)에 의해 눌러져 하강하게 되며, 도 2a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캠(600)이 유지점에 위치하는 시점에서는 레버(8)의 평탄면(802) 하부에 가동자(9)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캠(600)의 유지점으로의 회전 및 이에 수반되는 레버(8)의 클러치모터쪽으로의 이동에 따른 가동자(9)의 하강시, 가동자(9)는 완충스프링(11)을 압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자(9)의 안내홈(900)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런저(10) 또한 하강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플런저(10)의 하강에 따라 상기 플런저(10)에 힌지 결합된 가동로드(12)는 베어링 케이스(20)의 하부에 고정된 커플링 스톱퍼(22)의지지브라켓(220)을 관통하는 중간부위 일지점의 고정핀(12b)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동로드(12)가 고정핀(12b)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가동로드(12) 선단은 커플링(15)의 플랜지부(152) 하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커플링(15)을 탈수축(5)을 따라 축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모드로의 동력절환 완료시, 상기 커플링(15) 상단부에 형성된 기어이(15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케이스(20) 하부면상에 고정된 커플링 스톱퍼(22)에 구비된 기어이(221)에 형합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커플링(15)의 기어이(151)가 커플링 스톱퍼(22)의 기어이(221)에 맞물리게 되면, 상기 커플링(15)이 커넥터 어셈블리(16)를 벗어나게 되어 로터(7b)의 회전시 세탁축(4)만이 회전하게 된다.
즉, 세탁시, 상기 커플링(15)은 탈수축(5) 외주면의 세레이션에만 맞물린 상태이고, 세탁축(4)에 맞물린 인너 커넥터(16b) 상단부의 세레이션(161b)과는 맞물리지 않은 상태여서 로터(7b)의 회전동력은 세탁축(4)을 통해 펄세이터(3)로만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15)의 기어이(151)가 커플링 스톱퍼(22)의 기어이(221)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커플링(15)의 회전은 커플링 스톱퍼(22)의 기어이(221)에 의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세탁모드로 절환되어 세탁진행시에는 클러치모터(6)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탈수시의 클러치 기구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에서와 같이 된 상태에서 세탁이 진행되다가,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진행을 위해 탈수모드로의 동력전달 경로 절환이 요구될 때에는 다시 클러치모터(6)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클러치모터가 구동함으로써 캠(60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모터(6)의 캠(600)이 회전하여 탈수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레버(8)는 리턴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클러치모터(6)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모드에서는 레버(8)의 평탄면(802)에 접하고 있던 가동자(9)는 도 2b에서와 같이 레버(8)의 복귀가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레버(8)의 경사면(801)이 구비된 홈(800)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8)의 이동에 따른 가동자(9)의 상승시, 완충스프링(11)에 가해지던 압축력이 완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자(9)의 안내홈(900)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런저(10) 또한 상승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플런저(10)의 상승에 따라 이에 힌지결합된 가동로드(12)는 베어링 케이스(20)의 하부에 고정된 커플링 스톱퍼(22)의 지지브라켓(220)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핀(12b)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동로드(12)가 고정핀(12b)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동로드(12) 선단이 커플링(15)을 지지하여 탈수축(5)을 따라 축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고 있던 힘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커플링(15)에 대한 가동로드(12)의 지지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커플링(15)은 자중 및 압축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상기 커플링(15)의 기어이(151)는 커플링 스톱퍼(22)의 기어이(22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커플링(15)이 완전히 하강하면,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커플링(15) 내주면의 세레이션(150a)(150b)은 세탁축(4)에 결합되는 인너 커넥터(16b) 상단부 외주면상의 세레이션(161b) 및 탈수축(5) 하단부의 세레이션에 각각 맞물리게 되며, 이에 따라 로터(7b)의 고속회전시 세탁축(4) 및 탈수축(5)의 고속회전이 이루어져 탈수가 진행된다.
이 때, 상기 커플링(15)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150a)(150b)중 인너 커넥터(16b)에 치합되는 부분의 세레이션(150b)이 더 큰 모듈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피치가 큰 하부측에 위치하는 세레이션(150b)의 하단부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 상기 인너 커넥터(16b)의 세레이션(161b)과의 치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클러치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탈수모드로의 절환시, 클러치모터(6) 구동에 의해 커넥팅로드(17)가 도면상 우측으로 복귀되고 이에 연동하여 가동로드(12)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스프링(40)의 복귀력에 의해 커플링(15)이 하강함으로써 커플링(15) 하부측의 세레이션(150b)과 인너 커넥터(16b)의 세레이션(161b)이 맞물려 탈수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아우터 커넥터(16a) 내측의 홈(162a)에는 소음방지용 쿠션링(18)이 설치되는데, 상기 쿠션링(18)의 상면에 커플링 지지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각 돌출리브(183a)(183b)의 윗면이 평탄면을 이루는 구조여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성능이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탈수모드로의 동력 절환시, 커플링(15)과 인너 커넥터(16b)가 어긋나게 맞물려 있다가 탈수 동작시 로터(7b)의 회전에 의해 커플링(15)과 인너 커넥터(16b)의 어긋남이 해소되면서 압축스프링(40)의 복귀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강하게 커플링(15)이 하강할 때, 종래 구조의 쿠션링(18)은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리브(183a)(183b)의 윗면이 평탄면을 이루고 있어, 커플링(15)의 하단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소음 또한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펄세이터 또는 탈수조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때에, 회전동력이 안정적으로 확실히 단(短)시간내에 절환제어될 수 있도록 한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기구에 있어서, 쿠션링의 구조개선을 통해 탈수모드로의 동력 절환시 커플링의 하강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동 세탁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적용된 클러치기구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a는 세탁시의 상태도
도 2b는 탈수시의 상태도
도 3은 도 2b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 내지 도 3의 쿠션링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쿠션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쿠션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링이 적용된 클러치기구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클러치모터7:BLDC모터
7a:스테이터7b:로터
8:레버9:가동자
10:플런저11:완충스프링
12:가동로드12b:고정핀
13:인장스프링14:리턴스프링
15:커플링150a,150b:세레이션
151:기어이152:플랜지부
16:커넥터 어셈블리16a:아우터 커넥터
16b:인너 커넥터160b:인너 커넥터 내주면의 세레이션
161b:인너 커넥터 외주면의 세레이션
17:커넥팅로드18:쿠션링
180:탄성리브181:요홈182a,182b:요홈
183a,183b,183c:돌출리브20:베어링 케이스
22:커플링 스톱퍼220:지지브라켓
30:레버가이드40:압축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조와, 탈수조 내에 설치되고 탈수조와는 독립하여 회전가능한 펄세이터와, 베어링 케이스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탈수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탈수축과, 펄세이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세탁축과, 스테이터에 통전됨에 따라 로터가 회전하는 BLDC모터와, 외조 하부에 설치되는 클러치모터와, 상기 클러치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캠과, 상기 베어링 케이스 상에 고정된 레버가이드와, 상기 클러치모터의구동시 레버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직선운동하는 레버와, 레버의 직선운동시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승강시 연동하여 탈수축을 따라 승강하면서 BLDC모터의 회전동력 전달경로를 세탁축 또는 탈수축으로 절환하는 커플링과, 로터에 체결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세탁축으로 전달하는 아우터 커넥터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결합되고 그 내주면상에 세탁축 하단의 세레이션에 맞물리는 세레이션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커넥터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부 외주면 상에 커플링과의 결합을 위한 세레이션이 형성되는 인너 커넥터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환형의 홈에 설치되는 쿠션링을 포함하여서 된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쿠션링의 내측 테두리 하부로는 그 내경이 인너 커넥터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갖는 탄성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링 하부면의 상기 탄성리브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상기 탄성리브에 대해 반경방향으로의 변형여유를 주기 위한 환형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링 상부면의 커플링 하단면과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커플링 하면에 쿠션링이 밀착되어 딸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링 상면의 요홈은 반경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된 환형의 돌출리브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돌출리브의 단면 형상이 상협하광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쿠션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쿠션링이 적용된 클러치기구의 요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외조(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조(2)와, 탈수조(2) 내에 설치되고 탈수조(2)와는 독립하여 회전가능한 펄세이터(3)와, 베어링 케이스(20)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탈수조(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탈수축(5)과, 펄세이터(3)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세탁축(4)과, 스테이터(7a)에 통전됨에 따라 로터(7b)가 회전하는 BLDC모터(7)와, 외조(1) 하부에 설치되는 클러치모터(6)와, 상기 클러치모터(6)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캠(600)과, 상기 베어링 케이스(20) 상에 고정된 레버가이드(30)와, 상기 클러치모터(6)의 구동시 레버가이드(30)의 안내를 받아 직선운동하며 경사면(801)을 갖는 홈(800) 및 상기 경사면(801) 하단에서 수평하게 이어지는 평탄면(802)을 갖는 레버(8)와, 탈수시 레버(8)의 경사면(801)을 갖는 홈(800)에 맞닿고 있다가 세탁모드로의 절환시 경사면(801)을 타고 하강하여 평탄면(802)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가동자(9)와, 상기 가동자(9)의 승강시 연동하여 탈수축(5)을 따라 승강하면서 BLDC모터(7)의 회전동력 전달경로를 세탁축(4) 또는 탈수축(5)으로 절환하는 커플링(15)과, 로터(7b)에 볼트로 체결되는 수지물인 아우터 커넥터(16a)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16a) 내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그 내주면상에 세탁축(4) 하단의 세레이션에 맞물리는 세레이션(160b)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커넥터(16a)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부 외주면 상에 커플링(15)과의 결합을 위한 세레이션(161b)이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인너 커넥터(16b)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16a)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환형의 홈(162a)에 설치되는 쿠션링(18)을 포함하여서 된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쿠션링(18)의내측 테두리 하부로는 그 내경이 인너 커넥터(16b)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갖는 탄성리브(180)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링(18) 하부면의 상기 탄성리브(180)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상기 탄성리브(18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의 변형여유를 주기 위한 환형의 요홈(181)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링(18) 상부면의 커플링(15) 하단면과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커플링(15) 하면에 쿠션링(18)이 밀착되어 딸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요홈(182a)(182b)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링(18) 상면의 요홈은 반경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된 환형의 돌출리브(183a)(183b)(183c)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돌출리브(183a)(183b)(183c)를 단면 형상이 상협하광(上狹下廣)형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 때, 상기 돌출리브(183a)(183b)(183c)는 삼각형 모양을 이룸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리브(183a)(183b)(183c)는 상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탈수모드로의 절환시, 클러치모터(6) 구동에 의해 커넥팅로드(17)가 도면상 우측으로 복귀되고 이에 연동하여 가동로드(12)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스프링(40)의 복귀력에 의해 커플링(15)이 하강함으로써 커플링 하부측의 세레이션(150b)과 인너 커넥터(16b)의 세레이션(161b)이 맞물려 탈수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아우터 커넥터(16a) 내측의 홈(162a)에는 소음방지용 쿠션링(18)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쿠션링(18)의 상면에 커플링 지지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각 돌출리브(183a)(183b)(183c)는 단면상 삼각형 모양등 상협하공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특히, 탈수모드로의 동력 절환시, 커플링(15)과 인너 커넥터(16b)가 어긋나게 맞물려 있다가 탈수 동작시 로터(7b)의 회전에 의해 커플링(15)과 인너 커넥터(16b)의 어긋남이 해소되면서 압축스프링(40)의 복귀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강하게 커플링(15)이 하강할 때, 종래 구조의 쿠션링과는 달리 본 발명의 쿠션링(18)은 돌출리브(183a)(183b)(183c)의 형태가 위쪽이 뾰족한 삼각형 모양등의 구조를 이루고 있어, 커플링(15)의 하단면과의 접촉면적이 작고 이부분이 완충 작용을 하므로써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한편,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 구조의 쿠션링(18)은 종래 구조의 쿠션링에 비해 2 ∼ 5 ㏈ 정도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펄세이터 또는 탈수조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때에, 회전동력이 안정적으로 확실히 단(短)시간내에 절환제어될 수 있도록 한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기구에 있어서, 쿠션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탈수모드로의 동력 절환에 따른 커플링의 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조와, 탈수조 내에 설치되고 탈수조와는 독립하여 회전가능한 펄세이터와, 베어링 케이스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탈수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탈수축과, 펄세이터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세탁축과, 스테이터에 통전됨에 따라 로터가 회전하는 BLDC모터와, 외조 하부에 설치되는 클러치모터와, 상기 클러치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캠과, 상기 베어링 케이스 상에 고정된 레버가이드와, 상기 클러치모터의 구동시 레버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직선운동하는 레버와, 레버의 직선운동시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의 승강시 연동하여 탈수축을 따라 승강하면서 BLDC모터의 회전동력 전달경로를 세탁축 또는 탈수축으로 절환하는 커플링과, 로터에 체결되어 로터의 회전력을 세탁축으로 전달하는 아우터 커넥터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 내부에 결합되고 그 내주면상에 세탁축 하단의 세레이션에 맞물리는 세레이션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커넥터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부 외주면 상에 커플링과의 결합을 위한 세레이션이 형성되는 인너 커넥터와, 상기 아우터 커넥터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환형의 홈에 설치되는 쿠션링을 포함하여서 된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상기 쿠션링의 내측 테두리 하부로는 그 내경이 인너 커넥터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갖는 탄성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링 하부면의 상기 탄성리브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상기 탄성리브에 대해 반경방향으로의 변형여유를 주기 위한 환형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링 상부면의 커플링 하단면과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커플링 하면에 쿠션링이 밀착되어 딸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링 상면의 요홈은 반경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된 환형의 돌출리브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돌출리브의 단면 형상이 상협하광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리브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리브의 선단면은 라운드진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7148A KR20040013992A (ko) | 2002-08-09 | 2002-08-09 |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7148A KR20040013992A (ko) | 2002-08-09 | 2002-08-09 |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3992A true KR20040013992A (ko) | 2004-02-14 |
Family
ID=3732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7148A KR20040013992A (ko) | 2002-08-09 | 2002-08-09 |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1399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927B1 (ko) * | 2007-08-06 | 2008-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용 탈수축과 세탁축 사이의 베어링 장착구조 |
US9970145B2 (en) | 2009-07-31 | 2018-05-15 | Lg Electronics Inc. | Fabric treating machine |
US11761136B2 (en) | 2018-11-20 | 2023-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
-
2002
- 2002-08-09 KR KR1020020047148A patent/KR2004001399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9927B1 (ko) * | 2007-08-06 | 2008-11-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용 탈수축과 세탁축 사이의 베어링 장착구조 |
US9970145B2 (en) | 2009-07-31 | 2018-05-15 | Lg Electronics Inc. | Fabric treating machine |
US11761136B2 (en) | 2018-11-20 | 2023-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42358A (en) | Power system of clothes washing machine | |
US5860299A (en) | Power system of clothes washing machine | |
KR100762129B1 (ko) | 전자동 세탁기 | |
KR100845838B1 (ko) | 전자동세탁기의 클러치 | |
KR100758899B1 (ko) | 전자동 세탁기 | |
KR20040013989A (ko) | 전자동 세탁기의 커플링 치합 구조 | |
KR20030073850A (ko) | 전자동 세탁기 | |
KR20040013992A (ko) | 전자동 세탁기용 클러치의 소음 저감형 쿠션링 구조 | |
KR100777273B1 (ko) | 전자동 세탁기 | |
KR100758900B1 (ko) | 전자동 세탁기 | |
KR100880629B1 (ko) | 전자동세탁기의 클러치 | |
KR20030077845A (ko) | 전자동 세탁기 | |
KR19990004881U (ko) |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 |
KR100762130B1 (ko) | 전자동 세탁기 | |
KR20040049160A (ko) | 직결식 세탁기의 세탁시 탈수조 회전방지 장치 | |
KR100820801B1 (ko) | 전자동 세탁기 | |
KR20030077682A (ko) | 전자동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30077842A (ko) |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 제어방법 | |
KR19990005821U (ko) |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 |
KR100510660B1 (ko) | 세탁기의 동력전달 모드 전환방법 | |
KR101046482B1 (ko) | 세탁기의 커플링 헛돔 방지구조 | |
KR20040013988A (ko) | 전자동 세탁기의 탈수축 제조방법 | |
KR20030077843A (ko) |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모터 제어방법 | |
KR20030043413A (ko) | 세탁기 | |
KR100510658B1 (ko) | 세탁기의 동력전달 모드 전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