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07673A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673A
KR20040007673A KR10-2003-7016126A KR20037016126A KR20040007673A KR 20040007673 A KR20040007673 A KR 20040007673A KR 20037016126 A KR20037016126 A KR 20037016126A KR 20040007673 A KR20040007673 A KR 2004000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sing
contact portion
compression mechanism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785B1 (ko
Inventor
야나기사와마사노리
데구치료헤이
마츠가와카즈히코
키타우라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7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7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inn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 Rotary Pump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밀폐형 압축기(1)는, 스크롤형 압축기구(2) 및 전동기(3)가 케이싱(6)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케이싱(6)에 고정되는 밀폐형 압축기이다.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는, 스크롤형 압축기구(2) 또는 전동기(3)가 케이싱(6)과 접하는 접촉부분(20, 21)과, 스크롤형 압축기구(2) 또는 전동기(3)가 케이싱(6)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분(30, 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관련된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전동기(3)와 관련된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ENCLOSED TYPE COMPRESSOR}
종래로부터, 공조기나 냉동기에서 이용되는 압축기로서는, 밀폐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밀폐형 압축기에서는, 스페이스를 절약하거나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압축기구나, 전동기 등이 하나의 케이싱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에서는, 압축기구나 전동기의 스테이터가 케이싱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축기구나 전동기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싱에 전해져, 케이싱 표면의 넓은 영역으로부터 소음이 방사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이 문제에 대해서는, 케이싱의 강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대책이 강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케이싱과 압축기구 등과의 접촉 면적을 확대한다고 하는 대책이 강구되어 있다.
-해결 과제-
그러나, 예를 들어, 케이싱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것에서는, 압축기 전체의중량이 증가해버린다. 이 때문에, 재료비가 늘어 압축기의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밀폐형 압축기는, 압축 전이나 압축 후의 유체가 케이싱 내를 흐르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각 구성 요소와 케이싱과의 접촉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하는 수단을 이용하면, 케이싱 내에서 유체가 흐르는 부분이 좁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매끄러운 유체의 이동이 방해되어,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압축기 자체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정숙성과 신뢰성을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공조기 등에 이용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당해 밀폐형 압축기가 가지는 압축기구, 전동기 및 베어링의 복수의 구성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와 관련된 밀폐형 압축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와 관련된 스크롤형 압축기구의 베어링 하우징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와 관련된 전동기의 고정자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와 관련된 하부 주 베어링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1 해결 수단은,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당해 압축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3)와,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를 수납하기 위한 원통상의 케이싱(6)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는, 상기 케이싱(6)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당해 케이싱(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6)에는,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서 상기 압축기구(2)가 접하는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압축기구(2)가 접하지 않은 제1 비접촉부분(30)이 형성됨과 함께,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서 상기 전동기(3)가 접하는 제2 접촉부분(21)과, 당해 전동기(3)가 접하지 않는 제2 비접촉부분(31)이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2 해결 수단은, 압축기구(2)와, 당해 압축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3)와,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싱(6)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는, 상기 케이싱(6)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당해 케이싱(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6)에는,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서 상기 압축기구(2)가 접하는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압축기구(2)가 접하지 않는 제1 비접촉부분(30)이 형성됨과 함께,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서 상기 전동기(3)가 접하는 제2 접촉부분(21)과, 당해 전동기(3)가 접하지 않는 제2 비접촉부분(31)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3 해결 수단은,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당해 압축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3)와, 당해 압축기구(2)와 전동기(3)를 연결하는 구동축(4)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5)과, 상기 압축기구(2), 전동기(3) 및 베어링(5)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싱(6)을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1)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2), 전동기(3) 및 베어링(5)은, 상기 케이싱(6)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당해 케이싱(6)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6)에는,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서 상기 압축기구(2)가 접하는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압축기구(2)가 접하지 않는 제1 비접촉부분(30)이 형성되고,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서 상기 전동기(3)가 접하는 제2 접촉부분(21)과, 당해 전동기(3)가 접하지 않는 제2 비접촉부분(31)이 형성됨과 함께,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3 평면 내에서 상기 베어링(5)이 접하는 제3 접촉부분(22)과, 당해 베어링(5)이 접하지 않는 제3 비접촉부분(32)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4 해결 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과 제1 비접촉부분(30)이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복수의 제1 비접촉부분(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가, 다른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이하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5 해결 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3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과 제2 비접촉부분(31)이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전동기(3)와 관련된 복수의 제2 비접촉부분(31)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각각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6 해결 수단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접촉부분(22)과 제3 비접촉부분(32)이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베어링(5)과 관련된 복수의 제3 비접촉부분(32) 중, 적어도 하나의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와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각각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7 해결 수단은, 상기 제1 또는 제2 해결 수단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가 상이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8 해결 수단은, 상기 제3 해결 수단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접촉부분(22)의 수가 각각 상이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9 해결 수단은, 상기 제1 또는 제2 해결 수단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의 배수도 약수도 아닌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이 강구한 제10 해결 수단은, 상기 제3 해결 수단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의 배수도 약수도 아닌 구성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비접촉부분(32)의 수의 배수도 약수도 아니고,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비접촉부분(32)의 수가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의 배수도 약수도 아니다.
-작용-
상기 제1 내지 제3 해결 수단에서는, 전동기(3)에 의하여 압축기구(2)가 회전 구동한다. 압축기구(2)는 흡입한 저압의 유체를 압축하고, 압축되어 고압으로 된 유체를 토출한다. 그 때, 압축기구(2)나 전동기(3)에서는 진동이 발생한다. 한편, 압축기구(2)나 전동기(3)는 케이싱(6)에 접하고 있다. 따라서, 압축기구(6)와 전동기(3)에서 발생한 진동은, 케이싱(6)의 접촉부분에 전해지고, 케이싱(6)의 비접촉부분이 진동한다.
상기 제1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제2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압축기구(2)로부터 제1 비접촉부분(30)에 가진력이 가해졌을 때 생기는 진동수와, 전동기(3)로부터 제2 비접촉부분(31)에 가진력이 가해졌을 때 생기는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상기 제3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압축기구(2)로부터 제1 비접촉부분(30)에 가진력이 가해졌을 때 생기는 진동수, 상기 전동기(3)로부터 제2 비접촉부분(31)에 가진력이 가해졌을 때 생기는 진동수 및 상기 베어링(5)으로부터 제3 비접촉부분(32)에 가진력이 가해졌을 때 생기는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상기 제4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복수의 제1 비접촉부분(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는, 나머지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당해 압축기(2)에 대해서, 둘레 길이가 다른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상기 제5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복수의 제2 비접촉부분(31)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는, 나머지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상이하다. 따라서, 당해 전동기(3)에 대해서, 둘레 길이가 다른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상기 제6 해결 수단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복수의 제3 비접촉부분(32) 중, 적어도 하나의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는, 나머지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당해 베어링(5)에 대해서, 둘레 길이가 다른 제3 비접촉부분(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상기 제7 해결 수단은,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가 다르다. 따라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제2 접촉부분(21)의 수가 다르면,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와제2 비접촉부분(31)의 수도 다르고,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도 다르다.
상기 제8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접촉부분(22)의 수가 각각 다르다. 따라서, 제1 접촉부분(20)의 수, 제2 접촉부분(21)의 수 및 제3 접촉부분(22)의 수가 각각 다르면,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 및 제3 비접촉부분(32)의 수가 각각 다르고,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3 비접촉부분(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상기 제9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와는, 그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의 배수도 약수도 아니다. 이들 접촉부분(20, 21)의 수가 배수 또는 약수 관계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제2 접촉부분(21)의 수가 제1 접촉부분(20)의 수의 2배인 경우에는, 제1 비접촉부분(30)의 진동의 2차 모드와, 제2 비접촉부분(31)의 진동의 1차 모드가 공진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해결 수단과 같이 제2 접촉부분(21)의 수가 제1 접촉부분(20)의 수의 배수도 약수도 아니면, 이러한 공진이 방지된다.
상기 제10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접촉부분(22)의 수와는, 그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의 배수도 약수도 아니다.따라서, 제1 비접촉부분(30), 제2 비접촉부분(31) 및 제3 비접촉부분(32)에서 생기는 각 진동의 다차 모드가 서로 공진하는 일은 없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압축기구(2) 등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싱(6)에 전파했을 때, 각 비접촉부분(30, 31, 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각 진동수가 다르기 때문에, 그들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생기는 진동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생기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따라서,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2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제1 해결 수단과 같이,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생기는 진동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생기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따라서,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3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 2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생기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생기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3 비접촉부분(32)에서 생기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따라서,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4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복수의 제1 비접촉부분(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이하다. 그 때문에, 둘레 길이가 다른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따라서,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5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복수의 제2 비접촉부분(31)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상이하다. 그 때문에, 둘레 길이가 다른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따라서,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6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복수의 제3비접촉부분(32) 중, 적어도 하나의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와 상이하다. 그 때문에, 둘레 길이가 다른 제3 비접촉부분(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가 각각 다르다. 따라서,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7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가 다르다. 그 때문에,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도 다르고,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도 다르다. 따라서,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도 다르다.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8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의 수와,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접촉부분(22)의 수가 각각 다르다. 그 때문에,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와, 제3 비접촉부분(32)의 수도 다르고,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도 다르다. 따라서,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와, 제3 비접촉부분(32)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수도 다르다. 그들 진동수가 다른 진동은 서로 상쇄되어 또는 평균화되어 특정 주파수 음이 강하게 방사되는 일이 없어, 밀폐형 압축기 전체로서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9 해결 수단에서는, 제1 비접촉부분(3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제2 비접촉부분(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다차 모드가 공진하는 일 없이, 유효하게 진동을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0 해결 수단에서는, 제1 비접촉부분(30)과 제2 비접촉부분(31) 및 제3 비접촉부분(32)에서 각각 발생하는 진동의 다차 모드가 공진하는 일 없이, 유효하게 진동을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케이싱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접촉부분을 넓힐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당해 비접촉부분(30, 31, 32)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케이싱(6) 내의 유체의 이동이 저해되지 않고, 유체 기계의 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케이싱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필요가 없고, 압축기 자체의 질량 증가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케이싱(6)이나 각 구성 요소와 관련된 종래의 것을 유용할 수 있고, 약간의 설계 변경으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기 자체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관련된 밀폐형 압축기(1)는, 압축기구인 스크롤형 압축기구(2), 전동기(3), 구동축(4) 및 당해 구동축(4)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5)으로서 하부 주 베어링(5)을 구비한 압축기이다. 그리고, 밀폐형 압축기(1)는 공조기 등의 냉매 회로에 설치되어 유체인 냉매를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기(3)는 구동축(4)을 통하여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구(2)에 동력을 부여한다. 이들 스크롤형 압축기구(2), 전동기(3) 및 하부 주 베어링(5)은 대략 원통상의 케이싱(6) 내에 밀폐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폐형 압축기(1)는 종형(縱型)으로서, 상기 케이싱(6)의 내부의 상방으로 스크롤형 압축기구(2)가 배치되고, 케이싱(6)의 하방으로 하부 주 베어링(5)이 배치되며,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하부 주 베어링(5) 간에 전동기(3)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케이싱(6)의 몸통부에 있어서, 스크롤형 압축기구(2)와 전동기(3) 간에는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 포트(7)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케이싱(6)의 두부에 있어서, 스크롤형 압축기구(2)의 상방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 포트(8)가 설치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구(2)는, 고정 스크롤(10), 가동 스크롤(11) 및 베어링 하우징(12)을 가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2)은 원형의 좌부(座部)(14)와, 좌부(14)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리부(13)를 구비한다.
고정 스크롤(10) 및 가동 스크롤(11)에는, 각각 소용돌이상의 랩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0)과 가동 스크롤(11)은 각각의 랩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스크롤의 랩을 맞물리게 하는 것으로 압축실(40)이 형성된다. 고정 스크롤(10)의 중심부에는, 압축실(40)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하는 토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10)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12)에 고정되고, 가동 스크롤(11)은 올덤 링을 통하여 베어링 하우징(12)의 좌부(14)에 재치(載置)되어 있다. 가동 스크롤(11)의 배면(背面)에는, 상기 구동축(4)의 축단에 형성된 편심부(9)가 계합한다.
스크롤형 압축기구(2)는 베어링 하우징(12)에 형성된 다리부(13)의 단부가 케이싱(6)의 내벽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당해 베어링 하우징(12)의 고착 방법은 용접 외에 소합(燒合)이나 압입(壓入)의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구(2)가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서는, 스크롤형 압축기구(2)의 베어링하우징(12)에 형성된 다리부(13)의 단부가 케이싱(6)에 접하는 5개소의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베어링 하우징(12)이 케이싱(6)과 접하지 않는 5개소의 제1 비접촉부분(30)이 케이싱(6)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스크롤형 압축기구(2)에서의 제1 비접촉부분(30)의 길이 Lc는, 5개소 모두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기(3)는 고정자(16) 및 회전자(17)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16)는 대략 팔각 형상의 평판을 다수 매 겹쳐 맞추어 팔각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팔각 기둥 측면의 일면 걸러서, 축 방향으로 홈상(狀)의 노치(notch)부(15)와 돌상(突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고정자(16)의 중심부에는 회전자(17)가 삽입되는 원통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기(3)는 당해 고정자(16)의 돌상부(18)가 케이싱(6)의 내벽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당해 고정자(16)의 고착 방법으로서는, 압입이나 소합의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동기(3)가 케이싱(6)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서는, 상기 고정자(16)의 돌상부(18)가 케이싱(6)에 접하는 8개소의 제2 접촉부분(21)과, 고정자(16)의 노치부(15)에 의하여 고정자(16)가 케이싱(6)에 접하지 않는 8개소의 제2 비접촉부분(31)이 케이싱(6)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전동기(3)에 있어서, 8개의 제2 비접촉부분(31) 중, 4개의 둘레 길이가 Lm1으로 되고, 나머지 4개의 둘레 길이가 Lm2로 되어 있다. 또한, 길이 Lm1의 제2 비접촉부분(31)과 길이 Lm2의 제2 비접촉부분(31)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관련된 베어링(5)은 하부 주 베어링(5)으로서 베어링부(19)와 당해 베어링부(19)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3개의 다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베어링부(19)에 상기 구동축(4)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다.
하부 주 베어링(5)은 베어링부(19)에 구동축(4)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케이싱(6) 내에 수납되고, 당해 다리부(13)의 단부가 케이싱(6)의 내벽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당해 하부 주 베어링(5)의 고착 방법은 용접 이외에, 소합이나 압입의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부 주 베어링(5)이 케이싱(6)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3 평면 내에서는, 하부 주 베어링(5)의 상기 다리부(13)가 케이싱(6)에 접하는 3개소의 제3 접촉부분(22)과, 당해 하부 주 베어링(5)이 케이싱(6)에 접하지 않는 3개소의 제3 비접촉부분(32)이 케이싱(6)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하부 주 베어링(5)에서의 제3 비접촉부분(32)의 길이 Lb는, 3개소 모두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밀폐형 압축기(1)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비접촉부분(30, 31, 32)의 수는, 스크롤형 압축기구(2)에서는, 제1 비접촉부분(30)이 5개소, 전동기(3)에서는 제2 비접촉부분(31)이 8개소, 하부 주 베어링(5)에서는 제3 비접촉부분(32)이 3개소이다. 이들 비접촉부분(30, 31, 32)의 수는 어느 것도약수도 배수도 아니다.
또한, 이들 비접촉부분(30, 31, 32)의 수는, 특별히 그 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비접촉부분(30)이 5개소, 제2 비접촉부분(31)이 4개소, 제3 비접촉부분(32)이 3개소로 조합하거나, 제1 비접촉부분(30)이 5개소, 제2 비접촉부분(31)이 7개소, 제3 비접촉부분(32)이 3개소인 조합을 들 수 있다.
-운전 동작-
다음으로, 이 밀폐형 압축기(1)의 운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동기(3)를 구동하면, 상기 케이싱(6)에 고정된 고정자(16)에 대하여 회전자(17)가 회전하고, 그것에 의하여 구동축(4)이 회전한다. 그 때, 전동기(3)에서 발생한 진동은, 고정자(16)의 돌상부(18)를 경유하여 케이싱(6)으로 전달된다.
구동축(4)이 회전하면, 당해 구동축(4)의 축 단부에 형성된 편심부(9)가 당해 구동축(4)의 회전 중심의 주위를 회전한다. 당해 편심부(9)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편심부(9)에 계합된 가동 스크롤(11)이 고정 스크롤(10)에 대하여 공전 운동을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흡입 포트(7)로부터 흘러 들어온 냉매가 스크롤형 압축기구(2)의 압축실(40)로 흡입된다. 흡입된 냉매는 가동 스크롤(11)의 공전에 수반하여, 압축실(40)의 용적이 중심부를 향하여 수축하는 것으로 압축된다.
당해 냉매가 압축실(40)의 용적 변화에 수반하여 압축되고, 고압으로 되여 상기 고정 스크롤(1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41)로부터 케이싱 내를 향하여 토출된다. 토출된 냉매는 케이싱(6)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토출 포트(8)로부터 냉매 회로로 송출되고, 냉매 회로에서 응축, 팽창, 증발의 각 행정을 행한 후, 재차 흡입 포트(7) 관으로부터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 때, 고정 스크롤(10)과 가동 스크롤(11)의 마찰이나, 고압 냉매의 토출 맥동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12)을 경유하여 케이싱(6)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축(4)이 회전하면, 하부 주 베어링(5)의 베어링부(19)와 구동축(4)의 하단부가 접동(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 摺動)한다. 그 때, 접접(미끄러지는 상태로 접하는, 摺接)면의 마찰이나 구동축(4)의 어긋남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다리부(13)를 경유하여 케이싱(6)에 전달된다.
-실시예의 효과-
이와 같이 각 구성 요소로부터 케이싱(6)에 전달된 진동은, 각각 비접촉부분(30, 31, 32)에서 소음을 발생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관련된 밀폐형 압축기(1)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형 압축기구(2)에서의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 Lc, 전동기(3)에서의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 Lm1 및 Lm2, 하부 주 베어링(5)에서의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 Lb가 각각 다르다. 그 때문에, 각 비접촉부분(30, 31, 32)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각각 주파수가 다르다. 따라서, 각 비접촉부분(30, 31, 32)에서 발생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음만이 공진하여 증폭되는 일은 없다. 나아가, 각각 다른 주파수 음이 평균화되어 또는 서로 상쇄되는 것에 의하여 밀폐형 압축기(1)의 소음을 전체로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관련된 밀폐형 압축기(1)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12)의각 다리부(13) 간, 고정자(16)의 측면에 형성되는 노치부(15) 및 하부 주 베어링(5)의 각 다리부(13) 간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6) 내의 냉매의 이동이 저해되지 않고, 압축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나아가, 밀폐형 압축기(1)의 중량 증가나 비용 상승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제2 및 제3 발명과 관련된 밀폐식 압축기(1)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케이싱(6)의 직경을 변화시킨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케이싱(6)의 몸통부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동일한 지름의 원통상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싱(6)에 대신하여, 예를 들어, 케이싱(6)의 직경을 스크롤형 압축기구(2)가 고정되는 위치, 전동기(3)가 고정되는 위치 및 하부 주 베어링이 고정되는 위치에서 각각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6)에는, 3개의 평면 내에 각각 다른 둘레 길이로 제1 비접촉부분(30), 제2 비접촉부분(31) 및 제3 비접촉부분(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서 상기 스크롤형 압축기구(2)가 접하는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스크롤형 압축기구(2)가 접하지 않는 제1 비접촉부분(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3)가 접하는 제2 접촉부분(21)과 당해전동기(3)가 접하지 않는 제2 비접촉부분(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3 평면 내에서 상기 베어링(5)이 접하는 제3 접촉부분(22)과 당해 베어링(5)이 접하지 않는 제3 비접촉부분(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비접촉부분(30), 제2 비접촉부분(31) 및 제3 비접촉부분(32)의 수가 각각 같더라도, 각각 위치하는 케이싱(6)의 직경이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것이 되고, 상기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발명 및 제2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케이싱(6) 내에 하부 주 베어링(5)을 가지지 않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 발명과 관련된 밀폐식 압축기(1)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스크롤형 압축기구(2)에 대신하여, 로터리형 압축기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밀폐식 압축기(1)는, 냉매 회로에 설치되는 압축기 이외에, 각종 유체를 압축하는 밀폐식 압축기여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밀폐형 압축기는, 공조기나 냉매기에 이용되는 것에 유용하고, 특히, 압축기구 및 전동기가 케이싱에 고정되는 것에 적합하다.

Claims (10)

  1. 스크롤형 압축기구(2), 당해 압축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3),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를 수납하기 위한 원통형 케이싱(6)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가 상기 케이싱(6)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당해 케이싱(6)에 고정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2)가 접하는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압축기구(2)가 접하지 않는 제1 비접촉부분(30)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3)가 접하는 제2 접촉부분(21)과 당해 전동기(3)가 접하지 않는 제2 비접촉부분(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2. 압축기구(2), 당해 압축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3),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싱(6)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2) 및 전동기(3)가 상기 케이싱(6)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당해 케이싱(6)에 고정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2)가 접하는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압축기구(2)가 접하지 않는 제1 비접촉부분(30)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3)가 접하는 제2 접촉부분(21)과 당해 전동기(3)가 접하지 않는 제2 비접촉부분(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3. 스크롤형 압축기구(2), 당해 압축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3), 상기 압축기구(2)와 전동기(3)를 연결하는 구동축(4)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5), 상기 압축기구(2), 전동기(3) 및 베어링(5)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싱(6)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구(2), 전동기(3) 및 베어링(5)가 상기 케이싱(6)의 내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당해 케이싱(6)에 고정되는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1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2)가 접하는 제1 접촉부분(20)과 당해 압축기구(2)가 접하지 않는 제1 비접촉부분(30)이 형성되고,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전동기(3)가 접하는 제2 접촉부분(21)과 당해 전동기(3)가 접하지 않는 제2 비접촉부분(31)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당해 케이싱(6)의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제3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5)이 접하는 제3 접촉부분(22)과 당해 베어링(5)이 접하지 않는 제3 비접촉부분(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가 서로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제1 접촉부분(20)과 제1 비접촉부분(30)이 복수개씩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압축기구(2)와 관련된 복수의 제1 비접촉부분(30)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1 비접촉부분(30)의 둘레 길이와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제2 접촉부분(21)과 제2 비접촉부분(31)이 복수개씩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전동기(3)와 관련된 복수의 제2 비접촉부분(31)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2 비접촉부분(31)의 둘레 길이와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6)에는,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제3 접촉부분(22)과 제3 비접촉부분(32)이 복수개씩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베어링(5)과 관련된 복수의 제3 비접촉부분(32) 중, 적어도 하나의 제3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는 다른 제3 비접촉부분(32)의 둘레 길이와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제2 접촉부분(21)의 수가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분(20)의 수와, 제2 접촉부분(21)의 수와, 제3 접촉부분(22)의 수가 각각 상이한 밀폐형 압축기.
  9.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가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의 배수도 아니고 약수도 아닌 밀폐형 압축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가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의 배수도 아니고 약수도 아니고, 제2 비접촉부분(31)의 수가 제3 비접촉부분(32)의 수의 배수도 아니고 약수도 아니며, 제3 비접촉부분(32)의 수가 제1 비접촉부분(30)의 수의 배수도 아니고 약수도 아닌 밀폐형 압축기.
KR1020037016126A 2002-01-30 2002-12-26 밀폐형 압축기 Expired - Lifetime KR100544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1237 2002-01-30
JP2002021237A JP3555611B2 (ja) 2002-01-30 2002-01-30 密閉型圧縮機
PCT/JP2002/013726 WO2003064859A1 (fr) 2002-01-30 2002-12-26 Compresseur fer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673A true KR20040007673A (ko) 2004-01-24
KR100544785B1 KR100544785B1 (ko) 2006-01-23

Family

ID=2765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126A Expired - Lifetime KR100544785B1 (ko) 2002-01-30 2002-12-26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44719B2 (ko)
EP (1) EP1471256B1 (ko)
JP (1) JP3555611B2 (ko)
KR (1) KR100544785B1 (ko)
CN (1) CN1249349C (ko)
AT (1) ATE367529T1 (ko)
AU (1) AU2002361118B2 (ko)
BR (1) BR0208330B1 (ko)
DE (1) DE60221292T2 (ko)
ES (1) ES2288568T3 (ko)
MY (1) MY127773A (ko)
TW (1) TW564286B (ko)
WO (1) WO2003064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7702B1 (fr) * 2005-06-24 2007-08-17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Element de positionnement et de maintien d'un stator de moteur electrique dans un compresseur, compresseur et procede de montage
JP4241849B2 (ja) * 2007-04-02 2009-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US8342795B2 (en) * 2008-04-24 2013-01-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upport member for optimizing dynamic load distribution and attenuating vibration
CN102803729B (zh) * 2009-06-23 2015-04-29 大金工业株式会社 压缩机
KR101285617B1 (ko) * 2011-09-09 2013-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20130251551A1 (en) * 2012-03-23 2013-09-26 Bitzer Kuehlmaschinenbau Gmbh Compressor shell with multiple diameters
JP5924352B2 (ja) * 2014-01-23 2016-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BR112018003180B1 (pt) * 2015-08-27 2022-11-16 Bitzer Kühlmaschinenbau Gmbh Compressor para refrigerante
CN107013459A (zh) * 2016-01-27 2017-08-04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卧式涡旋压缩机
WO2022004288A1 (ja) * 2020-06-30 2022-01-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8122A (en) * 1951-03-13 1956-03-13 Gardiner Leslie Arthur John Compressor units for refrigerating apparatus
JPS56124280U (ko) * 1980-02-25 1981-09-21
JPS56124280A (en) 1980-03-05 1981-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e of photoelectrically transducing film
JPS56152883U (ko) * 1980-04-15 1981-11-16
JPS5822496B2 (ja) 1981-04-15 1983-05-09 株式会社東芝 アルミン酸塩螢光体
JPS5982595A (ja) * 1982-11-02 1984-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電動圧縮機の振動低減装置
JPH0765575B2 (ja) * 1985-11-26 1995-07-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JPH02275071A (ja) * 1989-04-14 1990-11-09 Hitachi Ltd 圧縮機
JP3164864B2 (ja) * 1991-12-13 2001-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横置き型密閉圧縮機
JPH05177757A (ja) 1992-01-07 1993-07-20 Sekisui Chem Co Ltd 遮光フィルム材
US5591018A (en) * 1993-12-28 1997-0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rmetic scroll compressor having a pumped fluid motor cooling means and an oil collection pan
JP3210197B2 (ja) * 1994-12-28 2001-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
US5873710A (en) 1997-01-27 1999-02-23 Copeland Corporation Motor spacer for hermetic motor-compressor
JP3550940B2 (ja) 1997-04-24 2004-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流体機械
JP3855504B2 (ja) * 1998-12-14 2006-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密閉型電動圧縮機
US6281607B1 (en) * 1999-04-06 2001-08-28 Trw Inc. Electric motor with vibration attenuation
US6264446B1 (en) * 2000-02-02 2001-07-24 Copeland Corporation Horizontal scroll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55611B2 (ja) 2004-08-18
CN1249349C (zh) 2006-04-05
ES2288568T3 (es) 2008-01-16
BR0208330B1 (pt) 2013-05-28
BR0208330A (pt) 2004-08-31
TW564286B (en) 2003-12-01
KR100544785B1 (ko) 2006-01-23
MY127773A (en) 2006-12-29
JP2003222086A (ja) 2003-08-08
WO2003064859A1 (fr) 2003-08-07
AU2002361118B2 (en) 2004-10-28
EP1471256A4 (en) 2005-09-21
EP1471256B1 (en) 2007-07-18
EP1471256A1 (en) 2004-10-27
CN1500184A (zh) 2004-05-26
DE60221292T2 (de) 2007-10-31
TW200302898A (en) 2003-08-16
US20050002804A1 (en) 2005-01-06
ATE367529T1 (de) 2007-08-15
US7044719B2 (en) 2006-05-16
DE60221292D1 (de)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707B2 (en)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of scroll compressor
US9206804B2 (en) Compressor for vehicle with reduced vibrations
US20060127262A1 (en) Oil discharge preventing apparatus of scroll compressor
KR100544785B1 (ko) 밀폐형 압축기
EP3567253A1 (en) Compressor having enhanced wrap structure
US9011120B2 (en) Scroll compressor with bearing grooves on both sides of key groove
JP667881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335427B1 (ko) 스크롤 압축기
US8734142B2 (en) Rotation preventing member of a scroll compressor
JP2011196244A (ja) 圧縮機
EP3940233B1 (en) Scroll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device provided with same
JP2015105635A (ja) 圧縮機
CN103261695B (zh) 具有分体式绕动涡盘的涡旋式压缩机
US12031440B2 (en) Accumulator fixing device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CN114909286B (zh) 涡旋式压缩机
JPH03151585A (ja) スクロール型流体装置
KR100279606B1 (ko) 터보 압축기의 베어링 서포터
CN120359687A (zh) 电动机、压缩机和设备
JP2025001298A (ja)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JPH062672A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KR100397555B1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소음저감장치
KR0177951B1 (ko) 저진동 회전형 압축기
KR19980053843A (ko) 회전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6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