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9622Y1 - 벽붙이용 선반 - Google Patents

벽붙이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622Y1
KR200399622Y1 KR20-2005-0021551U KR20050021551U KR200399622Y1 KR 200399622 Y1 KR200399622 Y1 KR 200399622Y1 KR 20050021551 U KR20050021551 U KR 20050021551U KR 200399622 Y1 KR200399622 Y1 KR 200399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wall
bracket
mounting
anchor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일
Original Assignee
윤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일 filed Critical 윤재일
Priority to KR20-2005-0021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6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석재나 도기 또는 인조대리석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무겁고 튼튼한 선반을 벽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벽붙이용 선반 및 그에 사용되는 브라켓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은 석재나 도기 또는 인조대리석으로 제작되는 직각형상을 가지면서 전면측 선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배면상에는 장착홈이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되는 선반과, 일측면이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서 장착되고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선반의 장착홈이 끼워져 설치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느다. 이때, 선반의 배면상에는 벽면 및 브라켓과의 원할한 접착을 위하여 에폭시수지가 도포된다.

Description

벽붙이용 선반{A shelf}
본 고안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나 도기 또는 인조대리석으로 제작되는 무겁고 튼튼한 선반을 벽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벽붙이용 선반 및 그에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벽면에는 가벼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선반이 설치되어 있고 선반에는 비누, 샴푸, 치약, 빗, 면도기와 같은 각종 세면도구 및 욕실에 사용되는 각종 물품들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반은 주로 고무재질의 에어 흡착구를 사용하여 벽면의 타일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흡착구의 성능이 저하되어 흡착구가 벽면에서 분리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을 뿐 아니라 흡착구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더라도 목욕이나 샤워 등에 의하여 욕실의 내부에 과도한 습기가 부여되면 흡착구가 벽면에서 미끄러지면서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고속도로휴게소, 관공서, 학교 등의 남자화장실 소변기 위에 설치하거나, 중대형 아파트의 화장실 거울밑에 설치되는 돌선반 등을 많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돌선반은 무겁고 튼튼하고 안정감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를 줄 수 있는 각광받는 제품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지된 돌선반은 그 무게가 상당량 나가기 때문에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브라켓으로는 사용할 수 없어 선반의 하부에 벽돌 등을 쌓아 선반을 설치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석재나 도기 또는 인조대리석 등으로 제작된 선반의 후면부에 "ㅏ"자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장착하여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튼튼하면서 안정감있고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벽붙이용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벽에 설치하여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선반과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선반은 직각형상을 가지고 전면부측 선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배면상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브라켓은 일측면이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서 장착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돌출부가 있어서 선반의 장착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용 선반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선반은 석재, 도기, 인조대리석, 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홈은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착홈의 입구주변에는 브라켓이 안착할 수 있도록 브라켓의 두께에 비례하는 안착면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선반의 배면상에는 에폭시수지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의 상부측에는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삽입공의 입구측 외주면상에는 앵커볼트의 머리가 안착되는 볼트머리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100)은 판 형상을 갖는 선반(110)과, 선반(110)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3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선반(110)은 석재, 도기, 인조대리석, 강화플라스틱 중에서 어느 한가지의 재질로 제작된다. 특히 도기나 인조대리석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될 때에는 벽체에 부착된 타일의 색깔과 어울리도록 할 수 있어 미적감각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선반(110)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선반(110)의 전면측 선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2)이 선반(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턱(112)은 선반(110)에 물건이 올려졌을 때, 물건이 흘러내려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선반(110)의 배면상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장착부(114)가 형성된다. 장착부(114)는 브라켓(130)을 끼우기 위한 곳으로 선반(110)이 작고 무게가 가벼울 때는 두개만으로 가능하지만 그 무게가 무거워지게 되면 장착부(114)의 개수를 늘려 선반(110)이 튼튼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착부(114)는 내측으로 자리매김된 안착면(116)이 형성되고, 안착면(116)의 중앙부에는 선반(110)의 전면측으로 연장되는 장착홈(118)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안착면(116)은 선반(110) 배면의 중앙부에서부터 하단을 통과하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선반(110)의 배면상에는 장착부(114)의 개수만큼의 브라켓(130)이 장착된다.
브라켓(130)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내습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130)은 스테인레스(stainless, 27종)로 제작된다. 이러한 브라켓(130)은 일체로 된 "ㅏ"자 형상을 갖는다. 즉, 브라켓(130)은 수직한 종방향 판과, 이 종방향 판의 중앙부에 전방으로 직각돌출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브라켓(130)의 상부측면상에는 관통되는 삽입공(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130)의 일측면이 벽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삽입공(132)으로 앵커볼트(140)를 박아 브라켓(130)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두개 이상의 브라켓(130)이 사용되기 때문에 약간의 미세조정을 위하여 삽입공(132)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브라켓(130)의 장착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 삽입공(132)의 입구측에는 앵커볼트(140)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볼트머리안착부(1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벽붙이용 선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선반(110)을 설치할 벽면(W)에 금속 브라켓(130)을 장착시킨다. 브라켓(130)은 선반(110)의 무게와 횡방향 길이에 따라 선반(110)의 배면상에 형성된 장착부(114)의 개수만큼을 준비한다. 준비된 브라켓(130)을 장착부(114)의 좌, 우 간격을 고려하여 지정된 벽면에 설치한다. 브라켓(130)의 설치는 벽면에 브라켓(130)의 일측을 대고 삽입공(132)으로 앵커볼트(140)를 넣어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인 체결공구만으로는 앵커볼트(140)를 시멘트콘크리트의 벽체에 체결시킬 수 없기 때문에 미리 드릴 등을 이용하여 앵커볼트가 삽입될 구멍을 뚫어 놓는 것이 좋다. 따라서 미리 뚫어 놓은 구멍에 브라켓(130)의 삽입공(132)을 일치시킨 후, 앵커볼트(140)를 결합시킨다. 이때, 앵커볼트(140)의 머리부는 삽입공(132)의 타측에 형성된 볼트머리안착부(134)에 깊숙이 들어가도록 단단히 체결시킨다. 그래서 브라켓(130)의 타측면상으로 앵커볼트(140)의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브라켓(1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브라켓(130)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선반(110)의 장착홈(118)이 끼워지도록 선반(110)을 끼운다. 여기에서 선반(110)을 설치하기 전에 선반(110)의 배면상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선반(110)과 브라켓(130) 및 벽면이 접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선반(110)의 안착면(116)의 폭과 브라켓(130)의 두께가 일치되도록 설계하여 선반(110)의 부착면이 벽면에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은 석재나 도기 또는 인조대리석으로 제작된 선반과, 선반을 벽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으로 되었기 때문에 큰 하중의 물건을 올려 놓아도 선반이 휘거나 또는 선반이 벽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없다.
그리고 선반의 배면에 브라켓이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고, 선반의 색깔을 벽면의 타일색깔과 어울리게 제작할 수 있어 깔끔한 부착물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벽붙이용 선반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벽붙이용 선반 110 : 선반
112 : 걸림턱 114 : 장착부
116 : 안착면 118 : 장착홈
130 : 브라켓 132 : 삽입공
134 : 볼트머리안착부 140 : 앵커볼트

Claims (6)

  1. 벽에 설치하여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선반과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직각형상을 가지고 전면부측 선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배면상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일측면이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서 장착되고 타측에는 돌출된 돌출부가 있어서 상기 선반의 장착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용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석재, 도기, 인조대리석, 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용 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용 선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입구주변에는 상기 브라켓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의 두께에 비례하는 안착면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용 선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배면상에는 에폭시수지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용 선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부측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되는 삽입공이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입구측 외주면상에는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가 안착되는 볼트머리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용 선반.
KR20-2005-0021551U 2005-03-28 2005-07-25 벽붙이용 선반 Ceased KR200399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51U KR200399622Y1 (ko) 2005-03-28 2005-07-25 벽붙이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332 2005-03-28
KR20-2005-0021551U KR200399622Y1 (ko) 2005-03-28 2005-07-25 벽붙이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622Y1 true KR200399622Y1 (ko) 2005-10-27

Family

ID=4370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551U Ceased KR200399622Y1 (ko) 2005-03-28 2005-07-25 벽붙이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62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165B1 (ko) 2006-08-25 2006-12-22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건물벽체와 일체로 되어 접철가능한 건축용 선반구조물
KR101208672B1 (ko) * 2010-09-20 2012-12-05 김충석 선박용 벨마우스
KR101208676B1 (ko) * 2010-09-20 2012-12-05 김충석 선박용 벨마우스
KR102155913B1 (ko) * 2019-07-26 2020-09-14 심재용 후면 연장 세면대 및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KR102193149B1 (ko) * 2019-07-26 2020-12-18 심재용 세면대 일체형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KR20210114619A (ko) * 2020-03-11 2021-09-24 곽병두 인조대리석 욕실선반
TWI876343B (zh) * 2022-05-18 2025-03-11 大陸商廣東精諾五金實業有限公司 第一連接件、連接組件及連接系統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165B1 (ko) 2006-08-25 2006-12-22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건물벽체와 일체로 되어 접철가능한 건축용 선반구조물
KR101208672B1 (ko) * 2010-09-20 2012-12-05 김충석 선박용 벨마우스
KR101208676B1 (ko) * 2010-09-20 2012-12-05 김충석 선박용 벨마우스
KR102155913B1 (ko) * 2019-07-26 2020-09-14 심재용 후면 연장 세면대 및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KR102193149B1 (ko) * 2019-07-26 2020-12-18 심재용 세면대 일체형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KR20210114619A (ko) * 2020-03-11 2021-09-24 곽병두 인조대리석 욕실선반
KR102372532B1 (ko) * 2020-03-11 2022-03-08 곽병두 인조대리석 욕실선반
TWI876343B (zh) * 2022-05-18 2025-03-11 大陸商廣東精諾五金實業有限公司 第一連接件、連接組件及連接系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534B2 (en) Universal bathroom accessory system
US7721899B2 (en) Toothbrush holder
EP2524095B1 (en) Tiled structures and brackets therefor
KR200399622Y1 (ko) 벽붙이용 선반
EP2252188B1 (en) Grab bar assembly
US11607085B2 (en) Shower pans and related linear drain configurations
US9808127B2 (en) Modular bathroom structure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US6401275B1 (en) Sink backsplash
KR100759955B1 (ko) 건축물의 코너에 사용되는 선반 및 이의 설치방법
US8641000B1 (en) Tile holder and methods of use
CZ289088B6 (cs) Čelní stěnový dílec pro sanitní instalaci
US20090166487A1 (en) Universal tile accessory system
JP5061684B2 (ja) 配管カバーの取付構造
KR101081611B1 (ko) 공중 화장실용 좌변기 칸막이
KR200368916Y1 (ko) 세면대
US20220053960A1 (en) Rod holder system
AU2014101264A4 (en) A Mount
KR200410650Y1 (ko) 수건걸이가 부설된 장식구
KR200280841Y1 (ko) 조립식 타일
KR101098166B1 (ko) 장애인용 벽면거울
EP2181631A1 (en) Panel for covering bathtubs
KR200411324Y1 (ko) 조립식 코너 선반
JP3079691U (ja) 取付位置表示マ−カ−
KR200320408Y1 (ko) 벽 부착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7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7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