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9323Y1 -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23Y1
KR200399323Y1 KR20-2005-0016763U KR20050016763U KR200399323Y1 KR 200399323 Y1 KR200399323 Y1 KR 200399323Y1 KR 20050016763 U KR20050016763 U KR 20050016763U KR 200399323 Y1 KR200399323 Y1 KR 200399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alve
discharge pipe
se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열
Original Assignee
강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열 filed Critical 강재열
Priority to KR20-2005-0016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단에 배출관이 구비된 케이스의 상부에 공기충진용 피스톤이 설치된 주입관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가이더상에는 배출관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동밸브를 형성하며,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누름밸브가 형성된 밸브실을 형성하되, 상기 밸브실이 연결관에 의해 가이더 측면부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의 출구측에는 돔형상의 밀착부재를 결합하므로서, 밀착부재가 하수구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스톤을 작동시켜 케이스 내부에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누름밸브 개방동작에 의해 유동밸브가 상승하여 배출관을 개방시킴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높은 압력의 공기가 한순간에 배출관으로 배출되어 하수구에 막혀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고, 이를통해 하수구 또는 변기등의 막힘 현상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A per forator for a ditch}
본 고안은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밀착부재가 하수구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스톤을 작동시켜 케이스 내부에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누름밸브 개방동작에 의해 유동밸브가 상승하여 배출관을 개방시킴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높은 압력의 공기가 한순간에 배출관으로 배출되어 하수구에 막혀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고, 이를통해 하수구 또는 변기등의 막힘 현상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 또는 하수구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을때 이를 뚫어주는 기구로서 하수관 관통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하수관 관통장치는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켜 몸체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몸체 내부에 텐션을 갖고 스프링 형태로 말려진 천공줄이 수납되게 구성된 것으로서 하수관 천공시 몸체에 수납된 천공줄을 손으로 빼내어 하수관 속으로 밀어 넣은 후 고정 손잡이를 잡고 회전 손잡이로 몸체로 회전시키면 천공줄이 회전되면서 막힌 하수관을 뚫어 주게 되어 있는데 이때 천공작업이 끝단 후 천공줄을 다시 몸체속에 수납시킬 때 오물이 묻어 있는 천공줄을 손으로 잡고 몸체속으로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밀어넣는 것이 원활하지를 못하였고 특히 손에 오물이 묻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에 배출관이 구비된 케이스의 상부에 공기충진용 피스톤이 설치된 주입관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가이더상에는 배출관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동밸브를 형성하며,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누름밸브가 형성된 밸브실을 형성하되, 상기 밸브실이 연결관에 의해 가이더 측면부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의 출구측에는 돔형상의 밀착부재를 결합하므로서, 밀착부재가 하수구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스톤을 작동시켜 케이스 내부에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누름밸브 개방동작에 의해 유동밸브가 상승하여 배출관을 개방시킴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높은 압력의 공기가 한순간에 배출관으로 배출되어 하수구에 막혀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고, 이를통해 하수구 또는 변기등의 막힘 현상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 1 항에 의하여,
하부에 배출관이 몰입되게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의 상부에 피스톤이 내장된 주입관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끝단부에는 역류차단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주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주입관의 하측에 연장형성된 원통형의 가이더 내부에 상하 유동하면서 배출관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그 몸체상에는 공기가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U'자 모양의 유동밸브를 내설하고,
케이스의 상단 일측으로 사용자에의해 조작되는 누름밸브가 탄력적으로 설치된 밸브실을 형성하며, 상기 밸브실과 가이더를 별도의 연결관으로서 연결하고, 상기 배출관의 출구측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에는 돔형상으로 형성된 밀착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항에 의하여,
상기 밀착부재는 돔형상의 케이스 중앙부분에 그 상측으로 연결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결합관을 끼워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고무재질의 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항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케이스 내부에 과도한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될때 개방되어 과도압력이 해소되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항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측 또는 하측에 케이스 내부의 압력상태를 보여주는 압력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케이스(1)는 전체적인 형상이 어뢰와같이 유선형으로 길쭉하게 형성되고, 상하부몸체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는 공기의 압축 충진을 위하여 비어있는 형상이다.
그리고, 케이스(1)의 하측부에는 내부로 몰입되게 배출관(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2)의 출구측에는 후설하는 밀착부재(2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3)가 외부 노출되게 형성되며, 배출관(2)의 입구측은 케이스(1)의 내부 중간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무패킹(4)으로 감싸여져 있다.
케이스(1)의 상부에는 공기주입을 위한 주입관(5)이 형성되는데, 상기 주입관(5) 내부에는 상하 왕복운동 가능토록 피스톤(9)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9)의 상측 끝부분에는 사용자가 손으로잡고 피스톤(9)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손잡이(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주입관(5)의 하측 끝단부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더(6)가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되고, 주입관(5)의 출구측 단부에는 케이스(1)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주입홀(7)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홀(7)은 역류차단밸브(8)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9)의 하강운동에 의해 공기가 주입될때에는 역류차단밸브(8)가 개방되어 주입홀(7)을 통해 케이스(1) 내부로 공기가 충진되며, 피스톤(9)이 상승할때에는 역류차단밸브(8)가 주입홀(7)을 막아줌으로서 케이스(1)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더(6)의 내부에는 'U'자 형상의 유동밸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밸브(11)의 측면부 하단에는 소정의 통공(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밸브(11)는 앞서 설명한 배출관(2)의 입구측 직상방에 위치하게된다.
상기한 유동밸브(11)는 공기 충진동작시 하강하여 그 바닥면이 배출관(2)의 입구측 고무패킹(4)에 밀착되면서 배출관(2)을 차단하면서 통공(12)이 가이더(6)로 부터 벗어나면서 피스톤(9)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가 통공(12)을 통해 케이스(1) 내부로 공급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상단 일측부에는 누름밸브(13)가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밸브실(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실(14)은 별도의 연결관(15)에 의해 상기 가이더(6)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누름밸브(13)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누름버튼(17)이 형성되어 케이스(1)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밸브(13)는 밸브실(14) 내측에 설치되어있는 밸브스템(16)에 끼워져 결합되어 직진성이 보장된다.
누름밸브(13)를 사용자가 눌러주지 않았을때에는 누름밸브(13)가 밸브실(14)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게되므로 가이더(6) 내부에 존재하는 압축 공기가 밸브실(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되고, 사용자가 누름밸브(13)를 눌러주게되면 누름밸브(13)가 하강하면서 밸브실(14)이 부분적으로 도통되게되어 가이더(6) 내부에 존재하는 압축공기가 밸브실(14)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때 압력차이에 의해 유동밸브(11)가 상승하면서 배출관(2)을 개방하므로 케이스(1) 내부에 높은 압력으로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펑'소리를 내면서 한번에 배출관(2)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러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하수구 또는 변기의 막힘을 뚫어주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의 일측부에는 케이스(1) 내부에 과도한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되었을때 케이스(1)의 폭발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의 상측 또는 하측부에는 케이스(1)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압력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압력계(3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0 은 상기 케이스(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3)에 끼워져 하수구를 밀착상태로 수용하는 밀착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밀착부재(20)는 돔형상의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2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결합관(22)을 끼워 결합하되, 상기 결합관(22)의 상부측에는 연결부(3)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별도의 결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의 하측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밀착부(23)를 형성하여 밀착부재(20)를 하수구에 밀착시켰을때 밀착부(23)가 지면과 최대한 밀착되어 케이스(1)의 배출관(2)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하수구 내부로 손실없이 최대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는 하수구를 수용하도록 도 3 과같이 밀착부재(20)의 밀착부(23)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손잡이(10)를 잡고 피스톤(9)을 여러번 반복하여 왕복운동시키게되면, 피스톤(9)이 하강할때마다 공기가 주입홀(7), 유동밸브(11)의 통공(12)을 통해 케이스(1) 내부 공간으로 충진되며, 이때 배출관(2)의 입구는 유동밸브(11)의 바닥면에 의해 밀착 차단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케이스(1) 내부에 공기가 압축되어 충진될때 압력계(31)를 통해 충진되는 공기의 압력상태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적정한 수준으로 공기를 충진시킬 수 있게된다.
케이스(1) 내부에 공기가 일정압력으로 충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밸브(13)의 누름버튼(17)을 눌러주게되면, 누름밸브(13)가 하강하면서 밸브실(14)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가이더(6)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밸브실(14)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이때, 케이스(1)의 내부에는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가이더(6) 내부의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압력차이에 의해 유동밸브(11)가 가이더(6) 내에서 수직으로 상승하게되고, 이에의해 배출관(2)의 입구측이 완전히 개방되면서 케이스(1) 내부에 존재하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한순간에 배출관(2)을 통해 하수구측으로 고압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고압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하수구를 막고있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하수구의 막힘상태를 뚫어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하단에 배출관이 구비된 케이스의 상부에 공기충진용 피스톤이 설치된 주입관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하측에 연장 형성된 가이더상에는 배출관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동밸브를 형성하며,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누름밸브가 형성된 밸브실을 형성하되, 상기 밸브실이 연결관에 의해 가이더 측면부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의 출구측에는 돔형상의 밀착부재를 결합하므로서, 밀착부재가 하수구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스톤을 작동시켜 케이스 내부에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누름밸브 개방동작에 의해 유동밸브가 상승하여 배출관을 개방시킴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높은 압력의 공기가 한순간에 배출관으로 배출되어 하수구에 막혀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고, 이를통해 하수구 또는 변기등의 막힘 현상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가압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공압배출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배출관,
3: 연결부, 4: 고무패킹,
5: 주입관, 6: 가이더,
7: 주입홀, 8: 역류차단밸브,
9: 피스톤, 10: 작동손잡이,
11: 유동밸브, 12: 통공,
13: 누름밸브, 14: 밸브실,
15: 연결관, 16: 밸브스템,
17: 누름버튼, 20: 밀착부재,
21: 케이스, 30: 체크밸브,
31: 압력계,

Claims (4)

  1. 하부에 배출관(2)이 몰입되게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의 상부에 피스톤(9)이 내장된 주입관(5)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관(5)의 끝단부에는 역류차단밸브(8)에 의해 개폐되는 주입홀(7)을 형성하며, 상기 주입관(5)의 하측에 연장형성된 원통형의 가이더(6) 내부에 상하 유동하면서 배출관(2)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그 몸체상에는 공기가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U'자 모양의 유동밸브(11)를 내설하고,
    케이스(1)의 상단 일측으로 사용자에의해 조작되는 누름밸브(13)가 탄력적으로 설치된 밸브실(14)을 형성하며, 상기 밸브실(14)과 가이더(6)를 별도의 연결관(15)으로서 연결하고, 상기 배출관(2)의 출구측은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되게하여 연결부(13)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13)에는 돔형상으로 형성된 밀착부재(20)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20)는 돔형상의 케이스(21) 중앙부분에 그 상측으로 연결부(3)가 끼워져 결합되는 일정길이의 결합관(22)을 끼워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21)의 하측에는 고무재질의 밀착부(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일단에는 케이스(1) 내부에 과도한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될때 개방되어 과도압력이 해소되도록 하는 체크밸브(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케이스(1) 내부의 압력상태를 보여주는 압력계(3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KR20-2005-0016763U 2005-06-11 2005-06-11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KR200399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63U KR200399323Y1 (ko) 2005-06-11 2005-06-11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63U KR200399323Y1 (ko) 2005-06-11 2005-06-11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23Y1 true KR200399323Y1 (ko) 2005-10-25

Family

ID=4370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763U KR200399323Y1 (ko) 2005-06-11 2005-06-11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07Y1 (ko) 2007-08-16 2010-05-24 염창섭 막힘 소통용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07Y1 (ko) 2007-08-16 2010-05-24 염창섭 막힘 소통용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83B1 (ko) 압축 트랩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US8141179B2 (en) Water saver toilet with uniform water spot
US5249311A (en) Fluid pressure device for opening clogged pipes
US8151378B2 (en) Pressure flushing device
WO2007075015A3 (en) Automatic draining apparatus of condensation
US7159251B2 (en) Water saver flush system
KR101033053B1 (ko) 변기용 관통장치
KR20070009055A (ko)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US9695583B2 (en) Flush toilet with build-in one-way valve system for use in unclogging clogs and for efficient water-saving flush opera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100058519A1 (en) Versatile plumbing device
JP2004520506A (ja) サイフォン排水装置
US20110016658A1 (en) Hand-held drain clearing device
KR200399323Y1 (ko)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KR101133217B1 (ko) 버튼식 관통기
CN204849961U (zh) 一种管道疏通器
CN101802318A (zh) 座便器排水通道的吸气装置
WO2002046540A1 (en) Device for discharging doses of liquid
CN215367614U (zh) 一种泄压控制阀、压力水箱和便器
CN214614410U (zh) 一种水压启动的排水阀
EP2278080A1 (en) Hand-held drain clearing device
CN214614407U (zh) 一种排水阀的水压启动装置
CN214614408U (zh) 一种进出水切换控制阀
WO199400810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 pressurized flush toilet
KR200333403Y1 (ko)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KR101091362B1 (ko) 변기 관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