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9092Y1 - 필기자세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필기자세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092Y1
KR200399092Y1 KR20-2005-0021691U KR20050021691U KR200399092Y1 KR 200399092 Y1 KR200399092 Y1 KR 200399092Y1 KR 20050021691 U KR20050021691 U KR 20050021691U KR 200399092 Y1 KR200399092 Y1 KR 200399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writing
grip
screw portion
pos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만
Original Assignee
김지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만 filed Critical 김지만
Priority to KR20-2005-0021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09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필을 끼워 사용이 가능하고 글쓰기를 처음 접하게 되는 어린이들에게 필기구(연필)를 잡는 올바른 방법을 제시하고 이미 필기구를 이용하여 글씨를 쓰는 어린이들 중 잘못된 습관으로 글씨를 잘 못쓰는 어린이들에게는 올바른 필기구 파지방법으로 익숙해지도록 하고 또한 장시간 필기 시에도 손가락의 부담을 줄여주어 학습 능률을 좋게 유도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공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의 일부분을 파지에 알맞은 각도와 위치로 유도하도록 결합되는 그립(grip)을 포함한다. 간단한 조작으로 연필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과 상관없이 항상 똑같은 길이를 유지하여 몽당연필 사용 시에도 아무런 지장이 없어 물자절약에도 도움이 되고 어린이들에게 어려서부터 절약정신을 습관화 할 수 있게하여 교육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자세교정장치{WRITING APTITUDE ADJUS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필기자세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을 끼워 사용하는 장치로 연필 길이에 상관없이 항상 같은 길이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새 연필에서 몽당연필까지 사용이 용이하고 무리가 없으며 자세교정을 위한 그립이 있어 그립의 모양에 맞게 파지하면 올바른 필기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필기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필을 끼워 사용하는 형태의 홀더들은 많이 있다. 몽당연필을 끼워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들도 많이 있으나 홀더에 끼워 사용하게 되면 필기자세가 흐트러져 불편하기도 하고 장시간 필기시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것들은 몽당연필을 사용할 수 있게하여 물자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만 그 중점이 물자절약에만 치중한 나머지 사용의 편의나 필기자세에 대한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글쓰기를 처음 접하게 되는 어린이들에게 필기구(연필)를 잡는 올바른 방법을 제시하며 이미 필기구(연필)를 사용하여 글쓰기를 하는 어린이들 중 잘못된 필기구 파지 습관을 가지고 있는 어린이들에게 올바른 습관를 갖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파지하는 그립부분을 고무재질(우레탄 등)로 제작되어 땀에 대한 미끄럼도 없고 오랫동안 필기 시에도 손가락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필기자세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조합으로 연필의 길이에 상관없이 새 연필에서 몽당연필까지 사용함에 있어 똑같은 길이를 유지하여 연필길이에 따른 필기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몽당연필까지 사용하게 함으로써 물자절약에도 도움이 되고 또한 어린시절부터 물자절약을 습관화하여 장래에 올바른 소비생활을 할 수 있게 도와 줄 수 있는 연필자세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필을 끼워 사용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 내주면에 타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쐐기형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제 1 본체, 일측에 상기 제 1본체의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제 2 본체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에 결합되어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파지에 알맞은 위치와 각도로 유도하도록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립을 포함하는 연필을 끼워 사용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본체의 외주면에는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파지에 알맞은 위치와 각도로 유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립의 일측이 상기 홀에 함몰되게 각기 결합되고, 상기 제 2 본체의 외주면에는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파지에 알맞은 위치와 각도로 유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그립의 일측이 상기 홀에 함몰되게 각기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 및 상기 그립은 각기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나사부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수나사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할개부가 형성되는 상기 홀에 결함되는 그립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에 삽입되는 연필을 눌러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
또한, 상기 본체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그립의 뒤쪽에 있을 수도 있으며 그립의 앞쪽에 있을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필을 끼워 사용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조합으로 새 연필에서부터 몽당연필까지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기시 상기 올바른 파지를 위한 본체의 홀에 각각 그립을 결합시켜 올바른 필기자세를 유지 및 이미 그릇된 필기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필기자세교정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체 구성도중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기자세교정 장치(100)는 제 1 본체(101), 제 2 본체(102) 및 제 1 내지 제 3 그립(121, 122, 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본체(105)는 일 측에 제 1 내지 제 3 그립(121, 122, 123)이 결합되는 3개의 홀(110)이 각각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본체(102)는 일측에 상기 제 1 본체(101)의 암나사부(140)에 대응하는 수나사부(130)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130)에는 삽입된 연필(150)을 잡아주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할개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140)는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수나사부(130)와 조립될 때 삽입된 연필(150)를 할개부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상기 수나사부(130)와 암나사부(140)를 조절함으로써 새 연필에서부터 몽당연필까지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높이 및 위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그립(121, 122, 123)은 제 1 본체(101)의 파지에 알맞은 각도와 위치로 유도하는 관통되어 형성된 3개의 홀(110)에 각각 일측이 함몰되게 결합되어서 제 1 및 제 3 그립의 일부가 제 1 본체의 내부면에 접촉되고, 함몰된 일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160)가 있어 파지시 돌기(160)들이 연필(150)을 잡아주어 뒤로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 보조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3 그립(121, 122, 123)의 재질은 연필 뒤로 밀림 방지와 손가락에서의 땀에 의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크고 어느 정도의 습기(손가락의 땀)에도 미끄러짐이 없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나사부의 할개부(125)는 쐐기형의 암나사부(140)와 조립될때 삽입된 연필(150)를 할개부(125)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되었으나, 상기 수나사부(130)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할개부(125) 없이도 쐐기형의 암나사부(140)와 조립되어 연필(150)을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할개부(125)와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장치(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보여주는 그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는 연필(150)을 파지하는 올바른 필기자세 방법이다. 상기 홀(110)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알맞은 각도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그립(121, 122, 123)은 상기 홀(11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그립(121, 122, 123)에 각각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그 위치와 각도에 맞게 위치시킨다. 제 1 내지 제 3 그립(121, 122, 123)의 위치와 모양은 사용자가 잡았을 때 가장 편하고 올바른 자세라고 여겨지는 곳에 위치시키고 모양이 만들어지므로 즉 사용자가 각 제 1 내지 제 3 그립(121, 122, 123)의 위치에 손가락을 위치 시켜서 가장 편하다고 느껴지면 올바른 파지법으로 잡은 것이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연필(150)의 길이에 상관없이 연결부의 암나사부(140)와 수나사부(130)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며 새 연필이 몽당연필이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전체 구성도중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필기자세교정 장치(200)은 제 1 본체(201)와 제 2 본체(202) 및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본체(201)는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202)는 일측에 상기 제 1 본체(201)의 암나사부(240)에 대응하는 수나사부(230)가 외주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23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할개부(225)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이 결합되는 관통되어 형성된 3개의 홀(210)이 상기 수나사부(230)에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삽입된 연필(250)을 잡아주기 위해 상기 수나사부(23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할개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240)는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수나사부(230)와 조립될 때 삽입된 연필(250)를 할개부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되는 상기 수나사부(230)와 암나사부(240)를 조절함으로써 새 연필(250)에서부터 몽당연필(250)까지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높이 및 위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은 제 2 본체(201)의 파지에 알맞은 각도와 위치로 유도하는 관통되어 형성된 3개의 홀(210)에 각각 일측이 함몰되게 결합되어서 제 1 및 제 3 그립의 일부가 제 2 본체(202)의 내부면에 접촉되고, 함몰된 일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260)가 있어 파지시 돌기(260)들이 연필(250)을 잡아주어 뒤로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 보조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의 재질은 연필 뒤로 밀림 방지와 손가락에서의 땀에 의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크고 어느 정도의 습기(손가락의 땀)에도 미끄러짐이 없는 고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나사부의 할개부(225)는 쐐기형의 암나사부(240)와 조립될 때 삽입된 연필(250)를 할개부(225)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되었으나, 상기 수나사부(230)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할개부(225) 없이도 쐐기형의 암나사부(240)와 조립되어 연필(250)을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할개부(225)와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장치(2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보여주는 그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 및 도 6b는 연필(250)을 파지하는 올바른 필기자세 방법이다. 상기 홀(210)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은 알맞은 각도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은 상기 홀(21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에 각각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및 가운데 손가락을 그 위치와 각도에 맞게 위치시킨다.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의 위치와 모양은 사용자가 잡았을 때 가장 편하고 올바른 자세라고 여겨지는 곳에 위치시키고 모양이 만들어지므로 즉 사용자가 각 제 1 내지 제 3 그립(221, 222, 223)의 위치에 손가락을 위치 시켜서 가장 편하다고 느껴지면 올바른 파지법으로 잡은 것이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연필(250)의 길이에 상관없이 연결부의 암나사부(240)와 수나사부(230)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며 새 연필이 몽당연필이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는 도 7에 도시한 전체 구성도중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필기자세교정 장치(300)는 제 1 본체(301), 제 2 본체(302) 및 그립(32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본체(305)는 일측에 그립(321)이 결합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본체(302)는 일측에 상기 제 1 본체(301)의 암나사부(340)에 대응하는 수나사부(330)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된 연필(350)을 잡아주기 위해 상기 수나사부(33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할개부(325)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340)는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수나사부(330)와 조립될 때 삽입된 연필(350)를 할개부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상기 수나사부(330)와 암나사부(340)를 조절함으로써 새 연필에서부터 몽당연필까지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높이 및 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그립(321)은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그 위치와 각도에 맞게 돌출부(370)가 각 손가락의 파지부위에 형성되어 제 1 본체에 끼워질 수 있는 일체형의 중공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본체(301)의 일측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그립(321)의 재질은 손가락에서의 땀에 의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크고 어느 정도의 습기(손가락의 땀)에도 미끄러짐이 없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나사부의 할개부(325)는 쐐기형의 암나사부(340)와 조립될 때 삽입된 연필(350)를 할개부(325)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되었으나, 상기 수나사부(330)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할개부(325) 없이도 쐐기형의 암나사부(340)와 조립되어 연필(350)을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할개부(325)와 같은 역할을 할 수 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장치(3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보여주는 그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도 9a 및 도 9b을 참조하면, 도 9a 및 도 9b는 연필(350)을 파지하는 올바른 필기자세 방법이다.
상기 그립(321)에 각각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그 위치와 각도에 맞게 위치시킨다. 상기 그립(321)의 위치와 모양은 사용자가 잡았을 때 가장 편하고 올바른 자세라고 여겨지는 곳에 위치시키고 모양이 만들어지므로 즉 사용자가 그립(321)의 위치에 손가락을 위치 시켜서 가장 편하다고 느껴지면 올바른 파지법으로 잡은 것이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연필(350)의 길이에 상관없이 연결부의 암나사부(340)와 수나사부(430)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며 새 연필이 몽당연필이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는 도 10에 도시한 전체 구성도중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0 및 도11를 참조하면, 상기 필기자세교정 장치(400)은 제 1 본체(401)와 제 2 본체(402) 및 그립(4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본체(401)는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402)는 일측에 상기 제 1 본체(401)의 암나사부(440)에 대응하는 수나사부(430)가 외주면 형성되고, 삽입된 연(450)필을 잡아주기 위해 상기 수나사부(43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할개부(425)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440)는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수나사부(430)와 조립될 때 삽입된 연필(450)를 할개부(425)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되는 상기 수나사부(430)와 암나사부(440)를 조절함으로써 새 연필(450)에서부터 몽당연필(450)까지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한 높이 및 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그립(421)은 제 1 본체(401)의 일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또한 그립(421)의 재질은 손가락에서의 땀에 의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크고 어느 정도의 습기(손가락의 땀)에도 미끄러짐이 없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나사부의 할개부(425)는 쐐기형의 암나사부(440)와 조립될 때 삽입된 연필(450)를 할개부(425)가 오그라들며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되었으나, 상기 수나사부(430)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할개부(425) 없이도 쐐기형의 암나사부(440)와 조립되어 연필(450)을 잡아주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할개부(425)와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장치(4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보여주는 그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도 12a 및 도 12b는 연필(450)을 파지하는 올바른 필기자세 방법이다.
상기 그립(421)에 각각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그 위치와 각도에 맞게 위치시킨다. 그립(421)의 위치와 모양은 사용자가 잡았을 때 가장 편하고 올바른 자세라고 여겨지는 곳에 위치시키고 모양이 만들어지므로 즉 사용자가 그립(421)의 위치에 손가락을 위치 시켜서 가장 편하다고 느껴지면 올바른 파지법으로 잡은 것이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연필(450)의 길이에 상관없이 연결부의 암나사부(440)와 수나사부(430)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며 새 연필이 몽당연필이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 장치에 의하면 그립에 맞게 파지를 하는 습관을 가지면 올바른 필기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잘못된 필기자세교정도 가능하고 새 연필에서 몽당 연필까지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사용할 수 있어 필기시 번거러움이 없고 물자절약도 할 수 있으며 어려서부터 절약정신을 함양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필기자세교정 장치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자세교정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필기자세교정장치 가운데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필기자세교정장치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교정자세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안 필기자세교정장치 가운데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필기자세교정장치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교정자세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한 필기자세교정장치 가운데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필기자세교정장치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10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교정자세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한 필기자세교정장치 가운데 연결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필기자세교정장치에 따른 올바른 파지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필기자세교정장치 101, 201, 301, 401:제 1 본체
102, 202, 302, 402:제 2 본체 110, 210:홀(hole)
121, 122, 123:제 1 내지 제 3 그립
221, 222, 223:제 1 내지 제 3 그립
321, 421 : 그립(grip)
125, 225, 325, 425:할개부 130, 230, 330, 430:수나사부
140, 240, 430, 440:암나사부 150, 250, 350, 450:연필
160, 260:돌기 370, 470 : 돌출부

Claims (7)

  1. 연필을 끼워 사용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 내주면에 타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쐐기형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제 1 본체;
    일측에 상기 제 1 본체의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제 2 본체;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본체에 결합되어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파지에 알맞은 위치와 각도로 유도하도록 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립을 포함하는 필기자세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의 외주면에는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파지에 알맞은 위치와 각도로 유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립의 일측이 상기 홀에 함몰되게 각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의 외주면에는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을 파지에 알맞은 위치와 각도로 유도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그립의 일측이 상기 홀에 함몰되게 각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
  4. 제 2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및 상기 그립은 각기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자세교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
  7. 제 2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에 삽입되는 연필을 눌러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자세교정 장치.
KR20-2005-0021691U 2005-07-26 2005-07-26 필기자세교정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399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91U KR200399092Y1 (ko) 2005-07-26 2005-07-26 필기자세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91U KR200399092Y1 (ko) 2005-07-26 2005-07-26 필기자세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092Y1 true KR200399092Y1 (ko) 2005-10-20

Family

ID=4370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91U Expired - Lifetime KR200399092Y1 (ko) 2005-07-26 2005-07-26 필기자세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0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102A (ko) * 2012-09-11 2014-03-19 소시에떼 비아이씨 인체공학적인 다목적 필기 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102A (ko) * 2012-09-11 2014-03-19 소시에떼 비아이씨 인체공학적인 다목적 필기 도구
KR102118114B1 (ko) * 2012-09-11 2020-06-02 소시에떼 비아이씨 인체공학적인 다목적 필기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885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hand grip
US6161974A (en) Writing instrument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JP2002192885A (ja) 筆記用具
US20150165813A1 (en) Fingertip mountable writing instrument
US20090060621A1 (en) Ergonomic Pen with Convex Device for Index Finger Exerting Force Thereon
KR200399092Y1 (ko) 필기자세교정장치
KR200422101Y1 (ko) 손가락 필기도구
KR200379249Y1 (ko) 필기구 파지자세 교정구
JP2010083076A (ja) 筆記補助具
US10717314B2 (en) Tactual finger grip
KR200261344Y1 (ko) 삽지식 필기구
JP2000203188A (ja) 筆記補助具
JP2001260592A (ja) 筆記具及び箸等の軸保持補助具
JP3017630U (ja) 習字用の握り持ち補助文具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KR200368914Y1 (ko) 필기보조기구
JPH0839986A (ja) 書き方矯正具
JP3126015U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JP3017069B2 (ja) 幼児用シャープペンシル
KR100597338B1 (ko) 교정용 필기구 홀더
JP2019217126A (ja) スプーン及び筆記具の補助具
US20240108485A1 (en) Hol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tools and utensils
JPH0822241A (ja) 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練習具
JP3145437U (ja) おたすけボ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7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7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3

Year of fee payment: 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0707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