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8859Y1 - 건축물용 방호창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방호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59Y1
KR200398859Y1 KR20-2005-0021540U KR20050021540U KR200398859Y1 KR 200398859 Y1 KR200398859 Y1 KR 200398859Y1 KR 20050021540 U KR20050021540 U KR 20050021540U KR 200398859 Y1 KR200398859 Y1 KR 200398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body
building
opening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권
김정석
조미동
Original Assignee
조미동
송용권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미동, 송용권, 김정석 filed Critical 조미동
Priority to KR20-2005-0021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5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용 방호창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신축공사시 창호를 위해 마련해 두는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 그 가로, 세로 길이에 맞게 세팅한 상태에서 개구부에 설치해 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방호창 설치가 가능하며, 방호창에 적용되는 방호망으로 하여금 건물의 내부공사에 의한 먼지 및 각종 잔해물이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주변환경을 깨끗이 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지지부재로 하여금 개구부에 안정적으로 방호창을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고, 난간프레임의 길이를 세팅된 방호창의 크기에 맞게 횡으로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방호창{Protection frame for a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용 방호창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신축공사시 층간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방호창을 가설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기타 공사에 따른 분진 등의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고층빌딩 등의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신축공사시, 계단 층의 층간에 위치하는 창가 측에는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향후 창호의 설치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1)가 마련된 상태에서 건물의 내부공사가 진행된다.
공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건물의 층계를 작업자가 오르내리고 함에 있어, 상기 개구부는 작업자의 추락사가 제일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기타 장비 및 소재의 낙하 등이 문제가 되며, 건물 내부공사에 따른 비산되는 각종 먼지 등의 유출이 주변의 환경을 더럽히는 문제가 된다.
통상 상기 층간의 개구부에는 가설용 난간을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가설용 난간을 일일이 조립하여 설치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고, 임시의 가설용으로 설치함에 있어 창호를 설치하기 이전 가설용 난간을 해체시에도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가설용 난간은 대부분 작업자의 허리 정도의 높이에서 난간을 형성시키는 설치되는 것으로, 추락사에 대한 안전사고에 노출이 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장비 및 공사재료의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문제점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가설용 난간은, 별도의 그물망 설치가 어려우므로 내부공사시 비산되는 먼지 및 각종 공사 잔해물 등은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축물의 신축공사시 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방호창을 가설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 및 기타 공사에 따른 분진 등의 날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의 신축공사시 층간 사이에 창호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개구부에 가설용으로 설치되는 건축물용 방호창에 있어서, 상기 방호창은 중공형의 사각파이프로 직각되게 절곡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개구부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며, 종단의 일측에 나사체결에 의한 고정노브가 설치되며, 길이방향 및 직각되는 모서리에 ㄴ형자의 걸이편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가 형성되되, 보스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가 설치된 한 쌍의 제1틀체와; 중공형의 사각파이프로 직각되게 절곡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개구부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지지편이 부착되며, 모서리에 ㄴ자형의 걸이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틀체 내에 상하, 좌우 양단이 안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틀체와;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에 설치되어 개구부의 외측 벽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제1틀체와 제2틀체의 걸이편에 가장자리를 걸어 설치되는 방호망과; 상기 제1틀체의 전면측 보스측에 양단이 횡으로 설치되는 난간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인 방호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을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신축공사시 층간 사이에 창호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개구부(1)에 가설용으로 설치되는 건축물용 방호창(10)에 있어서, 상기 방호창(10)은 중공형의 사각파이프로 직각되게 절곡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개구부(1)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지지편(12a)이 돌출 형성되며, 종단의 일측에 나사체결에 의한 고정노브(12b)가 설치되며, 길이방향 및 직각되는 모서리에 ㄴ형자의 걸이편(12c)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12d)가 형성되되, 보스(12d)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12e)가 설치된 한 쌍의 제1틀체(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틀체(12)는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어 개구부(1)에 맞게 직사각 형태를 이룬다.
또한, 중공형의 사각파이프로 직각되게 절곡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개구부(1)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지지편(14a)이 부착되며, 모서리에 ㄴ자형의 걸이편(14b)이 형성된 한 쌍의 제2틀체(14)가 상기 제1틀체(12)내에 상하, 좌우 양단이 안내 설치된다.
상기 제1틀체(12)에 대한 제2틀체(14)의 설치로서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에는 개구부(1)의 외측 벽면에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6)가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16)는 제1틀체(12)와 제2틀체(12)의 전면으로부터 각 이들이 접하지 않는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일측에 스프링 가압편(16a)이 형성된 ㄴ형자의 레버(16-1)와, 상기 레버(16-1) 일단에 연결되어 개구부(1)의 벽면두께에 대한 외측 벽면을 지지하는 밀착편(16-2)과,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전면으로부터 레버(16-1)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6-3)으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레버(16-1)가 관통 설치되는 제1틀체(12) 및 제2틀체(14)의 후방에는 레버(16-1)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턱(12-1)(14-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16-1) 상에는 회전방지돌기(16b)가 형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을 고정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방호창(10)의 제1틀체(12) 및 제2틀체(12) 측면으로부터 나사체결되어 관통 설치되는 고정보울트(19)로서 방호창(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보울트(19)는 제1틀체(12)와 제2틀체(14)가 중복되지 않는 범위의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호창(10)의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걸이편(12c)(14b)에 가장자리를 걸어 비산되는 먼지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방호망(M)이 설치된다.
상기 걸이편(12c)(14b)은 방호창(10)을 형성하는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크기가 결정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방호망(M)을 걸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방호망(M)은 개구부(1)에 대한 방호창(10)의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틀체(12)의 전면측 보스(12d)측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난간프레임(18)이 횡으로 설치된다.
상기 방호창(10)에 적용되는 난간프레임(18)은 제1틀체(12)의 체결구(12e)에 의해 고정되도록 일단에 결합공(18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12e)에 각 선택적으로 안내 고정되기 위한 장공(18b)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건축물용 방호창의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호창(10)의 조립은, 한 쌍의 제1틀체(12)를 기본으로 하여 이들을 상호 대칭되는 형태, 즉, 직사각형태로 만들어주되, 각 제1틀체(12)에 제2틀체(14)의 양단을 삽입하여 하나의 사각틀 형태로 만들어준다.
이와 같은 형태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제1틀체(12)의 전면측에 마련한 고정노브(12b)의 나사체결 정도에 따라 틀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제1틀체에 삽입된 제2틀체(14)의 소정부분을 상기 고정노브(12b)의 체결로서 고정시켜 준다.
도 4는 상기 고정노브(12b)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1틀체(12)로부터 제2틀체(14)를 신장시킨 것으로, 방호창의 전반적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범위는 300mm정도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층간의 개구부(1) 크기에 따라 상기 방호창(10)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가로측과 세로측의 길이조정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지는 방호창은 동일 건물의 개구부의 크기가 동일하게 시공됨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형태로 다수의 방호창을 마련해 둔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1)에 대한 크기가 결정되면,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외측에 마련된 각 걸이편(12c)(14b)에 방호망(M)을 걸어 설치해 준다(도 5참조).
상기 방호망(M)은 설정된 방호창(10)의 크기에 대하여 필요로 하는 만큼 절단하여 그 가장자리를 걸이편(12c)(14b)에 걸어주는 방식으로서 간단한 설치를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의 내부공사시 비산되는 먼지의 배출을 방호망 설치에 의한 효과로서 최소화할 수 있고, 기타 공사잔해물이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건축물의 공사현장주변과 이웃하는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층간의 각 개구부(1)로부터 방호창(10)의 설치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기가 세팅된 방호창(10)을 개구부(1)에 일치시켜 주면,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지지편(12a)(14a)은 첨부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의 각 내측 벽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부재(16)의 사용으로서 방호창(10)을 개구부(1)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6)는 제1틀체(12)와 제2틀체(14)가 서로 겹치지 않는 범위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16-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90도 외측으로 회전시켜 레버를 놓게 되면, 레버의 반대측 종단에 설치된 밀착편(16-2)은 개구부(1)의 외측 벽면에 위치되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상태에서 방호창(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16)는 하나의 방호창(10)에 대해 4지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각 층간의 개구부(1)에 방호창을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가압에 따라 레버(16-1)에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가압편(16a)은 각 틀체의 전면 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6-3)을 가압하는 형태로서 전진하고, 레버(16-1)를 90도 회전한 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16-3)의 복원력에 의한 탄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레버(16-1) 측의 밀착편(16-2)은 상기 개구부(1)의 외측 벽면을 밀착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레버(16-1)의 회전은 각 틀체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턱(12-1)(14-1)에 대해 레버에 마련된 회전방지돌기(16b)가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레버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밀착편(16-2)이 개구부(1)의 외측 벽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방호창(10)을 간단히 건물 내측 방향으로 해체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방호창(10)의 지지편(12a)(14a)은 개구부(1)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레버(16-1)의 밀착편(16-2)은 개구부(1)의 외측 벽면을 지지하는 형태로서, 방호창(10)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방호창은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16)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고정보울트로(19)서 간단히 방호창(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틀을 형성하는 방호창(10)에 있어, 틀의 내측면으로부터 고정보울트(19)를 관통하여 개구부(1)의 가장자리 내측면에 밀착 가압함으로써, 방호창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방호창(10)에 대해 제1틀체(12)의 전면측 보스(12d)에 설치된 체결구(12e)를 이용하여 난간프레임(18)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상기 난간프레임(18)은 체결구(12e)에 의해 그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18a)을 통해 고정되고, 그 반대측에 형성된 장공(18b)을 통해 또 하나의 체결구(12e)를 고정하여 줌으로서 방호창(10)에 대한 횡방향을 보강할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난간프레임(18)은 방호창(10)이 위치하는 개구부(1)의 크기에 따라 조정 설치되는데, 방호창의 횡방향 크기에 따라 일측은 고정되는 형태이고, 타측에 형성한 다수의 장공(18b)은 방호창의 크기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체결구(12e)로 고정함으로서, 그 길이에 따른 설치를 편리하게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방호창은 개구부로부터 방호창의 해체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향후 방호망을 제외하는 나머지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재설치가 가능하며, 각 부분이 분리 조립되는 이유에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용 방호창은 건물의 신축공사시 창호를 위해 마련해 두는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 그 가로, 세로 길이에 맞게 세팅한 상태에서 개구부에 설치해 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방호창 설치가 가능하며, 방호창에 적용되는 방호망으로 하여금 건물의 내부공사에 의한 먼지 및 각종 잔해물이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주변환경을 깨끗이 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지지부재로 하여금 개구부에 안정적으로 방호창을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설치 및 해체작업이 간단하고, 난간프레임의 길이를 세팅된 방호창의 크기에 맞게 횡으로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물의 개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방호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을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보안에 따른 방호창에 방호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방호창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개구부 10: 방호창
12: 제1틀체 14: 제2틀체
16: 지지부재 18: 난간프레임
19: 고정보울트 M: 방호망

Claims (5)

  1. 건물의 신축공사시 층간 사이에 창호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개구부(1)에 가설용으로 설치되는 건축물용 방호창(10)에 있어서,
    상기 방호창(10)은 중공형의 사각파이프로 직각되게 절곡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개구부(1)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지지편(12a)이 돌출 형성되며, 종단의 일측에 나사체결에 의한 고정노브(12b)가 설치되며, 길이방향 및 직각되는 모서리에 ㄴ형자의 걸이편(12c)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12d)가 형성되되, 보스(12d)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12e)가 설치된 한 쌍의 제1틀체(12)와;
    중공형의 사각파이프로 직각되게 절곡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개구부(1)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지지편(14a)이 부착되며, 모서리에 ㄴ자형의 걸이편(14b)이 형성되어 상기 제1틀체(12) 내에 상하, 좌우 양단이 안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틀체(14)과;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에 설치되어 개구부(1)의 외측 벽면에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6)와;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걸이편(12c)(14b)에 가장자리를 걸어 설치되는 방호망(M)과;
    상기 제1틀체(12)의 전면측 보스(12d)측에 양단이 횡으로 설치되는 난간프레임(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방호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6)는 제1틀체(12)와 제2틀체(12)의 전면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일측에 스프링 가압편(16a)이 형성된 ㄴ형자의 레버(16-1)와, 상기 레버(16-1) 일단에 연결되어 개구부(1)의 벽면두께에 대한 외측 벽면을 지지하는 밀착편(16-2)과,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4)의 전면으로부터 레버(16-1)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방호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6-1)가 관통 설치되는 제1틀체(12) 및 제2틀체(14)의 후방에는 레버(16-1)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턱(12-1)(14-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16-1) 상에는 회전방지돌기(1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방호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12)와 제2틀체(12)의 측면으로부터 나사체결되어 관통 설치되는 고정보울트(19)로서 개구부(1)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방호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프레임(18)은 제1틀체(12)의 체결구(12e)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결합공(18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대응되는 체결구(12e)에 안내 고정되기 위한 장공(1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방호창.
KR20-2005-0021540U 2005-07-25 2005-07-25 건축물용 방호창 Expired - Lifetime KR200398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40U KR200398859Y1 (ko) 2005-07-25 2005-07-25 건축물용 방호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40U KR200398859Y1 (ko) 2005-07-25 2005-07-25 건축물용 방호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59Y1 true KR200398859Y1 (ko) 2005-10-17

Family

ID=4369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540U Expired - Lifetime KR200398859Y1 (ko) 2005-07-25 2005-07-25 건축물용 방호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5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795B1 (ko) * 2008-10-09 2009-07-15 한동엽 신축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0907796B1 (ko) * 2008-12-18 2009-07-15 한동엽 추락방지장치
KR101003348B1 (ko) 2010-04-05 2010-12-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길이조절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난간
KR101179440B1 (ko) 2010-11-25 2012-09-04 권택철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90073657A (ko) 2017-12-19 2019-06-27 권택원 벽면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102040906B1 (ko) * 2019-04-24 2019-11-06 신성스틸(주) 건축물 개방부 차폐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구조
KR102214399B1 (ko) * 2019-10-22 2021-02-08 윤영숙 시공 건축물용 사이즈 가변형 소음차단장치
KR20210034941A (ko) * 2019-09-23 2021-03-31 윤영숙 시공 건축물용 소음 차단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795B1 (ko) * 2008-10-09 2009-07-15 한동엽 신축 건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0907796B1 (ko) * 2008-12-18 2009-07-15 한동엽 추락방지장치
KR101003348B1 (ko) 2010-04-05 2010-12-22 (주)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길이조절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난간
KR101179440B1 (ko) 2010-11-25 2012-09-04 권택철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90073657A (ko) 2017-12-19 2019-06-27 권택원 벽면 개구부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102040906B1 (ko) * 2019-04-24 2019-11-06 신성스틸(주) 건축물 개방부 차폐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구조
KR20210034941A (ko) * 2019-09-23 2021-03-31 윤영숙 시공 건축물용 소음 차단장치
KR102239017B1 (ko) * 2019-09-23 2021-04-09 윤영숙 시공 건축물용 소음 차단장치
KR102214399B1 (ko) * 2019-10-22 2021-02-08 윤영숙 시공 건축물용 사이즈 가변형 소음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266B2 (en) Safety barricading system
US8839592B2 (en) Dust free construction barrier system
AU2011342376B2 (en) System and components for safely enclosing handrails, stairways, walkways and platforms
CA2834823C (en) Safety barricade and/or guarding system
RU2734199C2 (ru) Бок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имею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 такое боковое ограждение,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акого бок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US20160298346A1 (en) Fall Protection Guardrail
KR200398859Y1 (ko) 건축물용 방호창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US20180274251A1 (en) Safety and debris drop net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ology
CA2353337A1 (en) Bracket for supporting temporary barrier
KR101808505B1 (ko) 추락방지망 고정구
WO2020120939A1 (en) A hatch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EP1365087A2 (en) Safety barrier apparatus
KR200483770Y1 (ko) 계단용 폭목
CN218668258U (zh) 一种微晶石墙面装配结构
AU723480B3 (en) Scaffolding apparatus
KR200413775Y1 (ko) 신축 지하층의 안전구조물 지지구
CA3001228C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0367587Y1 (ko) 건설용 족장구조
AU2012101377A4 (en) Safety barricade system
JP2951130B2 (ja) 板ガラスユニットの壁への取付工法
US20010025741A1 (en) Scaffolding apparatus
JP3031777U (ja) 避難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7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7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