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17Y1 -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 Google Patents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6417Y1 KR200396417Y1 KR20-2005-0019884U KR20050019884U KR200396417Y1 KR 200396417 Y1 KR200396417 Y1 KR 200396417Y1 KR 20050019884 U KR20050019884 U KR 20050019884U KR 200396417 Y1 KR200396417 Y1 KR 2003964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lock
- box
- lever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회수함은 상면에 형성된 입구 및 배면에 형성된 레버 홀을 포함하는 박스 몸체, 박스 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하여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판 및 커버판의 하부 후방에 형성된 잠금 바를 포함하는 커버 파트, 박스 몸체의 내부 후방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레버 홀에 인접하게 위치한 지지부 및 상기 잠금 바와 결속되는 커버 래치를 포함하는 커버 잠금부 및 커버 잠금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일단에 형성된 홈 고정편 및 타단에 형성되어 커버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정위치 래치를 포함하는 정위치 잠금부를 구비한다. 잠금 가압부를 포함하는 정위치 레버가 레버 홀을 통해 박스 몸체 내로 삽입되고 잠금 가압부가 커버 잠금부의 아래로 이동하여 커버 파트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파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정위치 잠금부가 위로 이동하여 정위치 래치가 상기 박스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그와 동시에 홈 고정편도 위로 이동하는 정위치 레버를 결속시킬 수가 있다.The collecting box includes a box body including an inlet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ever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 cover part including a cov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by sliding a slide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x body, and a locking bar formed on a lower rear side of the cover plate. It slides up and down in the inner rear of the body, is formed adjacent to the cover lock portion and the cover lock portion including a support portion adjacent to the lever hole and a cover latch coupled to the locking bar and elastically supported, formed at one end And a fixed position locking part including a fixed position latch formed at the groove fixing piece and the other end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 in-situ lever including a locking press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box body through the lever hole and the locking pressing portion may move down the cover locking portion to release the cover part. Further, when the cover part is moved forward, the lock position is moved upward, and the lock latch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box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 lever can also engage the lock lever to move upward.
Description
본 고안은 금융자동화기기(Cash Transaction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고안은 회수함에 있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에 사용되는 회수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h Transaction Machi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ed device capable of safely protecting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box and a collection box used in the financial automated device.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n automated device that can assist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with respect to financial services.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an be divided into cash dispenser and cash dispenser according to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Recently, it has been used for cash withdrawal, check deposit and withdrawal, bankbook payment, payment of giro fee, ticket release.
현재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고객들도 점차 금융자동화기기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를 사용하는 회수도 증가하게 되면서, 매번 이용하는 금융거래의 금액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해 거래되는 금액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장의 현금들이 입금 또는 출금되고 있으며, 여러 장이 현금들이 사용됨에 따라 현금들 상호 간의 이동 또는 위치 간섭에 의해서 금융자동화기기 내에서 의도하지 일들이 자주 발생할 수가 있다. Currently, the use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is gradually increasing in banks and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nd as the use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becomes more convenient, customers are increasingly using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s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automated teller machines increases, the amount of financial transactions used every time also increases. As the amount of money traded through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ncreases, several cashes are deposited or withdrawn, and as multiple sheets of cash are used, unintentional occurrences often occur with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due to movement or loc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cash. There is a number.
도 1은 기존의 관련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출금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elated automated teller machin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ithdrawal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또는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장비로서, 하나의 하우징 내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지폐 입출금 모듈 등과 같이 기능 단위로 구별되는 여러 개의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 device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or check, in one housing a number of differently divided into functional units, such as magnetic card reading module, bankbook organizer module, user interface module,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The module is installed.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은 카드 투입부(10)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플레이화면(20)이나 키입력부(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magnetic card reading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rd input unit 10, and the user interface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screen 20 or the key input unit 25.
또한, 지폐 출금 모듈은 현금 방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현금 방출부(30)는 직접 배출 방식에 따른 것으로서, 지폐 출금 모듈 내에서 이미 요청된 금액의 현금이 준비된 후, 현금이 현금 방출부(30)에서 스택(stack) 단위로 제공된다. 하지만,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현금 카세트(cash cassette)에서는 현금을 낱장 단위로만 제공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지폐 출금 모듈 내에서 현금을 스택 단위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금을 일시로 적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폐 출금 모듈은 일시스택부(temporary stacking s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ll withdrawal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h discharge unit (30). The cash discharge unit 30 shown in FIG. 1 is based on a direct discharging method. After the cash of the amount already requested in the bank withdrawal module is prepared, the cash is provided in a stack unit in the cash discharge unit 30. do. However, since a cash cassette that stores cash provides cash only in sheets, a process of temporarily loading cash is required to provide cash in a stack unit in the bank withdrawal module. For this purpose, the bank withdrawal module may include a temporary stacking section.
도 2를 참조하면, 출금 모듈(100)은 현금 카세트(110), 이송장치(120), 일시스택부(130), 회수함(140) 및 방출부(30)를 포함한다. 출금 모듈(100)은 현금 카세트(110)로부터 현금을 인출하며, 현금 카세트(110)로부터 낱장 단위로 인출된 현금은 이송장치(120)에 의해서 일시스택부(130)로 이송된다. 이송장치(120)에는 순환이송벨트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진입공간(122)이 제공되며, 진입 공간(122)은 일시스택부(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송되는 현금은 진입 공간(122)에서 일시스택부(130)에서 낱장 단위로 적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ithdrawal module 100 includes a cash cassette 110, a transfer device 120, a temporary stack unit 130, a collection box 140, and a discharge unit 30. The withdrawal module 100 withdraws cash from the cash cassette 110, and the cash withdrawn from the cash cassette 110 in units of sheets is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by the transfer device 120. The transfer device 120 is provided with an entry space 122 in which the circulating transfer bel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entry space 122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stack 130 and the cash transferred is entered into the entry space 122. In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may be loaded in a sheet unit.
일시스택부(130)에 소정의 현금이 적재되면, 일시스택부(130)는 상승하여 다시 이송장치(120)로 이동하고, 일시스택부(130) 및 이송장치(120)가 작동하여 현금 스택을 방출부(30)로 이송할 수 있다.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cash is loaded in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moves up to the transfer apparatus 120, and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and the transfer apparatus 120 operate to stack the cash. It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unit 30.
여기서, 일시스택부(130)의 상부에는 이동판(152)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현금이 현금 카세트(110)부터 일시스택부(130)까지 이송되는 동안 센서를 통과하게 되고, 출금 모듈(100)은 센서를 통해 이매 여부, 위조 여부, 권종 진위 등을 파악할 수가 있다. 이매로 판단되거나 위조 지폐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동판(152)이 진입 공간(122)으로 이동하여 일시스택부(130) 상부를 차단하게 되고, 이송된 현금은 개방된 회수함(140)으로 들어갈 수 있다.Here, the movable plate 152 is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orary stack 130 so as to allow left and right slide movement. While the cash is transferred from the cash cassette 110 to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the cash is passed through the sensor, and the withdrawal modul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transfer is forged, whether forgery, or the authenticity of the paper. If it is judged as a double sheet or a counterfeit bill, etc., the moving plate 152 moves to the entry space 122 to block the upper part of the temporary stack 130, and the transferred cash is opened to the open collecting box 140. I can go in.
또한, 이송장치(120)가 일시스택부(130)로부터 정상적인 현금 스택을 방출부(30)로 이송하여도, 고객이 현금 스택을 인출해가지 않는다면 출금 모듈(100)은 현금을 다시 회수하여야 한다. 이때에도 일시스택부(130)은 진입 공간(122)으로부터 아래로 이동하고, 일시스택부(130)가 있던 자리로는 이동판(152)이 이동하여 회수함(140)을 개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transfer device 120 transfers the normal cash stack from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to the discharge unit 30, if the customer does not withdraw the cash stack, the withdrawal module 100 must recover the cash again. . In this case,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may move downward from the entry space 122, and the movable plate 152 may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temporary stack unit 130 was located to open the recovery box 140.
회수함(140)은 현금 또는 현금 스택의 이송 경로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진입 공간(122)으로 이동하면 이송 경로를 통과하던 현금이 이동판(152)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보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금 모듈에 장착된 회수함(14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안전을 위해서라도 회수함(140)을 출금 모듈(100)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회수함(140)의 상면을 닫혀져야 할 것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recovery box 140 is located adjacent to the transfer path of the cash or cash stack, and when moved to the entry space 122, the cash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path may be stored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of the moving plate 152. To this e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box 140 mounted on the withdrawal module should be open. However, even for safety, before the collection box 140 is separated from the withdrawal module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box 140 will have to be closed, and the contents should be safe from external intrusion.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금융자동화기기에 회수함을 장착할 때에만 회수함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회수함을 분리할 때에는 입구를 닫은 상태에서만 분리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the inlet of the collection box only when the collection box is mounted o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when removing the collection box, only the entrance is closed It is to provide a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nd a collection box that can be ma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수함을 분리시킨 후에는 회수함의 잠금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회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very box that can safely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recovery box after removing the recovery box.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이 용이하고, 회수함을 장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회수함의 보호가 자연스럽게 보장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 collection box, which is easy to use, and in which the protection of the collection box can be naturally guarante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removing the collection box.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의 이송 경로에 인접한 회수함 수용부, 회수함 수용부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돌출되며, 단부에 형성된 잠금 가압부와 잠금 가압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정위치 홈을 포함하는 정위치 레버, 및 회수함 수용부에 장착 및 분리되며 정위치 레버를 통과시키기 위한 레버 홀을 포함하는 회수함을 구비한다. 회수함은 회수함 수용부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회수함이 회수함 수용부에 장착되면서 정위치 레버가 회수함 내부로 삽입되어 회수함의 커버 파트를 해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s projected to the inner side in the recovery box receiving portion, the recovery box receiving portion adjacent to the transport path of the medium, the lock pressing portion and the lock formed at the end And an inlet lever including an indentation groove formed adjacent to the pressing portion, and a intake container mounted and detached in the intake container housing and including a lever hole for passing the in place lever. The collecting box may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collecting box housing, and the lever may be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box to release the cover part of the collecting box while the collecting box is mounted in the collecting box housing.
구체적으로, 회수함은 박스 몸체, 커버 파트, 커버 잠금부 및 정위치 잠금부를 포함한다. 박스 몸체는 상면으로 형성된 입구를 포함하며, 커버 파트는 박스 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서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커버 파트는 박스 몸체의 상면을 덮는 커버판을 포함하며, 커버판의 하부 후방에는 잠금 바가 제공된다. 커버 잠금부는 박스 몸체의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상하 이동을 하면서 잠금 바를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잠금부의 하단부에는 레버 홀에 인접하게 위치한 지지부가 형성되며, 커버 잠금부의 상단부에는 잠금 바와 결속되기 위한 커버 래치가 제공된다. 커버 잠금부와 인접하게는 정위치 잠금부가 제공된다. 정위치 잠금부 역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이나 기타 스프링에 의해서 위를 향하는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정위치 잠금부의 상단부에는 정위치 래치가 형성되며, 커버 파트가 닫혀진 상태에서 정위치 래치는 커버판의 저면을 지지한다. 하지만, 커버 파트가 열리면서 정위치 래치는 박스 몸체의 위로 노출되며, 홈 고정편도 함께 상승하여 정위치 레버의 정위치 홈과 결속된다. Specifically, the retrieval box includes a box body, a cover part, a cover lock portion and an in-position lock portion. The box body includes an inlet formed as an upper surface, and the cover part can open and close the inlet while sli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x body. To this end, the cover part includes a cover plat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and a locking bar is provided at the lower rear of the cover plate. The cover locking part may slide up and down in the inside of the box body, and may lock or release the locking bar while moving up and down. To this end, a lower end of the cover lock part is formed with a support part adjacent to the lever hole, and an upper end of the cover lock part is provided with a cover latch for engaging the locking bar. Adjacent locks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cover locks. In-situ locks can also slide up and down, and are subjected to upward elastic forces by torsion springs or other springs. Therefore, a right latc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ight locking part, and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part is closed, the right latch supports the bottom of the cover plate. However, as the cover part is opened, the right latch is exposed over the box body, and the groove fixing piece also rises to engage the right groove of the right lever.
따라서 회수함이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분리된 경우, 커버 잠금부가 잠금 바를 구속하기 때문에 커버 파트는 박스 몸체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회수함이 금융자동화기기로 삽입되면서 정위치 레버가 커버 잠금부의 지지부를 아래로 이동시켜 잠금 바를 해제시킬 수 있다. 그 다음, 해제된 커버 파트가 입구의 개방을 위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정위치 잠금부는 정위치 레버를 결속시킬 수 있으며, 정위치 레버 및 정위치 잠금부가 결속됨으로써 회수함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 파트를 박스 몸체의 상부로 다시 밀어 넣어야만 회수함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회수함이 분리될 때에는 이미 커버 파트가 박스 몸체의 상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회수함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collection box is separated from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the cover part is fixed to the box body and does not move because the cover lock part locks the lock bar. However, as the recovery box is inserted into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the position lever may move the support of the cover lock portion downward to release the lock bar. Then, while the released cover part moves forward to open the inlet, the exact position locking portion may bind the position lever, and the position lever and the position locking portion may be boun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llection box. Therefore, the user can push the cover part back to the upper part of the box body to remove the bin, and when the bin is removed, the cover part already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box body to protect the contents of the bin. .
여기서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 또는 입금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출금 전용기기 및 입출금기기 모두 금융자동화기기로 이해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고객으로부터 맡겨진 현금 봉투나 기타 종이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입금 전용 장치로도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취급하는 종이 매체라 함은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과 같이 일정한 가치를 갖는 시트 형상이 물건으로서, 그 재질은 종이 외에도 플라스틱 박막 등과 같이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재질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Here,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ncludes a withdrawal or deposit function, and both the withdrawal device and the withdrawal device can be understood as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furthermore, as a deposit only device for storing cash bags or other paper media entrusted by customers. It can also be understood. In addition, a paper medium handled by an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 sheet having a certain value, such as a bill, a check, a gift certificate, a ticket, etc., and the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can replace paper, such as a plastic thin film. Can be configur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회수함을 장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회수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the coll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example equipped with the collection box of Figure 3, Figure 5 is Figure 3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recovery box of.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종이 매체(P)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210)를 포함하며, 이송장치(210)에 인접하게 회수함 수용부(220), 정위치 레버(230) 및 회수함(300)이 제공된다. 이송장치(210)는 순환이송벨트(212~216)로 구성되며, 회수함 수용부(220)에 대응하여 순환이송벨트(214, 216)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종이 매체(P)가 이격된 공간을 통과하면서 회수함(300) 내로 회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이송벨트(214)는 좌우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에 따라 회수함(300)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210)는 벨트를 이용하여 종이 매체를 이송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장치는 롤러 및 가이드 판을 이용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벨트 및 가이드 판을 이용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3 and 4, a portion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partially enlarged.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es a conveying device 210 for conveying the paper medium P, and has a collecting box receiver 220, an in-position lever 230, and a collecting box 300 adjacent to the conveying device 210. This is provided. The conveying apparatus 210 is composed of the circulation conveyance belts 212 to 216, and the circulation conveyance belts 214 and 216 are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box accommodating portion 220. Accordingly, the paper medium P may be recovered into the collecting container 300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d spaces. As shown in FIG. 2, the circular transfer belt 214 may have a structure that moves left and right, and may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bin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n addition, the conveying apparatus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veys the paper medium using a belt,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veying apparatus may have a structure using a roller and a guide plate, and alternatively, a structure using a belt and a guide plate. May hav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회수함 수용부(220)는 이송장치(210)의 이송 경로 하부에 위치한다. 회수함 수용부(220)는 회수함(300)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및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회수함(300)은 회수함 수용부(220)의 전방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서 장착 및 분리될 수가 있다. 회수함 수용부(220)는 회수함(3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2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구(222)에 대응하여 회수함(300)에는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가 있다.3 and 4, the recovery box receiving portion 220 is located under the transfer path of the transfer device 210. The collection box container 220 may provide a space and a guide to which the recovery box 300 can slide, and the collection box 300 may be mounted and separated through an inlet formed in front of the collection box container 220. Can be. The recovery box accommodating part 22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er 222 capable of fixing the recovery box 300, and a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recovery box 300 corresponding to the fixing device 222.
회수함 수용부(220)의 안쪽으로 정위치 레버(230)가 설치된다. 정위치 레버(230)는 회수함 수용부(220)의 후방 안쪽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되며, 레버 홀(312)을 통해서 진입하는 회수함(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가 있다. 정위치 레버(230)의 단부에는 잠금 가압부(232)가 형성되며, 잠금 가압부(232)는 레버 홀(312)을 통해 회수함(300)으로 삽입되어 지지부(334)를 누를 수가 있다. 또한, 잠금 가압부(232)의 안쪽으로 인접하게 정위치 홈(234)이 형성된다. 정위치 홈(234)은 잠금 가압부(232)의 후방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정위치 잠금부(340)와 상호 결속될 수 있다.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is installed inside the collection box container 220.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protrudes inward from the rear inner side of the recovery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22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recovery container 300 entering through the lever hole 312. A lock pressing portion 232 is formed at an end of the position lever 230, and the locking pressing portion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recovery box 300 through the lever hole 312 to press the support 334. In addition, the inlet groove 234 is formed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locking pressing portion 232. The exact position groove 234 is located behind the locking pressing portion 232 and may be mutually engaged with the exact position locking portion 340 described later.
잠금 가압부(232)는 양측으로 경사진 면을 갖는다. 따라서, 잠금 가압부(232)는 차단 바(316)를 타고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지지부(334) 상에도 쉽게 올라갈 수가 있다. 뒤쪽에도 경사진 면을 있기 때문에 회수함(300)을 분리할 때에도 차단 바(316)를 타고 원활하게 빠져 나갈 수가 있다.The locking pressing portion 232 has a surface inclined to both sides. Therefore, the locking pressing portion 232 can easily pass through the blocking bar 316, and can be easily climbed on the support portion 334. Since there is an inclined surface at the rear, even when the recovery box 300 is removed, it can be smoothly taken out by the blocking bar 316.
정위치 레버(230)는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주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잠금 가압부(23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인장 스프링(238)이 연결되어 정위치 레버(230)의 잠금 가압부(232)는 아래로 향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회수함(3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정위치 레버(230)는 대략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위치 레버(230)는 구조적으로 지지되어 일정 각도 아래로 회전하지 않는 것이 좋다.The exact position lever 23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tension spring 238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locking biasing portion 232 to lock the pressing portion of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 232 may have a tendency to point downward. However, since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should be maintained approximately horizontal in a state where the recovery box 300 is separated,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may be structurally supported and may not rotate below a predetermined angl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수함(300)은 박스 몸체(310), 커버 파트(320), 커버 잠금부(330) 및 정위치 잠금부(340)를 포함한다. 3 to 5, the recovery box 300 includes a box body 310, a cover part 320, a cover lock 330, and an in-situ lock 340.
박스 몸체(310)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현금 등을 보호하기 위해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박스 몸체(310)의 상면은 위를 향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현금은 이격된 공간을 통과하면서 아래로 떨어지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서 회수함(300) 내에 보관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박스 몸체(310)의 배면에는 정위치 레버(230)에 대응하는 레버 홀(312)이 형성된다. 레버 홀(312)을 통해서 정위치 레버(230)는 박스 몸체(3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정위치 레버(230)의 잠금 가압부(232)는 차단 바(316)를 통과하여 지지부(334)로 접근할 수가 있다. The box body 3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and is formed using a metal material to protect cash. Since the top surface of the box body 310 is open upwards, the cash may be dropped down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d space, and may be stored in the collection box 300 through the open top surface. As described above, a lever hole 312 corresponding to the in-position lever 2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x body 310.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box body 310 through the lever hole 312, and the locking pressing portion 232 of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passes through the blocking bar 316 to support the portion ( 334).
차단 바(316)는 레버 홀(312)의 위치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단 바(316)는 레버 홀(312) 및 지지부(334) 사이에 위치하며, 레버 홀(312)을 통해 지지부(334)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수함(3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침입자는 레버 홀(312)을 통해 지지부(334)를 누르려는 시도할 수 있지만, 차단 바(316)가 지지부(334)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바(322)로부터 커버 잠금부(33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e blocking bar 316 is formed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lever hole 312. More specifically, the blocking bar 316 is positioned between the lever hole 312 and the support 334, and may prevent access to the support 334 through the lever hole 312. The intruder may attempt to press the support 334 through the lever hole 312 with the retrieval bin 300 removed, but the lock bar 322 because the blocking bar 316 may block the support 334. )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down the cover lock 330.
박스 몸체(310)의 상단부에는 슬라이드 가이드(314)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드 가이드(314)는 커버 파트(320)의 잠금 바(322)와 결속되며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스 몸체(310)의 전후를 연결한다. 따라서 커버 파트(320)는 슬라이드 가이드(31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며, 커버 파트(320)는 박스 몸체(310)의 전방에서 아래로 회전하여 걸쳐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The slide guide 314 is horizont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x body 310. The slide guide 314 is coupled to the locking bar 322 of the cover part 320 and is formed in a slit shape to connec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x body 310. Therefore, the cover part 320 slides along the slide guide 314, and the cover part 320 may be stored while being rotated down from the front of the box body 310.
도 5을 살피면, 박스 몸체(310) 내부로는 커버 잠금부(330), 정위치 잠금부(340), 토션 스프링(350) 및 가이드 브라켓(352)이 장착된다. 커버 잠금부(330) 및 정위치 잠금부(340)는 박스 몸체(310)의 내부 후방에 위치하며, 각각 가이드 브라켓(3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350)의 코일부는 가이드 브라켓(352)에 장착되고, 그 양단부는 각각 커버 잠금부(330) 및 정위치 잠금부(340)와 연결되어 커버 잠금부(330) 및 정위치 잠금부(3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ver lock part 330, the exact position lock part 340, the torsion spring 350, and the guide bracket 352 are mounted inside the box body 310. The cover lock part 330 and the in-situ lock part 340 are located in the rear of the inside of the box body 310, and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racket 35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il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350 is mounted to the guide bracket 352,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cover lock portion 330 and the right lock portion 340, respectively, so that the cover lock portion 330 and the lock position are fixed. The portion 340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커버 잠금부(330)는 지지부(334) 및 커버 래치(332)를 포함한다. 지지부(334)는 커버 잠금부(33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잠금 가압부(232)를 지지하기 위한 수평면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334)는 차단 바(316)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정위치 레버(230) 이외의 도구에 의해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래치(332)는 커버 잠금부(33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움직이면서 잠금 바(322)를 구속 또는 해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커버 래치(332)는 정면을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커버 파트(320)가 접근하는 경우, 즉 커버 파트(320)가 닫혀질 때 잠금 바(322)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가 있다.The cover lock part 330 includes a support part 334 and a cover latch 332. The support part 33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lock part 330, and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cking pressing part 232.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34 is located adjacent to the blocking bar 316,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by a tool other than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The cover latch 33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ver lock part 330, and may move or move the lock bar 322 while moving up and down. In addition, since the cover latch 332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ront, the lock bar 322 can be easily passed when the cover part 320 approaches, that is, when the cover part 320 is closed.
커버 잠금부(330)는 하부에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돌출된 구조는 가이드 브라켓(352)과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잠금부(330)는 토션 스프링(35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도 가이드 브라켓(352)에 의해서 일정 높이 이상은 올라가지 않도록 제한된다.The cover lock part 330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bottom, and the protruding structure may be coupled to the guide bracket 352. Therefore, the cover lock part 330 is limited so as not to rise above a certain height by the guide bracket 352 even if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orsion spring 350.
정위치 잠금부(340)는 커버 잠금부(330) 및 박스 몸체(310)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 브라켓(352)에 의해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또한, 토션 스프링(35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위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정위치 잠금부(340)는 홈 고정편(344) 및 정위치 래치(342)를 포함한다. 홈 고정편(344)은 정위치 잠금부(34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정위치 레버(230)의 정위치 홈(23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정위치 레버(230)가 박스 몸체(310) 내로 삽입된 후 정위치 잠금부(340)가 상승하면서, 홈 고정편(344)은 정위치 홈(234)과 결속될 수 있으며 커버 파트(320)가 열린 상태에서 회수함(300)이 회수함 수용부(2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위치 래치(342)는 정위치 잠금부(34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커버 래치(332)와 마찬가지로 정면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따라서 정위치 래치(342)가 커버판(324)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홈 고정편(344)과 정위치 홈(234) 간의 결속을 해제되며, 커버 파트(320)가 제거되어 정위치 래치(342)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홈 고정편(344)도 함께 상승하여 정위치 홈(234)와 결속될 수 있다.The exact position locking part 340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locking part 330 and the box body 310 and slides up and down by the guide bracket 352. It also tends to move up because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orsion spring 350. Specifically, the position lock 340 includes a groove fixing piece 344 and the position latch 342. The groove fixing piece 34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osition lock portion 340, and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groove 234 of the position lever 230. As the lock lever 340 is raised after the lock lever 230 is inserted into the box body 310, the groove fixing piece 344 may be engaged with the lock groove 234 and the cover part 3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overy bin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overy bin receiver 220 in the opened state. The position latch 34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osition locking portion 340, and has an inclined surface facing in front of the cover latch 332. Therefore, when the position latch 342 supports the cover plate 324, the binding between the groove fixing piece 344 and the position groove 234 is released, and the cover part 320 is removed to remove the position latch 342. In the case of rising), the groove fixing piece 344 may also rise together to engage with the home groove 234.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수함의 장착 및 분리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unting and detachment structure of the recovery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함이 금융자동화기기의 회수함 수용부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state before the coll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collection box receiving portion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6을 참조하면, 회수함(300)은 정위치 레버(230)의 정면에 위치하며, 정위치 레버(230)는 아직 박스 몸체(310) 내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회수함(300)의 내부에서 커버 잠금부(330)의 커버 래치(332)는 잠금 바(322)를 구속하고 있으며, 정위치 잠금부(340)의 정위치 래치(342)는 커버 파트(320)의 커버판(324)를 지지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ecovery bin 3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and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is not yet inserted into the box body 310. The cover latch 332 of the cover lock part 330 restrains the locking bar 322 in the inside of the recovery box 300, and the latch latch 342 of the lock part 340 is the cover part 320. ) Is supporting the cover plate 324.
도 7은 도 6의 회수함이 회수함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ecovery box of FIG. 6 is inserted into the recovery box accommodation part.
도 7을 참조하면, 회수함(300)이 삽입되면서 정위치 레버(230)가 레버 홀(312)을 통해 박스 몸체(3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정위치 레버(230)의 잠금 가압부(232)는 차단 바(316)를 타고 넘어 지지부(334)로 향하며, 경사면을 이용하여 지지부(334)를 가압할 수 있다. 정위치 레버(230)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장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차단 바(316)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350)보다 강한 힘으로 지지부(334)를 누르기 때문에 커버 잠금부(330)를 아래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커버 래치(332)가 아래로 이동하여 잠금 바(322)는 해제시킬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7, while the recovery box 300 is inserted, the exact position lever 230 may enter the box body 310 through the lever hole 312. The lock pressing portion 232 of the position lever 230 is directed to the support 334 through the blocking bar 316, and may press the support 334 using an inclined surface. Since the in-position lever 230 is rotatably mounted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tension spring, i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blocking bar 316, and the support portion 334 can be moved with a stronger force than the torsion spring 350. Since it presses, the cover lock part 330 can slide down. As a result, the cover latch 332 is moved downward, and the locking bar 322 can be released.
또한, 잠금 가압부(232) 및 정위치 홈(234) 사이에는 안착 홈(236)이 형성된다. 안착 홈(236)은 차단 바(316)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회수함(30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단 바(316)와 결속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회수함(300)이 회수함 수용부(220)로 진입하면서 차단 바(316)와 안착 홈(236) 간의 결속을 촉각 또는 청각적으로 느낄 수 있으며, 정지 및 소리의 감지를 통해 안정된 장착을 확인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236 is formed between the locking pressing portion 232 and the in-situ groove 234. The mounting groove 23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locking bar 316, and may maintain a binding relationship with the blocking bar 316 in a state in which the recovery box 300 is mounted. As the recovery box 300 enters the recovery box accommodation unit 220, the binding bar 316 and the seating groove 236 can feel the tactile or audible sense of touch and can be stably mounted by detecting the stop and sound. There is a number.
커버 파트(320)는 인출되기 이전의 상태로, 정위치 래치(342)는 커버판(324)에 의해서 지지되며 정위치 잠금부(340)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홈 고정편(344)과 정위치 홈(234)은 서로 상하로 위치하고 있지만, 서로 결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The cover part 320 is in a state before being drawn out, and the exact latch 342 is supported by the cover plate 324 and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exact lock 340 upward. Therefore, although the groove fixing piece 344 and the exact position groove 234 are located mutually up and down, they hold | maintain the state which is not tied together.
도 8은 도 6의 회수함에서 커버 파트를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taken out of the collecting box of FIG. 6.
도 8을 참조하면, 관리자가 커버 파트(320)를 잡아 당겨 박스 몸체의 상면을 개방시킬 수가 있다. 이때 커버 파트(320)는 일정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며, 커버판(324)과 정위치 래치(342)는 상호 분리된다. 커버판(324)에 의한 지지가 제거되면서, 정위치 잠금부(340)는 상승하게 되고, 하단부에 위치한 홈 고정편(344)과 레버의 정위치 홈(234)는 상호 결속된다. 토션 스프링(350)이 정위치 잠금부(340)를 들어 올려도, 정위치 레버(230)가 아래로 누르는 힘이 더 크기 때문에 정위치 잠금부(340)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정위치 래치(342)의 경사면만 노출되는 정도로 정위치 잠금부(340)가 상승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커버 파트(320)가 다시 접근하는 경우 정위치 래치(342)의 경사면을 따라 커버판(324)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8, the manager may pull the cover part 320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In this case, the cover part 320 slid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the cover plate 324 and the right latch 34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the support by the cover plate 324 is removed, the exact position locking portion 340 is raised, and the groove fixing piece 344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the position groove 234 of the lev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torsion spring 350 lifts the position lock portion 340, the position lock portion 340 does not rise any longer because the force to push the position lever 230 downward is greater. Preferably, the lock position 340 is raised to the extent that onl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latch 342 is exposed. This is because, when the cover part 320 approaches again, the cover plate 324 may easily enter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osition latch 342.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홈 고정편(344)과 정위치 홈(234)이 상호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정위치 레버(230) 및 회수함(300) 간이 결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커버 파트(320)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회수함(300)이 회수함 수용부(2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when the groove fixing piece 344 and the exact groove 234 are kept in a mutually bound state, the binding lever 230 and the recovery bin 300 may maintain a binding relationship. The recovery bin 3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overy bin accommodating part 220 without closing the cover part 320.
본 고안의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에서는 회수함이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커버 잠금부가 잠금 바를 구속하기 때문에 커버 파트는 박스 몸체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회수함이 금융자동화기기로 삽입되면서 정위치 레버가 커버 잠금부의 지지부를 아래로 이동시켜 잠금 바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서 커버 파트의 잠금을 간단히 해제할 수가 있다.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the retriev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trieval box is separated from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cover part is locked to the lock bar so that the cover part is fixed to the box body and does not move. However, as the collection box is inserted into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the position lever may move the support of the cover lock portion downward to release the lock bar, and the cover part may be simply unlocked through the insertion process.
또한, 해제된 커버 파트를 입구의 개방을 위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수함을 간단히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정위치 잠금부는 정위치 레버를 결속시켜 개방된 상태에서 회수함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open the recovery box while moving the released cover part forward for the opening of the inlet, and at the same time, the fixed lock unit can bind the right lever to prevent the recovery box from being released. have.
즉, 일련의 과정이 간단하여 누구라도 회수함을 안전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커버 파트를 박스 몸체의 상부로 다시 밀어 넣어야만 회수함을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수함이 개방된 상태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That is, a series of processes are simple and anyone can safely install and detach the collection box, and the user can remove the collection box only by pushing the cover part back to the upper part of the box body. It prevents sepa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기존의 관련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isting related automated teller machine.
도 2는 종래의 출금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ithdrawal module.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the coll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회수함을 장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covery box of FIG. 3 is mounted.
도 5는 도 3의 회수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recovery box of FIG. 3.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함이 금융자동화기기의 회수함 수용부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state before the coll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collection box receiving portion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7은 도 6의 회수함이 회수함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ecovery box of FIG. 6 is inserted into the recovery box accommodation part.
도 8은 도 6의 회수함에서 커버 파트를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taken out of the collecting box of FIG.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이송장치 220:회수함 수용부210: conveying apparatus 220: collection box accommodating part
230:정위치 레버 232:잠금 가압부230: position lever 232: locking pressure
234:정위치 홈 300:회수함234 : Home position 300 : Recovered
310:박스 몸체 312:레버 홀310: Box body 312: Lever hole
316:차단 바 320:커버 파트316: Block bar 320: Cover parts
322:잠금 바 330:커버 잠금부322 : Lock bar 330 : Cover lock
340:정위치 잠금부 350:토션 스프링340 : Position lock 350 : Torsion spring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9884U KR200396417Y1 (en) | 2005-07-08 | 2005-07-08 |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9884U KR200396417Y1 (en) | 2005-07-08 | 2005-07-08 |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6417Y1 true KR200396417Y1 (en) | 2005-09-21 |
Family
ID=4369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98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6417Y1 (en) | 2005-07-08 | 2005-07-08 |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6417Y1 (en) |
-
2005
- 2005-07-08 KR KR20-2005-0019884U patent/KR20039641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4851B1 (en) | Banknotes and Withdrawal Devices and Cash Automatic Transaction Devices | |
KR100796217B1 (en) | Banknote | |
KR100799460B1 (en) | Banknote Machine | |
KR101089655B1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 |
KR101866992B1 (en) | Locking device for cassette push plate | |
KR102128949B1 (en) | Medium stacking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KR200396417Y1 (en) | Cash transaction machine having a rejecting function and reject box for the cash transaction machine | |
KR101016460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collection box with collection function | |
JP6711775B2 (en) | Media handling device | |
KR101016245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101181587B1 (en) | Locking device for bill stacking box | |
KR101598299B1 (en) | unit of receiving and dispensing money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 |
KR20130027659A (en) | A temporary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JP3575330B2 (en) | Paper storage device | |
JP2007026014A (en) | Paper sheet transport mechanism | |
KR101099900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101902235B1 (en) | Financial Device | |
JP7040150B2 (en) | Media processing equipment and automated teller machines equipped with it | |
KR200393046Y1 (en) | Device of locking for cassette | |
EP3675070B1 (en) | Medium storage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KR101546334B1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per medium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101457222B1 (en) | Banknote depositing and withdrawing device of financial automatic machine | |
JP2565722Y2 (en) | Bill automatic payment device | |
KR101932189B1 (en) | Media deposit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KR20060117404A (en) | Banknote cassette 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70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509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7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5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6031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9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5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