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5922Y1 - 먼지털이개 - Google Patents

먼지털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922Y1
KR200395922Y1 KR20-2005-0019170U KR20050019170U KR200395922Y1 KR 200395922 Y1 KR200395922 Y1 KR 200395922Y1 KR 20050019170 U KR20050019170 U KR 20050019170U KR 200395922 Y1 KR200395922 Y1 KR 200395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dust
band portion
tightened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렉스
Priority to KR20-2005-0019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9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털이용 브러시가 고무줄과 같은 끈으로 오므려 조일 수 있는 밴드부에 의해 몸체에 결합됨으로써, 브러시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끈을 조이면 밴드부의 하단에 박음질된 브러시가 몸체의 둘레부 위쪽으로 오므려지면서 몸체의 둘레부에 브러시가 풍성해지도록 함으로써, 몸체의 둘레부로도 먼지털이 대상체를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기 브러시는 끈으로 오므려 조일 수 있는 밴드부에 의해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밴드부는 브러시의 위쪽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는 플렉시블한 튜브형태로 되어 있고, 내측에는 양단이 일정길이 노출되는 끈이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먼지털이개{Dash duster}
본 고안은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털이용 브러시가 고무줄과 같은 끈으로 오므려 조일 수 있는 밴드부에 의해 몸체에 결합됨으로써, 브러시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끈을 조이면 밴드부의 하단에 박음질된 브러시가 몸체의 둘레부 위쪽으로 오므려지면서 몸체의 둘레부에 브러시가 풍성해지도록 함으로써, 몸체의 둘레부로도 먼지털이 대상체를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털이개는 자동차 또는 주택의 생활용품 및 가구 등에 달라붙은 먼지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도구로써, 용이하게 먼지를 털어낼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손잡이의 선단에는 먼지를 털어내거나, 또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흡착한 후, 따로 제거할 수 있도록 브러시가 부착된 몸체가 구비되어 있다.
정전기를 이용하는 먼지털이개는 통상, 정전기를 잘 형성할 수 있는 합성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브러시를 사용하게 되며, 먼지를 날리지 않고 보다 많은 양의 먼지를 흡인하여 집적시키므로 청소시 먼지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먼지털이개는 몸체와 브러시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청소시 먼지나 때가 묻어 더러워질 경우, 이를 따로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형 먼지털이개가 제시되었는 바, 이러한 먼지털이개는 둘레가 봉제 처리된 출입구(130)를 상부에 가지며, 그 출입구(130)를 통해 몸체(100)를 씌움 수용하는 씌움부재(110)를 포함하게 되며, 그 씌움부재(110)의 저면에는 브러시(120)가 봉제선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먼지털이개는 씌움부재(110)의 둘레부가 봉제선을 통해 마감 처리되고, 상기 씌움부재(110)의 저면에 형성된 브러시(120)에 비해 그 둘레부가 빈약하여, 예를 들어 가구나 차량의 홈 또는 모서리부분의 먼지를 제거할 때 자꾸 씌움부재(110)의 둘레부에 힘을 주게 되므로 가구나 차량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씌움부재(110)의 저면에 부착된 브러시(120)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가구나 차량을 닦을 때 먼지를 흡착하는 것이 아니라 먼지가 이동방향으로 쓸려져서 그대로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씌움부재(110)의 상부에 몸체(100)를 씌움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구(130)의 둘레가 봉제 처리되어 변형이 어렵고, 상기 씌움부재(110)에 의해 감싸지는 몸체(100)가 상기 출입구(130)보다 크므로 씌움부재(110)에 몸체(100)를 조립 및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를 반복적으로 분리 및 조립할 경우 씌움부재(110)의 출입구(130)가 헐거워지므로 브러시(120)의 고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몸체(100)를 씌움부재(110)에 끼워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몸체(100)를 씌움부재(110)에 고정하기 위한 몸체(100)의 크기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브러시로 이루어진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먼지털이용 브러시를 고무줄과 같은 끈으로 오므려 조일 수 있는 밴드부에 의해 몸체에 고정하되, 상기 끈을 조이면 밴드부의 하단에 박음질된 브러시가 몸체의 둘레부 위쪽으로 오므려지면서 몸체의 둘레부에 브러시가 풍성해지도록 함으로써, 몸체의 둘레부를 사용하여도 가구나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먼지를 깨끗이 닦을 수 있고, 몸체에 브러시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먼지털이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브러시로 이루어진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끈으로 오므려 조일 수 있는 밴드부에 의해 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밴드부는 브러시의 위쪽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는 플렉시블한 튜브형태로 되어 있고, 내측에는 양단이 일정길이 노출되는 끈이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밴드부는 끈으로 조이면 밴드부의 하단에 박음질 부위가 몸체의 둘레부 위쪽으로 오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브러시의 천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면서 세워진 형태로 제작되어 몸체의 테두리 윗면을 덮으면서 안쪽으로 당겨지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둘레면이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이 둘레면의 내측으로 요입홈을 갖는 걸림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는 마이크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는 손잡이를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에 결합되는 브러시(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근사 타원형의 판형상이고, 이 몸체(10)의 상면에는 둘레면이 일정한 근사 타원형태를 이루는 동시에, 그 둘레면 내측으로 요입홈(10b)을 갖는 단차진 형태의 걸림 단차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입홈(10b)은 끈(14)에 의해 결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끈(14)이 안정되게 삽입되어 풀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높이 및 깊이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 단차부(13)의 후단에는 손잡이(11)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손잡이(11)는 단면이 U자 형태로 배면 일측에 보강용 리브가 형성되며, 손잡이(11)의 하단에서 중간으로 갈수록 폭이 얇아졌다가 실질적으로 손으로 잡는 부위인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다시 커진다.
이러한 손잡이(11)의 형상은 손으로 잡기에 용이하며, 보관 장소의 벽 등에 걸 수 있도록 그 상단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후단에는 절개부(10a)가 형성되고, 손잡이(11)와 몸체(10)가 만나는 부위에 손가락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을 통해 노출된 끈(14)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브러시(16)는 몸체(10)의 저면을 감싸고, 이 끈(14)으로 오므려 조일 수 있는 밴드부(15)에 의해 상기 브러시(16)가 몸체(10)에 결합된다.
상기 브러시(16)는 흡착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섬유재질로서, 다수개의 낱실이 천부재(16a)에 봉제 처리되어 고정되거나,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천부재(16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낱실이 부착된 브러시(16)는 몸체(10)의 저면의 면적 및 모양과 거의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부(15)는 일정한 직경의 플렉시블한 튜브형태이고, 밴드부(15)의 하단은 천부재(16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면서 세워진 구조이다.
이 밴드부(15)의 내측에는 고무줄과 같은 신축가능한 재질의 끈(14)이 삽입되며, 이 끈(14)의 양단이 밴드부(15)의 외부로 일정길이만큼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러시(16)가 부착된 밴드부(15)의 상부에는 개구부(15a)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15a)를 통해 판상의 몸체(10)를 끼운다.
상기 몸체(10)를 밴드부(15)에 삽입한 다음, 밴드부(15)의 내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삽입된 끈(14)이 상기 걸림단차부(13)의 요입홈(10b)에 삽입될 때까지 잡아당긴 후 손잡이(11)의 하단 뒤쪽에서 끈(14)을 묶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의 조립시 상기 밴드부(15) 내측의 끈(14)을 잡아당기는 경우, 밴드부(15)가 몸체(10)의 테두리 위면을 덮으면서 팽팽해지고, 이 밴드부(15)의 하단 가장자리에 박음질된 천부재(16a)가 몸체(10)의 둘레부 위쪽으로 오므려짐으로써, 몸체(10)의 둘레부에 분포하는 브러시(16)가 종래의 먼지털이개보다 풍성해진다.
이때, 상기 끈(14)을 묶은 후 나머지 부분을 손잡이(11)의 하단과 몸체(10)의 절개부(10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삽입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의 둘레부를 사용하여 닦더라도 아무런 손상없이 가구나 차량의 홈 또는 모서리부분의 먼지를 흡착함으로써, 종래에 먼지털이개의 둘레부의 사용으로 인한 가구나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5)의 상단부에는 고무줄과 같은 신축가능한 재질의 끈(14)이 삽입되므로, 몸체(10)가 밴드부(15)의 개구부(15a)를 통해 탈장착이 매우 용이하여, 상기 밴드부(15)가 오랜 사용으로 더러워졌을 경우, 이를 용이하게 먼지털이개에서 탈거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에 의하면, 브러시가 결합된 밴드부의 내측에는 고무줄과 같은 신축가능한 재질의 끈이 삽입되므로, 밴드부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에 브러시의 탈장착이 매우 용이하여, 상기 브러시가 오랜 사용으로 더러워졌을 경우, 이를 용이하게 먼지털이개에서 탈거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의 조립시 상기 끈을 조이면 밴드부의 하단에 박음질된 브러시가 몸체의 둘레부 위쪽으로 오므려지면서 몸체의 둘레부에 브러시가 풍성해지도록 함으로써, 먼지털이개의 둘레부를 사용하여 닦더라도 아무런 손상없이 가구나 차량의 홈 또는 모서리부분의 먼지를 흡착할 수 있다.
더우기,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는 브러시를 고무줄과 같은 신축가능한 끈으로 몸체에 조여주는 구조이므로, 브러시의 반복적인 분리 및 조립으로 인한 헐거움을 방지할 수 있고, 몸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은 종래의 먼지털이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먼지털이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0a : 절개부
10b : 요입홈 11 : 손잡이
12 : 관통홀 13 : 걸림 단차부
14 : 끈 15 : 밴드부
15a : 개구부 16 : 브러시
16a : 천부재

Claims (5)

  1. 손잡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브러시로 이루어진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끈으로 오므려 조일 수 있는 밴드부에 의해 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브러시의 위쪽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는 플렉시블한 튜브형태로 되어 있고, 내측에는 양단이 일정길이 노출되는 끈이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끈으로 조이면 밴드부의 하단에 박음질 부위가 몸체의 둘레부 위쪽으로 오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브러시의 천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면서 세워진 형태로 제작되어 몸체의 테두리 윗면을 덮으면서 안쪽으로 당겨지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둘레면이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이 둘레면의 내측으로 요입홈을 갖는 걸림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마이크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개.
KR20-2005-0019170U 2005-07-01 2005-07-01 먼지털이개 Expired - Lifetime KR200395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70U KR200395922Y1 (ko) 2005-07-01 2005-07-01 먼지털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70U KR200395922Y1 (ko) 2005-07-01 2005-07-01 먼지털이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922Y1 true KR200395922Y1 (ko) 2005-09-14

Family

ID=4369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170U Expired - Lifetime KR200395922Y1 (ko) 2005-07-01 2005-07-01 먼지털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9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55102A1 (en) Dust mop adapter
EP0841870B1 (en) Cleaning cloth and cleaning apparatus
CA2193045C (en) Sweeper device
US6606757B2 (en) Flexible dust mop
US6389637B1 (en) Absorbent broom cover
KR200395922Y1 (ko) 먼지털이개
US6910242B2 (en) Bath brush
KR101350216B1 (ko) 차량용 매트
US9795266B2 (en) Scourer having a shape-supporting body
KR200406893Y1 (ko)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KR101524927B1 (ko) 청소용 솔
KR200320961Y1 (ko) 바닥청소용구의 자루 고정구조
KR200381534Y1 (ko) 먼지털이개
KR100929708B1 (ko) 휴대용 루프캐리어
KR200349947Y1 (ko) 물걸레 청소구
KR200214838Y1 (ko) 골프 클럽 보호용 커버
JP2003342822A (ja) ヘルメットのシェル用カバー
GB2447842A (en) Mop head with scrubbing member
KR200349948Y1 (ko) 물걸레 청소구
JP3114834U (ja) 保護カバーを備えた旅行かばん
KR20210007779A (ko) 청소 도구
US20080078045A1 (en) Eyeglasses Cleaning Device
JP5362462B2 (ja) 摺洗具
JP3101384U (ja) 伸縮式サドルカバー
JP2015058160A (ja) トイレ用クリ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7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