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18Y1 -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 Google Patents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5818Y1 KR200395818Y1 KR20-2005-0012093U KR20050012093U KR200395818Y1 KR 200395818 Y1 KR200395818 Y1 KR 200395818Y1 KR 20050012093 U KR20050012093 U KR 20050012093U KR 200395818 Y1 KR200395818 Y1 KR 20039581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kle
- shoe
- fixing
- wheel support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일반 운동화의 형태를 갖는 신발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신발을 하부 및 측방에서 고정시켜 주행시 사용자의 발목부위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목부위를 별도로 인라인 스케이트의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 shoe having a form of general sneaker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fixed such shoes in the lower and side injuries of the user's ankle when runn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vable shoe inline skate with ankle protection means for fixing the ankle to the support of the inline skate separately to prevent being hit.
본 고안은 일반 운동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신발부와; 상기 신발부의 하면에 위치되어 그 신발부를 하부에서 고정 결합시키며 그 내부에 바퀴가 수용되어 바퀴 일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바퀴지지부와; 상기 바퀴지지부의 후면에 회전되게 부착되고, 그 내부에 발목을 유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바퀴지지부에 대해 발목을 고정할 수 있게 된 발목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신발을 신속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을 인라인스케이트의 바퀴지지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shape of a general sneaker and a shoe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n the bottom; A wheel support part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hoe part and fixedly coupled to the shoe part from a lower part thereof, and the wheel is accommodated therein to expose a part of the wheel to the ground; It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wheel support is rotated, the ankl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by fixing the ankle fixing means that can be fixed to the ankle to the wheel support by the inlet can be quickly removable shoes, the user's ank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ixed to the wheel support of the inline skates.
본 고안을 적용하면,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주행시 넘어지거나 발목이 굽혀지는 상황에서도 발목고정수단을 통해 발목을 보호할 수 있고, 신발을 바퀴지지부의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발목고정수단의 고정수단 본체를 바퀴지지부의 프레임측으로 회전시켜 전체 부피를 휴대가 간편하게 축소시킬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신발을 일반 운동화처럼 착용하고 노면을 보행할 수 있으며, 계단을 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ankle can be protected through the ankle fixing means even in the situation where the user falls down or bends, such as general inline skates, and when the shoe is separated from the frame of the wheel support, the fixing means body of the ankle fixing means Rotate the wheel to the frame side to easily reduce the overall volume, and in that state, the shoes can be worn like normal sneakers, walking on the road, and the stairs can be climbed, so that the user can safely and conveniently use them. .
Description
본 고안은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일반 운동화의 형태를 갖는 신발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신발을 하부 및 측방에서 고정시켜 주행시 사용자의 발목부위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목부위를 별도로 인라인 스케이트의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more specifically, a shoe having a form of a general sneaker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fixing the shoes in the lower and side to the user's ankle when running It relates to a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for fixing the ankle portion to the support of the inline skate separately in order to prevent injuries.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을 부츠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부츠몸체와, 그 부츠몸체의 하단에 부착되는 바퀴 지지대와, 그 바퀴 지지대에 내설된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부츠몸체를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바퀴로 구성된다.As is well known,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s are not shown, but a boot body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foot into the boot, a wheel suppor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ot body, and a bearing built into the wheel support It is fixed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wheels to move the boot body from the ground.
이러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탁월한 주행성능에 비해 보행 기능이 취약한 것이 흠이었고, 이러한 단점은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거나 비교적 멀리 떨어진 거리를 이동하고자 할 때, 일반 신발로 바꿔 신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으며, 이러한 점이 불편하여 조심스럽게 계단을 오르는 경우 계단에서 미끄러질 위험성이 매우 높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inline skate was flawed that the walking function was weaker than the excellent driving performance, and this disadvantage is that when the user tries to climb the stairs or move a relatively far distance while wearing the inline skate, it is replaced with ordinary shoes. There were a lot of inconveniences, such as the need to wear, if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is is inconvenient to climb the stairs carefully, the risk of slipping on the stairs is very high, so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was very high.
더불어,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그 바퀴와 바퀴 지지대의 사이에 바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이 장착되는 바, 그 인라인 스케이트를 모래나 흙에서 신고 다닐 경우, 베어링에 모래가 삽입되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in-line skate is equipped with a bearing for reducing the friction of the wheel between the wheel and the wheel support bar, if the in-line skate is worn in sand or soil, sand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may be damaged. There was.
또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 자체의 무게가 매우 무거우므로,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보관도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boot itself is very heavy,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also inconvenient to store.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힐리스 신발이 출시된 바, 그 힐리스 신발은 일반 운동화의 하면 후단부위에 단일의 롤러를 장착한 것으로 신발의 앞굼치를 들어올리면 그 롤러를 이용해서 일정거리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그 롤러가 착탈 가능해 일반 운동화처럼 신고 다닐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heelless shoes have been released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The heelless shoes are equipped with a single roller at the rear end of the general sneakers, and when the front of the shoe is lifted, the rollers can drive a certain distance. It would be. Of course, the rollers are removable so that you can wear them like normal sneakers.
하지만, 이러한 힐리스 신발은 몸의 균형을 신발의 후단부에 집중해야 되므로, 균형을 잡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점 때문에 그 힐리스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롤러를 이용한 고속 주행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와는 다르게 평지에서 지면을 힐리스 신발로 밀어서 가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단지, 힐리스 신발은 신발의 앞굼치로 뛰어가서 가속한 다음, 롤러를 이용해서 약간의 거리를 미끄러지는 것에 불과한 신발이었다.However, these hillless shoes have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balance, because the body balance must be concentrated on the rear end of the shoes, and this problem is almost impossible to drive at high speed using the rollers while wearing the hillless shoes. there was. In addition, unlike inline skating, it is impossible to accelerate the ground by pushing the ground with a heelless shoe on a flat surface. The Hillis shoes were just shoes that ran to the front of the shoe, accelerated, and then slipped some distance using the rollers.
또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나 힐리스 신발은 지면에 대한 충격 흡수를 위한 구조가 전무하므로,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츠가 더욱 보강되어야만 발목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츠의 중량이 커져야만 했으며, 부츠의 길이가 발목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자체 중량이 매우 무거워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츠의 길이가 길어져도 장애물에 부딧히거나, 지면에 대해 충격을 받게 되면 발목이나 무릎이 손상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s or hillless shoes have no structure for absorbing the impact on the ground, the boots of the inline skates must be further reinforc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ankles, and thus the weight of the boots has to be increased. Since the length of the boot has a structure that completely covers the ankle, there is a problem that its own weight is very heavy and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even when the length of the boot is extended, if an ankle or a knee is impacted by an obstacle or an impact on the ground The risk of damage was very high.
또, 이러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그 부츠의 신발 상면으로부터 부츠의 전단부까지 다수개의 체결수단이 구비되어져 발을 부츠에 삽입한 후에 발과, 발목을 수용하여 그 발과 발목에 부츠가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하여야 주행중 넘어지더라도 발과 발목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그 체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계단 등을 오를 때에도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탈시켜서 올라가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이때 부츠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계단을 오르기 위해 인라인 스케이트를 벗는다고 하여도 맨발로 계단 등을 오르거나, 별도의 신발을 또 준비해야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inline sk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of the boot to the front end of the boot so that after the foot is inserted into the boot, the foot and the ankle are accommodated so that the boot is completely fixed to the foot and the ankle. It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fastening time because it can protect the feet and ankles even if it falls down while driving,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climb off the inline skates even when climbing stairs. Boots are fixed to inline skates, so even if you take off the inline skates to climb the stairs, there is a problem that you need to climb the stairs, or prepare a separate shoe again.
따라서, 본 출원인은 최근에 일반 운동화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퀴 지지대 상면에 고정시키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대해 실용신안등록출원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화 착탈방식의 인라인 스케이트 역시 발목 등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미흡하였으므로 큰 부상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recently filed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for inline skates for fixing a general sneak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support of the inline skates. However, the in-line skate of the sneaker detachable method also had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serious injury because th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ankle is very insufficient.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반 운동화의 형태를 갖는 신발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신발을 하부 및 측방에서 고정시켜 주행시 사용자의 발목부위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목부위를 별도로 인라인 스케이트의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of the prior art, the shoe having a form of general sneakers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such that the ankle of the user is injured when running by fixing such shoes in the lower and s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vable shoe inline skate with ankle protection means for fixing the ankle portion to the support of the inline skate separate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운동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신발부와; 상기 신발부의 하면에 위치되어 그 신발부를 하부에서 고정 결합시키며 그 내부에 바퀴가 수용되어 바퀴 일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바퀴지지부와; 상기 바퀴지지부의 후면에 회전되게 부착되고, 그 내부에 발목을 유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바퀴지지부에 대해 발목을 고정할 수 있게 된 발목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신발을 신속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을 인라인스케이트의 바퀴지지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general sneaker shape and a shoe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n the bottom; A wheel support part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hoe part and fixedly coupled to the shoe part from a lower part thereof, and the wheel is accommodated therein to expose a part of the wheel to the ground; It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wheel support is rotated, the ankl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by fixing the ankle fixing means that can be fixed to the ankle to the wheel support by the inlet can be quickly removable shoes, the user's ankle It is provided with a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ixed to the wheel support of the inline skates.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부는 그 밑창 하면에 장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홈의 전단부에는 바퀴지지부와 결합 고정되는 별도의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고, 후단 뒷꿈치부의 하면에는 별도의 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밑창의 후방면 뒷꿈치부위에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shoe portion has a groov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roove is formed with a separate coupling groove to be fixed and fixed to the wheel support, the rear coupling is a separate coupling groove on the bottom Is formed, the rear heel portion of the sole is provided with a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to protrude.
바람직하게, 상기 바퀴지지부는 그 외형이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의 하부 프레임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 전방에는 신발부 밑창의 하면 전방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되어 신발부의 전방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고정돌기가 그 프레임의 상면 및 양측방으로 돌출되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 후방 소정부에는 신발부 밑창의 하면 후방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되어 신발부의 후방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2 고정돌기가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프레임의 후단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고정부가 둔덕의 형상으로 상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wheel support is provided with a frame made of a shape similar to the lower frame of the general inline skates,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is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to the front of the shoe portio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is protruded to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frame, the upper surface rear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ame is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the second for fixing the rear of the shoe portion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e rear end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hoe detach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formed with a bolt hole protrudes in the upper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발목고정수단은 그 전방이 일부 절개되어져 발목의 후면 장단지를 내부로 유입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 고정수단 본체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수단 본체의 상단 내부에는 스폰지 등의 쿠션부재가 부착되어져 있고, 그 상기 고정수단 본체의 하단 양측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져 프레임의 후단에 볼트로 고정되게 되고, 상기 고정수단 본체의 하부 소정부에는 상기 신발부의 뒷꿈치부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수단 본체의 상단 일측에는 고정벨트가 고정되어져 있으며, 타측에는 그 고정벨트를 결합시키고 조여 고정하는 고리와, 고정부재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ankle fixing means has a front portion of the fixing means is made of a fixing means main body to be fixed by introducing the rear short and short of the ankle inside,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cushion member such as spong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to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by bolts, and a predetermined protrusion of the lower predetermined part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el portion of the shoe par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o be coupled, the fixing bel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the other side of the ankle protec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and the fixing member for coupling and tightening the fixing belt, A shoe removable inline skate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부 밑창은 그 하면 전방에 형성된 결합홈이 후방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깊어지게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가 제공된다.Preferably, the shoe sole is provided with a shoe detachable in-line skate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is tapered deeper toward the rear.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외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2)는 일반 운동화의 형태를 갖는 신발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신발을 하부 및 측방에서 고정시켜 주행시 사용자의 발목부위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목부위를 별도로 인라인 스케이트의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편리하고 안전한 신개념의 인라인 스케이트이다.Referring to this, the shoe detachable inline skate (2)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shoes having the form of general sneakers, such shoes in the lower and side It is a new concept of convenient and safe inline skating to fix the ankle to the support of the inline skate separately to prevent the ankle of the user from being injured while driving.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2)는 크게 일반 운동화 등으로 이루어진 신발부(100)와; 상기 신발부(100)의 하면에 위치되어 그 신발부(100)를 하부에서 고정하며 그 내부에 하부로 일부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다수개의 바퀴(400)를 갖는 바퀴지지부(200)로 나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shoe detachable inline skate (2)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100 largely made of general sneakers and the lik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unit 100 is fixed to the shoe unit 100 in the lower portion is divided into a wheel support 200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400 exposed to the ground in the lower part therein.
상기 신발부(100)는 일반적인 운동화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신발몸체(100)는 일반 운동화와 같은 재질과 두께로 이루어지며, 그 밑창(104)이 상대적으로 일반 운동화에 비해 두꺼우며, 상기 신발부(100)의 운동화 후방면(106) 즉, 뒷꿈치 부위에는 결합돌기(112)가 돌출되어져 있다.The shoe unit 100 may be used as general sneakers, but the shoe body 10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ickness as general sneakers, and the sole 104 is relatively thicker than general sneakers. The engaging projection 112 protrudes from the sneaker rear surface 106 of the 100, that is, the heel portion.
또한, 그 신발부(100)는 밑창(104) 하면에 장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홈의 전단부에는 바퀴지지부(200)와 결합 고정되는 별도의 결합홈(108)이 형성되어져 있고, 후단 뒷꿈치부의 하면에는 별도의 결합홈(110)이 형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hoe portion 100 has a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sole 104, the front end of the groove is formed with a separate coupling groove 108 is fixed to the wheel support portion 200 and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heel portion, a separate coupling groove 110 is formed.
또한, 상기 바퀴지지부(200)는 그 외형이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의 하부 프레임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02)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하부에는 바퀴 지지대(203)가 물결모양으로 하방으로 돌출되어져 그 바퀴지지대(203)의 양측면 소정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06)을 통해 바퀴의 중심 베어링홈(미도시)이 결합되고, 바퀴(400)를 결합홈(20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204)이 구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wheel support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frame 202 made of a shape similar to the lower frame of the general inline skates, the wheel support 203 is protruded downwards in the wave shape at the bottom of the wheel Coupling pins (not shown) are coupled to the center bearing grooves of the wheels through coupling grooves 206 respectively formed at predetermine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203, and the coupling pins rotatably coupling the wheels 400 to the coupling grooves 206 ( 204 is configured.
상기 프레임(202)의 상면 전방에는 신발부(100) 밑창(104)의 하면 전방에 형성된 결합홈(108)과 결합되어 신발부(100)의 전방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고정돌기(208)가 그 프레임(202)의 상면으로 약간 돌출되어져 있으며, 그 프레임(202)의 양측방으로도 돌출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신발밑창(104)의 하면 전방부에 형성된 결합홈(108)의 입구부를 상기 제 1 고정돌기(208)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발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면 상기 제 1 고정돌기(208)가 결합홈(108)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홈(108)과 제 1 고정돌기(208)의 결합은 신발부(100) 전단의 측방 및 상방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을 위함이다.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for fixing the front of the shoe part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08 formed at the front of the bottom of the sole part 104 of the shoe part 100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02. It slightly protrud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02, and also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frame 202. Accordingly, when the shoe is pushed forward while the inlet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108 form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10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is provided. ) Is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groove 108 is coupled.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groove 108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is for fixing to prevent the flow to the side and upward of the front of the shoe portion 100.
또한, 상기 프레임(202)의 상면 후방 소정부에는 신발부(100) 밑창(104)의 하면 후방에 형성된 결합홈(110)과 결합되어 신발부(100)의 후방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2 고정돌기(210)가 그 프레임(202)의 상면에 형성되어져 있는바,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돌기(208)와 결합홈(108)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신발의 뒷꿈치부를 상기 제 2 고정돌기(21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결합홈(110)으로 제 2 고정돌기(210)가 유입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홈(110)과 제 2 고정돌기(210)의 결합은 신발 뒷꿈치부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고정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rear of the shoe unit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0 formed at the rear of the sole of the shoe part 100 and the sole 104 on the upper rear part of the frame 202. The 2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02, and thus,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and the coupling groove 108 are engaged, the heel portion of the shoe is formed i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 When pr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210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is introduc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0.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groove 110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plays a role of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heel portion of the shoe.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2)에는 사용자의 발목을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2)의 프레임(202)에 고정시켜 부상을 방지토록 하기 위해,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2)의 후단에 발목고정수단(300)이 구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n injury by fixing the user's ankle to the frame 202 of the inline skate 2 in the shoe removable inline skate (2) provided with an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kle fixing means 300 is configured at the rear end of the inline skate 2.
상기 발목고정수단(300)은 그 전방이 일부 절개되어져 발목의 후면 장단지를 내부로 유입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 고정수단 본체(302)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수단 본체(302)의 상단 내부에는 발목에 그 발목 고정수단(300)을 고정할 때, 울혈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스폰지 등의 쿠션부재(306)가 부착되어져 있다.The ankle fixing means 300 is a front portion of the ankle is fixed to the main body 30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ix the inflow of the back long and short inside of the ankle,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When fixing the ankle fixing means 300 to the ankle, a cushion member 306 such as a sponge is attached to prevent congestion or the like.
또한, 상기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 후방 상면에는 양측에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된 고정부(211)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의 하단 양측에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체결홀을 통한 볼트(212)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의 하단이 상기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에 고정되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of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fixing parts 211 formed with bolt holes (not shown) on both sides, and fastening holes (2) on the lower sides of the fixing means body 302. (Not shown),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is fixed to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part 200 by coupling the bolt 212 through the fastening hole.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는 그 볼트(212)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발을 상기 프레임(202)에 결합 고정시키는 과정중에 쉽게 신발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를 후방으로 젖혀둘 수 있다.Therefore,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can be flipped back freely around the bolt 21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x the shoes to the frame 202 to fix the shoes. 302 can be flipped backwards.
또,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의 하부 소정부에는 상기 신발부(100)의 뒷꿈치부(106)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112)에 결합되는 결합홀(304)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수단 본체(302)의 상단 일측에는 고정벨트(308)가 고정되어져 있으며, 타측에는 그 고정벨트(308)를 결합시키고 조임 고정하는 고리(310)와, 고정부재(312)가 구비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304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112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el portion 106 of the shoe part 100, The fixing belt 308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ring 310 and a fixing member 312 for engaging and tightening the fixing belt 308. .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고정되는 신발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hoe fixed to the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고정되는 신발부(100)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도 3은 상기 신발부(100)를 뒤집어 놓은 사시도로서, 그 신발부(100)의 밑창(108) 하면에는 상기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 상면 전단에 형성된 제 1 고정돌기(208)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08)이 형성되어져 있는 바, 그 결합홈(108)은 그 입구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측면이 경사부로 형성되어진 홈으로서, 상기 제 1 고정돌기(208)를 그 입구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발부(100)를 그 제 1 고정돌기(208)에 대해 전방으로 밀어낼수록 제 1 고정돌기(208)와 결합홈(108)의 결합이 더 견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this, when describing in detail the shoe portion 100 is fixed to the removabl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part 100 upside down As the sole 108 of the shoe part 100, a coupling groove 108 into which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part 200 is inserted is formed. Bar, the coupling groove 108 is a groov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ide so as to become deeper toward the rear from the inlet portion, the shoe portion (the first fixing projections 208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portion ( As the pusher 100 is push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and the coupling groove 108 becomes more robust.
또한, 신발부(100)의 밑창(108) 후방에는 아령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제 2 고정돌기(210)에 결합되기 위해 음각으로 그 제 2 고정돌기(210)에 대응되는 형상의 아령형상을 갖는 결합홈(110)이 형성되는 바, 제 2 고정돌기(210)와 상기 결합홈(110)은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홈(110)은 제 2 고정돌기(210)에 비해 그 면적이 더 작게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sole 108 of the shoe part 100 is coupled to have a dumbbell shape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at an intaglio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formed in the form of a dumbbell The groove 110 is formed, the area of the coupling groove 110 is larger tha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so that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and the coupling groove 110 are fitted in an interference fit method. It is made small.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unction and action of the sho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도 4a, 4b, 4c, 4d, 4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Figure 4a, 4b, 4c, 4d, 4e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fixed state of th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2)를 착용하기 위해,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를 프레임(202)의 후방으로 젖혀둔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부(100)를 사용자가 착용한다. 그리고, 그 신발부(100)를 상기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 상면으로 안착시킨다.First, in a state where the user leans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to the rear of the frame 202 in order to wear a shoe detachable inline skate 2 provided with an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A, the user wears the shoe part 100. Then, the shoe part 1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part 200.
그러면서, 사용자는 상기 신발밑창(104)의 하면 전방부에 형성된 결합홈(108)의 입구부를 상기 제 1 고정돌기(208)의 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발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면 상기 제 1 고정돌기(208)가 결합홈(108)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결합되게 되므로 상기 결합홈(108)과 제 1 고정돌기(208)가 결합됨으로 인해 신발부(100) 전단의 측방 및 상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게 고정된다.At the same time,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inlet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108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104 to the rear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as shown in Figure 4b, When pushed forwar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108 while being coupled to the shoe groove 100 because the coupling groove 108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08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low to the side and above of the front end is fixed to prevent.
또한, 그 상태에서, 유저는 신발의 뒷꿈치부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고정돌기(21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결합홈(110)으로 제 2 고정돌기(210)가 유입되면서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110)과 제 2 고정돌기(210)의 결합을 통해 신발 뒷꿈치부는 좌우 유동이 방지되게 고정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C, the user presses the heel portion of the shoe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to the coupling groove 110. As it flows in, it is fixed by interference fit method. Thus,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groove 110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210, the heel of the shoe is fixed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flow.
신발부(100)가 완전히 상기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과 결합되게 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2)의 후방으로 젖혀두었던 상기 발목고정수단(300)의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를 신발측으로 당겨 세우고, 사용자의 발목부위를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에 유입시킨다.When the shoe unit 10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unit 200, the fixing of the ankle fixing means 300, which was flipped to the rear of the frame 202 as shown in Figure 4d Pulling up the means body 302 toward the shoe side, the user's ankle portion flows into the fixing means body 302.
그리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 본체(302)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벨트(308)를 고리(310)에 삽입하고 그 고정벨트(308)의 끝단을 상기 고정부재(312)의 아래로 통과시켜 그 고정부재(312)를 제껴서 고정벨트(308)를 체결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 고정벨트(308)를 고정부재(312)측으로 밀어넣으면 더욱 견실하게 고정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e, the fixing belt 308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is inserted into the ring 310 and the end of the fixing belt 308 to the fixing member ( Pass the bottom of 312 to the fixing member 312 to fasten the fixing belt 308. In that state, when the fixing belt 308 is pushed toward the fixing member 312 side is more securely fixed.
그러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2)는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주행시 넘어지거나 발목이 굽혀지는 상황에서도 발목고정수단(300)을 통해 발목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쉽게 발목고정수단(300)의 고정벨트(308)와 고정부재(312)를 결합 해제시켜 신발을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Then, the shoe detachable inline skate (2)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ankle through the ankle fixing means 300 even in a situation that falls or bends when running, such as general inline skates While being, the fixing belt 308 and the fixing member 312 of the ankle fixing means 300 can be easily released to separate the shoes from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200.
신발을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발목고정수단(300)의 고정수단 본체(302)를 바퀴지지부(200)의 프레임(202)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그 고정수단 본체(302)의 내부에 프레임(20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절첩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을 이탈시킨 바퀴지지부(200) 및 발목고정수단(300)은 겹쳐지게 되므로 휴대가 간편하게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상기 신발부(100)를 통해 일반 운동화처럼 용이하게 지면으로 보행할 수 있으며, 계단을 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shoe is separated from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200, the fixing means main body 302 of the ankle fixing means 300 can be rotated toward the frame 202 of the wheel support 200, the fixing means A portion of the frame 202 may be folded into the body 302. Therefore, since the wheel support 200 and the ankle fixing means 300,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shoes, overlap, the portable unit can easily reduce the volume, and in such a state, the shoe unit 100 is easily moved to the ground through the shoe unit 100. It can walk and climb stairs, so the user can use it conveniently.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hoe detach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는 일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주행시 넘어지거나 발목이 굽혀지는 상황에서도 발목고정수단을 통해 발목을 보호할 수 있고, 신발을 바퀴지지부의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발목고정수단의 고정수단 본체를 바퀴지지부의 프레임측으로 회전시켜 전체 부피를 휴대가 간편하게 축소시킬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신발을 일반 운동화처럼 착용하고 노면을 보행할 수 있으며, 계단을 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oe detachable inline skates equipp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ankle through the ankle fixing means even in the situation that falls or bends when running like an ordinary inline skate, the shoe support wheel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frame of the ankle fixing means by rotating the main body of the fixing means to the frame side of the wheel support can easily reduce the overall volume, in that state can wear the shoes as a normal sneaker and walk on the road, As you can climb the stairs, you can use it safely and conveniently.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외형을 도시한 측면도,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movable sho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movable sho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에 고정되는 신발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hoe fixed to the removabl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 4c, 4d, 4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Figure 4a, 4b, 4c, 4d, 4e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fixed state of the removabl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nkle protec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신발부, 200:바퀴지지부,100: shoes, 200: wheel support,
300:발목고정수단, 302:고정수단본체,300: ankle fixing means, 302: fixing means body,
304:결합홀, 306:쿠션부재,304: coupling hole, 306: cushion member,
308:고정벨트, 310:고리,308: fixed belt, 310: ring,
312:고정부재.312: fixing memb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2093U KR200395818Y1 (en) | 2005-04-29 | 2005-04-29 |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2093U KR200395818Y1 (en) | 2005-04-29 | 2005-04-29 |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5925A Division KR20050047061A (en) | 2005-04-29 | 2005-04-29 |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5818Y1 true KR200395818Y1 (en) | 2005-09-14 |
Family
ID=4369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209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5818Y1 (en) | 2005-04-29 | 2005-04-29 |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5818Y1 (en) |
-
2005
- 2005-04-29 KR KR20-2005-0012093U patent/KR20039581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06451A (en) | Footwear apparatus with grinding p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6115946A (en) | Method for making footwear grinding apparatus | |
US7464944B2 (en) | Wheeled skate | |
US7048601B2 (en) | Swimming flipper with blade and footwear structure | |
KR100967653B1 (en) | Attachable inline skate | |
KR200395818Y1 (en) |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 |
KR20050047061A (en) | Shoes joining type inline-skate with a ankle protecting means | |
KR200378100Y1 (en) | Detachable wheel unit for a Rolling Shoes | |
KR100546005B1 (en) | Inline shoes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 |
KR200476314Y1 (en) | Shoes inserted climbing irons | |
KR101149477B1 (en) | 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 |
KR200324899Y1 (en) | Rolling shoes having a brake pad | |
KR100822049B1 (en) | Skates with shoe fixing structure | |
KR100770054B1 (en) | Shoes removable inline skates | |
KR20060083441A (en) | Detachable shoes for inline skating | |
KR200345591Y1 (en) | Inline skate shoes enable of a sticking and separating | |
KR200426711Y1 (en) | Skates with shoe fixing structure | |
KR20070091169A (en) | Inline shoes with built-in shock absorbing member | |
KR200326915Y1 (en) | Inline skate wheel cover | |
KR200233887Y1 (en) | Prefabricated roller skate | |
KR200339195Y1 (en) | Inline skate shoes having a shock absorber means | |
KR100646199B1 (en) | Roller skating | |
KR200323132Y1 (en) | a roller blade like overshoes | |
KR940007193Y1 (en) | Roller Board | |
KR20050041317A (en) | Shoes with inline sk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509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5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7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