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5734Y1 -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734Y1
KR200395734Y1 KR20-2005-0017899U KR20050017899U KR200395734Y1 KR 200395734 Y1 KR200395734 Y1 KR 200395734Y1 KR 20050017899 U KR20050017899 U KR 20050017899U KR 200395734 Y1 KR200395734 Y1 KR 200395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knob
core
shift lever
sn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광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73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구조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지는 조작자의 손에 잡히는 노브(3)와; 상기 노브(3)의 중공부 상단에서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3)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회전 방지를 위한 코어 면취부(1a)를 구비하는 코어(1)와; 상기 노브(3)의 중공부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3)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하단은 상기 노브(3)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2)와;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2)의 하단부에 스넵핏 결합되는 스커트(5); 및 상기 스커트(5)를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2)와 상기 코어(1)에 삽입되며, 상기 코어 면취부(1a)와 대응되는 로드 면취 가공부(6a)를 구비하는 로드(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립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회전이 방지되면서도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KNOB ASSEMBLING STRUCTURE OF TRANSMISSION LEV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변속레버 로드에 노브를 장착하는 구조가 원터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 공정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동시에 노브와 로드의 결합이 견고하여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 기어변속은 운전석에 구비된 변속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변속레버는 통상적으로 변속단을 조절하는 변속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레버 로드와 이 로드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작자가 손으로 감싸는 손잡이 부분인 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브와 로드의 결합을 위한 조립구조는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편리성 및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이른바, 슬리브 구조를 추가하여 결합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변속레버 조립체 구조가 그것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변속레버 조립체는, 시프트레버 로드(6)와 노브(3) 및 스커트(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프트레버 로드(6)와 노브(3) 사이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어(1) 및 인서트(2)가 개재된다. 결과적으로 로드(6)와 노브(3)는 코어(1)와 인서트(2)에 의해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프트레버 로드(6)는 상단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7)를 포함하는 대체로 긴 로드 부재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변속단을 조정하는 케이블(미도시됨)이 연결된다. 코어(1)와 인서트(2)는 노브(3)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밀착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며, 시프트레버 로드(6)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시프트레버 로드(6)는 코어(1)와 인서트(2)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나사부(7)에 의해 나사결합됨으로써 노브(3)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2)의 하단은 노브(3)의 하단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부분의 외주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5)는 로드(6)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단으로부터 위로 밀어 끼움돌기에 끼워질 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브(3)는 상단에서 나사부(7)에 의해 로드(6)와 결합되고, 하단에서는 스커트(5)에 의해 로드(6)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변속레버는 그 조립과정에 있어서, 시프트레버 로드(6)의 나사부(7)를 체결하기 위하여 노브(3)를 일정횟수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 조립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노브의 장착상태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조립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작업자의 불만이 크고, 조립 후에도, 외력에 의해 노브가 회전될 수 있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결이 헐거워져 레버 작동시 노브가 회전함에 따른 소비자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와 동시에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하여 회전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노브와 시프트레버 로드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변속레버 조립 구조에 대한 기술적 요구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 조립 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조립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하여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결합이 불필요하여, 조립 공정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터치로 이중의 스넵핏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후 사용시 외력에 의한 노브의 회전이 방지됨과 동시에 체결이 헐거워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결합 견고성이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결합 방식 노브 조립 구조에 의해 성취된다. 본 조립구조는, 자동차용 변속레버 조립체의 구조에 있어서, 하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지는 조작자의 손에 잡히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중공부 상단에서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회전 방지를 위한 코어 면취부를 구비하는 코어와; 상기 노브의 중공부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 내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하단은 상기 노브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와;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의 하단부에 스넵핏 결합되는 스커트; 및 상기 스커트를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와 상기 코어에 삽입되며, 상기 코어 면취부와 대응되는 로드 면취 가공부를 구비하는 로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는 회전 방지를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한 코어 슬롯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코어 슬롯 돌기부를 수용하도록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오목한 로드 슬롯 홀 가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는 스넵핏 결합을 위한 코어 스넵핏 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코어 스넵핏 돌기부가 스넵핏 결합되어 걸리게 하기 위한 로드 제 1 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내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와 상기 로드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에는 상기 탄성클립이 안착되는 로드 제 2 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 스넵핏 돌기부와 상기 로드 제 1 홈 사이의 결합과, 상기 탄성클립이 상기 로드 제 2 홈에 안착되는 결합은 조립시 동시에 원터치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에에 따라, 상기 인서트에 노브를 사출시 사출물이 상기 코어의 코어 스넵핏 돌기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가조립 상태에서 보여주는 A-A 방향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가조립 상태에서 보여주는 B-B 방향 수직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조립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A-A 방향 수직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조립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C-C 방향 수평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조립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B-B 방향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 조립체는 노브(3)와, 코어(1)와, 인서트(2)와, 스커트(5)와, 로드(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브(3)는 변속레버의 조작자가 손으로 쥐는 손잡이 부분의 외부를 형성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구비한다. 이 중공부에 로드(6)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노브(3)는 그 단면이 대체로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형, 또는 달걀 형상이라고 생각될 수 있으나, 물론 이러한 형상에만 본 고안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형태의 노브 형상이 가능하다.
인서트(2)와 스커트(5)는 노브(3)와 로드(6)를 하단에서 고정하는 구조이다. 인서트(2)는 노브(3)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노브(3) 내측에 삽입된다. 인서트(2)의 하단은 노브(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커트(5)와 스넵핏 결합될 수 있다. 인서트(2)의 중앙에는 로드 관통공이 있고 스커트(5)의 중앙에도 로드 관통공이 있어서, 로드(6)는 스커트(5)와 인서트(2)를 관통하여 로브(3) 내에 삽입된다.
노브(3)의 중공부 상단에는,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회전 방지를 위한 코어 면취부(1a)를 구비하는 코어(1)가 위치한다. 코어 면취부(1a)는 코어 내부로 삽입된 로드(6)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로드(6)에는 상기 코어 면취부(1a)와 대응되는 로드 면취 가공부(6a)가 구비된다. 로드(6)는 대체로 원통형의 길다란 막대기 형상이지만, 이와 같이 코어 면취부(1a)와 로드 면취 가공부(6a)가 서로 대응됨으로써 로드(6)가 노브(3) 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1)는 회전 방지를 위하여 그 상부에서 그 로드 관통공 내측으로 벋어나가는 즉 수직 방향으로 돌출한 코어 슬롯 돌기부(1b)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6)는 상기 코어 슬롯 돌기부(1b)를 수용하도록 대응하여 그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오목한 로드 슬롯 홀 가공부(6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 슬롯 돌기부(1b)와 로드 슬롯 홀 가공부(6b)가 서로 원터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로드(6)가 노브(3) 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1)는 스넵핏 결합을 위한 코어 스넵핏 돌기부(1c)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드(6)는 상기 코어 스넵핏 돌기부(1c)가 스넵핏 결합되어 걸리게 하기 위한 로드 제 1 홈(6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넵핏 돌기부(1c)는 코어(1)의 내측 벽에서 관통공 내부로 돌출된 형태로서 형성되며, 제 1 홈(6c)은 대체로 원통형인 로드(6)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가공한 홈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스넵핏 돌기부(1c)와 제 1 홈(6c)의 결합 상태는 도 11에 잘 나타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1)내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1)와 상기 로드(6)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클립(9)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6)에는 상기 탄성클립(9)이 안착되는 로드 제 2 홈(6d)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탄성클립(9)과 제 2 홈(6d)의 결합상태는 도 9와 도 11에 잘 나타나 있다. 탄성클립(9)은 코어(1) 내측면과 로드(6)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코어(1)와 로드(6) 사이에 강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 스넵핏 돌기부(1c)와 상기 로드 제 1 홈(6c) 사이의 결합과, 상기 탄성클립(9)이 상기 로드 제 2 홈(6d)에 안착되는 결합은 조립시 동시에 원터치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에에 따라, 상기 인서트(2)에 노브(3)를 사출시 사출물이 상기 코어(1)의 코어 스넵핏 돌기부(1c)에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8)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 조립체에 의하면, 조립시 부품을 회전시킬 필요가 전혀 없이, 단순히, 노브에 로드를 삽입시켜 밀어 붙이는 동작만으로, 회전이 방지되면서 이중으로 견고한 결합이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변속레버 조립체의 원터치 방식 조립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가 개시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당업자라면 본 설명을 참조하여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여러가지 수정과 변형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에 의하면, 조립작업이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필요한 결합 견고성을 제공하여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가 제공되며, 차량용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전결합이 불필요하여, 조립 공정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속레버의 노브와 로드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터치로 이중의 스넵핏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후 사용시 외력에 의한 노브의 회전이 방지됨과 동시에 체결이 헐거워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결합 견고성이 제공될 수 있는 새로운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차용 변속 레버의 종래 구조를 보여주는 도 5의 A-A방향에서 자른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변속 레버 단면도와는 수직인 방향 즉 도 5의 B-B방향에서 자른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일반적인 변속 레버를 상부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가조립 상태에서 보여주는 A-A 방향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가조립 상태에서 보여주는 B-B 방향 수직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조립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A-A 방향 수직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조립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C-C 방향 수평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조립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B-B 방향 수직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간단한 설명>
1 : 코어 1a : 코어 면취부
1b : 코어 슬롯 돌기부 1c : 코어 스넵핏 돌기부
2 : 인서트 3 : 노브
4 : 캡 5 : 스커트
6 : 로드 6a : 로드 면취 가공부
6b : 로드 슬롯 홀 가공부 6c : 로드 제 1 홈
6d : 로드 제 2 홈 7 : 나사부
8 : 커버 9 : 탄성클립

Claims (3)

  1. 하단이 개방되며 중공부를 가지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중공부 상단에서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기 노브 내부에 삽입되고,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회전 방지를 위한 코어 면취부를 구비하는 코어와, 노브의 중공부 하단에 스커트와 스넵핏 결합하는 인서트와, 로드와 스냅핏 결합을 위해 형성된 스냅핏 돌기부와, 중앙에 로드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의 하단부에 스넵핏 결합되는 스커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로드사이에는 결합력 증대를 위해 탄성클립(9)이 개제되고, 상기 로드(6)에는 제1 및 제2 수용홈(6c, 6d)이 형성되어 각각 스냅핏 돌기부(1c)와 탄성클립(9)을 수용하도록 한데 특징이 있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1)는 회전 방지를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한 코어 슬롯 돌기부(1b)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6)는 상기 코어 슬롯 돌기부(1b)를 수용하도록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오목한 로드 슬롯 홀 가공부(6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에 노브를 사출시 사출물이 상기 코어(1)의 코어 스넵핏 돌기부(1c)에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8)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KR20-2005-0017899U 2005-06-21 2005-06-21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395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99U KR200395734Y1 (ko) 2005-06-21 2005-06-21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99U KR200395734Y1 (ko) 2005-06-21 2005-06-21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734Y1 true KR200395734Y1 (ko) 2005-09-13

Family

ID=4369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899U Expired - Lifetime KR200395734Y1 (ko) 2005-06-21 2005-06-21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7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88U (ko) * 2016-12-29 2018-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88U (ko) * 2016-12-29 2018-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0493788Y1 (ko) * 2016-12-29 2021-06-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329A (en) Snap together shift knob construction
US5002243A (en) Plastic holding device with noise dampening
JP2534201Y2 (ja) グロメット
US20070137359A1 (en) Speed changing operation apparatus for vehicle
JP2009280052A (ja) シフトレバー
KR200395734Y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노브 조립 구조
KR200373193Y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의 원터치 노브 조립 구조
JP2576385Y2 (ja) 箱状物の取付け構造
JP2000230540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6611970B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WO2015098542A1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32655Y2 (ko)
KR101756024B1 (ko) 변속 노브 조립체
JP4005849B2 (ja) 部品固定具
US5653583A (en) Oil hydraulic pump
KR100288277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CN112977364B (zh) 一种车辆控制踏板的安装组件
KR100756922B1 (ko) 메스 댐퍼
KR20040038199A (ko) 차량용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JPH032046Y2 (ko)
KR100288276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JPH07324529A (ja) ドア用ハンドル取付座
KR20050120247A (ko) 차량용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JP2550924Y2 (ja) ドアハンドル座の取付構造
KR200171200Y1 (ko) 자동차의 콘솔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81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4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