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5378Y1 - 극돌기 간격 유지기 - Google Patents

극돌기 간격 유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378Y1
KR200395378Y1 KR20-2005-0018865U KR20050018865U KR200395378Y1 KR 200395378 Y1 KR200395378 Y1 KR 200395378Y1 KR 20050018865 U KR20050018865 U KR 20050018865U KR 200395378 Y1 KR200395378 Y1 KR 200395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mber
spinous process
support
supporter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진화
Original Assignee
엄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진화 filed Critical 엄진화
Priority to KR20-2005-0018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37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7Devices bearing against one or more spinous processes and also attached to another part of the spine;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0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apophyseal or facet joints, i.e. between adjacent spinous or transverse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측돌기 간격 유지기가 게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간격 유지기는 척추 상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극돌기중 상하로 인접해 있는 상측 및 하측 극돌기의 사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 및 하측 극돌기 사이에 실장 되는 제1 유지부재;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유지부재와 결합 가능한 제2 유지부재; 상기 상측 및 하측 극돌기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유지부재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측 지지대와 제1 하측 지지대; 및 상기 상측 및 하측 극돌기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유지부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측 지지대와 제2 하측 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간격 유지기에 따르면 상측 및 하측 극돌기의 물리적 손상없이 제1 유지부재와 제2 유지부재가 조립된 간격 유지기를 상기 극돌기 사이에 실장시킴으로써, 상기 상측 및 하측 극돌기사이의 간격 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Description

극돌기 간격 유지기{SPINOUS PROCESS DISTANCE RETAINER}
본 고안은 의료기기 중 척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척추상에 인접해 있는 한쌍의 극돌기(spinous process)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극돌기 간격 유지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역할을 하는 척추체(101)와 상기 척추체(101)에 근육의 형태로 붙어 있는 극돌기(102, 103)가 존재한다. 이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척추를 이루는 각 뼈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뼈가 신경을 압박하여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하거나 심하게는 마비되는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를 크게 절개하고 금속 나사못(201) 등을 삽입하여 척추뼈 마디를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척추 협착증의 수술 방법은, 뼈를 깎아내거나 많은 금속 나사못을 척추뼈에 박아 고정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많은 수혈을 해야만 하는 불편과 수술시간의 지연, 수술 후의 합병증, 비용 증가의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해 있는 상측 및 하측 극돌기 사이에 간격 유지기를 실장하여 상측 및 하측 극돌기의 물리적 손상 없이 그 간격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척추의 인접한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에 장착하여 그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 유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간격 유지기는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해 실장되는 제1 유지부재;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2 유지부재로서, 상기 제1 유지부재와 결합 가능한 상기 제2 유지부재;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유지부재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측지지대와 제1 하측지지대; 및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유지부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측지지대와 제2 하측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돌기 간격 유지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극돌기 간격 유지기는 전체적으로 'H'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유지부재(310), 제2 유지부재(320), 제1 상측 지지대(330)와 제1 하측 지지대(340) 및 제2 상측 지지대(350)와 제2 하측 지지대(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지부재(310)는 본 고안의 극돌기 간격 유지기에 의해 척추 상에 상하로 인접해 있는 상측 극돌기(102)와 하측 극돌기(103) 사이에 실장 되어 그 간격을 유지시켜주기는 부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만곡면(311), 걸림홈(312),제1 돌출날(313) 및 안내턱(31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만곡면(311)은 상기 제1 유지부재(310)의 전면에 'U'형상의 곡선부를 형성함으로써, 상하로 인접해 있는 상측 극돌기(102)와 하측 극돌기(103)의 물리적 손상 없이 그 사이에 밀착되며, 상기 걸림홈(312)은 상기 제1 유지부재(310)의 상면과 하면의 소정의 부위에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제2 유지부재(320)의 걸림돌기(322)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날(313)은 상기 제1 만곡면(311)이 시작되는 부위와 끝나는 부위에 각각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측 극돌기(102, 도 1 참조)의 저면과 하측 극돌기(103, 도 1 참조)의 상면에 각각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턱(314)은 제1 유지부재(310)의 배면에 슬라이드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유지부재(320)가 안내 및 안착된다.
상기 제2 유지부재(320)는 상기 제1 유지부재(310)와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며, 제1 유지부재(310)와 폭방향으로 결합하는 부재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만곡면(321), 걸림돌기(322), 제2 돌출날(323)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만곡면(321)은 제2 유지부재(320)의 전면에 'U'형상의 곡선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만곡면(311)의 내주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22)는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유지부재(310)의 걸림홈(312)에 연통되록 제2 유지부재(320)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날(323)은 제1 돌출날(313)과 일치되도록 제2 만곡면(321)이 시작되는 부위와 끝나는 부위에 각각 폭방향으로 일부 형성된다.
상기 제1 상측 지지대(330)와 제1 하측 지지대(340)는 제1 유지부재(3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극돌기(102)와 하측 극돌기(103)의 측면과 접촉되고 소정의 실이 관통되는 제1 관통공쌍(331, 34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쌍(331, 341) 주위에는 톱니 형상면(332, 34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지부재(310)의 이탈을 제어하고 상측 및 하측 극돌기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2 상측 지지대(350)와 제2 하측 지지대(360)는 제2 유지부재(32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측 극돌기(102)와 하측 극돌기(103)의 타측면과 접촉되고 소정의 실이 관통되는 제2 관통공쌍(351, 36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공쌍(351, 361) 주위에는 톱니 형상면(353, 363)을 형성하여 상기 제2 유지부재(320)의 이탈을 제어하고 상측 및 하측 극돌기를 지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돌기 간격 유지기를 이용한 수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술하고자 하는 척추 부위의 피부를 절개한 다음, 간격이 좁아진 상측 측돌기(102)와 하측 측돌기(103) 사이를 벌린 후 제1 유지부재(310)를 상측 극돌기(102)와 하측 극돌기(103)사이에 삽입하여 밀착시킨다. 이후, 제2 유지부재(320)를 피부내로 삽입하고 제1 유지부재(310)의 상하면에 형성된 걸림홈(312)과 제2 유지부재(320)의 상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22)가 서로 결합될 때까지 상기 제2 유지부재(320)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 유지부재(320)는 슬라이드 형태로 형성된 안내턱(314)에 의해 환자의 인체내에서 다른 부분으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안내턱(3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걸림홈(312)과 상기 걸림돌기(322)가 서로 결합되어 제1 유지부재(310)와 제2 유지부재(320)가 완전히 조립되면 소정의 실과 같은 연결 수단을 상기 제1 상측지지대(330) 및 제1 하측지지대(340)에 구비된 제1 관통공쌍(331, 341)과 제2 상측지지대(350) 및 제2 하측지지대(360)에 구비된 제2 관통공쌍(351, 36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들을 묶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지부재(310)와 제2 유지부재(3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실과 같은 연결부재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수술부위의 상태와 의사의 소견에 따라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그 시술이 가능하다. 도 6은 상술한 수술과정 이후 본 고안이 상측 측돌기(102)와 하측 측돌기(103) 사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따라서,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간격 유지기에 따르면, 상측 극돌기(102)를 지지하는 제1 상측 지지대(330)와 제2 상측 지지대(350)를 구비하고 하측 극돌기(103)를 지지하는 제1 하측 지지대(340)와 제2 하측지지대(360)를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간격 유지기의 좌우 이탈 및 상측 극돌기(102)와 하측 극돌기(103)사이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격 유지기는 상측 측돌기와 하측 측돌기 사이에 견고하게 장착됨으로써, 종래의 수술 방법에서와 같이 굳이 뼈를 깎아내거나 다량의 체결나사못이나 고정못으로 척추 부위의 뼈를 관통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간격 유지기에 의하면, 부분 마취만으로도 수술이 가능하여 환자의 고통, 치료비 및 수술시간이 현저하게 경감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일반적인 척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척추수술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돌기 간격 유지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제1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제2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극돌기 간격 유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제1 유지부재 320 : 제2 유지부재
311 : 제1 만곡면 321 : 제2 만곡면
312 : 걸림홈 314 : 안내턱
322 : 걸림돌기 330 : 제1 상측 지지대
340 : 제1 하측 지지대 350 : 제2 상측 지지대
360 : 제2 하측 지지대 334 : 관통공

Claims (7)

  1. 척추의 인접한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상측 극돌기 및 하측 극돌기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 유지기에 있어서,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해 실장되는 제1 유지부재;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2 유지부재로서, 상기 제1 유지부재와 결합 가능한 상기 제2 유지부재;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유지부재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상측지지대와 제1 하측지지대; 및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유지부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상측지지대와 제2 하측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간격 유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재는
    상기 상측 극돌기와 하측 극돌기 사이에 밀착 가능하도록 전면에 제1 만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유지부재는
    상기 제1 유지부재와 대칭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만곡면의 내주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만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간격 유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재는
    상기 제2 유지부재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 유지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걸림홈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지부재는
    상기 제1 유지부재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2 유지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는 한쌍의 걸림돌기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간격 유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재는
    상기 제1 만곡면이 시작되는 부위와 끝나는 부위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돌출날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유지부재는
    상기 제2 만곡면의 시작되는 부위와 끝나는 부위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돌기 간격 유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재는
    상기 제2 유지부재와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폭방향으로 상기 제1 유지부재 배면에 슬라이드 형태의 안내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간격 유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지지대와 제1 하측지지대는
    각각의 양단부에 제1 관통공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상측지지대와 제2 하측지지대는
    각각의 양단부에 제2 관통공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돌기 간격 유지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1 상측지지대와 제1 하측지지대는
    각각의 내측면에 소정의 톱니 형상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상측지지대와 제2 하측지지대는
    각각의 내측면에 소정의 톱니 형상면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돌기 간격 유지기.
KR20-2005-0018865U 2005-06-29 2005-06-29 극돌기 간격 유지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95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65U KR200395378Y1 (ko) 2005-06-29 2005-06-29 극돌기 간격 유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65U KR200395378Y1 (ko) 2005-06-29 2005-06-29 극돌기 간격 유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378Y1 true KR200395378Y1 (ko) 2005-09-08

Family

ID=4369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8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5378Y1 (ko) 2005-06-29 2005-06-29 극돌기 간격 유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3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462B1 (ko) 조절 가능한 척추 연신 임플란트
US9795419B2 (en) Spinal stabilization system
JP6546729B2 (ja) 腰椎−仙骨スクリューの挿入および操作
US8246662B2 (en) Modular occipital plate
US9474553B2 (en) Caps for implants,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KR100896043B1 (ko) 로드 클램프
KR101284150B1 (ko) 후궁성형술용 브리징 장치 및 이의 응용
AU2007311118A1 (en) Central rod connector and T-rod
US20160157905A1 (en) Flexible locked plate fixation
KR20120093166A (ko) 척추 교정 장치
JP6760953B2 (ja) 椎弓形成術用スペーサ
EP3157450B1 (en) Medial column fusion plates
KR101563615B1 (ko) 후궁성형술용 스페이서
KR101453440B1 (ko) 극상돌기용 임플란트
KR101111666B1 (ko) 최소 침습적 척추수술장치
KR10112166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KR100982530B1 (ko) 척추수술장치
KR102586740B1 (ko) 후궁성형술용 스페이서
KR200395378Y1 (ko) 극돌기 간격 유지기
KR10133365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KR101665243B1 (ko) 척추수술용 브라켓
JP2009523045A (ja) プレートおよび椎弓根スクリューを備え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適用
CN112426217A (zh) 棘突重建开门板
JP2018538053A (ja) 後頭部頸部固定装置
KR100650208B1 (ko) 척추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