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4945Y1 - 토류판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토류판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945Y1
KR200394945Y1 KR20-2005-0017108U KR20050017108U KR200394945Y1 KR 200394945 Y1 KR200394945 Y1 KR 200394945Y1 KR 20050017108 U KR20050017108 U KR 20050017108U KR 200394945 Y1 KR200394945 Y1 KR 200394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fixed
earth
plat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열
Original Assignee
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열 filed Critical 최상열
Priority to KR20-2005-0017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귿자 형태의 강철부재를 연결한 토류판을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 공사시 설치하여 토사의 유출과 붕괴를 예방하고, 토류판을 강철부재로 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며 디귿자 형태의 요철형상으로 배열 함으로써 토류판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응력을 분산시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의 설치구조는,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 공사시 토사의 유출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하단이 지중으로 매입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빔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세로빔들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로빔 및 서로 연결 고정된 다수의 강판부재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세로빔들 사이에 설치되며 가로빔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토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류판의 설치구조{STRUCTURE FOR BOARD PROTECTING LANDSLIDE}
본 고안은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귿자 형태의 강철부재를 연결한 토류판을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 공사시 설치하여 토사의 유출과 붕괴를 예방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대한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는데,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반공사나, 토목공사의 절개지 현장의 흙막이 팬스 공사에 설치되는 토류판은 에이치빔을 소정간격 이격하여 지중에 매입하고 에이치빔 양단에 지표와 평행하게 목재로 가공된 토류판을 적층하여 설치함으로써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목재로 가공된 토류판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습기에 의한 부식현상에 의해 강도가 점차 약해져 토류판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며 부식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공사 후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는 토류판의 형태로 토사를 지탱할 경우, 토사로부터 받게 되는 응력이 중앙으로 집중하게 되므로 붕괴와 같은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디귿자 형태의 강철부재를 연결한 토류판을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 공사시 설치하여 토사의 유출과 붕괴를 예방하고, 토류판을 강철부재로 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며, 디귿자 형태의 요철형상으로 배열 함으로써 토류판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응력을 분산시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토류판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 공사시 토사의 유출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하단이 지중으로 매입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빔과, 서로 인접하는 세로빔들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로빔, 및 서로 연결 고정된 다수의 강판부재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세로빔들 사이에 설치되며 가로빔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토류판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강판부재는 금속재질로 그 양단이 절곡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며 전술한 토류판은 토류판들이 요철의 형태를 띠도록 서로 반대방향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가로빔은 전술한 세로빔에 대해 토사가 위치하는 반대측으로 가로빔과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가로빔은 세로빔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평면도가 도시되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30)의 설치구조는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1) 공사시 토사의 유출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하단이 지중으로 매입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빔(10)과, 서로 인접하는 세로빔(10)들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로빔(20)과, 서로 연결 고정된 다수의 강철부재(31)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세로빔(10)들 사이에 설치되며 가로빔(20)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토류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세로빔(10)은 토류판(30)을 일차적으로 지지해 주는 것으로, 지반공사 현장이나 절개지의 토사면을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하단이 지중으로 매입 고정되는데, 2미터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로빔(10)은 토사의 붕괴시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토류판(30)이 토사에 따른 응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지중으로 매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류판(30)이 그 사이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에이치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세로빔(10)은 가로빔(20) 내지 토류판(30)과 고정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가로빔(20)과의 고정을 위한 제 1 체결공(11)이 형성되며 토류판(30)을 구성하는 강철부재(31)와의 고정을 위한 제 2 체결공(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하는 세로빔(10)들에는 가로빔(20)의 양단이 고정되는데, 이 가로빔(20)은 전술한 세로빔(10)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되는 토류판(30)을 배면측에서 2차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토류판(3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에이치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가로빔(20)의 양단에는 세로빔(10)과, 토류판(30)을 구성하는 강철부재(31)의 고정을 위한 제 3 체결공(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로빔(20)은 서로 일치된 제 1 및 제 3 체결공(11, 21)에 볼트(40) 및 너트(50)를 결합함으로써 세로빔(10)의 양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접하는 세로빔(10)에 그 양단이 직접 용접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가로빔(20)은 토류판(30)을 토사가 위치하는 반대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세로빔(10)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전술한 제 1 체결공(11)은 세로빔(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하는 세로빔(10)들 사이에는 토류판(30)이 끼워져 고정설치되고 전술한 가로빔(20)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데, 이 토류판(30)은 실질적으로 토사의 유출이나 붕괴시 그 응력을 받아 지지함으로서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연결 고정된 다수의 강철부재(31)로 형성된다.
전술한 강철부재(31)는 단면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토사로부터의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요철의 형태를 띠도록 결합시키는데 디귿자 형태의 강철부재(31)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한 뒤 절곡시킨 날개부분을 고정시킨다.
또한, 전술한 세로빔(10) 및 가로빔(20)과 고정하기 위한 제 4 체결공(33)과, 강철부재(31)와 강철부재(31)의 고정 및 강철부재(31)와 세로빔(10)과의 고정을 위해서 날개부분에 제 5 체결공(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의 설치구조의 전체적인 설치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1) 공사시 토사의 유출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공사 현장이나 절개지의 토사면을 따라서 에이치빔 형태의 세로빔(10)을 소정간격 이격시켜 지중에 매입 고정시키는데, 2미터 간격으로 이격시키는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세로빔(10)은 그 상부와 하부에 가로빔(20)과의 고정을 위한 제 1 체결공(11)이 형성되며, 에이치 빔의 홈으로 끼워지는 강철부재(31)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체결공(13)이 형성된다.
전술한 세로빔(10)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가로빔(20)은 세로빔(10)에 대해 토사면의 반대측으로 위치하며, 그 전체에 걸쳐 소정간격 이격된 제 3 체결공(21)이 형성되는데, 세로빔(10)의 제 1 체결공(11)과는 양단에서 고정되며, 강철부재(31)와는 양단의 내측에서 고정되어 토류판(30)을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전술한 강철부재(31)로 이루어진 토류판(30)은 전술한 세로빔(10) 사이에 위치하고 전술한 가로빔(20)에 의해 배면측에서 지지되는데, 제 4 체결공(33)은 강철부재(31)의 제 3 체결공(21)과 고정되며, 제 5 체결공(35)은 세로빔(10)의 제 2 체결공(13)과 고정된다.
도 4 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분해도는 상측의 결합구조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로빔(10)이 지중에 매입고정되는 하측의 결합구조 역시 상측의 결합구조와 동일함을 밝혀둔다.
도 5 에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30)의 설치구조의 예시적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는데,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1) 공사에 디귿자로 형성된 토류판(30)을 요철의 형태를 띠도록 서로 반대방향의 양단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강철부재 이루어진 토류판을 사용함으로써 토류판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목재 토류판에 비해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류판을 디귿자 형태의 요철 형태로 배열함으로써 토류판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응력을 분산 시킴으로써 토사의 붕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 설치구조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흙막이 팬스
10 : 세로빔
11 : 제 1 체결공
13 : 제 2 체결공
20 : 가로빔
21 : 제 3 체결공
30 : 토류판
31 : 강철부재
33 : 제 4 체결공
35 : 제 5 체결공
40 : 볼트
50 : 너트
100 : 종래기술에 따른 흙막이 팬스

Claims (4)

  1. 건축, 토목 공사현장의 흙막이 팬스 공사시 토사의 유출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하단이 지중으로 매입 고정되는 다수의 세로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세로빔들에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가로빔; 및
    서로 연결 고정된 다수의 강판부재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세로빔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로빔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토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부재는 금속재질로 그 양단이 절곡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은 상기 토류판들이 요철의 형태를 띠도록 서로 반대방향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빔은 상기 세로빔에 대해 토사가 위치하는 반대측으로 가로빔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빔은 상기 세로빔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류판의 설치구조.
KR20-2005-0017108U 2005-06-15 2005-06-15 토류판의 설치구조 KR200394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108U KR200394945Y1 (ko) 2005-06-15 2005-06-15 토류판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108U KR200394945Y1 (ko) 2005-06-15 2005-06-15 토류판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945Y1 true KR200394945Y1 (ko) 2005-09-07

Family

ID=4369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108U KR200394945Y1 (ko) 2005-06-15 2005-06-15 토류판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9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40B1 (ko) * 2009-11-30 2012-04-17 조용부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KR101568167B1 (ko) * 2015-06-05 2015-11-11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건축기초 흙막이용 합성토류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40B1 (ko) * 2009-11-30 2012-04-17 조용부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KR101568167B1 (ko) * 2015-06-05 2015-11-11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건축기초 흙막이용 합성토류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401B1 (ko) 지하 매설관용 지지구조물
KR100997128B1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KR102252648B1 (ko) 철골구조물용 빔의 조립구조
KR200394945Y1 (ko) 토류판의 설치구조
US6536170B2 (en) Manufactured home foundation
KR20180118414A (ko) 강관 연결부를 구비한 터널식 방음벽
KR20150016009A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구조물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KR102005848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의 철탑구조
KR101378097B1 (ko) 복공판
KR101436563B1 (ko)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10422A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용 휘어짐 방지 버팀보
JP6102614B2 (ja) 建物の基礎構造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CN110528554B (zh) 加强型地基
JP2022106251A (ja) 地覆拡幅ユニット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KR100915658B1 (ko)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한 사면보강용 옹벽
KR101698341B1 (ko) 마감패널 부착이 용이한 철골 주각부
CN217267515U (zh) 一种吊梁连接节点结构
KR102614628B1 (ko) 건축물 리모델링 시공용 보강구조체, 건축물 리모델링 시공구조 및 건축물 리모델링 시공방법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KR102047897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CN219825406U (zh) 一种用于地基基础加固的临时支撑体系的结构柱护筒
KR200339441Y1 (ko) 토목 건축 공사용 토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6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6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3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