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90800Y1 -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 Google Patents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800Y1
KR200390800Y1 KR20-2005-0010641U KR20050010641U KR200390800Y1 KR 200390800 Y1 KR200390800 Y1 KR 200390800Y1 KR 20050010641 U KR20050010641 U KR 20050010641U KR 200390800 Y1 KR200390800 Y1 KR 20039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gears
inclination
upper plate
low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유원기
Original Assignee
이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원 filed Critical 이정원
Priority to KR20-2005-0010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80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2009/00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inclined slidabl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노브를 통해 상판의 경사를 조절이 용이하며, 회전노브의 회전수에 따라 세밀한 각도로 각도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 최적의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상판이 경사지게 설정되도록 상판 후단의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후방 힌지부를 통해 하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경사조절부를 통해 상판의 경사설정 시 경사조절부의 상단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판의 전방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전방 힌지부를 통해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한쌍의 후방 힌지부와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결합된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상판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지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Desk having Top Plate capable Angle Setting}
본 고안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노브를 통해 상판의 경사를 조절이 용이하며, 회전노브의 회전수에 따라 세밀한 각도로 각도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 최적의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작업이나 학습을 할 수 있는 상판과 소지품 또는 책들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서랍 프레임과 상기 서랍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목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작업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상판과, 상판의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서랍프레임과, 상기 서랍프레임이 안착되고, 상판 및 서랍프레임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책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은 작업대를 이루는 상판이 서랍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동시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판과 하부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하부프레임과 평행하게 유지됨으로써, 스케치 작업이나 도면 작업과 같이 정밀도가 요구되는 작업을 행할 때는 상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제도 책상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41983호에 게시된 책상은, 상판과 받침대에 힌지를 구성하고, 상기 받침대 일측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책상의 하부면 상부에 연결하며, 실린더의 힘으로 책상의 상판이 경사지게 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된 서랍을 상하 및 전후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기 서랍의 이동 또한 서랍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 고리의 체결을 제거하면 서랍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자동 하강되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책상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이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제작하기 위해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며, 이에 따라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책상의 상판을 경사지도록 배치하기 위해, 사용자는 앉은 자리에서 일어나 한손으로 상판의 일단을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나머지 한손으로 그 상판 각도를 설정해야 하므로 상판의 각도 설정이 번거로운 것은 물론, 이러한 구조의 책상은 상판의 각도를 세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자세 또는 앉은 키 등을 고려할 때 모든 사용자에게 사용상 최적의 상판 각도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상품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노브를 통해 상판의 경사를 조절이 용이하며, 회전노브의 회전수에 따라 세밀한 각도로 각도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상 최적의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판이 경사지게 설정되도록 상판 후단의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후방 힌지부를 통해 하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경사조절부를 통해 상판의 경사설정 시 경사조절부의 상단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판의 전방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전방 힌지부를 통해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한쌍의 후방 힌지부와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결합된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상판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지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 한쌍의 다리부 상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재된 한쌍의 기어와; 상기 한쌍의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한쌍의 기어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한쌍의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의 기어치 사이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고정핀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에 설치되어 초기상태에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방지도록 한쌍의 기어를 각각 고정핀 측으로 가압하여 탄력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코일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한쌍의 전방 힌지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하측에는 상기 한쌍의 기어와 치합되는 리니어기어부를 형성하여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와; 상기 한쌍이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로드 일측에 형성된 회전노브와; 상기 다리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가이드를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의 경사설정은, 상기 회전노브를 연결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밀어서 한쌍의 기어를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니어기어부를 통해 상판을 원하는 만큼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한 뒤, 회전노브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다리부의 내측에 배치된 기어의 폭은 초기상태에서 고정핀과 수직가이드의 리니어기어부와 동시에 치합되는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판의 경사 설정이 한손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자세 및 앉은 키 등을 고려하여 회전노브의 회전수에 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세밀한 상판의 각도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상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도 1d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a는 도 1a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c에 표시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은 4개의 다리부(11∼14)를 갖고 서포터(16)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하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1)의 상단 후방 양측에 대응 형성된 한쌍의 힌지부(25a, 25b)를 통해 힌지 결합된 상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판(20)은 전방 하면에 설치된 한쌍의 전방 힌지부(30a, 30b)와 한쌍의 전방 힌지부(30a, 30b)와 상단이 힌지 결합된 하기에 설명하는 경사조절부(40)를 통해 소정 기울기로 경사를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힌지부(25a, 25b)와 하부프레임(1)을 연결하는 힌지축(26)이 결합된 하부프레임(1)에는 상기 상판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지축(26)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 곡률로 이루어진 장공(27)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판(20)이 수평인 상태에서 경사를 설정하기 위해, 경사조절부(40)를 조작하여 상판(20)의 선단이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26)은 장공(27)을 따라 상판(20)의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이동하여 상판(20)의 후단을 소정거리 전진 이동시켜, 상기 상판(20)이 경사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경사조절부(40)는 상기 하부프레임(1)의 전방 한쌍의 다리부(11, 12)의 내부 상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재된 한쌍의 기어(41a, 41b)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는 연결로드(42)에 의해 수평상태로 연결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는 다리부(11, 12) 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3a, 43b)에 의해 각각 측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44a, 44b)이 상기 다리부(11, 12) 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43a, 43b)이 배치된 맞은편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전방 하단 양측에는 각각 상단이 힌지축(31a, 31b)을 통해 전방 힌지부(30a, 30b)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다리부(11, 12)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45a, 45b)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수직가이드(45a, 45b) 하측에는 각각 한쌍의 기어(41a, 41b)와 치합되는 리니어기어부(46a, 4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41a, 41b)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수직가이드(45a, 45b)는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다리부(11, 12)의 내측에 배치된 기어(41a, 41b)의 폭은 도 1a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고정핀(44a, 44b)과 수직가이드의 리니어기어부(46a, 46b)에 동시에 치합되는 폭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가이드(45a, 45b)는 상기 다리부(11, 12) 내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지지편(48a, 48b)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안내된다.
한편, 상기 연결로드(42)의 일측에는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노브(4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작동을 도면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2a와 같이 상판(20)이 하부프레임(1)에 수평상태로 배치된 초기상태에서, 상판(20)을 소정 각도로 경사 설정할 경우, 먼저, 도 1b와 같이 회전노브(47)를 연결로드(42)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밀어서 한쌍의 기어(41a, 41b)가 리니어기어부(46a, 46b)와 치합된 상태에서 고정핀(44a, 44b)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노브(4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로드(42)를 통해 연결된 한쌍의 기어(41a, 41b)가 리니어기어부(46a, 46b)에 치합된 상태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도 1c 및 도 2b와 같이 수직가이드(45a, 45b)를 상승시켜 상판(20)의 전방을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판(20)의 후단이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동하면서 회전노브(47)의 회전시킨 클릭 수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 설정되며, 상판(20)이 원하는 경사각으로 설정되면, 누르고 있던 회전노브(47)에 가압을 해제한다.
이어서,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는 도 1d와 같이 리니어기어부(46a, 46b)에 치합된 상태로 코일스프링(43a, 43b)에 의해 고정핀(44a, 44b)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핀(44a, 44b)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판(20)을 경사 설정한 후,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설명한 바의 역순으로 작동시켜 간단하게 원위치 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판의 경사 설정이 한손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자세 및 앉은 키 등을 고려하여 회전노브의 회전수에 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세밀한 상판의 각도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상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도 1d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는 도 1a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2b는 도 1c에 표시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하부프레임 11∼14: 다리부
20: 상판 25a, 25b: 후방 힌지부
26, 31a, 31b: 힌지축 27: 장공
30a, 30b: 전방 힌지부 40: 경사조절부
41a, 41b: 기어 42: 연결로드
43a, 43b: 코일스프링 44a, 44b: 고정핀
45a, 45b: 수직가이드 46a, 46b: 리니어기어부
47: 회전노브 48a, 48b: 지지편

Claims (3)

  1. 상판이 경사지게 설정되도록 상판 후단의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후방 힌지부를 통해 하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경사조절부를 통해 상판의 경사설정 시 경사조절부의 상단에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판의 전방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전방 힌지부를 통해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한쌍의 후방 힌지부와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결합된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상판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지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 한쌍의 다리부 상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재된 한쌍의 기어와,
    상기 한쌍의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한쌍의 기어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한쌍의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의 기어치 사이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고정핀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에 설치되어 초기상태에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방지도록 한쌍의 기어를 각각 고정핀 측으로 가압하여 탄력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코일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한쌍의 전방 힌지부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하측에는 상기 한쌍의 기어와 치합되는 리니어기어부를 형성하여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와,
    상기 한쌍이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로드 일측에 형성된 회전노브와,
    상기 다리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가이드를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의 경사설정은, 상기 회전노브를 연결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밀어서 한쌍의 기어를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니어기어부를 통해 상판을 원하는 만큼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한 뒤, 회전노브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내측에 배치된 기어의 폭은 초기상태에서 고정핀과 수직가이드의 리니어기어부와 동시에 치합되는 폭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2005-0010641U 2005-04-18 2005-04-18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Expired - Fee Related KR20039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41U KR200390800Y1 (ko) 2005-04-18 2005-04-18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41U KR200390800Y1 (ko) 2005-04-18 2005-04-18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800Y1 true KR200390800Y1 (ko) 2005-07-28

Family

ID=4369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6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90800Y1 (ko) 2005-04-18 2005-04-18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8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93Y1 (ko) * 2011-10-21 2013-06-12 황영철 기울기가 조절되는 작업대
CN108143149A (zh) * 2017-12-25 2018-06-12 苏州塔比诺机电有限公司 一种板面角度可调节座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93Y1 (ko) * 2011-10-21 2013-06-12 황영철 기울기가 조절되는 작업대
CN108143149A (zh) * 2017-12-25 2018-06-12 苏州塔比诺机电有限公司 一种板面角度可调节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67757A1 (en) Adjustable desk
US11730260B2 (en) Desktop lifting table
KR100919418B1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좌석가구
KR200390800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CN215190084U (zh) 一种带储物功能的学生课椅
JP2001353028A (ja) 昇降パネル付きワゴンデスク
KR10078630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0390430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CN214904569U (zh) 一种桌椅高度调节结构
CN213281959U (zh) 一种桌面角度调节装置及桌具
JP3126488U (ja) 机と椅子の相互変換構造
JP5890660B2 (ja) 椅子
JP4411413B2 (ja) 椅子
CN220987993U (zh) 一种可调节桌子
CN204292526U (zh) 一种多功能椅子
JP7601346B2 (ja) 足置きユニット及び上下昇降デスク
CN220069248U (zh) 一种午休椅
US20250064656A1 (en) Medical rehabilitation chair with sitting and reclin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CN112932063B (zh) 一种桌椅高度调节结构和高度调节方法
CN215685694U (zh) 一种具有矫正坐姿功能的学生用桌子
CN219613303U (zh) 桌面装置及包含该桌面装置的学习桌
CN212036606U (zh) 一种多功能教室用课桌椅
CN220045364U (zh) 一种坐具及其伸展装置
CN221533172U (zh) 一种高度可调节的课桌椅
KR200366388Y1 (ko) 상판이 절첩되는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4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4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