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9153Y1 - 목재 블럭 완구 - Google Patents

목재 블럭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153Y1
KR200389153Y1 KR20-2005-0011813U KR20050011813U KR200389153Y1 KR 200389153 Y1 KR200389153 Y1 KR 200389153Y1 KR 20050011813 U KR20050011813 U KR 20050011813U KR 200389153 Y1 KR200389153 Y1 KR 200389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orms
blocks
plane
toy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20-2005-0011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15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2009/0471Dice with different colours
    • A63F2009/0473Dice with different colours on different faces of a dice
    • A63F2009/0475Dice with different colours on different faces of a dice with two or more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88Sculpture puzzles
    • A63F2009/1292Sculpture puzzles formed by stack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블럭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7가지 형태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블럭 완구에 있어서, 2가지 형태의 블럭을 추가하고, 총 9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블럭 세트를 두 세트로 구성하며, 그 중 한 세트는 다양한 색감을 형성하고, 상기 다양한 색감과 연관된 색감 및 무늬를 갖는 주사위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를 조합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놀이 방법을 추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창의력, 성취감, 지능 발달에 보다 도움을 주고, 각 블럭을 목재로 형성하여 그 질감으로 유아 및 어린이의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목재 블럭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재 블럭 완구는 좌우로 인접한 두 개의 블럭을 공통된 블럭으로 형성하고, 상기 좌블럭과 우블럭에 인접한 블럭을 형성하여 각 블럭의 결합으로 놀이를 진행하는 블럭 완구에 있어서,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1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두 개의 블럭을 차례로 형성한 2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3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4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5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배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6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7번 블럭; 상기 좌블럭 및 우블럭의 정면에 각각 하나씩의 블럭을 형성한 8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좌측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9번 블럭;을 한 세트로 하여, 한 세트는 다양한 색감을 형성하고 다른 한 세트는 단색으로 형성하며, 상기 각 블럭은 목재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목재 블럭 완구{Wood block toy}
본 고안은 목재 블럭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7가지 형태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블럭 완구에 있어서, 2가지 형태의 블럭을 추가하고, 총 9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블럭 세트를 두 세트로 구성하며, 그 중 한 세트는 다양한 색감을 형성하고, 상기 다양한 색감과 연관된 색감 및 무늬를 갖는 주사위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를 조합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놀이 방법을 추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창의력, 성취감, 지능 발달에 보다 도움을 주고, 각 블럭을 목재로 형성하여 그 질감으로 유아 및 어린이의 정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목재 블럭 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란 어린이들의 놀이 도구를 뜻하며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면 인형, 유아완구, 음향완구, 게임완구, 수예완구, 모방완구, 승용물완구, 동물완구, 운동완구, 지능완구, 학습완구, 과학완구, 취미완구 등을 들 수 있다.
어린이에게는 심신의 발달에 부합되는 완구를 선택해 주어야 한다. 특히, 3세 이상의 어린이에게 부적당한 완구를 안겨주면 지능 및 정서상 발달을 더디게 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또한, 구조나 내부의 부속이 복잡한 완구는 아무렇게 만지면 고장이 나기 쉬우므로 3세 이상의 어린이에게는 단순하고 튼튼하면서 지능 및 정서발달에 적합한 것이 좋다.
연령별 완구의 일반적 선택 요령은 표 1과 같다.
연령 행동 특성 및 선택 기준
생후 3개월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있고, 소리가 들린다. 천장에 매달아 아기의 눈 위에서 흔들리며 소리를 내는 완구 따위가 있으면 좋고, 오뚝이나 공기를 넣은 동물 완구 등 색깔이 화려하고 맑고 차분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완구가 좋다.
6개월 손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지 입으로 가져간다. 오뚝이, 공기를 넣은 비닐제 동물완구가 좋다. 부속품이 빠지기 쉬운 것, 뾰족한 것, 삼킬 염려가 있는것, 핥으면 위험한 것 등은 절대로 가까이 두어서는 안 된다.
1세 전후 아무 것이나 손으로 잡으려 하고, 기기를 좋아하며 걸음마를 시작한다. 공기를 넣은 비닐제 완구, 플라스틱제 자동차, 실(seel) 동물완구 등 색다르게 보이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이리저리 만져도 안전해야 한다.
2~4세 자동차, 토막쌓기, 실 동물완구, 승용물완구 등이 좋다.
4~7세 성별, 취미에 따라 놀이가 다양해진다. 삼륜차, 운동완구, 소꿉놀이, 인형 옷입히기, 색종이접기, 색깔 칠하기, 액세서리 게임, 글자놀이, 기계완구, 간단한 플라스틱 모델 등이 좋다.
초등학생 게임, 기계완구, 플라스틱 모델, 기계완구, 미니어처 카, 퍼즐, 이과 완구 등 사고력, 창조력, 운동능력의 발달을 조장시키고 취미를 기를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일반적으로, 블럭 완구는 블럭과 블럭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거나 쌓기 위주의 놀이 수단을 구비한 완구가 대다수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난 7가지 소마큐브는 덴마크 출신의 시인이고 물리학자이며 수학자인 피에트 하인(Piet Hein)에 의해 1936년부터 개발되어 왔다.
그는 '공간은 어떻게 정육면체들로 잘게 쪼개어졌는가'를 논의하는 양자 물리학 강의를 듣던 중에 이 퍼즐을 고안하게 되었다. "소마(Soma)"라는 이름은 미래사회를 묘사한 헉슬리(Aldous Huxly)의 소설 '용감한 신세계(Brave New World)'에서 인용한 것이다. '소마'는 그 세계의 정착민들이 한가할 때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사용했던 중독적인 마약이었다. 그 후, 1970년에 파커 브라더스사에 의하여 대량으로 만들어져 판매되었다. 이 회사는 소마큐브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매뉴얼과 소마중독(Soma Addict)라는 간행물을 발간하였다.
상기 설명된 소마큐브는 기본적으로 도 1의 7가지 모형을 갖고 있으며, 이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만드는 놀이를 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모양은 3×3×3의 정육면체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블럭과 블럭을 상호 결합하여 놀이를 진행하는 소마큐브 완구에 대한 종래기술을 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71289호를 일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내용을 보면,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적인 7개의 소마큐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하학적 모양들을 형성할 수 있는 소마퍼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3개 또는 4개의 큐브로 7가지의 소마큐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3개의 큐브가 'ㄴ'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각 큐브의 외주면에 큐브 체결수단 삽입홈을 구비한 기본형 소마큐브와, 상기 기본형 소마큐브에 체결하기 위해 일면에 큐브 체결수단 삽입홈이 형성된 단일 큐브와, 상기 기본형 소마큐브와 단일 큐브의 규브 체결수단 삽입홈에 삽입되는 큐브 체결수단과, 상기 기본형 소마큐브와 단일 큐브의 큐브 체결수단 삽입홈을 밀폐시키기 위한 큐브 마개로 구성된 조립식 소마퍼즐을 제공함으로써 7가지 소마큐브를 별도의 접착공정 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나타난 소마퍼즐의 체결구조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큐브는 쉽게 결합하고 쉽게 해체되도록 해야 하는 바,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큐브간에 체결수단을 설정함으로써, 결합과 해체에 불필요한 시간이 투입된다. 또한, 각 큐브를 속이 빈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사출성형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은 줄일 수 있으나, 유아 또는 어린이의 정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그 질감을 즐길 수 있는 재질의 사용이 곤란하다.
도 1은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7가지 소마큐브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주요 기술적 사상인 체결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7가지 모형으로 3×3×3의 정육면체를 결합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번호를 최상층부터 평면(위)에서 바라본 큐브의 번호로 기재하면 다음 표 2와 같다.
최상층 중간층 최하층
2 2 3 4 2 5 4 2 5
4 6 3 4 6 3 7 5 5
6 6 3 7 1 1 7 7 1
상기 7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도 3의 3×3×3의 정육면체를 만들기 위한 결합 방법은 상기 표 2에 나타난 것을 포함하여 총 240가지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도 3의 3×3×3의 정육면체를 만들기란, 상기 표 1에 나타난 연령을 참조하면, 초등학생 이상의 판단력과 지능을 갖추어야 한다. 실제로 성인중에서도 상기 정육면체를 결합하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블럭의 재질을 목재로 형성함으로써 그 질감에 의해 유아 또는 어린이의 정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상기 도 3의 3×3×3의 정육면체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보조 블럭을 형성함으로써 판단력과 지능이 다소 떨어지는 초등학생 이하의 유아들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블럭의 색감과 호환되는 주사위를 구비함으로써 놀이 방법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목재 블럭 완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좌우로 인접한 두 개의 블럭을 공통된 블럭으로 형성하고, 상기 좌블럭과 우블럭에 인접한 블럭을 형성하여 각 블럭의 결합으로 놀이를 진행하는 블럭 완구에 있어서,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1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두 개의 블럭을 차례로 형성한 2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3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4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5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배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6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7번 블럭; 상기 좌블럭 및 우블럭의 정면에 각각 하나씩의 블럭을 형성한 8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좌측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9번 블럭;을 한 세트로 하여, 한 세트는 다양한 색감을 형성하고 다른 한 세트는 단색으로 형성하며, 상기 각 블럭은 목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럭 완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블럭의 9가지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1번 내지 9번 블럭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로 인접한 두개의 블럭(좌블럭, 우블럭)을 기본 형태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정의된 각 블럭들은 3차원적으로 회전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놀이를 진행하는 것이다.
※ 1번 블럭: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것.
※ 2번 블럭: 좌블럭의 평면에 두 개의 블럭을 차례로 형성한 것.
※ 3번 블럭: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것.
※ 4번 블럭: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것.
※ 5번 블럭: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것.
※ 6번 블럭: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배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것.
※ 7번 블럭: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것.
※ 8번 블럭: 좌블럭 및 우블럭의 정면에 각각 하나씩의 블럭을 형성한 것.
※ 9번 블럭: 좌블럭의 좌측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것.
본 고안은 각 블럭의 재질을 목재로 형성함으로써 그 질감에 의해 유아 또는 어린이의 정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각 블럭은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각 모서리 및 꼭지점에 소정 크기의 라운드를 형성한다.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7가지의 기본적인 블럭의 형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3×3×3의 정육면체로 결합하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8번 및 9번 블럭을 추가함으로써 3×3×3의 정육면체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8번 및 9번 블럭이 추가됨으로써 "3×3×3 정육면체" 결합시 경우의 수는 수 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며, 다음 표 3 내지 표 4에서 그 예를 몇가지 살펴 본다. 본 고안은 1번 내지 9번 블럭 중 7개의 블럭을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 정육면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최상층 중간층 최하층
9 7 7 8 7 6 8 6 6
9 7 3 8 3 3 8 6 3
9 4 2 4 4 2 4 2 2
최상층 중간층 최하층
9 3 2 9 8 8 9 8 8
5 3 2 6 3 7 6 7 7
5 3 2 5 5 2 6 6 7
최상층 중간층 최하층
1 1 3 6 8 8 6 8 8
4 1 3 4 5 3 6 6 7
5 5 3 4 5 7 4 7 7
본 고안의 1번 내지 9번 블럭으로 형성할 수 있는 "3×3×3 정육면체" 의 경우의 수는 수백가지로 될 수 있으나, 이 때 특징적인 점은 상기 1번 블럭과 3번 블럭을 동시에 제외시킨다면 상기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없다는 점이다.
도 5는 상기 1번 내지 9번 블럭 외에도 추가할 수 있는 블럭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10번 및 11번 블럭을 추가하게 된다면 물론 "3×3×3 정육면체" 결합시 경우의 수를 더욱 늘릴 수는 있지만, 지나치게 용이한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10번 및 11번 블럭의 사용은 지양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성취감을 반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1번 내지 9번 블럭을 두 세트로 구비하고, 동시에 주사위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두 세트로 이루어진 블럭 세트 중에서 한 세트는 다양한 색감을 형성하고, 다른 한 세트는 단색으로 형성한다. 상기 주사위는 상기 다양한 색감과 상호 연관성있는 색감과 무늬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두 세트의 블럭은 각각 목재로 형성하여 그 질감으로 인해 사용자 특히 유아 및 어린이의 정서발달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는 놀이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색감이 형성된 블럭 세트와 단색으로 형성된 블럭 세트를 두 사람이 나눠 갖는다. 이 때, 숙련자가 단색 블럭 세트를 갖고 초보자는 다양한 색감의 블럭 세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주사위를 던져 지시하는 색감의 두 블럭을 제외시킨다. 색감이 형성되지 않은 단색 블럭도 동일한 두 블럭을 제외시킨다. "3×3×3 정육면체" 의 결합을 개시하여 먼저 결합하는 자가 승리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3×3×3 정육면체" 결합 외에 다른 형태의 모양을 정하여 그 모양을 먼저 결합하는 자가 승리하도록 놀이를 진행한다.
셋째, 유아 또는 어린이를 지도하고자 할 경우, 먼저 보호자가 단색의 블럭 세트 중 두 개 내지 세 개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모양을 결합한 후,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동일한 모양을 만들어 보도록 지도한다.
넷째, 유아 또는 어린이를 지도하고자 할 경우, 먼저 보호자가 임의의 7가지의 블럭으로 "3×3×3 정육면체"를 형성하고 그 중 한 개의 블럭을 빼낸 후,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상기 빼낸 블럭을 포함한 나머지 세 개의 블럭 중에서 어떤 블럭을 결합하면 "3×3×3 정육면체"가 결합될 수 있는지 질문한다. 이 때,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 발달에 따라 상기 정육면체에서 빼내는 블럭 갯수를 늘려 나간다.
본 고안의 상기 9개의 블럭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는 모양은 수 만가지 이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7개의 블럭으로 형성될 수 있는 수 천가지의 조합에서의 경우의 수보다 다양하게 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보다 풍부한 창의력과 기하학적 사고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재 블럭 완구는 9가지 형태로 목재 블럭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7개 블럭으로 "3×3×3 정육면체"를 형성하는 한정적인 면을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경우의 수를 적용하여 보다 용이한 "3×3×3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사용 연령을 보다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성취감 및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기하학 도형과 도안에 대한 논리성을 증진시켜 지능 발달에 도움을 주며, 목재 블럭과 상호 연관성있는 주사위를 추가하여 놀이의 흥미를 증가시킨다. 또한, 각 블럭을 목재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서 발달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럭.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 수단을 구비한 블럭.
도 3은 종래 기술의 블럭으로 3×3×3의 정육면체를 결합한 일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블럭.
도 5는 본 고안에 추가됨이 지양되는 블럭의 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

Claims (4)

  1. 좌우로 인접한 두 개의 블럭을 공통된 블럭으로 형성하고, 상기 좌블럭과 우블럭에 인접한 블럭을 형성하여 각 블럭의 결합으로 놀이를 진행하는 블럭 완구에 있어서,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1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두 개의 블럭을 차례로 형성한 2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3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저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4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5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우블럭의 배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6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평면에 하나의 블럭을, 그리고 좌블럭의 정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7번 블럭;
    상기 좌블럭 및 우블럭의 정면에 각각 하나씩의 블럭을 형성한 8번 블럭;
    상기 좌블럭의 좌측면에 하나의 블럭을 형성한 9번 블럭;
    을 한 세트로 하여, 한 세트는 다양한 색감을 형성하고 다른 한 세트는 단색으로 형성하며, 상기 각 블럭은 목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럭 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색감을 형성하는 각 블럭과 연관성 있는 색감 및 무늬를 형성하는 주사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럭 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위가 지시하는 색감에 해당하는 블럭을 제외하여 상기 9개의 블럭 중 7개의 블럭으로 "3×3×3 정육면체"를 결합하는 놀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주사위는 두 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럭 완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및 주사위는 각 모서리 및 꼭지점에 소정의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블럭 완구.
KR20-2005-0011813U 2005-04-27 2005-04-27 목재 블럭 완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389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13U KR200389153Y1 (ko) 2005-04-27 2005-04-27 목재 블럭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13U KR200389153Y1 (ko) 2005-04-27 2005-04-27 목재 블럭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153Y1 true KR200389153Y1 (ko) 2005-07-07

Family

ID=4369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1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9153Y1 (ko) 2005-04-27 2005-04-27 목재 블럭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15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766A1 (ko) * 2009-07-21 2011-01-27 안종현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KR101014500B1 (ko) 2008-10-07 2011-02-14 김복희 공간지각 능력 향상을 위한 소마퍼즐
EP2409743A1 (en) * 2010-07-19 2012-01-25 Dee Cube Puzzle Ltd. Cube assembly puzzle with polycubes of distributed and low complexity
KR101994409B1 (ko) 2018-01-09 2019-07-01 주식회사 매직큐브 소마큐브 조립구조
KR20220019441A (ko) 2020-08-10 2022-02-17 홍만기 소마큐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500B1 (ko) 2008-10-07 2011-02-14 김복희 공간지각 능력 향상을 위한 소마퍼즐
WO2011010766A1 (ko) * 2009-07-21 2011-01-27 안종현 정육면체 조립 게임용 퍼즐 블록 세트
EP2409743A1 (en) * 2010-07-19 2012-01-25 Dee Cube Puzzle Ltd. Cube assembly puzzle with polycubes of distributed and low complexity
JP2012024575A (ja) * 2010-07-19 2012-02-09 Damien Gerard Loveland 立方体及び他の形状を形成するための、分散されて複雑さの程度の低いポリキューブを有するパズル
KR101994409B1 (ko) 2018-01-09 2019-07-01 주식회사 매직큐브 소마큐브 조립구조
KR20220019441A (ko) 2020-08-10 2022-02-17 홍만기 소마큐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wson et al. Toys and playthings: In development and remediation
Singer et al. A Piaget primer: How a child thinks; Revised Edition
Linn The case for make believe: Saving play in a commercialized world
Enzensberger The number devil: A mathematical adventure
Bruce The whole child
KR200389153Y1 (ko) 목재 블럭 완구
Artemova et al. The choice of toys by early childhood children
Wiggin et al. Froebel's gifts
KR20190043707A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 놀이세트 및 그것을 이용한 놀이방법
Wiggin et al. Froebel's gifts
Boegehold Getting Ready to Read: Learn How to Help and Encourage Your Child--from Babyhood to Grade School
Vansdadiya et al. Cultural toys and the implications for children
KR200384346Y1 (ko) 블럭 쌓기 목재 완구
Fisher Brain Games for Your Child: Over 200 Fun Games to Play
CN201295525Y (zh) 三子棋
Auerbach Dr. Toy's smart play: How to raise a child with a high PQ (Play Quotient)
WO2023033774A1 (en) Multipurpose educational material
Head et al. Using Toys and Play Remedially
CN207856268U (zh) 一种交互式益智管道游戏儿童玩具
Soni Significance of Using Indigenous Toys and Games in Early Years: A Child’s Way to Learn and Grow
Newson Play and Playthings for the Handicapped Child (Elizabeth Newson and Joan Head)
JP2003071125A (ja) 複合パズル
Heljakka Toy stroies, design, play, display, adult experience with designer toys
Gadzikowski Creating a beautiful mess: Ten essential play experiences for a joyous childhood
LaVigne Play Therapy Activities for Mindfulness: 80 Play-Based Exercises to Improve Emotional Regulation and Strengthen the Parent-Child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42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4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