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88485Y1 - 천정 마감용 몰딩 - Google Patents

천정 마감용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485Y1
KR200388485Y1 KR20-2005-0008626U KR20050008626U KR200388485Y1 KR 200388485 Y1 KR200388485 Y1 KR 200388485Y1 KR 20050008626 U KR20050008626 U KR 20050008626U KR 200388485 Y1 KR200388485 Y1 KR 200388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molding
channel
hanger bolt
n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호산업
Priority to KR20-2005-0008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48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1)은, 측벽(2)에 지지되는 수직부(10), 상기 수직부(10)의 하측에 형성된 너트삽입채널(20), 상기 너트삽입채널(20)에 삽입되어 천정(3)으로부터 신장된 볼트(4)에 체결되는 너트(30), 상기 너트삽입채널(20)의 하측에 형성된 행거볼트채널(40), 상기 행거볼트채널(40)에 삽입되고 와이어(5)를 매개하여 물품(6)이 걸리는 행거볼트(50), 및 상기 행거볼트채널(40)의 측방으로 형성되어 천장패널(7)이 지탱되는 패널지지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10)와 측벽(2) 사이의 피스체결에 의해 측벽(2)에 고정되거나 상기 너트(30)와 상기 볼트(4)의 체결에 의해 천정(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 마감용 몰딩{Moulding for Finishing Ceiling}
(기술분야)
본 고안은 천정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정에 장착되어 천정패널을 마감하는 몰딩으로서, 측벽에 밀착 고정하거나 천정에 이격되게 고정할 수 있고, 각종 물품을 걸어서 고정할 수 있는 천정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실내 천정에는 천정패널이 마감 시공되고, 시공된 천정패널의 가장자리는 몰딩에 의해 마감처리 되며, 이런 천정 마감용 몰딩은 천정의 모서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천정을 장식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실내에는 그림이나 액자 등과 같은 각종 걸이식 물품(이하, '물품'이라 한다)을 걸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이런 물품의 벽걸이는 주로 못과 같은 피스를 벽에 박아서 거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벽에 피스를 박는 방식은 벽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또한 피스를 박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천정 마감용 몰딩에 물품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행거볼트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행거볼트채널에 행거볼트를 삽입한 다음 여기에 와이어를 매개하여 물품을 거는 구조의 몰딩이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4-91517호(픽처레일이 장착된 천정용 마감 몰딩: 2004. 10. 28.일 공개)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517호의 몰딩은 이를 벽면(측벽 또는 천정)에 밀착시켜서 피스를 박아 벽면에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몰딩을 벽에 밀착시킬 수 없는 환경 하에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의 천정에 장착되어 천정패널을 마감하는 몰딩으로서, 천정에 밀착시킬 없는 환경 하에서도 천정에 몰딩을 고정할 수 있고 각종 물품을 용이하게 걸 수 있는 천정 마감용 몰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천정 마감용 몰딩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은, 측벽에 지지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형성된 너트삽입채널, 상기 너트삽입채널에 삽입되어 천정으로부터 신장된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삽입채널의 하측에 형성된 행거볼트채널, 상기 행거볼트채널에 삽입되고 와이어를 매개하여 물품이 걸리는 행거볼트, 및 상기 행거볼트채널의 측방으로 형성되어 천장패널이 지탱되는 패널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천정 마감용 몰딩은, 상기 수직부와 측벽 사이의 피스체결에 의해 측벽에 고정되거나 상기 너트와 상기 볼트의 체결에 의해 천정에 고정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천정 마감용 몰딩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천정 마감용 몰딩의 요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의 사용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1)은, 수직부(10), 너트삽입채널(20), 너트(30), 행거볼트채널(40), 행거볼트(50), 및 패널지지부(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10)는 본 고안의 몰딩(1)을 실내의 측벽(2)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에 수직부(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못과 같은 피스(2A)를 박음으로써 몰딩(1)을 측벽(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직부(10)에 형성된 노치(11)는 피스(2A)를 박기 쉽게 형성한 홈이다.
상기 너트삽입채널(20)은 상기 측벽(2)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삽입채널(20)에는 너트(30)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너트삽입채널(20)의 상면에는 개구(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천정(3)으로부터 아래로 신장된 볼트(4)가 너트삽입채널(20) 안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구(21)의 크기는 너트(30)의 크기보다 작아서 너트(30)가 좌우로 슬라이딩 될 뿐 위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너트삽입채널(20)과 너트(30)의 구성에 따라, 너트삽입채널(20)에 적당한 수의 너트(30)를 측면으로부터 삽입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이들 각각의 너트(30)에 일단을 천정(3)에 고정한 볼트(4)를 각각 체결함으로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몰딩(1)을 천정(3)에 밀착되지 않은 이격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몰딩(1)과 여기에 걸리는 물품(6)의 하중이 지탱될 수 있다.
상기 행거볼트채널(40)은 상기 너트삽입채널(20)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채널(40)에는 행거볼트(50)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행거볼트채널(40)의 하면에는 개구(41)가 형성되어 있어서 행거볼트(50)가 상기 개구(41)를 통해 관통하고 있다. 상기 개구(41)는 행거볼트(50)의 헤드(51)의 직경보다 작아서 행거볼트(50)가 좌우로 슬라이딩 될 뿐 아래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41)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받침턱(42)을 형성하여 행거볼트(50) 및 여기에 걸리는 물품(6)의 하중을 지탱함에 있어서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행거볼트(50)에는 와이어(5)의 상단이 결속되며, 예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행거볼트(50)의 하단에는 와이어 고정나사(52)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나사(52)를 조이면 와이어(5)가 행거볼트(5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5)의 하단에는 고리(5A)를 형성하여 물품(6)을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행거볼트채널(40)과 행거볼트(50)의 구성에 따라, 행거볼트채널(40)에 적당한 수(통상적으로 2개)의 행거볼트(50)를 측면으로부터 삽입하여 물품(6)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행거볼트(50)에 와이어(5)를 매개하여 물품(6)을 걺으로써 본 고안의 몰딩(1)을 이용하여 액자나 그림과 같은 물품(6)을 벽에 피스를 박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1)은, 몰딩(1)이 측벽(2)과 천정(3)이 만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서 몰딩(1)을 측벽(2)에 고정시킬 수 있는 환경(도3 참조)에서는 수직부(10)를 측벽(2)에 밀착시켜 피스(2A)를 박아 몰딩(1)을 측벽(2)에 고정할 수 있고, 몰딩(1)의 고정에 천정(3)을 이용하여야 하지만 몰딩(1)을 천정(3)에 밀착시킬 수 없는 환경(도4 참조)에서는 너트삽입채널(20)의 너트(30)에 볼트(4)를 체결하여 몰딩(1)을 천정(3)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천정 마감용 몰딩(1)이 사용되는 작업 환경에 따라 측벽(2)과 천정(3)을 선택하여 몰딩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널지지부(60)는 행거볼트채널(40)의 측방으로 형성되며 여기에는 천장패널(7)이 지탱된다. 예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행거볼트채널(40)의 우하방에 L 자 형상으로 패널지지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지지부(60)에는 천장패널(7)의 모서리가 삽입되고, 천장패널(7)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지지수단에 의해 천정에 유지되지만 피스(7A)에 의해 패널지지부(60)에도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1)의 수직부(10), 너트삽입채널(20), 행거볼트채널(40), 및 패널지지부(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단일 부재로 형성하며,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1)은, 종래의 몰딩과 같이 피스를 사용하여 측벽(2)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택일적으로 볼트(4)와 너트(30)를 사용하여 천정(3)에 이격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몰딩(1)의 장착 환경에 따라 측벽(2) 또는 천정(3)을 활용하여 몰딩(1)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그림이나 액자와 같은 각종 물품(6)을 벽에 피스를 박지 아니하고 행거볼트채널(40)과 행거볼트(50)를 이용하여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천정 마감용 몰딩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천정 마감용 몰딩의 요부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의 사용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마감용 몰딩의 다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몰딩 2: 측벽 2A: 피스
3: 천정 4: 볼트 5: 와이어
5A: 고리 6: 물품 7: 천정패널
7A: 피스 10: 수직부 11: 노치
20: 너트삽입채널 21: 개구 30: 너트
40: 행거볼트채널 41: 개구 42: 받침턱
50: 행거볼트 51: 헤드 52: 고정나사
60: 패널지지부

Claims (1)

  1. 측벽(2)에 지지되는 수직부(10), 상기 수직부(10)의 하측에 형성된 너트삽입채널(20), 상기 너트삽입채널(20)에 삽입되어 천정(3)으로부터 신장된 볼트(4)에 체결되는 너트(30), 상기 너트삽입채널(20)의 하측에 형성된 행거볼트채널(40), 상기 행거볼트채널(40)에 삽입되고 와이어(5)를 매개하여 물품(6)이 걸리는 행거볼트(50), 및 상기 행거볼트채널(40)의 측방으로 형성되어 천장패널(7)이 지탱되는 패널지지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10)와 측벽(2) 사이의 피스체결에 의해 측벽(2)에 고정되거나 상기 너트(30)와 상기 볼트(4)의 체결에 의해 천정(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용 몰딩.
KR20-2005-0008626U 2005-03-30 2005-03-30 천정 마감용 몰딩 Expired - Fee Related KR200388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26U KR200388485Y1 (ko) 2005-03-30 2005-03-30 천정 마감용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26U KR200388485Y1 (ko) 2005-03-30 2005-03-30 천정 마감용 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485Y1 true KR200388485Y1 (ko) 2005-06-30

Family

ID=4368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6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8485Y1 (ko) 2005-03-30 2005-03-30 천정 마감용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4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41Y1 (ko) * 2009-07-28 2012-03-21 (주) 다중패브릭 건축 내외장재 결합 시스템
KR200460727Y1 (ko) 2012-02-13 2012-06-04 조윤호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41Y1 (ko) * 2009-07-28 2012-03-21 (주) 다중패브릭 건축 내외장재 결합 시스템
KR200460727Y1 (ko) 2012-02-13 2012-06-04 조윤호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852B2 (en) Hanger device and method for hanging an object
US7717279B2 (en) Slatwall track
US6186466B1 (en) Hanging frame stabilizer
KR101541685B1 (ko) 벽체 선반
KR200388485Y1 (ko) 천정 마감용 몰딩
KR20110067427A (ko) 벽체 부착형 선반용 선반본체 고정구
JP2006271991A (ja) 壁掛け具
US7775493B2 (en) Decorative article
KR101368374B1 (ko) 픽처 레일 및 조명틀 일체형 프로파일
KR102835844B1 (ko) 몰딩재용 액자 걸이구
KR200451320Y1 (ko) 소품걸이가 가능한 천장 몰딩부재
CN220631761U (zh) 一种用于酒店的可调式室内装饰结构
JP3095479U (ja) 家具転倒防止及び小物掛け用レールとそのアタッチメント
KR200323989Y1 (ko) 벽체용 선반
KR20230009075A (ko) 천장 레일에의 설치용 액자 와이어 걸이구
KR200425854Y1 (ko) 받침턱을 구성한 경사 레일 퍽
KR200403402Y1 (ko) 벽면 장식용 판넬
KR200287178Y1 (ko) 행거 벽면취부구
KR200292920Y1 (ko) 조립식 선반 걸이구
JP3884733B2 (ja) 物品保持部材
JP2007054429A (ja) 天袋ユニットの固定構造
JPH1176037A (ja) ハンガー保持具
KR20250100212A (ko) 몰딩재용 액자 걸이구
KR20110002233U (ko) 액자 이동 벽걸이
KR20250061197A (ko) 무타공 액자 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3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3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3032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32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